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컴퓨터 작문 연구의 동향 : 국내·외 2000년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임태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컴퓨터와 정보통신의 발달은 작문환경에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지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작문은 컴퓨터 작문으로 확장되었고, 필자에게는 새로운 환경으로의 적응이 요구되었다. 컴퓨터는 작문도구로서 다양한 양식의 활용이 가능한 편리성을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작문능력은 정보사회의 유능한 필자의 조건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필자들은 일상생활에서 범람하는 정보 속에서 신뢰할 만한 정보를 구분하고, 이를 종합하는 고차원적인 글쓰기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이때 필자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매체에 접근하여 정보를 습득하고, 텍스트를 산출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기존에도 컴퓨터 작문 연구는 꾸준히 수행되었으나, 컴퓨터 작문 연구의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동향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내외 2000년 이후의 컴퓨터 작문 연구 동향을 살피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컴퓨터 작문의 개념과 컴퓨터 작문 개념의 변천을 정리하고, 컴퓨터 작문 연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학위논문 90편, 국내 학술지논문 111편, 국외 학술지논문 225편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선정된 국내․외 컴퓨터 작문 연구를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으로 나누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세부적으로 연구 대상, 연구 자료, 연구 유형으로 구분하여 다루었다. 분석한 내용은 국내와 국외의 비교를 통해 컴퓨터 작문의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하는 자료로 사용되었다. 또한, 이러한 컴퓨터 작문 연구의 동향이 작문 교육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종합할 수 있다. 첫째, 국내․외 컴퓨터 작문 연구 분야의 연구 주제를 살펴보았다. 국내 컴퓨터 작문 연구에서 연구 주제는 총 13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연구에서 다루어진 주요 주제는 1)컴퓨터 작문 교수학습 방안, 2)컴퓨터 작문 쓰기 양상, 3)컴퓨터 교수학습의 효과 검증 순으로 나타났다. 국외 컴퓨터 작문 연구는 총 16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전체 연구 주제의 비율은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고, 상대적으로 1)컴퓨터 작문 양상, 2)컴퓨터 작문 교수학습 방안, 3)컴퓨터 작문 이론을 다룬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둘째, 국내․외 컴퓨터 작문 연구 분야의 연구 방법을 살펴보았다. 국내 컴퓨터 작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이 필자에 집중되었으며, 실증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학위논문에서는 연구 대상이 필자 중 초등학생에 집중되었고, 초등학생필자에는 학습부진아와 장애학생이 포함되었다. 연구 자료는 복합자료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쓰기자료의 활용도가 단일자료와 복합자료의 사용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국외 컴퓨터 작문 연구의 대상은 필자를 비롯하여 선행연구, 작문환경, 교수자 등으로 고루 분포되었다. 필자 대상의 연구에서는 학생필자 중에서 대학생필자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또한 상당수를 차지하였다. 국외에서는 이론정립을 위한 문헌연구가 꾸준히 수행되었으며, 정책을 고찰하는 등의 거시적 차원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국내와 국외 컴퓨터 작문 연구의 적용방안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후반부에서는 국내․외 컴퓨터 작문 연구를 실제에 적용하기 위하여 연구 동향에서 드러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종합하였다. 그 결과 국내연구는 연구 주제의 초점화, 필자중심의 연구, 복합자료의 사용 등의 특성을 드러냈다. 반면 국외 연구는 연구 주제의 다양화 시도와 연구 대상의 확장, 단일자료의 사용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동향을 실제에 적용하기 위하여 국내 제 7차 교육과정, 2009 개정교육과정과 국외 CCSS(공통핵심기준) 성취기준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외 모두 교육과정에서 정보를 종합하는 글쓰기와 컴퓨터 작문의 윤리의식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 디지털 문화유산자원 통합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모델 연구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EDM)을 중심으로

        임태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디지털 문화유산자원 통합서비스를 전제로 하여, 이에 대한 당위성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해외 선진사례를 분석・검토해봄으로써, 국내 디지털 문화유산자원 통합서비스 체계 구축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해보고자 하였다. 서비스 대상인 디지털 문화유산자원은 각 영역의 기관에 산재해 있지만, 지식정보자원(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로서 개념적으로 포괄될 수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라는 기술적인 환경의 변화에 따라 문화유산기관은 소장하고 있는 문화유산정보를 디지털 자원화하고, 이를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서비스하게 되었다. 이로써 문화유산자원에 접근하는 이용자들은 더 이상 문화유산의 유형과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탐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한 곳에서 통합적으로 제공받는 원-스톱(one-stop)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국내외의 문화유산기관들은 서로 협력 및 통합을 모색하고 있다. 실제로 캐나다의 LAC와 같이 기관 간 통합을 하거나 영국의 MLA나 노르웨이의 ABM-utvikling과 같이 통합정책기구를 설립하여 단일 기관의 관할 하에 두어 공존과 협력을 모색한 경우가 있다. 또한 독일의 BAM 프로젝트나 덴마크의 NOKS와 같이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통합검색을 제공한 사례가 있다. 국내의 경우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 모두 각각 소장하고 있는 문화유산자원들을 디지털 환경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가기록원은 ‘나라기록포털’을 통해서 보존기록(archives) 및 공개해제 된 비밀기록물을 제공하며, 국립중앙도서관은 디지털도서관인 ‘디브러리’를 통해서 국내외 수많은 도서관의 서지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박물관영역에서는 문화재청이 국가문화유산포털을 통해서 문화재청 및 유관기관의 문화재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은 e뮤지엄을 통해서 국내 여러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문화재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이들은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문화유산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나, 개별 영역에서의 정보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물론, 개별 영역에서의 정보화가 잘 이루어져야 통합서비스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수준과 이용자의 요구를 고려하면 문화유산자원의 통합서비스 체계 구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에서 추진한 디지털도서관 프로젝트인 ‘유로피아나(Europeana)’와 그 데이터 모델인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Europeana Data Model, EDM)을 소개하고, 이들을 적용하여 국내 문화유산정보 통합서비스 구축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유로피아나는 현재 유럽의 2,300여 문화유산기관으로부터 3,000만 건 이상의 디지털 자원을 통합적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유럽의 문화유산 디지털 허브이다. 유로피아나는 '문화를 생각하다(Think culture)'라는 슬로건 아래, 유럽의 기록관과 도서관, 박물관, 갤러리 및 시청각 컬렉션 등이 소장하고 있는 디지털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관문(gateway)의 역할을 하는 디지털 도서관이자 박물관, 아카이브라 할 수 있다. 