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엽으로 부터 분리한 수용성 추출물의 염증 억제 효과에 關한 硏究

        이혜성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애엽(Artemisia vulgaris)은 예로부터 민간에서 다양한 여성병의 치료와 예방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애엽으로부터 고온, 고압으로 얻은 조추출물을 Sephadex G-50을 이용하여 AVF3 분획을 분리하였고. 이 분획의 염증 억제 효과를 대하여 조사하였다. 염증억제 효과와 관련하여 NO(nitric oxide)는 염증 상태에서 그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AVF3 분획을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LPS에 의해 유도된 NO (nitric oxide)의 생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NO의 방출 억제에 미치는 활성 분획을 좀 더 분리하고자 recycling HPLC를 이용하여 여러 분획으로 분리하였고 그 중 AVFf2가 가장 높은 NO 방출 억제 효과를 가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염증 억제 효과에 따른 AVF3f2와 유전자 발현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RAW 264.7 세포에 AVF3f2를 처리한 뒤 iNOS와 TNFα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AVF3f2이 RAW 264.7 세포에서 iNOS와 TNFα 발현을 억제해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orean mugwort herb (Aiyup, Artemisia Folium) is a preparation of dried leaves from the Artemisia species, especially from Artemisia vulgaris, Artemisia argyi, Artemisia asiatica or Artemisia princeps. I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to prevent or treat various kinds of woman's diseases. A similar preparation called Chinese Moxa has been used to treat rheumatism by moxibustion in Chinese medicine. A water-soluble AVF3 fraction was purified from crude aqueous extract of Korean mugwort herb and the effects of the AVF3 and its fractions on the LPS-induced NO release from RAW 264.7 cells in culture has been studied. Treatment of RAW 264.7 cells with the AVF3 fraction resulted in the suppression of NO release in culture, indicat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fraction. The AVF3 fraction was further fractionated using recycling HPLC to separate active fraction, which produced the AVF3f2 fraction with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Study of the mechanism of the AVF3f2 anti-inflammatory activity showed that the iNOS and TNFα gene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the treatment, suggesting that the AVF3f2 inhibited LPS-induced inflammatory process through the suppression of iNOS gene expression and NO production and also modulation of TNFα expression.

      • Effect of poly gamma glutamic acid on the concentrations of brain and serum GABA and glutamate in diet-induced obese rats : poly gamma glutamic acid가 비만유도 흰쥐의 뇌와 혈액에서 GABA와 glutamate함량에 미치는 영향

        이혜성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gamma-glutamic acid (γ-PGA) is a mucilaginous and biodegradable compound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from fermented soybeans, and is found in the traditional Korean soy product, chungkookja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γ-PGA from a food source on the concentration of the neurotransmitter, γ-aminobutyric acid (GABA) and its metabolic precursor, glutamate in diet-induced obese rats. Eight-week old Sprague-Dawley male rats (n=60) were used. The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obesity was induced by providing either a 10% control fat or 45% high fat diet for 5 weeks. The rats were then blocked into 6 groups and supplemented with a 0.1% γ-PGA diet for 4 weeks. After sacrifice, brain and serum glutamate and GABA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ometric detection. The rats fed the high fat diet had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s. γ-PGA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concentrations of glutamate and GABA in the control fat diet groups while this effect was not found in the high fat groups. In the brain, glutamat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γ-PGA supplemented groups both in rats fed the normal and high fat diets than no γ-PGA controls. GABA concentrations showed the same tenden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γ-PGA intake increased GABA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brain. However, the effects were not shown in obese rats. Poly-gamma-glutamic acid (γ-PGA) 는 Bacillus subtilis에 의해 발효된 대두에서 생성되는 점질의 생분해성 화합물이며, 한국의 전통적인 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에서 많이 발견된다. 본 연구는 식품에서 유래된 γ-PGA가 비만유도 흰쥐의 뇌와 혈액에서 신경전달물질인 γ-aminobutyric acid (GABA)와 GABA의 전구체인 glutamate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행되었다. 8주령의 수컷 SD 흰쥐 60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10% 지방식이와 45%지방식이를 공급하여 5주간 비만을 유도하였다. 다시 실험동물을 6그룹으로 나누고, 0.1% γ-PGA 첨가식이를 4주간 공급하였다.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뇌와 혈액을 채취하여 HPLC 형광검출기로 GABA와 glutamate 함량을 분석하였다.