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량 모델을 통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역량 측정 도구개발

        이희수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63

        Competency for training teacher to conduct the role has been emphasized to achieve the purpose and meaning of vocational training, and successful operation. To provide high-quality vocational training service, it needs to develop scale to be able to measure competency level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 methodical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competency model. Although there is existing study on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to utilize it on vocational training field, the study up to scale development is not enough. According to this need, the study attempted to develop scale development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 and find the building blocks which are required for training teachers. The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credible and reliable scale development of training teacher suitable for vocational straining field based on the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Three study questions were followed to achieve the purpose above. First, “How could 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be developed?” Second, “How could training teacher competencies be measured – in what way and by what criteria?” Third, “How could a training teacher competency scale be proven reliable and credible?” To solve these questions above, a scale of training teacher competencies were developed using three steps: definition of measurement concept and construction, selection of competency item pool & verification, and scale verification. In the first step, a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was outlined by construction of draft competency model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verification of draft competency model through a focus group meeting of vocational training field experts, behavioral event interviews of field training teachers. Education experts reviewed the resulting competency model. In the second step, to select and verify competency item pool, a competency item pool was developed by a focus group meeting of vocational training managers and field experts respectively. This was validated by education experts and further verified through a survey of 58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In the third step of scale verification, 620 field training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the verified item pool. Cros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by dividing the sample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mputed for group 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mputed for group B to finalize the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anded the range of subjects from restricted to qualified vocational training teacher on existing study to unqualified training teacher to develop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and scale. This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is developed reflecting hierarchy and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 generally usable in vocational training field. Second, competency model creation is followed by development of a validated competency scale. This training teacher competency scale is able to diagnose and evaluate area and blocks required to measure. This competency scale is consistent to extract and interpret the result of measurement, and also verified reliability by reproducability. Third, the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and scale could be utilized for selection, training, development, evaluation, succession plan to manage and develop human resource, and developing the foundation of workplace learning to manage human resource and enforce competency. Empirical study should continue by training teacher scale 7 competency groups, 18 competencies, 75 item pools finally built by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It is expected for this scale to be utilized for the selection of training teacher, training and development, reward and coaching through evaluation, succession plan throughout the training center after applying the study results to further samples. It is also expected to be utilized for objective evaluation index of training center and training course throughout the nation. 직업훈련의 목적과 의의를 달성하고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 훈련교‧강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고품질의 직업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역량 모델을 기반으로 훈련교‧강사의 역량 수준을 체계적이고, 체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역량 측정 도구 개발은 필요하다. 직업훈련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 역량 모델을 개발한 연구가 있지만 역량 측정 도구 개발까지의 연구는 미진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훈련교·강사의 역량 모델을 개발하고 이들에게 요구되는 훈련교·강사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성된 훈련교·강사 역량 모델을 토대로 직업훈련 현장에 적합하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훈련교·강사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능력개발훈련 훈련교‧강사 역량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훈련교‧강사 역량 측정 도구의 문항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셋째, 훈련교‧강사 역량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측정개념의 정의와 구성화, 측정문항의 선정 및 확인,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인 및 검증이라는 세 단계를 거쳐 훈련교‧강사 역량 모델과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첫째, 역량 모델 개발 과정에서 역량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모델의 초안 구성, 직업훈련 현장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거친 역량 모델 초안 검증, 현장 훈련교‧강사를 대상으로 행동 사건 면접을 거쳐 역량 모델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역량 모델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교육 전문가의 검증을 받았다. 