한편 유로피아나의 데이터 모델인 EDM은 유로피아나가 다양한 형태의 문화유산기관으로부터 그들의 이질적인 데이터를 수확(harvesting)하고 매핑(mapping)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이들 데이터를 의미적으로 연결하고 웹에 개방해 하나의 거대한 간의 의미를 연결한 LOD(Linked Open Data)를 구현하기 위한 모델이다. 이를 위하여 EDM은 XML 규격에 RDF 스키마로 설계되었으며, 그 상위에서 문화유산자원의 맥락을 구조화하는데 있어서는 특정 영역의 온톨로지(ontology)들을 재사용함으로써 최상위(Top-level)의 온톨로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EDM은 이러한 구조를 바탕으로 시맨틱 웹 환경에서 각 영역의 문화유산자원 데이터 간의 연결을 가능케 하는 개방형 크로스-도메인 시맨틱 웹 프레임워크(Open Cross-Domain Semantic Web)을 실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데이터 모델이다. 따라서 국내 문화유산기관의 데이터 관리 인프라를 분석한 뒤, 각 영역의 문화유산자원 데이터 표본을 선정하여 EDM 구조에 매핑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의 디지털 문화유산자원이 EDM을 통해 구조화될 수 있는지 검토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의 문화유산 통합 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e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domestic system for the integrated service of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presuming an integrated service of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bringing forward its justification and necessity, analyzing and reviewing advanced cases overseas. Cultural heritage to be serviced can be conceptually integrated into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In addition, with change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cultural heritage agencies digitized their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nd could do service through an information network system without constraints of space and time. Thus, users who approach cultural heritage resources request for a one-stop service in which they explore cultural heritage resources desired without any more constraints on the type of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nd can be provided integrated resources from one place. In this situation,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heritage agencies seek for cooperation and integration with each other. In fact, like LAC of Canada, there is an integration between cultural heritage agencies or like British MLA or Norwegian ABM-utvikling, integrated policy instruments are established under the supervision of a single institution, seeking coexistence and cooperation. In addition, like BAM project of Germany and NOKS of Denmark, there are cases of constructing an integrated database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and providing integrated search. In South Korea, all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service their resources in a digital environment. For example, the National Archives provides archives and released secret archives through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s,’ and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services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numerous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braries through its digital library ‘Dibrary.’ In addition, in the domain of museu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ervices cultural heritage resource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related agencies through Korea National Heritage Online and services cultural heritage resources held in the National Museums through the National Central Museum's e-Museum. They aim to integrate cultural heritage in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but it stoping at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in individual areas. Of course, only if informatization in individual areas is achieved well, the integrated service can be done successfully. And yet, considering the level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users' needs,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for integrated service of cultural heritage. To realize this, digital library project ‘Europeana’ promot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and its data model Europeana Data Model (EDM) is introduced, and an attempt to check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domestic integrated service of cultural heritage resources will be made. Europeana is the European digital hub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currently doing integrated services of digital resources over 30 million from 2,300 cultural heritage agencies in Europe. Europeana is a digital library serves as a gateway, museum and archive to have access to digital data held in European archives, libraries, museums, galleries and audio-visual collections under the slogan 'Think culture.' In addition, the EDM is a data model developed so that Europeana can harvest and map heterogeneous data from cultural heritage agencies in various types. This is because the EDM is structured into an RDF schema in the XML standard and reuses the ontology of specific areas in structuring the context, serving as the top-level ontology. Thanks to this property and structure of the EDM, it can harvest different data integrated from cultural heritage agencies in diverse types, maintaining their original expressions and securing interoperability. In other words, this is a data model that plays a key role in implementing the EDM's Open Cross-Domain Semantic Web. Therefore,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domestic cultural heritage agency's data management infrastructure, map cultural heritage data of each area on an EDM structure, check if the domestic cultural heritage resources can be structured through the EDM and attempt to check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domestic system for the integrated service of cultural heritage by seeking for a method appropriate for domestic reality, among various methods that provide data in Europeana.