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쥐의 체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10% 지방식이군에 γ-PGA 보충시 혈중 GABA와 glutamate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지방식이군에서는 유의적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뇌의 glutamate의 함량은 γ-PGA 보충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GABA의 함량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지으면, γ-PGA의 보충공급이 정상식이 군의 뇌와 혈액에서 GABA와 glutamate의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비만유도군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소통능력신장을 위한 공간중심 미술프로젝트 사례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이혜성 광주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ldren living in the 21st century have experienced confusion and conflict arising from insufficient human relationship amid overheated competition, egoism, and mammonism, which have fueled social issues such as increase in suicide ratio of juveniles, school violence, and de-schooling, etc. There might be many causes for the above-said issues, but it is deemed that the 'communication' breakdown i.e., close relationship or harmony cannot be built between person and person or person and society is the most substantial cause. Therefore, educational measures that can beef up children's communication with their internal feeling(internal self) and warm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family, and increase their interests in society are deemed required. Hence, this research places its object on designing and applying creativeㆍcomprehensiveㆍsubjective art project centering on 'space', which is most detailed and substantial for children, and finding out its relationship with improvement in the children'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effectiveness. For this object, I figured out general concep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ts value in terms of art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and found out correlation between the project-based learn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lso, I designed the art project activity centering on house, school, and town through survey, analysis on art education curriculum, and case study on culture & art education, and applied this activity to the class composed of the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Finally, by means of teacher'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nalysis on written opinions, query sheet, and artwork, etc., I analyzed and organize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shown below. Firstly, children began to objectively observe their house, school,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ame to mull over what they want, their identity, and internal self through mind mapping and expression, and consequently this became an opportunity for children to open internal communication with internal self. Secondly, in this project-based learning where children had to choose and take initiatives in experience and expression activities, could enhance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express their thoughts freely, children could enhance soci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irdly, in the process of the project which made children observe ordinary and friendly 'space' in a new point of view, which was linked to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children could cultivate artistic communicative competence including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oward visual environment, aesthetic perspective, and creative expression, etc. Also, by combining the 'place'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children's real life and the project learning which began from children's interest and concerns could motivate children to do aesthetic expression, and got childre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earning, and express themselves creatively. Fourthly, while conducting the wrap-up activities of the project in which children directly installed, exhibited, made PR activities, and evaluated artwork, children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become both producer and planner of artwork, and consequently they could extend expression area. With feeling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children could try social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As the above, the space-centered art project activities could enhance not only internal/social/artistic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also aesthetic perspective, observation ability, and creativity of children who are living in the era of absence of communication. In the future, art project activities focusing on sustainable and realizable subject, through which 'art education for life' that can give a value and meaning to ordinary lives of children can be conducted, should be tried. 21세기를 살아가는 아동들은 과도한 경쟁과 이기주의, 물질만능의 풍조 속에서 진솔한 인간관계 부재로 인한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곧 청소년 자살율 상승, 학교폭력, 탈학교 등의 사회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다양한 요소들이 얽혀져 있겠으나 근본적으로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가 서로 친밀한 관계성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소통’의 단절이 문제라고 생각된다. 