둘째, 측정문항의 선정 및 확인을 위해서 직업훈련 관리자와 직업훈련 현장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각각 진행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추가로 교육전문가들을 통해 예비문항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해 직업훈련에 참여 중인 훈련교‧강사 58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진행하고 타당화하였다. 셋째,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인 및 검증을 위해서 현장에서 활동 중인 훈련교‧강사 62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집단 A와 집단 B로 구분하여 교차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집단 A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B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측정 도구를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훈련교·강사 역량 모델과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자의 범위를 기존 연구에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취득자인 훈련교사에 국한된 것을 훈련교사 자격미취득자인 훈련강사를 포함하였다. 개발된 훈련교·강사 역량 모델은 직업훈련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활용 가능한 상황 속에서 위계 수준과 다차원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역량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역량 모델을 구성하고 개발할 때에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측정 도구도 같이 개발하였다. 개발한 훈련교·강사 역량 측정 도구는 측정이 필요한 영역과 요소의 적절한 진단과 평가가 가능하다. 측정 결과를 도출하고 해석함에 있어서도 일관적이며, 재생 가능성이 높아서 신뢰성이 확보된 역량 측정 도구이다. 셋째, 훈련교·강사 역량 모델과 역량 측정 도구는 인적자원관리와 개발을 위해 선발, 교육훈련과 개발, 평가, 승계 계획에 활용된다. 그리고 일터에서 인재 관리와 인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일터학습에 토대가 된다. 후속 연구 제언을 통해 최종 구성된 훈련교·강사 역량 측정 도구 7개 역량군, 18개 역량, 75개 문항을 활용한 실증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한다. 추후 실증 연구를 통해서 실효성이 입증된다면 훈련기관차원에서 훈련교·강사의 선발, 교육훈련과 개발, 평가를 통한 보상과 코칭, 승계 계획 등에 적극적 활용이 기대된다. 국가차원에서도 훈련기관과 훈련과정의 객관적인 평가지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장거리 수중음향통신을 위한 반복부호화 기반의 가중화된 다중밴드 통신기법 연구

        이희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is an essential technology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in marine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field is expanding.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military AUV capable of long-distance movemen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reliably communicating over a long distance for efficient marine surveillance. In the long distance acoustic communication, as the transmission distance increases, the bandwidth decreases and the throughput efficiency decreases. Multiband transmission technique is an efficient method to improve the transmission distance and performance in long-range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However, sometimes the performance of multiband is lower than that of single bands. This is because in the transceiver model using the conventional multiband transmission technique,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are combined with the same weight and input to the decoder, so that performance degradation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ffects the total band. Accordingly, this thesis propose a weighted multiband transceiver mode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ultiband transceiver model. In the weighted multiband transceiver model, the transmitter uses a convolution code and a turbo code of 1/3 coding rate, and receiver uses a decision feedback equalizer to compensate for multipath distortion after compensating for frequency and phase offsets in each band. And, by applying the turbo equalization technique, the equalizer and the decod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update the information iteratively to improve performance as the number of iteration increases. In addition, the threshold detector adds weights by setting threshold values through preamble BER(Bit Error Rate) of each band. The weighting method according to the threshold value for each band can improve the performance by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band having low performance in the total b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improves as the number of bands increases when the multiband transmission technique is appli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weighted multiband transceiver model analyzed through short and 90 km long-range sea experiments. In the short-range sea experiment, it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improved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bands, and that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by applying the proposed weighted multiband structure to the data with low performance when the number of bands was four. In addition, the 90 km long-range sea experiment applied a weighted multiband transceiver model for data that did not completely correct errors within 5 iterations in the conventional multiband.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is further improved when the weighted multiband is applied.