      • 이중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스트론튬 철 레늄 산화물의 입자크기와 레늄의 첨가량에 따른 자성특성 변화

        임태원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핀트로닉스란 전자의 자기적인 방향을 뜻하는 스핀과 전자공학의 합성어로, 전자의 전하뿐 아니라 업스핀, 다운스핀과 같은 형태로 스핀 정보를 이용해 전자를 구분함으로써 전자의 이동을 제어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자공학이다. 스핀트로닉스 기술은 대표적으로 자기저항 효과와 스핀토크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Sr2FeReO6(SFRO)는 대표적인 터널링자기저항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결정학적으로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산화물은 자성 특성이 B-자리의 전이금속간의 커플링에 의해서 자성특성이 발생이 된다. 전이금속간의 커플링은 구조적으로 결함이 생기기 때문에 이상적으로 1:1로 대응하기가 어렵다. 구조적으로 결함이 생기게 되면 자성특성의 악화를 야기한다. 구조적으로 결함이 생기는 이유는 입자크기에 의한 효과, B-자리에서 발생하는 불규칙 구조에 의해 대표적으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SFRO를 합성하여 입자크기에 따른 자성특성의 변화와 레늄의 과잉 첨가에 대한 효과(Antisite defect)를 조사 하였다. 입자크기가 작은 시편이 입자크기가 큰 시편에 비해 보자력이 957.04 G에서 459.33 G 로 약 2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입자크기가 작은 시편에서는 입자 하나가 단일 도메인을 형성하여 입계가 스핀 정렬을 방해하기 때문에 입자크기가 큰 시편에 비해서 많은 자기장이 필요로 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고, 쉽게 휘발하는 레늄의 과잉 첨가량이 0-15 mol%로 증가할 때, 안티사이트의 양은 25%-5% 감소하였고, 포화자화 값은 1.34 Bohr magneton 에서 2.95 Bohr magneton로 증가하였다. 주사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안티사이트 결함이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 [110] 방향으로 HAADF(High Angle Annular Dark Field) 검출기를 사용하여 조사 하였다. 레늄을 과잉 첨가하지 않은 시편에서는 안티사이트 결함이 집단으로 모여 있는 것을 조사하였고, 레늄을 15 mol% 과잉 첨가한 시편에서는 B-자리에 있는 양이온들이 규칙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Ferromagnetic double perovskites have recently attracted great attention due to their presumed half-metallicity as well as high curie temperature. To this end, Sr2FeReO6 (SFRO), one of typical double perovskites, are being actively studied with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cationic ordering was controlled by excessive Re amount and their magnetic properties have been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cationic ordering. Furthermore, the cationic disordered defects, so called Anti-site (AS) defects, were examined by aberration-corrected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0, 5, 10 and 15 mol%-Re-excess SFRO powders was prepared via a conventional solid state reaction. XRD results confirm that cationic ordering of Fe and Re, is one of major parameters to affect the magnetic properties in SFRO. Cationic ordering percentages are increased by adding excess of Re. Since the Ms of SFRO are deteriorated by the cationic disordering, Saturation Magnetization of 15 mol%-Re-excess SFRO sample was the largest value amongst the prepared samples. Theses results directly demonstrated that excess of Re effectively enhanced the cationic ordering in SFRO and accordingly the magnetic properties as well. Lower Ms and higher Hc in the 0 mol%-Re sample revealed that the ferromagnetic alignment of Fe and Re atoms was interfered by the Fe/Re disordering. Aberration-corrected STEM results showed that high degree of Fe/Re ordering was maintained in 15 mol%-Re-excess SFRO sample whilst cationic-disordered regions were observed in the 0 mol% Re sample.

      • 실행파일 이미지화와 Word2Vec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악성코드 탐지 방법에 대한 연구

        임태원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악성코드는 매일 수십만 건에서 수백만 건 신규로 출현하고 악성코드 공격 목적도 과거의 단순 호기심, 자기 과시 차원에서 벗어나 뱅킹 악성코드, 랜섬웨어와 같이 금전적인 수익을 올리거나 특정 기관 기업의 내부 기밀자료 절취를 목적으로 한 표적공격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악성코드 공격 변화로 인해 사람 분석에 의존해 생성하는 시그니처(Signature) 기반의 백신(Anti-Virus) 등 전통적 보안시스템으로는 악성코드 공격 대응에 한계가 이르렀으며 보다 지능화되고 자동화된 보안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학계와 보안업계에서는 자동화된 악성코드 탐지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많은 오탐지나 미탐지 등 미비점으로 인해 현재까지는 전통적 보안시스템을 대체하기에 불충분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악성코드 탐지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대두되고 있는 딥러닝 학습 모델인 합성곱신경망, Word2Vec을 혼합 적용함으로써 탐지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기존 악성코드 탐지방법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Recently, hundreds of thousands to millions of new malware appear every day. The purpose of malware attacks has changed from the curiosity or showing-off of past to the present monetary profit like current banking malware and ransomware or targeted attacks that steals information from companies or organizations. It has reached its limit to response to these changes of purpose of malware attacks with traditional security systems such as anti-virus based on signatures extracted from human analysis, an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research on more intelligent and automated security systems. Academic and security industries are conducting various studies for automated malware detection systems, but due to many false alarm and detection, it is still insufficient to replace traditional security systems. In this pap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alware detection method, investigated a method to improve the detection performance by mixed application of the deep learning mode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Word2Vec, which are recently emerging learning models, and improved the performance compared to existing malware detection methods.

      • 진로별 교육과정 기반의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학입학전형 개발 연구

        임태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학령인구 절벽’이라는 거대한 위기 앞에 대학들은 존폐의 기로에 놓였으며,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학생 선택 맞춤형 교육과정’이라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학생 선택 맞춤형 교육과정은 학생이 소질과 적성, 흥미에 따라 진로를 결정하고, 이를 위한 과목을 선택·이수하며 교육과정을 형성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교육부, 2022). 이러한 교육과정 체계의 추구는 미래에 희소자원이 될 학생들에게 고교 교육과정을 통해 진로를 탐색하게 하고, 개별화된 학습을 제공하여 분야별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생 선택 맞춤형 교육과정은 ‘진로별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진학계 고교의 경우 학생이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전공(계열)이 곧 교육과정 구성의 이정표가 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과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이 예고된 현시점은 세계적으로도 교육의 패러다임이 ‘학생 중심 교육(Learner-Centered Education)’으로 전환되는 시기이며, 교육과정 또한 학생의 진로와 연계하여 개별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Reigeluth, C. M. et al., 20216).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의 진학계 고교 또한 보편적인 교육과정의 형태로서 대학에서의 전공 학습을 고려한 진로별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진로별 교육과정의 안착이라는 목표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함께 변화해야 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고교와 대학의 교육과정을 연계하는 ‘대학입시’이다. 우리나라 교육에서 대학입시는 늘 고교 교육과정을 파행으로 이끌고, 사교육을 유발시키며, 학생에게 부담을 안겨주는 존재로 인식되어 왔다(강창동, 2007; 정광희 외, 2011; 김지하 외, 2017). 이와 같은 대학입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평판이 좋은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최고의 교육과정으로 여기는 왜곡된 사고에서 기인한다(김영지, 2017; 장재호 외, 2021; 임한려, 홍성표, 2022). 