이제는 아동들에게 자기 내면의 감정(자아)과의 소통, 친구ㆍ가족과의 따뜻한 관계맺음, 나아가 사회에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관심과 소통의 과정을 열어 줄 수 있는 교육적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들에게 가장 구체적이면서도 본질적인 ‘공간’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ㆍ통합적ㆍ주체적인 미술프로젝트 학습을 구안ㆍ적용한 후, 아동의 소통능력 신장과의 관계 및 그 효과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소통능력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미술교육에서의 가치, 프로젝트 학습의 특징 및 방법을 알아보고 미술 프로젝트학습과 소통능력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설문지 조사,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 문화예술교육사례조사를 통하여 집, 학교, 마을 공간을 중심으로 한 미술프로젝트 활동을 설계,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관찰 기록, 소감문, 질문지, 작품 분석의 방법으로 프로젝트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분석ㆍ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들은 집, 학교, 주위 환경 등의 객관적인 관찰을 시작으로 마인드맵핑ㆍ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것, 정체성, 자아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가지게 됨으로써 자신과의 내면적 소통을 여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아동들이 체험 및 표현 활동을 선택하고 주도적으로 계획해야 하는 과정, 친구들과의 긴밀한 협력관계,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분위기 등의 미술프로젝트 학습은 아동들간의 사회적인 소통력을 향상시켰다. 셋째, 아동들이 익숙하게 지나치던 일상의 ‘공간’을 새로운 시각으로 관찰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창조적 표현 활동으로 이어 가는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 시각적 환경에 대한 종합적 이해, 미적안목, 창조적 표현 등의 예술적 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의 실생활과 가까운 공간이라는 소재 접근과 아동의 흥미와 관심에서 출발하는 프로젝트 학습법의 결합은 아동들에게 미적 표현을 위한 내적동기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 적극적인 참여와 아동들의 일상을 담은 창의적인 표현으로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넷째, 아동들이 직접 작품을 설치, 전시, 홍보, 평가하는 프로젝트의 마무리 활동은 아동이 작품의 생산자임과 동시에 기획자로서의 역할로 자리매김하여 새롭게 표현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성취감과 만족감을 가지고 관객과의 사회적 소통을 시도할 수 있기도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공간중심 미술프로젝트 활동은 소통부재의 시대에 살고 있는 아동들에게 내면적ㆍ사회적ㆍ예술적 소통력 뿐만 아니라 미적 안목, 관찰력, 창의성까지 신장시킬 수 있었다. 앞으로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지속적인 실현이 가능한 주제 중심의 미술프로젝트활동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아동들의 일상적 삶에 아름다운 가치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삶을 위한 미술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외래처방에서의 효능군중복주의 정보제공에 따른 호흡기관용약의 처방양상 및 중복처방 약제비용의 변화

        이혜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DUR 정보 중 하나인 효능군중복주의 정보란 약리기전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능군 내에서 중복 투여될 경우, 추가적인 약효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고 의약품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한 유효성분 정보를 말하며, 부작용 발생 위험 증가 및 추가적인 치료 효과 부재로 인한 의료자원의 낭비 및 비용 상승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정보 중 호흡기관용약에 초점을 맞추어 DUR 정보제공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한다. 본 연구는 4년(2012년~2015년)간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체환자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의료기관을 외래로 방문하여 1회 이상 효능군중복주의 호흡기관용약으로 공고된 의약품을 처방 받은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대상 의약품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약제급여목록표를 참고하여, 전체 74개의 유효성분 중 65개의 유효성분에 대한 의약품들을 선정하였다. 중복처방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DUR 점검시스템에서 실제로 DUR 알림창을 제공하는 조건과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성별, 연령 등에 따른 각 계열별 전체 처방 및 중복처방에 대한 빈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정보제공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가지표를 설정한 후, 이를 활용하여 시계열적 변화양상과 상대증감율 등 산출 및 대응집단 평균차이검정을 수행하였다. 호흡기관용약 계열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중복처방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는 근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대 이하와 71세 이상 환자들에서 주로 중복처방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대체적으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중복처방비율이 높았으며, 다빈도 진료과목으로는 가정의학과, 안과, 이비인후과, 내과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중복처방에 대한 DUR 정보제공 효과를 살펴본 결과, 처방전 내의 경우에는 5개 계열에서 중복처방 양상이 감소하였으나 이 중 베타수용체 효능제만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반면, 처방전 간의 경우에는 6개 계열에서 중복처방 양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복처방으로 인한 약제비용의 규모에 대한 DUR 정보제공 효과를 살펴본 결과, 처방전 내의 경우에는 5개 계열에서 중복처방 약제비용 규모가 증가하였으며 이 중 3개의 계열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반면, 처방전 간의 경우에는 5개 계열에서 중복처방 약제비용 규모가 증가하였으며, 이 중 4개의 계열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표본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효능군중복주의 정보제공의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살펴본 결과, 중복처방 양상이나 중복처방으로 인한 약제비용의 규모 모두 통계적으로 감소한 계열보다 증가한 계열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방전 내보다 처방전 간에서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흡한 영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복처방비율과 관련된 특정 연령대, 의료기관, 진료과목 그리고 다빈도 중복처방 성분 등에 대하여 처방 모니터링을 강화하거나 DUR 점검시스템 상에서 알림창을 제공하는 조건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동적가족화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

        이혜성 우석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아동의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 성격구조, 내적인자와 가정에서 부모와의 관계가 영향을 주는 가족구성원간의 역동, 원적학급에서의 교우관계, 아동 주변의 문화적 배경 등의 외적인자 사이의 관계를 일반학급 아동들과 비교하여 파악하고자 하며 또한 동적가족화에 의해 부모들이 갖고 있는 행동, 성격, 가족구성원과의 잘못된 가족구조와 가족역동성에 중점을 두어 아동의 심리특성을 말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법의 하나인 동적가족화를 특수학급아동에게 적용하여 아동의 가족지각을 파악하여 가족역동성에 대한 이해와 진단, 치료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양식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인물행위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본다. 셋째, 역동성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본다. 넷째, 인물상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본다. 다섯째, 상징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본다.