      • 칵테일 바의 고객만족, 충성도, 재방문, 추천의도와의 관계

        이희수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empirically analysed the cocktail bar customers in Daegu area as subjects, and has verified the way the convenience given to the clientele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in turn, how satisfaction has an effect on customer faithfulness and then, faithfulness on customers'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by collecting empirical materials and analysing statistically.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onvenience given to customers in a cocktail bar has an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and in turn, satisfaction dose on customer faithfulness and faithfulness on customers'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Customer convenience is conceptualized in a variety of ways and so, has been studied in its diverse aspects. When long-term dealings between customers and a cocktail bar has been maintained, the bar provides them with various kinds of convenience. Whether it is provided by bartenders or by business strategies, it is concluded that the convenience makes the clientele feel satisfied. After the data being treated statistically, analysed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chief customers visiting a cocktail bar, men are more than women and that is viewed as the result that men lead more societal activities than women do. The customers are mainly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Considering the fact that people usually begin their social activities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and this period in life is the most energetic time for human performance, marketing aiming at peopl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t is analysed that most clients of a cocktail bar belong to the middle or upper class with monthly income of over 3 million won and are mostly college graduates. In the occupational types of the clientele, small business owners and traders with under 9 employees are the majority. Among the cocktail bar customers, those who enjoy alcoholic drinks are by far the majority and most of them are using it once or twice a week. The main reasons for their deciding to visit a cocktail bar are individual likings for a certain atmosphere, personal services and people with whom they meet. It is investigated that in the matter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a cocktail bar they use currently, atmosphere, menu and accessibility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Overall mood and the presence of preferred menu have the greates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Due to peculiar attributes of a cocktail bar, human services are important. Expert knowledge and ability, technical knowhow, and creativity of bartenders are examined to be main factors. Besides, bartenders' appearance, etiquette and kindness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and bartenders are analysed to have a grea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attaining high refinement in employee service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of bartenders is expected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rate. Factors to note particularly are bartender turnover and prices that do not have much effect on customers' intention to revisit. As the clientele's income level are above that of the middle or high class, prices do not affect customers' cocktail bar choice. Customers usually prefer to recommend the bar to relatives and friends by word of mouth rather than to positively publicize. They also have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cocktail bar management in any form.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칵테일 바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바 고객편익이 주어졌을 때 고객만족에 영향을 주고, 고객만족은 다시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주며, 고객 충성도는 재방문과 추천의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자료를 수집하여 통계적 분석을 거쳐 검정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칵테일 바의 고객에 대한 편익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주고, 다시 고객만족은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주며, 고객 충성도는 재방문과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편익은 여러 가지 측면으로 개념화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러 가지 측면으로 연구되어 왔다. 