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엽으로 부터 분리한 수용성 추출물의 염증 억제 효과에 關한 硏究

        이혜성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애엽(Artemisia vulgaris)은 예로부터 민간에서 다양한 여성병의 치료와 예방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애엽으로부터 고온, 고압으로 얻은 조추출물을 Sephadex G-50을 이용하여 AVF3 분획을 분리하였고. 이 분획의 염증 억제 효과를 대하여 조사하였다. 염증억제 효과와 관련하여 NO(nitric oxide)는 염증 상태에서 그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AVF3 분획을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LPS에 의해 유도된 NO (nitric oxide)의 생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NO의 방출 억제에 미치는 활성 분획을 좀 더 분리하고자 recycling HPLC를 이용하여 여러 분획으로 분리하였고 그 중 AVFf2가 가장 높은 NO 방출 억제 효과를 가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염증 억제 효과에 따른 AVF3f2와 유전자 발현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RAW 264.7 세포에 AVF3f2를 처리한 뒤 iNOS와 TNFα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AVF3f2이 RAW 264.7 세포에서 iNOS와 TNFα 발현을 억제해 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orean mugwort herb (Aiyup, Artemisia Folium) is a preparation of dried leaves from the Artemisia species, especially from Artemisia vulgaris, Artemisia argyi, Artemisia asiatica or Artemisia princeps. I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to prevent or treat various kinds of woman's diseases. A similar preparation called Chinese Moxa has been used to treat rheumatism by moxibustion in Chinese medicine. A water-soluble AVF3 fraction was purified from crude aqueous extract of Korean mugwort herb and the effects of the AVF3 and its fractions on the LPS-induced NO release from RAW 264.7 cells in culture has been studied. Treatment of RAW 264.7 cells with the AVF3 fraction resulted in the suppression of NO release in culture, indicat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fraction. The AVF3 fraction was further fractionated using recycling HPLC to separate active fraction, which produced the AVF3f2 fraction with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Study of the mechanism of the AVF3f2 anti-inflammatory activity showed that the iNOS and TNFα gene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the treatment, suggesting that the AVF3f2 inhibited LPS-induced inflammatory process through the suppression of iNOS gene expression and NO production and also modulation of TNFα expression.

      • 외식소비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 동기가 이용자 참여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성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이용이 확산되었으며, 스마트기기의 보급의 확대로 전 연령대에서 인터넷의 사용 증가와 함께 SNS의 이용도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자리 잡은 SNS는 산업 전반적으로 입소문 마케팅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외식산업에서도 SNS는 필수적인 마케팅 채널로 자리매김 하였으며, 외식업체들은 SNS를 통해 소비자와 관계를 형성하고 의사소통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효과적으로 SNS를 활용하여 소비자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외식업체의 SNS를 이용하는 외식소비자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식소비자의 SNS 이용 동기 요인을 파악하고, 동기 요인에 따라 SNS의 참여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며 궁극적으로 레스토랑에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내 외식소비자의 SNS를 이용한 행동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외식업체의 효과적인 SNS의 활용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10월 20일부터 10월 23일까지 최근 1개월 이내에 외식업체의 SNS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외식소비자를 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최종 517명의 응답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응 이용하여 표본의 특성 분석 및 연구가설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소비자의 SNS 이용 동기와 수동적 참여와의 영향관계의 검증결과 사회적, 경제적 이용 동기는 수동적 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탐색적 이용 동기와 오락적 이용 동기는 수동적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소비자의 SNS 이용 동기와 수동적 참여와의 영향관계 검증 결과, 심리적 이용 동기는 수동적 참여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이용 동기가 수동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외식소비자의 SNS 이용 동기와 능동적 참여와의 영향관계 검증 결과, 정보탐색적, 심리적, 사회적, 오락적, 경제적 이용 동기 모두 SNS에의 능동적 참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능동적 참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심리적 이용 동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식소비자의 SNS 참여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검증 결과, 참여 정도에 상관없이 레스토랑에서의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외식소비자의 경우 구매의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SNS 이용 동기 요인을 고려함으로써, 각각의 이용 동기 요인이 SNS에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이용 동기 요인이 SNS에의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수동적/능동적 참여로 구분하여 외식소비자의 행동을 더욱 세분화 하여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외식소비자의 SNS 이용이 레스토랑에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외식소비자의 SNS 이용 동기와 참여도와의 영향관계를 바탕으로 SNS를 이용하는 외식소비자에 대한 세분화된 행동 파악과 더불어 외식업체의 SNS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 방안을 제안한데에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외식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외식소비자의 행동 특성을 목적에 맞게 세분화 하여 맞춤형 타깃에 적합한 SNS 마케팅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해 볼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port the relation between five motivation components(informational, social, psychological, entertainment, and monetary motivations) and consumers’ two types of usage behavior (passive particip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which ultimately lead to purchase intention at the restaurant. The email based survey was administered and the total of 517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present as follow. First, Among the motivation components, social and monetary motivations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passive participation, however informational and entertainment motivations had not effect on passive participation. Second, psychological motivation had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passive participation and it was the most influential component to the passive participation among the motivation components. Third, all five motivation components were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component. Fourth, participation to the SNS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t the restaurant and active participation was more influential than passive particip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as considering five motivation components of restaurants’ SNS users, it was confirm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s and user participation. Second, this study suggested the research model explaining the customers‘ behavioral differences in SNS usage, which ultimately lead to purchase intention at the restaurant. Third, this study provide some implications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in the restaurant industry. Some future studies could be design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general personal characteristics(e.g., age, gender etc.), motivation and user participation to hav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 Effect of poly gamma glutamic acid on the concentrations of brain and serum GABA and glutamate in diet-induced obese rats : poly gamma glutamic acid가 비만유도 흰쥐의 뇌와 혈액에서 GABA와 glutamate함량에 미치는 영향