      • 유기성 폐기물의 악취제어를 위한 bio-filter 특성

        이혜성 호서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음식물 쓰레기는 2005년 이후 직 매립이 금지되면서 발생량 최소화와 더불어 유기성 자원으로 재활용에 더욱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목적으로 퇴비화에 의한 처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가스의 제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종종 인접지역의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악취가스 중 많은 양이 다량 배출 되어 기준치에 훨씬 넘어서는 암모니아와 트리메 틸아민을 선정하여 미생물을 부착시켜 그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처리 효율이 뛰어난 생물학적 방법인 Bio-filter법을 이용하여 제어 하고자 하였으며 Bio-filter에 사용되는 최적 담체를 선정하기 위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인 악취가스 흡착능력과 생물학적 특성인 담체의 미생물 고정화 능력을 파악하였다. 또한 담체를 선정한 후 5가지 균주를 선별하여 각각 담체에 부착시켜 악취가스 제어능력을 확인한 후 최종 2가지 균주를 선정하여 악취가스 처리효율을 확인하였다. 악취가스의 흡착능력 실험 결과 암모니아 가스는 Bark의 흡착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Wood chip, Vermiculite, Compost I, II 순이었다. 트리메틸아민 가스의 경우는 Bark와 Wood chip이 우수했다. 미생물 고정화 능력 실험 결과 에서는 Compost II 의 고정화 능력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2 가지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Bark, Wood chip, Compost II를 최종 담체로 선정하였고, 3가지 선정된 담체는 공극률과 pH를 고려하여 공극률 50%, pH 7 이 되도록 1:1:0.6 으로 혼합하였다. 최적 조건의 담체를 선정한 후 단일 미생물 5가지의 균주를 통해 실험실 규모의 Bio-filter적용 실험 결과 #4, #5 균주의 처리 효율이 우수하였으며 적절히 혼합 하여 사용함이 옳다고 판단되어 혼합 균주로 사용하였다. 선정된 담체에 혼합 균주를 접종 시킨 후 체류시간 별 처리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각각 20초, 45초, 60초로 하여 실험한 결과 암모니아 가스의 경우 미생물에 의한 처리 효율이 체류시간 20초 하였을 때 57.14%인 반면 45초와 60초를 적용했을 때 최대 92.86%로 향상 시킬 수 있었다. 트리메틸아민 가스는 체류시간 20초일 경우 71.43%이며 45초와 50초를 적용했을 때 90.71%로 처리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악취가스의 처리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4, #5 균주는 DNA sequencing 결과 #4sms Delftia sp. #5는 Serratia sp.로 판명되었다. Bio-filtration utilizes microorganisms fixed to a porous medium to metabolize pollutants present in an air stream. The microorganisms grow in a bio-film on the surface of a medium or are suspended in the water phase surrounding the medium particles. Therefore, bio-filter support medium play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 roles in bio-filtration. In this study, to characterize and select the suitable support media, gas adsorption capacity, microorganism immobilization and odor removal efficiency in lab-scale apparatus. Microorganism immobilization was determined by the count of nitrogen oxidizing microbes population. For this purpose, 5 types of nitrogen oxidizing bacteria were separated from 50 samples which were collected from commercially produced compost, biological sludge and bio-filter material. As odor materials, ammonia and trimethylamine were utilized. They were the major odor causing materials generated from the process of organic waste composting, As potential support media, two types of compost(I, II), bark, wood chip, orchid stone, vermiculite were chosen. From the result of experiments, the bark was superior to any other support media tested in adsorption of ammonia, as much as 12.5 mg ammonia per !g weight of bark. In trimethyla_mine adsorption, bark and wood chip both showed a remarkable results as much as 21.1, 14.1mg/g respectively. In the meanwhile, the compost II showed the best result in microorganism immobilization test and wood chips and bark were also preferable showing 4 .1 X 1010 and 2.O X 1011 cfu/ml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btained above, the bark, wood chip, and compost II, which were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support media were mixed to the ratio of 1 1 : 0.6 to obtain pH of 7 and packing porosity of 50%. The mixture was then seeded individually by the 5 types of bacteria to select effective bacteria. Two types of bacteria were turned to be effective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identified to be Delftia sp. and Serratia sp. by DNA sequencing. The mixture of the two bacteria group were seeded again to the mixed medium and odor removal efficiency was investigated by varing the gas retention time of 20, 45, 60 sec. In both ammonia and trimethylamine, gas retention time affected the removal efficiency. The longer the gas retention time, produced the better removal efficiency showing 92.9% removal for ammonia and 90.7% removal for trimethylamine. However, retention time of 45 and 60 sec did not affect much to the removal efficiency.