고객과 칵테일 바의 관계에서 장기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다보면 칵테일 바에서는 고객에게 여러 가지 편익을 제공하게 된다. 그 편익이 바텐더에 의해서이든, 아니면 영업 전략에 의해서이든 간에, 고객에게는 만족을 제공하게 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자료의 통계처리 후,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칵테일 바의 주 이용 고객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았으며 이는 사회활동이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은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용 고객의 연령은 30~40대가 가장 많았으며, 사회활동을 처음 시작하거나 활동 능력이 가장 좋은 시기의 연령대가 30~40대임을 감안한다면 30~40대를 겨냥한 마케팅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칵테일 바를 이용하는 주 고객은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있으며 월 소득 수준이 300만원 이상의 중상류층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객의 직업 형태는 자영업을 하는 9인 이하의 소규모 장사와 개인사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칵테일 바 이용 고객의 경우 술을 즐기는 사람이 월등히 많았으며 주 1~2회 이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칵테일 바의 이용 이유로는 개인적인 선호 분위기와 인적 서비스, 만나는 사람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이용하고 있는 칵테일 바의 만족여부에 대해서는 고객편익 서비스의 청결성, 바텐더의 역할에서의 관계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고객만족에서 관계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칵테일 바의 특성상 인적 서비스가 매우 중요한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고객과 바텐더의 인간적인 유대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바텐더의 예의, 편안함, 고객에 대한 배려하는 마음, 친절성이 고객의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속적인 바텐더의 교육을 통해 인적 서비스에서 고품격화를 갖추는 것이 고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이한 사항은 바텐더의 이직과 가격에 의한 요인은 재방문 의사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는 고객의 소득수준이 중상류층 이상인 관계로 인해 가격으로 인한 칵테일 바 선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적극적인 홍보보다는 가까운 친지나 친구들에게 구전으로 추천을 하겠다는 의사가 많았으며, 어떠한 형태로든 칵테일 바의 운영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사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자아 고갈, 조절 초점, 자기통제 성향이 탐닉 음식 소비에 미치는 영향

        이희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go depletion, regulatory focus, and trait self-control on indulgent food consumption. Indulgent foods such as chocolate cake, which provide instant pleasure, but harm health in the long run, are rampant. In this environment, obesity is increasing worldwide and consumers are frequently exposed to self-control dilemmas. Self-control is necessary to give up instantly pleasant flavors and control the consumption of indulgent foods for long-term health. Currently, research on consumption of indulgent foods is carried out a lot from the perspective of self-control, and a lot of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nsumers and the effects of contextual factors in the area of consuming indulgent food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such as ego depletion and regulatory focus, and trait variable such as trait self-control on consumption of indulgent foods, specifically the selection of indulgent food product, degree of craving for indulgent food, and intention of purchasing indulgent food. People with high trait self-control are better at enduring short-term impulses and pain for long-term goals than people with low trait self-control. Therefore, this study predicted that people with low trait self-control would be more vulnerable to indulgent food than people with high trait self-control. Cognitive resources are limited and they are used to exercise self-control. Thus, self-control can be temporarily impaired in a state of ego depletion where cognitive resources are exhausted. Therefore, this study predicted that it would be more difficult to control the consumption of indulgent foods in the state of ego-depletion than in the absence of ego-depletion. Promotion focused consumers who don’t spend a lot of energy quickly recover self-control energy from ego-depletion, while prevention focused consumers who maintain vigilance and spend large amounts of energy experience more of the effects of ego-depletion. Therefore, this study predicted the interaction effect of ego depletion and regulatory focus on indulgent food consump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ego depletion: existence/absence) X 2(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prevention focus) X 2(trait self-control: high/low) design. Ego depletion and regulatory focus were experimentally