이와 같은 배경에서 고교 교육과정이 진로별 교육과정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대입제도와 이를 표상하는 대학입학전형의 개선이 필연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진로별 교육과정의 안착을 견인하고, 배운 것을 평가하는 타당한 대입시를 위하여 ‘진로별 교육과정 기반의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학입학전형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문헌 연구, 비교 연구, 개발 연구, 조사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진로별 교육과정 기반의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학입학전형 개발에의 고려사항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발간자료 등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주요 국가의 대입 공통시험과 해당 국가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입학전형을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우리나라·일본·중국·미국·영국·캐나다·프랑스·독일을 선정하였고, 총 8개국의 대입 공통시험과 22개 대학의 대학입학전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 연구 문제는 앞선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연구 목적에 따른 대학입학전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개발 연구에서는 고교 교원과 입학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와 고교 교원, 입학사정관, 교육전문가를 패널로 하는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진로별 교육과정 형성의 전제가 되는 학생들의 과목 선택을 분석하고, 고교-대학의 연계 방안을 탐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 연구는 ‘진로선택 과목’이 교육과정에 도입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부터 교육부, 시·도교육청, 대학의 주도로 활발히 수행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에서 발간한 자료와 대학에서 연구한 자료 간에 계열에 따른 안내 범위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먼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에서 발간한 과목 선택 안내 자료에서는 대학의 학부·전공 표준분류체계에 따라 제시된 모든 계열과 전공에 대하여 적극적인 추천과목 안내가 이루어졌다. 반면, 대학의 연구 결과에서는 자연공학계열 중심의 권장 과목 안내가 이루어졌으며,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대학의 전공과 고교의 과목을 직접적으로 연계시키기보다 교과(군) 수준에서 수학 능력을 기를 것을 권장하고 있었다. 자연공학계열에 대한 과목 안내는 전공(계열) 학습에 필요한 수학 및 과학 과목을 고교 교육과정 상의 위계를 반영하여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전공(계열)에 따른 과목 안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진로별 교육과정을 7개 계열(인문, 사회, 상경, 자연, 공학, 의약보건, 예체능)로 구분하고 연구의 전제로 삼았다. 고교와 대학의 연계 방안을 다룬 선행 연구는 교육의 연속성에 초점을 둔 연구와 고교-대학 연계의 매개인 대학입학전형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별되었다. 전자의 경우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학문의 연속성에 기초하여 고교와 대학을 연계하는 방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 고교와 대학을 연계하는 방안으로서 대학입학전형의 설계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교-대학 연계를 다룬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8년 연구와 한국형 8년 연구를 살피어 연구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미국의 8년 연구가 제시한 결과에서는 고교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삶과 진로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대학은 대학에서의 수학을 고려하여 필요한 학습과 능력을 사전 안내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형 8년 연구에서도 대학과 모집단위의 특성을 고려한 전공(계열)의 적합도가 주요한 평가요소로 활용되어야 하며, 이를 실천하는 대학입학전형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고교-대학의 구체적인 연계 유형을 탐색한 결과 현행 체제에서 실천 가능한 방안은 ‘진로형 연계’이며, 권장 과목과 최소 이수 학점의 안내를 통해 이를 실천할 수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연구의 두 번째 단계에서는 앞서 언급한 8개 국가의 대입 공통시험과 22개 대학의 대학입학전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대입 공통시험을 운영하지 않는 캐나다를 제외한 7개국의 대입 공통시험은 ‘소영역-영역집중형 시험’과 ‘다영역-과목선택형 시험’으로 구분되었다. ‘소영역-영역집중형 시험’은 말 그대로 학생이 응시하는 시험의 영역이 3개 내외로 구성되어, 학습이 영역에 집중되는 시험을 의미한다. 반면, ‘다영역-과목선택형 시험’은 영역 자체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고, 각 영역별로 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하는 형태의 시험이다. ‘소영역-영역집중형 시험’을 채택한 국가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이었으며, ‘다영역-과목선택형 시험’을 채택한 국가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이었다. 캐나다는 대학입학을 위한 공통시험을 운영하고 있지 않았으나, 대입의 초점이 고교 교육과정에 맞추어져 시사점 도출을 위해 비교 사례로 추가 분석하였다. ‘소영역-영역집중형 시험’을 운영하는 국가 중 미국의 대입 공통시험은 SAT가 3개 영역(독해, 작문과 언어, 수학), ACT가 4개 영역(영어, 수학, 독해, 과학)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개별 전공에 대한 선수 학습은 AP 시험 성적 등을 통해 확인하고 있었다. 영국의 A-level 또한 학생들이 응시하는 과목 수는 3~5개이며, 공인된 기관에서 출제하는 35개 이상의 과목 중 진로와 관련한 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하도록 하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철학 기반 시험인 바칼로레아를 실시하는데, 세부적인 시험 구성은 시험평가와 수행평가로 나뉜다. 이 중 공통시험의 성격을 갖는 것은 시험평가이며, 프랑스어와 철학, 선택전공 2개 과목과 구술시험을 운영하여 진로별로 시험을 응시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독일의 아비투어는 3개 영역(언어, 사회과학, 수학 및 자연과학)에서 규정된 규칙에 따라 학생들이 4~5개 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하도록 하며,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을 병행하여 실시한다. 이때 필기시험은 단순 선다형이 아니라, 3개의 요구사항 영역에 따라 학생의 문제해결력과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서논술형 문항으로 구성하고 있었다. 한편, ‘다영역-과목선택형 시험’을 운영하는 나라에서는 시험 영역을 주지 교과인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제시된 과목 중 일부를 선택하여 응시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러한 ‘다영역-과목선택형 시험’을 운영하는 나라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으로 국가 수준에서 시험을 관리하며, 정해진 날짜에 일시(一時) 시험을 치른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시험 구조는 고교 교육과정을 통해 여러 교과목을 학습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다교과 피상 학습을 유도하고 있었으며, 대학입시에서 시험 결과의 활용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고부담 시험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선다형 시험 출제와 정량평가라는 특성에 기인하여, 진로와 적성을 고려한 과목보다 성적 취득의 용이성이 높은 과목으로의 학생 쏠림현상이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8개 국가 중 캐나다는 국가 수준의 대입 공통시험을 운영하고 있지 않았으나, 주(province)별로 대입 관련 규정을 마련하고 있었다. 대입 관련 규정의 공통된 핵심은 고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대입평가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고교 교육과정-대학입학전형 간 연계가 강화되어 있었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국내외 대학의 대학입학전형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대학수학능력을 평가한다는 측면에서 ‘학업역량’과 ‘진로역량’을 강조하고 있음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대학들은 상대적으로 대동소이(大同小異)한 전형 체계를 갖추고 있었는데, 이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제시하는 표준체계에 따라 대학입학전형을 구성하는 것에서 비롯된 현상이다. 그러나, 개별 대학의 세부적인 전형방법과 평가요소를 살펴보면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단일 평가요소보다 복합 평가요소를 활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국내 대학들의 전형 수는 해외 대학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며, 학생부교과·학생부종합·논술·실기·수능 등 기본적으로 5개 이상의 전형을 운영하고 있었다. 국내 대학들이 진로별 교육과정과 대학의 전공(계열)을 연계하는 정도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수준(Loosely Coupled)이었는데, 이때 활용된 연계 전략은 진로역량에 대한 정성평가와 수능 성적 산출 시 반영 영역의 차별화 등에 그쳤다. 한편, 해외 대학의 경우 대학본고사와 학생 활동 자료 등을 활용한 진로역량의 확인이 두드러졌다. 도쿄대학, 칭화대학, 베이징대학, 옥스퍼드대학, 케임브리지대학은 전공(계열)별로 대학 자체 고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학생의 학업역량과 진로 관련 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학생활동자료, 심층면접, 에세이 등을 평가자료로 활용하고 있었다. 연구의 세 번째 단계에서는 ‘진로별 교육과정 기반의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학입학전형’을 초안, 수정안, 최종안 순으로 개발하였다. 이때 개발 과정에서는 초안과 수정안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설문조사와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연구자가 개발한 초안의 내용을 ‘1) 입학전형의 주요사항, 2) 전형유형과 전형요소 구성, 3) 전형요소의 활용, 4) 미래 환경 변화와 대학입학전형의 방향’으로 구분하고, 59개의 하위 문항으로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설문 결과에 따라 대학입학전형의 개발 방향은 학생의 과목 선택과 이수를 반영하는 것을 중심으로 구상하되, 현행 학생부종합전형과 같이 학교 교육과정 내 교과·비교과 활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전형을 개발하는 것으로 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고교 교원과 대학입학관계자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이 다수 확인되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대학의 전형 운영 여건이 영향을 미치는 문항과 수능최저학력기준 및 정량평가의 활용 등을 묻는 문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고교 교원이 대학입학전형에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는 것과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여 기초학력을 담보하는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설문의 결과는 수정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정안의 검토는 14명의 패널이 참여한 델파이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델파이조사를 위하여 수정안의 내용을 ‘1) 대학입학전형 유형의 재구성, 2) 계열별 반영 교과(군)의 우선순위, 3) 인문사회계열의 이수 권장 과목 및 최소학점 지정, 4) 자연공학계열의 이수 권장 과목 및 최소 학점 지정, 5) 예체능계열의 이수 권장 과목 및 최소 학점 지정, 6) 계열별 교과성적 정량평가, 7) 학업역량위주 전형의 전형방법 및 전형요소, 8) 진로역량위주 전형의 전형방법 및 전형요소, 9) 실기역량위주 전형의 전형방법 및 전형요소, 10)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전형시기의 개선안’으로 구분하고, 37개의 문항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1차 델파이조사 결과 37개 문항 중 19개 문항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였으며, 해당 문항 중 거시적 차원에서 구조의 변화를 묻는 문항(논술전형 폐지, 대입시기 통합 등)과 여러 유형 중 하나를 결정하는 문항(정량평가 방식의 결정 등)을 포함한 11개 문항을 제거하였다. 