      • 마른 풀을 통해 본 유한한 삶에 관한 회화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혜성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인은 ‘그리기’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실 속 대상을 변하지 않는 회화적 이미지로 담아내고자 한다. 찰나이면서 영원인 순간들을 화면에 담으면 그림들은 서로 이어지며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데, 여기에 본인의 시각적 경험들과 신체적 몸짓이 개입되면서 주관적인 이미지로 변모된다. 예를 들어, 집 정원에 심어놓은 식물들이 계절변화에 따라 변해가는 모습, 전시회 때 받은 꽃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들어가는 모습, 꽃의 싱싱한 상태를 오래 지속시키기 위해 인위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진 화환 등의 모습을 보면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식물들의 상태를 그려낸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현실 속 대상인 풀은 마르고 꽃은 시들지만, 그 대상을 그림으로 그림으로써 유한한 삶에 관해 그려본다. 이러한 시각적 경험들을 바탕으로 작업한 <Eternallife> 시리즈는 정물 또는 사물에 가까운 마른 식물들이 한데 모아지고 쌓여서 정원 또는 풍경 이미지를 이루는데, 정확하게는 정물화도 아니고 풍경화도 아닌 그 중간에 위치한다. 개별적인 성격이 강한 정물들이 무수히 쌓인 형상은 결국에는 화면을 가득 채운 풍경으로 전환되고, 그에 따라 구상과 추상의 경계에 대한 연구로 이어진다. 또 다른 연구로는 묘사와 표현의 사이에 대한 것으로서, ‘그리기’에 대한 집착과 관련된다. 본인이 그리기 자체에 대한 집착을 가지고 계속적으로 그려나가다 보면 대상에 대한 묘사가 지나치게 많아지면서 표현적인 성격이 강한 그림이 나올 때도 있고, 대상에 대한 주관적인 표현 속에서도 묘사가 존재하는 그림이 나올 때도 있어 묘사와 표현의 경계에서 작업이 완성된다고 볼 수 있다. I would like to express continuously changing object as pictorial image based on trust for ‘painting’. When instant but eternal moments were taken within picture, it shows flow of time as the paintings are connected and it becomes subjective image once one’s visual experience and physical gestures are intervened. For example, phase of plants were painted such as changing images of plants in the garden over the seasons, withering flowers from the exhibitions as time goes on, images of wreath that were made in artificial way to make it look fresh. Although plants, which are the objects in reality, gets dried and withered as time goes on, I draw about the limited life by painting the objects. The series of <Eternallife> that are developed based on these visual experiences are positioned at the middle of still-life painting and landscape painting as they are composed of dried weeds that are almost like still objects gathered and piled up to become the image of garden or landscape. Images of piled up still objects that have str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become the landscape that fully covers whole scenes and as a result, it is connected to the study on representational painting and abstract painting. Another study is technique between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which are related to obsessions for ‘painting’. If I continue to draw with obsession in painting itself, either excessive descriptions result in expressive drawing or descriptive drawing can be resulted within subjective expressions for the objec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drawings are finished at the middle of the descriptions and expressions.