manipulated. The high trait self-control group and the low trait self-control group were divided based on the trait self-control’s median. And three-way MANOVA was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indulgent food was more chosen under conditions of ego depletion than those that did not suffer ego depletion. However, the effects of ego depletion on the degree of indulgent food craving and the intention of purchasing indulgent food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group with low trait self-control more chose indulgent food than high trait self-control group, and their level of indulgent food craving was higher than high trait self-control group, and their willingness to buy indulgent food was higher than high trait self-control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scussio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the main effects of trait self-control were all significant. So, it has been confirmed that trait self-control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onsumption of indulgent food. Also, through the online experiment, ego depletion was easily and successfully manipulated and the main effect of ego depletion on indulgent food product choice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can provide the academic implication and managerial implication. 본 연구에서는 자아 고갈, 조절 초점, 자기통제 성향이 탐닉 음식 제품 선택, 갈망 정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즉각적인 즐거운 맛을 제공하는 탐닉 음식 소비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자기 통제가 필요하다(Baumeister, Heatherton, & Tice, 1994; Myrseth, Fishbach, & Trope, 2009). 자기통제 성향이란 일관된 자기 통제 발휘 수준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차가 존재한다(Ent, Baumeister, & Tice, 2015). 자기통제 성향이 낮은 사람들보다 높은 사람들은 장기 목표를 위해 단기적 충동 및 고통을 참아내는데 더 능숙하다(Schmeichel, & Zell,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통제 성향이 높은 사람보다 낮은 사람이 더 탐닉 음식에 취약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성향적 요소뿐만 아니라 상황적 요소인 자아 고갈도 탐닉 음식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충동적인 생각과 감정 또는 행동을 제어하는 활동에 필요한 인지적 자원(김민지, & 김범준, 2018)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 자원은 한 번 사용된 후 일시적으로 소진 된다(Baumeister, & Vohs, 2007; Baumeister, Vohs & Tice, 2007). 자기통제 발휘 시 인지적 자원이 사용되기 때문에(Baumeister et al., 2008) 인지 자원이 소진된 자아 고갈 상태에서는 일시적으로 자기 통제 능력이 저하된다(김민지, & 김범준, 20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 고갈을 겪지 않은 상태보다 겪은 상태에서 탐닉 음식 소비 통제에 더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러한 자아 고갈 변수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예상할 수 있는 변수로 조절 초점이 있다. 조절 초점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목표 달성 방식에서 일관된 동기 방향을 가지며 향상 초점 또는 예방 초점을 지닌다(Crowe, & Higgins, 1997; Higgins, 1997; Higgins et al., 2001). 향상 초점에서는 긍정적 결과의 존재 유무에 초점을 두고 이득에 대한 민감성과 열망을 보이며(Idson, Liberman, & Higgins, 2000) 원하는 목표를 얻기 위해 접근 전략을 사용하는 반면(Higgins, 2000) 예방 초점에서는 부정적 결과의 존재 유무에 초점을 두고 손실에 대한 경계를 보이며(Idson, Liberman, & Higgins, 2000) 원치 않는 결과를 피하고자 회피 전략을 사용한다(Higgins, 2000). 부정적 결과 회피를 위해 경계 상태를 유지하며 큰 에너지를 지출하는 예방 초점 소비자와 달리 이러한 에너지 지출이 없는 향상 초점 소비자는 자아 고갈 상태에서 자기 통제 에너지를 빠르게 회복하기 때문에 예방 초점 소비자보다 자아 고갈의 효과를 덜 경험한다(Costa, Farias, & Angelo, 20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닉 음식 소비에 있어서의 자아 고갈과 조절 초점의 상호작용 효과를 예상하였다. 본 연구는 2(자아 고갈 유/무) X 2(조절 초점-향상 초점/예방 초점)X 2(자기통제 성향 고/저) 실험 설계로 진행되었으며, 자아 고갈과 조절 초점은 실험적으로 조작되었다. 연구 결과, 자기통제 성향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 탐닉 음식을 더 선택하였으며, 탐닉 음식 갈망 정도가 더 높았고, 탐닉 음식 구매 의도가 더 높았다. 또한, 자아 고갈을 겪지 않은 조건보다 겪은 조건에서 탐닉 음식을 더 선택하였다. 그러나 탐닉 음식 갈망 정도, 탐닉 음식 구매 의도에 대한 자아 고갈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탐닉 음식 소비에 대한 자아 고갈과 조절 초점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모든 종속 변수에 대해 삼원상호작용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자기통제 성향의 중위 수는 4.8077로 7점 척도를 기준으로 약간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자기통제 성향은 탐닉 음식 소비에 대한 본 연구의 모든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탐닉 음식 소비에 미치는 자기통제 성향의 큰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자기 통제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탐닉 음식 소비 연구에 학문적 의의를 제공할 것이며 실무적 의의 또한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통해 자아 고갈 조작의 용이성과 탐닉 음식 선택에 대한 자아 고갈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탐닉 음식 소비 영역에서의 맥락적 요인의 영향에 대한 연구에 학문적 의의를 제공할 것이며 탐닉 음식 판매 기업에게 마케팅 방안으로 자아 고갈을 고려해야 한다는 실무적 의의 또한 제공할 것이다.