2차 델파이조사에서는 8개 문항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공유하고, 재평정을 요청하였다. 그 결과 8개 문항이 모두 합의에 도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6개 문항의 내용 유지를 결정하게 되었다. 합의에 이르지 못한 항목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세부 의견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한 형태로 최종안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진로별 교육과정 기반의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학입학전형 개발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여덟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진로별 교육과정은 ‘과목 선택’과 ‘이수 경로’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이를 대학에서의 전공 학습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대학입학전형 개발이 요구된다. 고교학점제의 도입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따라 교육과정을 형성하며 이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학생들의 교육과정 형성은 ‘과목 선택’에 의하여 실현되며, 이수 경로 또한 희망하는 대학 전공에서 요구하는 과목과 난이도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향후 대학입학전형에서는 학생이 이수한 교육과정에서 진로와 연계한 과목 선택과 이수 경로의 체계성을 주요한 평가요소로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교-대학의 연계 유형 중 현행 대입체제에서 실현 가능한 것은 ‘진로형 연계’이며, 이를 위해 진로역량을 주요 평가요소로 하는 대학입학전형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진로형 연계는 대학이 고교생에게 대학에서의 전공 학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를 토대로 고교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학은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는 범위에서 전공(계열)별 이수 권장 과목과 최소 이수 학점을 안내하는 역할을 요구받는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은 대학에서의 전공 학습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대학은 학생이 진학할 전공 영역에 대한 적정한 사전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셋째, 진로별 교육과정 기반의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학입학전형 개발 시 전형 유형에 따라 고려사항을 도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전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려사항으로 ‘1) 전형 유형 구분을 평가요소 기준으로 재구성하고, 전형 간 차별점을 명확히 할 것, 2) 학생부 활용 전형에서 ‘과목 선택 및 이수’와 ‘이수 학점’의 반영을 통해 진로별 교육과정을 연계할 것, 3) 대학수학능력시험 활용 전형에서 ‘과목 선택’과 ‘성취’의 반영을 통해 진로별 교육과정과 연계할 것, 4) 대학별고사 활용 전형에서 진로별 교육과정 이수를 반영하기 위하여 복합적인 전형요소를 활용할 것, 5) 계열별 권장 이수 과목과 최소 이수 학점을 대학입학전형의 내용으로 포함시킬 것’을 도출하였다. 넷째, 대학입학전형의 구조적 변화를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격을 명료화하고,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입제도 개편의 주요 쟁점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자격고사화, 절대평가화 등과 관련되어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다영역-과목선택형’으로 구성되어 다교과 피상학습을 유발하고 있었으며, 진로에 대한 고려보다 성적의 유불리를 고려한 시험 응시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국외 사례 중 ‘소영역-영역집중형’ 시험을 분석한 결과로 학생이 진로에 따라서 응시영역을 결정하고, 3개 내외의 과목에 응시하도록 하여 수능 준비가 곧 대학에서의 전공 학습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개선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대학별고사(논술고사, 면접고사 등)를 통해 학생을 선발하는 경우, 진로별 교육과정과 대학 전공(계열)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공(계열)별로 출제 범위와 유형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대학별고사는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을 구분하는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학생이 이수한 진로별 교육과정과 대학의 전공(계열)을 연계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대학별고사 운영 시 문항 출제 범위를 대학에서의 전공 학습을 고려하여 전공(계열)별로 사전 제시하고, 집중 교과 영역과 과목 수준에 차등을 두어 대학별고사의 운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주요 전형요소로 하는 전형 운영 시 전공(계열)별 수능 영역 반영 비율의 차등을 두어 진로별 교육과정의 운영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통합형 수능을 반영하여 시행된 대학입학전형에서는 성적의 유불리를 고려한 이과 학생들의 교차지원이 대거 발생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대학입학전형 체제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부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대학은 수능 위주 전형 운영 시 수능 응시영역의 반영비율을 전공(계열)별로 차등하거나,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법 등을 통해 성적을 고려한 교차지원을 방지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일곱째, 진로 탐색이 미흡한 학생이나, 학교 밖 대입 지원자를 위한 전형의 운영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진로별 교육과정은 진학계 고교 내에서 운영되는 것으로, 이를 필요조건으로 하는 경우 일부 학생의 소외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대학입학전형 설계 시 다양한 학생(검정고시 출신자, 외국고 졸업자, 국제공인교육과정 이수자 등)의 배경을 고려하여 모든 학생이 대입 과정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전형을 설계해야 한다. 또한 학생의 교육환경에 따라 진로와 연계된 능력과 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전형자료로 활용하는 근거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진로별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고교와 대학의 연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 교육과정 간의 연속성 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고교-대학의 연계는 궁극적으로 ‘교육과정’이 연속성을 가질 때 실현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고교학점제의 안착으로 학생 선택 맞춤형 교육과정이 편성·운영되는 경우 학생이 이수하는 과목 구성은 대학에서의 전공 학습을 준비하는 것에 초점화될 필요가 있다. 즉, 고교 교육과정에서는 희망하는 진로와 관련하여 기초 이수 과목을 학습하고, 이를 대학입학전형을 통해 평가(screening)하여 대학에서의 전공 학습과 연계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각 전형이 계열에 따라 학업역량과 진로역량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대학입학전형(안)을 개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과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 다섯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진로별 교육과정의 아웃라인(outline)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선택권 확대에 따른 책임이 대입결과로 연결되는 것을 고려할 때, 진로별 교육과정은 아웃라인 수준에서 개발·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때 학생들이 제시된 교육과정과 이수 경로를 참고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과목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진로 교육의 효과도 함께 거둘 수 있다. 둘째, 대입 평가에서 진로역량의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진로역량은 진로별 교육과정이 반영되는 주요 평가요소로서, 변화된 교육과정에 따라 세부적인 평가요소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이때 진로역량의 개념은 고교 교육과정에서의 활동과 연계하여 그 성격과 범위를 명료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업역량과 같은 타 평가요소와의 중첩되는 항목을 제거하는 등 개별 평가요소로서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응시영역 및 과목을 진로별로 재구조화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와 한계점은 수십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제시되었다. 현재 대입제도 개편의 쟁점으로 거론되는 ‘수능의 자격고사화, 절대평가화’ 외에, 학생의 진로별 교육과정 이수를 공통시험에 반영할 수 있도록 응시영역과 과목을 재구조화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질 높은 대학입학전형 운영을 위한 대학별고사(논술, 면접 등)의 공동 출제와 협업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대학별고사는 국외 사례에서도 살펴본 것과 같이 학생의 진로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주요한 평가방법이다. 따라서, 질 높은 대학별고사는 우수학생을 선발하는데 필수적이며, 제한된 자원의 가용을 고려할 때 공동출제 및 협업 시스템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끝으로, 모든 대학은 고유의 학생 선발 철학과 교육 환경에 맞게 대학입학전형을 연구·개발할 필요가 있다. 앞서 밝혔듯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존폐를 논할 만큼 위기상황에 놓여있다. 개별 대학의 존속을 위하여 대학혁신을 주도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학생 선발에 있어서도 고유의 철학과 교육환경에 맞는 대학입학전형의 운영을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풍토에서 대학입학전형 연구는 매우 첨예하고, 분산된 이해관계의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과 같다. 