      • 미혼성인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이혜성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의 미혼남녀의 자아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19세에서 만33세의 미혼성인남녀 343명(남자 119명, 여자 219명, 결측치 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기초설문지, 자아분화 측정도구(Differentiation of Self Scale), 관계중독 측정도구(RAQ-30), 그리고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측정도구(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cale)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해 빈도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 등을 사용해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성인남녀의 자아분화, 관계중독, 그리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변인 간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자아분화는 관계중독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요인 중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관계중독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아분화와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두 가지 하위요인 중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하위요인인 타인비난과 파국화가 자아분화와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미혼성인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많이 사용함에 따라 관계중독의 성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결과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근첨형 내부연결 임플란트 시스템(Avana SS III®)에서 지대주 형태에 따른 응력분포의 3차원 유한요소 분석

        이혜성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임상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치근형 임플란트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고정체와 지대주의 연결방식도 매우 다양하다. 지대주의 형상이나 연결방식에 따라 임플란트 내부의 하중전달 기전이 변할 수 있으며, 악골에 발생하는 응력 역시 변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지대주의 형태나 연결 구조에 따른 응력 분포의 연구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번 연구 에서는 내측 연결 시스템 임플란트에서 고정체에 연결 방식이 다른 4종류의 지대주를 연결하여 교합력을 가하였을 때 발생하는 응력의 차이를 비교하며, 또 이들 연결방식이 임플란트 주위조직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유한요소법을 통하여 알아보고 지대주의 선택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사용한 고정체는 직경 4 mm, 길이 11.5 mm 의 Avana SS-III??(Osstem Co., Korea)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지대주는 각각 Solid abutment, Com-Octa abutment, ComOcta Gold abutment, Octa abutment를 사용하였다. 하중은 치관중심와(central fossa)에서 지대주에 평행하게 100N의 수직 점하중, 협측 교두에서 지대주에 평행한 100N 수직 점하중, 치관 중심와에서 설측으로 100N의 30° 경사하중, 협측 교두에서 치아의 바깥쪽에서 중심와 쪽으로 100N의 30° 경사하중을 각각 가하였다. 3차원 유한요소분석 프로그램인 3G.Author 를 이용하여 해석 (solving)과 후처리(post processing) 작업을 수행하였고, 나타난 여러 가지 응력 값 중에서 유효응력 (von-Mises stress)을 취하여 각 모형에서의 응력분포와 변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조직에서는 모든 모델에서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가장 큰 응력이 고정체 상부에 집중되었고, 고정체 하부에서는 근단 부위에서 응력 집중을 보였으며, 그 외의 부위에서는 큰 응력 집중은 보이지 않았다. 2. 고정체에서의 응력은, 모든 모델에서,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경부에서 최대의 양상을 보였다. 3. 응력은 골에서보다 임플란트 내부에서 훨씬 높았다. 4. 중심와에 수직하중인 하중조건 1에서, 가장 낮은 응력이 관찰되었으며, 이 때의 응력집중 현상도 가장 적게 나타났다. 5. 서로 다른 지대주에서 응력분포 양상을 살펴본 결과, 같은 고정체를 사용한 경우에 지대주의 연결 형태에 따른 골조직의 응력 분포에는 차이가 없었다. Statement of Problem There are many types of root-form implants with a variety of fixture to abutment conn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fixture types and abutments, the loading and stress distribution in the bone may be different. Therefore, the study on the fixture and abutment connections was necessar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implant system.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ress distribution after the connection of four different abutments on Avana SS-III?? fixture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The fixture of Avana SS-III?? (Osstem Co., Korea) with 4mm diameter and 11.5mm length was selected and the 4 types of abutments were analyzed; Model 1) Solid abutment, Model 2) Com-Octa abutment, Model 3) ComOcta Gold abutment, and Model 4) Octa abutment. The models were placed in the area of first molar in the mandible The 4 loading conditions were (1) the vertical loading of 100N parallel to the fixture on the central fossa, (2) the vertical loading of 100N parallel to the fixture on the buccal cusp, (3) the 30° inclined loading to lingual side of 100N on the central fossa, and (4) the 30° inclined loading to the lingual side of 100N on the buccal cusp. The 3-dimensional finite element program, 3G.Author, was used to analyze. The von-Mises stress was measured and the stress contours were plotted on each part of the implant systems and the surrounding bone structures. Results and Conclusions 1. Regardless of abutment types and loading conditions, the higher stress was concentrated at the cortical bone. In the cancellous bone, highest stress was observed at apical portion. 2. Regardless of abutment types and loading conditions, the maximum stress occurred at the neck of the fixture. 3. The higher internal stresses was observed in the fixtures than in the bone. 4. The lowest stress was observed at loading condition 1, vertical load at central pit, and the stress concentration was also lower than any other loading conditions. 5. The types of abutment connection does not affect significantly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bone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