      • 문제중심학습(PBL)에 기초한 음악과 교수·학습 설계 및 지도방안 연구

        이희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음악수업에서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교수·학습 방법인 PBL의 본질적인 특성과 절차를 이해하고 음악교과에서 실생활과 밀접하고 문제해결력을 요하는 문제를 어떻게 설계해 나가는지를 실제 음악수업의 예를 들어 제시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교수·학습 과정 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PBL의 이론적인 근거가 되는 구성주의의 개념과 교수·학습 원리, 모형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음악과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PBL의 특징과 절차 및 평가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PBL을 활용한 음악과 수업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PBL의 관점을 찾아 음악과에서 PBL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 하였다. 이를 통해 문제해결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협동능력의 향상과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음악교육 목적의 방향 전환과 PBL이 음악과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3장은 PBL에 기초한 ‘캠페인 송 만들기’ 수업의 설계와 지도방안 모색단계로 2장에서 탐색한 문제설계 절차를 수정·보완하여 음악교과에 적용 가능한 절차를 마련 후 문제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PBL의 지도방안을 제시하여 현장 교사들이 문제개발의 과정과 수업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고 실제 활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 현장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창작’활동을 중심으로 다른 영역, 다른 교과와 연계한 PBL 지도방안을 제시하였고 수업의 설계자와 진행자라는 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내용을 음악수업에 적용을 통해 비교적 자세하게 제시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음악수업에 PBL을 적용하여 봄으로써 다양하고 새로운 음악 교육방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실천적인 모형인 PBL에 기초하여 문제를 설계하고 교수·학습 과정을 실행해 옮기기에는 각종 자료의 부족과 교사의 업무 과다 등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나 이는 우리가 도전해 보아야 할 음악교육의 새로운 방향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앞으로 교수·학습 설계, 교수·학습 과정으로서의 평가에 관한 연구, 교사역할의 유연성에 대한 연구가 더 보충된다면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환경을 만들 수 있으며 학습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도 더욱 효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1인 미디어 이용자들의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인식에 관한 연구

        이희수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 록 ( Abstract ) 뉴 미디어의 발달과 웹2.0으로의 환경 변화로 탄생된 현대사회의 디지털 콘텐츠는 이용자인 대중들에게 매우 친숙한 존재이면서, 하나의 사회적 문화로 자리 잡았다. 무선 인터넷의 대중화와 디지털 기기의 발전이 디지털 콘텐츠 발전에 가장 큰 역할을 했으며, 이로 인하여 나타난 1인 미디어의 플랫폼은 일방향적인 구조의 미디어 환경을 쌍방향적인 능동적 구조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곧 지금의 뉴 미디어에서는 누구나 송신자 겸 수용자인 프로슈머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참여, 공유, 개방’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웹2.0 공간에서의 프로슈머의 역할은 타인의 저작물을 무분별하게 무단으로 이용하는 잘못된 행위를 빈번히 발생시키고 있다. 환경 변화에 따른 저작물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부족 현상은 인터넷 환경 특징에 의해 나타나게 되었으며, 발전된 디지털 콘텐츠와 상반되는 경우를 보인다. 디지털 콘텐츠의 발전은 환경의 개방성이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반대로 이용자들의 디지털 콘텐츠 저작물에 대한 인식 부족과 더불어 저작권 보호 장치의 미비라는 또 다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1인 미디어(블로그 및 SNS)의 이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용자들은 누구나 프로슈머가 될 수 있으며, 잘못된 정보제공자의 역할 수행을 통해 1인 미디어에서의 저작물 무단 이용행태는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는 인터넷 공간에서의 저작물에 관한 저작권 보호 및 저작권법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타인의 저작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으로 인해 나타난 저작권 침해사례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인터넷 공간에서의 이용자들이 타인의 저작물을 쉽게 다운로드하거나, 재생산 및 공유하는 행위를 쉽게 생각하고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의 발전과 1인 미디어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서는 저작물 창작자와 이용자 간의 상생관계가 중요하며, 사회적으로 합의된 인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개인이 운영하는 1인 미디어이기 때문에 창작자의 허락 없이 사용해도 무방하다는 이용자들의 인식에 변화가 있어야 하며, 인터넷 공간에서 저작물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인식을 제대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1인 미디어 이용자들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인식 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의 디지털 콘텐츠 불법 다운로드 이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디지털 콘텐츠 1인 미디어인 블로그 및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76명의 응답 결과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끝에 얻은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콘텐츠 이용자들은 이 연구의 주요 변인인 저작권 인식, 저작권 공유 인식, 계획행동이론은 저작권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저작권 인식의 차이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 다운로드 이용 의도는 태도, 지각된 행동 통제, 주관적 이용 규범, 저작권 공유 인식의 규범 차원, 저작권 인식 성별, 저작권 인식 공유의 시장 차원 순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법 