연구자가 제언에서 밝혔듯, 진로별 교육과정 기반의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학입학전형은 개발될 수 있으나 모든 대학에 적합한 대학입학전형은 존재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를 이끌어나갈 학생들이 진로별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타당한 대입시를 통해 배운 것을 평가받아야 한다는 방향성에 대해서는 그 합의가 도출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교육이 지향하는 방향에 따라 대입제도의 개선 내용을 대학입학전형에 담아냈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대학입학전형과 같이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에서의 수학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시도를 통해 대학입시가 고교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고대해 본다. In the face of the huge crisis of the school-age population cliff, colleges were at the crossroad between existence and abolition, and the national curriculum pulled out the card of student-tailored curriculum. In the student-tailored curriculum, students decide their career paths according to their talent, aptitude, and interest and form a curriculum by selecting and completing subjects for this. The pursuit of this curriculum system aims to foster talents prepared for each field by enabling students who will become scarce resources in the future to explore their career paths through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to provide in-depth learning. In this context, the student-tailored curriculum can be considered a career-related curriculum; in the case of high schools, the major in which students want to take in college is a milestone i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At a time whe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expected to be applied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fully introduced in 2025,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establishes itself as a major paradigm of education and is expected to be established as a universal curriculum in all high schools in Korea. To promote the goal of establishing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areer path, an aspect needs to be changed, namely, the college entrance exam. In Korean education, college entrance exams are recognized as a factor that leads to disruption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induces private education, and places a burden on students. As college-centered thinking is widespread, even if the curriculum emphasizes career path and subject selection, only obtaining good grades to enter college is considered important. Against this background, to enable the high school curriculum to move toward a career-related one,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nd college admission process that represent it must be improved. In response to this ne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llege admission process for high school–college continuity based on career-related curriculum to drive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iculum according to career path and to realize a reasonable college entrance exam for evaluating the overall learning of students. This study posed thre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ccording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pplying literature, comparative development, and survey method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linking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with college admission; thus,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cademic data and material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mmon entrance exams and college admission screening by 22 universities in Korea, Japan, China,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and Canada. The last research question was to develop college admission screening based on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previous process. The development process included surveys and the Delphi method that targeted high school teachers, admissions officials, and education experts. At the first stage, students’ subject choices, which are the basis for developing a career-related curriculum, were analyzed via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examining studies on high school–college continuity. The Ministry of Educatio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universities have conducted extensive research on subject selection in relation to career path. In this regard, differences in the scope of guidance according to the series were confirmed between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etropolitan,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university-studied data. First, all departments and majors were given active recommendation guidance in the subject selection guid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ovincial and metropolitan offices of education. Meanwhile, in the case of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majors, it was suggested to develop skills at the subject level, as opposed to directly linking the college’s major and high school subjects. The subject guidance for the natural engineering major reflected the hierarchy of the mathematics and science courses required for the major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ubject guidance study by major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was categorized into seven majors for this study(humanities, society, business, nature science, engineering, medical health, and arts and sports). In contrast, previous research on high school–college continuity was primarily classified into studies that focused on continuity of education and those that focused on college admission. In the former case, emphasis was placed on connecting high schools and colleges based on curriculum-based academic continuity. In the latter case, the study’s objective was to develop a design plan for college admission as a means of connecting high schools and colleges. Examining the 8-year study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authors sought implications for the study. First, the findings of an 8-year study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suggested that the high school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lives and career paths and that the universities should guide necessary learning and skills in advance with regard to college study. Similarly, in the Korean 8-year study, the suitability of majors should be used as a criterion for evaluation, which suggests that a college admission procedure should be developed. At the second stage,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mon college entrance exams of the above-mentioned countries and the college admission screening of these universities. First, the types of common college entrance exams were divided into “small-area intensive tests” and “multi-area subject selective tests.” Particularly,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adopted the small-area intensive tests. By definition, the small-area selective test literally means a test in which learning is concentrated in an area and comprises approximately three areas of the test taken by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SAT and ACT comprise three and four areas i.e., reading, writing and language, and math and English, math, reading, and science, respectively. In addition, prior learning for individual majors was confirmed via AP test results. The A-level in the United Kingdom also requires students to select career-related subjects from more than 35 subjects offered by authorized institutions. France, which has a reputation for operating a test called Baccalaureate, conducts written test and performance evaluation. Specifically, written test is characterized as a common test. In the type of evaluation, French and philosophy, two elective majors, and oral tests are operated to have a structure to take the test for each career path. In Germany, Abitour