다운로드로 이용태도와 지각된 행동 규제, 주관적 이용 규범, 저작권 인식 공유의 규범 차원이 높을수록 불법 다운로드 이용 의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0대에 비해 20대 및 30대 연령층이 인터넷을 더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으며, 저작권 인식 또한 10대 보다 20대 및 30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웹2.0의 급진적인 발전과 온라인 공간에서의 커뮤니티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한 오늘날, 현대 사회의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자들의 저작권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이용자들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인식에 관한 문제를 구체화된 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온라인 공간의 환경 변화와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에 대한 저작권법 재정립과 사회적인 합의를 도출하여 이용자들의 올바른 온라인 저작권 인식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hanging environment of New media development and Web2,0 occurred modern society digital contents are very familiar with the public and becoming as one of social culture. The publicity of wireless internet and development of digital devices are affected advancing digital contents, therefore Memedia had been changed its platform from one-way structure to interactive structure. This meaning that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anyone can be transmitter and addressee at the same time which called prosumer. But in Web 2.0,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share, openness', the prosumers are willing to use others copyrights work thoughtlessly. In accordance with changing awareness of copyrights use, shows directly-opposed circumstanc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environment and advanced digital contents. Advanced digital contents perform a big role in openness of environment but on the contrary, it occurs lack of awareness of others digital contents use and the regulation or protection of copyright is incomplete. The numbers of memedia(BLOG, SNS, etc..) users are rapidly increasing. All users can be a prosumer and providing wrong information without awareness of others copyrights. It is reached up to very serious level. It shows that the most of internet users are not aware of copyrights and its law. The number of violating others copyrights are rapidly growing annually. Because it's very easy to download, reproduce and share illegally without any awareness. Between the content creator and its user, there must be solution which do not harm both. The Memedia mostly operated by individual unit and each one of them do not take it as serious problem of using others copyrights. We need to change awareness of copyrights from the users and there must be solution to change there knowledge to reorganize. This study researched on how people(Memedia users) manage others copyrights and the affected source of illegal download. This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from BLOG users and SNS users which are all memedian. The answers from 276 subjects are analysed by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 are same as below. From the result, the factor of awareness of copyrights are affected by sharing of copyrights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lso, demographic factor shows that difference in awareness of copyrights were significantly exist depend on age or sex. The use of illegal download is related in order of attitude, perceived behavior control, subjective standard, normative dimension of awareness, sex and the market. In other words, if subject is on the high level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subjective standard, normative dimension of awareness, they have higher intension use of illegal download. To conclude, 20 and 30s are more often use internet than teenagers. Also, the awareness of copyrights are much higher. Since radically advanced Web 2.0 and on-line community had become as one big culture, all digital contents users in modern society must recognize importance of awareness about copyrights. This study showed relation of awareness about copyrights from the digital content users with specified factors and provide the need of reorganizing the law of copyrights and changing of awareness from the internet users which is appropriate with internet environment.

      • 패류 전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및 질소, 인 흐름 분석을 통한 환경효율적인 단백질원의 규명

        이희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FAO(유엔 식량농업기구)에서는 2050년 전 세계인구가 92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식량요구량이 증가하게 된다. 식량 생산과정에서 토지와 비료 사용량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과도한 질소와 인이 유입되고 물질과 에너지의 요구량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지구온난화, 부영양화, 자원고갈문제 등의 여러 환경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앞으로 환경 영향이 적으며 안정적으로 단백질을 공급받기 위해 환경적으로 효율이 좋은 단백질원을 규명해야 한다. 2015년 FAO에서 발간한 세계수산물 소비 전망에 따르면 수산물은 동물성 단백질 소비의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58.4kg으로 세계에서 1위로 우리나라의 수산물 소비는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패류는 세계 양식 생산량 중 23.6%를 차지하여 담수어 양식 생산량(56.4%)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는 수산물이다. 패류 양식은 천연 먹이생물과 해수 중 영양염류를 주 먹이로 하여 사료 사용량이 적어 그에 다른 환경영향도 적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또한 패류는 가식부를 제외한 부분은 패각으로 이루어져있으며 패각은 90% 이상 탄산칼슘으로 구성되어 탄소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패각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고정효과도 예상된다. 본 연구는 패류의 종 별 비교를 통해 환경영향이 적고 효율이 좋은 단백질원을 규명하고자 한다. LCA(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평가)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후 ROCE(Return On Carbon Emission)를 통해 효율을 비교하였으며 질소, 인 흐름 분석 결과로 NUE(Nitrogen Use Efficiency, 질소 이용 효율), PUE(Phosphorus Use Efficiency, 인 이용 효율)을 평가 하였다. 또한, 기존의 단백질원(육류, 어류)과패류단백질을 비교하여 단백질원으로서 패류의 잠재력을 평가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결과 지중해담치가 가장 적은 배출량을 보였다. 이는 지중해담치의 양식은 인공종묘를 생산하지 않아 실내에서 인공종묘를 생산할 때 육상에서 관리하는 시설 사용에 의한 에너지의 영향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력이 우수하여 양식 시설물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적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패류는 전복으로 환경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실내 종묘생산기간을 최소화 하고 해조류 양식 시 사용되는 로프, 부표의 친환경 소재 개발이 요구된다. 질소, 인 흐름 분석 결과를 토대로 NUE와 PUE를 비교하였을 때 참굴, 바지락, 지중해담치는 이용효율이 90% 이상으로 기존의 육류, 어류보다 훨씬 높은 효율이 나타났으며 전복은 질소이용효율 측면에서는 효율이 좋은 편에 속하나 인이용효율 측면에서는 좋지 않게 나타난다. 종합적으로 지중해담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적고 질소, 인 이용효율이 97%이상으로 우수한 효율을 보여준다. 패류는 환경효율적인 식량자원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단백질원으로 판단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환경영향을 줄인 식량생산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양식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교육대학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의 체육교육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이희수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가 교육실습에서 어떤 다양한 경험을 하는지, 또한 실질적으로 개성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알기 위한 현장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교육실습 경험을 한 연구 참여자의 입장에서 교육실습경험을 살펴봄으로서 무용전공자의 교사교육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Clandinin &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e) 방법의 절차를 따랐다.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6명의 무용전공자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후 교육실습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녹취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인터뷰, 전화통화, 전자우편, 전자 메세지 등이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대화녹취 내용과 전화와 전자 메시지를 통해 현장 텍스트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계속해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내용, 줄거리(threads), 주제(theme)등을 찾아내었다. 그것들을 연구 텍스트(research text)로 재구성(염지숙, 2003; Clandinin & Connelly, 2000)하는 과정을 거쳐 자료를 분석해 나갔다. 2017년 4월과 5월에 교육실습을 나간 무용전공자 6명에 대한 내러티브를 통하여 교육실습과정 경험을 이해하고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통해 파악한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의 미래직업군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안정성을 보장 받을 수 있는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게 된다. 둘째, 교육실습에서 무용전공자들은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 경험 등 다양한 경험을 하는데 실기능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셋째, 교육대학원에서의 교육과정이 교육실습에 도움을 주지 못했으며 대학원 커리큘럼의 개선을 통해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체육교사를 준비하는 무용전공자들은 실기능력의 극복, 교과지식의 습득 등 더 많은 노력이 촉구될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에서 교육받은 교과 내용은 학교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였고 이러한 교육대학원에서의 교육과 현실경험의 괴리로 인해 교육의 교육실습에 혼란과 어려움을 가져다주었다. 따라서 교육대학원에서 교직교육과 전공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천 중심의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 실습기간 동안 무용전공생들은 자신의 전공인 무용교육이 아닌 체육교육을 함으로서 체육 교사의 역할을 하고 있기에 교육대학원에서 이론 교육뿐만 아니라 체육 실기교육을 병행함으로서 무용전공생의 실기능력 향상시키고 체육교사로서의 전문성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실습을 통해 실제 학교를 경험하였고 그 안에 수업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며 담당 교사를 통해 수업운영 및 지도능력과 교과지식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