consists of three written tests and two oral tests; it is characterized as taking subjects such as German, mathematics, English, natural science, history, and political science. Conversely, Korea, Japan, and China, which operate the multi-area subject selective tests, display a similar common test structure. These countries adopt a method of taking tests in all areas and focus on main subjects, such as language, English, mathematics, society, and science. Commonly the college admission systems emphasized the scholastic abilities of students in college by evaluating academic and career competency. Korean universities had a similar screening system, which stems from the formation of college admission screening according to the standard system presented by the Korean council for college Education. However, if the detailed screening methods and evaluation factors are examined, the study notes differences among universities and finds that complex evaluation factors are used instead of single evaluation factors. In addition, domestic universities are operating screening systems relatively more than those of universities overseas, such as student record curriculum, student record comprehensive, essay writing, practical, and CSAT screening. Domestic universities mainly reflect the career-specific curriculum via a qualitative evaluation of career competency and differentiation in the area of reflection when calculating CSAT scores.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universities abroad, differences are notable by college, but confirming career competency through major college exams and data on student activity was remarkable. For example, the University of Tokyo, Tsinghua University, Beijing University, Oxford University, and Cambridge university are operating their exams by majors and using student activity data, in-depth interviews, and essays to evaluate the academic capabilities and career-related activities of students. At the third stage, the study developed college admission screening for high school–college continuity based on career-related curriculum in the following order: draft, amendment, and final proposal. Toward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and a Delphi method simultaneously. The survey presented a draf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s a question, which comprised 59 sub-questions, including (1) the main points of admission, (2) the type and composition of screening, (3) the use of screening elements, and (4)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and directions of college admi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will be focused on reflecting the choice and completion of subjects by students. However, a new type should be develop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curriculum and non-curricular activities in the school curriculum. In the survey, the study identified a number of questions that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high school teachers and college admission officers.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was mainly notable in the use of the minimum academic standard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to ensure the basic academic level of students and questions influenced by the screening conditions of the universities. The results wer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mendments. The amendments were reviewed using the Delphi method by 14 panelists. The questions in the Delphi method were as follows: (1) the reorganization of the type of college admission, (2) priority of the reflection subject, (3) designa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and minimum credits, (4) designation of natural engineering courses and minimum credits, (5) qualification of academic performance and screening methods. The result of the first Delphi round was that 19 questions did not reach consensus. In the second Delphi round, the study posed eight questions for re-evaluation by sharing the opinions of experts; all questions reached an agreement. Accordingly, the contents of the 26 questions that agreed on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presented by the researcher were maintained, and the remaining items were reflected in the final draft through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by referring to the detailed opinions of experts. The conclusions drawn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is study, “Development of college admission screening for High school-college connection based on career-specific curriculum” can be summarized into eight. First, since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consists of “subject selection” and “completion path,” a college admission procedure should be designed to link it with college stud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will create a curriculum based on their chosen career paths to complete the course. Therefore, in the future college admission process, the systematic course selection and completion path linked to a student’s intended career path should be regarded as significant evaluative factors. Second, among the types of high school–college continuity, what can be realized in the current college admission system is “career-type linkage,” and for this reason, a college admission process with career competency as a significant evaluative factor should be implemented. Hence, recommended subjects and minimum completion credits at the college level should be guided to guarantee students’ choice of subjects. Moreover, students’ career-related course completion efforts, achievement,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evaluation. Third, considerations should be derived from the type of screening when designing the college admissions procedure, and based on this, the screening should be designed. In this study, these considerations were derived as follows. 1) The classification of screening types should be reconstructed based on evaluation factors, and the distinctions between screenings should be clarified. 2) In the screening process, student records should reflect “subject selection and completion” and “completed credits” in relation to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3) “Subject selection” and “achievement” must be incorporated into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career-related curriculum. 4) Complex screening elements must be used to reflect completion of career-related curriculum by career path in the college-specific exam screening process. 5) Suggested courses and minimum credit requirements must be included as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major in the college admissions process. Fourth, it is necessary to clarify and restructure the goal of the CSAT for structural changes in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The major issues in the reform of the college entrance system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were related to the qualification test and absolute evalua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the case of Korea, the CSAT is composed of a 'multi-area subject selective tests', which induces superficial learning in multiple area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st taking into account the good or bad grades rather than the career path. Accordingly, as in the case of the 'small-area intensive tests' among overseas cases, students decide the area to take a test according to their career path and take 3 or more subjects, recognizing that the preparation for the CSAT is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major study at college. Fifth, it is desirable to differentiate the scope and type of questions for each major in order to incre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and the college major when selecting students through college-specific exams(writing exams, interview, etc.). Currently, college-specific exams are operated at the level of distinguishing betwee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natural engineering. In this structure, there is a limit to linking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that students have completed with the major of the college. Therefore, the scope of questions should be presented in advance for each major in consideration of study at the college, and the operation purpose of each college test should be achieved by varying the intensive subject area and subject level. Sixth, it is desirable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by varying the ratio of reflection of the CSAT area by major when operating the screening with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s the main screening factor. Recently, in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which was implemented to reflect the integrated CSAT, a large number of students cross applied. This phenomenon has been called the “Liberal Arts Invasion” incident in the media, but it is true that there is no device to prevent this phenomenon in the current college admission system.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cross-apply considering grades by differentiating the reflection ratio of the CSAT application area by major or giving additional points when operating the CSAT-oriented screening. Seventh, the screening of students with insufficient career exploration or applicants for out-of-school college entrance should b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is operated within high schools; if this is a necessary condition, then it may lead to alienation for a number of students. Therefore, when designing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the results of career exploration should be reflected in the consideration of the background of various students. Lastly, in order to establish a link between high schools and colleges based on career-related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secure continuity between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college curriculum. It can be sai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is ultimately realized when the 'curriculum' has continuity. In the future, when a curriculum tailored for student selection is organized and oper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composition of subjects at this time should focus on preparing for major study at college. In other words,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basic courses related to the desired career path, evaluate them through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link them with the major study at the college. Accordingly, in this study, a college admission screening system was developed that allows each screening to evaluate academic and career competency according to its major. Based on the implications and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earch process, the study presents five ideas for follow-up research. Firs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present the outline of the curriculum for each career within the scope of guaranteeing the right of students to choose a subject. A student’s choice of subject may have an impact on college admission, and the curriculum for each career path needs to be developed and presented at the outline level. At this point, students can choose the subjects they need by referring to the proposed curriculum and course of completion so that they can maximize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Second, research on evaluation factors for assessing career competency during college admission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Career competency is a major evaluation factor that reflects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and further in-depth examination of these evaluation factors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secure independence as an individual evaluation factor by omitting items that overlap with other evaluation factors, such as academic competency. Third,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restructure the exam areas and subjects of the CSAT. Previous scholars have constantly highlighte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SAT.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qualification examination, absolute evaluation,” which is currently discussed as an issue,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for devising a plan for the restructuring of exam areas and subjects such that the completion of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of the students can be reflected in the CSAT. Fourt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joint questions and cooperation system of college-specific tests(e.g., essay tests and interviews) to ensure high-quality college admission screening. The college-specific test is a major method for evaluating the career competency of students, as observed in cases overseas. Therefore, high-quality college-specific tests are essential for selecting excellent students, and access to joint examination and collaboration systems should be provided with a consideration of the availability of limited resources. Finally, all colleges should conduct research and develop college admission screening according to their philosophy for student selec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s previously stated, Korean universities are in a crisis, which is sufficient for discussing the existence and abolition with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s leading college innovation is crucial for the survival of individual universities, continuous research and improvement will be required to operate a college admission process that is suitable to the philosophy and environment of the school. In the Korean context, research on college admission is very sharp and is the same as the process of reaching an agreement on distributed interests. As cited in the proposal, college admission screening can be developed to reflect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but no suitable college admission screening exists for all colleges. Nevertheless, agreement is considered to have been reached on the direction that stud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should complete the career-related curriculum and undergo evaluation of their learning through reasonable college entrance exam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llege entrance system in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Furthermore, we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ollege admission process that can liberate students from the entrance examination war by organically linking the high school curriculum with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s propos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