        이혜성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gamma-glutamic acid (γ-PGA) is a mucilaginous and biodegradable compound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from fermented soybeans, and is found in the traditional Korean soy product, chungkookja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γ-PGA from a food source on the concentration of the neurotransmitter, γ-aminobutyric acid (GABA) and its metabolic precursor, glutamate in diet-induced obese rats. Eight-week old Sprague-Dawley male rats (n=60) were used. The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obesity was induced by providing either a 10% control fat or 45% high fat diet for 5 weeks. The rats were then blocked into 6 groups and supplemented with a 0.1% γ-PGA diet for 4 weeks. After sacrifice, brain and serum glutamate and GABA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ometric detection. The rats fed the high fat diet had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s. γ-PGA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concentrations of glutamate and GABA in the control fat diet groups while this effect was not found in the high fat groups. In the brain, glutamat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γ-PGA supplemented groups both in rats fed the normal and high fat diets than no γ-PGA controls. GABA concentrations showed the same tenden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γ-PGA intake increased GABA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brain. However, the effects were not shown in obese rats. Poly-gamma-glutamic acid (γ-PGA) 는 Bacillus subtilis에 의해 발효된 대두에서 생성되는 점질의 생분해성 화합물이며, 한국의 전통적인 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에서 많이 발견된다. 본 연구는 식품에서 유래된 γ-PGA가 비만유도 흰쥐의 뇌와 혈액에서 신경전달물질인 γ-aminobutyric acid (GABA)와 GABA의 전구체인 glutamate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행되었다. 8주령의 수컷 SD 흰쥐 60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10% 지방식이와 45%지방식이를 공급하여 5주간 비만을 유도하였다. 다시 실험동물을 6그룹으로 나누고, 0.1% γ-PGA 첨가식이를 4주간 공급하였다.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뇌와 혈액을 채취하여 HPLC 형광검출기로 GABA와 glutamate 함량을 분석하였다.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쥐의 체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10% 지방식이군에 γ-PGA 보충시 혈중 GABA와 glutamate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지방식이군에서는 유의적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뇌의 glutamate의 함량은 γ-PGA 보충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GABA의 함량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지으면, γ-PGA의 보충공급이 정상식이 군의 뇌와 혈액에서 GABA와 glutamate의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비만유도군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동적가족화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

        이혜성 우석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아동의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 성격구조, 내적인자와 가정에서 부모와의 관계가 영향을 주는 가족구성원간의 역동, 원적학급에서의 교우관계, 아동 주변의 문화적 배경 등의 외적인자 사이의 관계를 일반학급 아동들과 비교하여 파악하고자 하며 또한 동적가족화에 의해 부모들이 갖고 있는 행동, 성격, 가족구성원과의 잘못된 가족구조와 가족역동성에 중점을 두어 아동의 심리특성을 말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법의 하나인 동적가족화를 특수학급아동에게 적용하여 아동의 가족지각을 파악하여 가족역동성에 대한 이해와 진단, 치료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양식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인물행위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본다. 셋째, 역동성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본다. 넷째, 인물상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본다. 다섯째, 상징에 의한 특수학급아동의 가족지각 특성을 알아본다.

      • 근첨형 내부연결 임플란트 시스템(Avana SS III®)에서 지대주 형태에 따른 응력분포의 3차원 유한요소 분석

        이혜성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임상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치근형 임플란트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고정체와 지대주의 연결방식도 매우 다양하다. 지대주의 형상이나 연결방식에 따라 임플란트 내부의 하중전달 기전이 변할 수 있으며, 악골에 발생하는 응력 역시 변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지대주의 형태나 연결 구조에 따른 응력 분포의 연구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번 연구 에서는 내측 연결 시스템 임플란트에서 고정체에 연결 방식이 다른 4종류의 지대주를 연결하여 교합력을 가하였을 때 발생하는 응력의 차이를 비교하며, 또 이들 연결방식이 임플란트 주위조직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유한요소법을 통하여 알아보고 지대주의 선택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사용한 고정체는 직경 4 mm, 길이 11.5 mm 의 Avana SS-III??(Osstem Co., Korea)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지대주는 각각 Solid abutment, Com-Octa abutment, ComOcta Gold abutment, Octa abutment를 사용하였다. 하중은 치관중심와(central fossa)에서 지대주에 평행하게 100N의 수직 점하중, 협측 교두에서 지대주에 평행한 100N 수직 점하중, 치관 중심와에서 설측으로 100N의 30° 경사하중, 협측 교두에서 치아의 바깥쪽에서 중심와 쪽으로 100N의 30° 경사하중을 각각 가하였다. 3차원 유한요소분석 프로그램인 3G.Author 를 이용하여 해석 (solving)과 후처리(post processing) 작업을 수행하였고, 나타난 여러 가지 응력 값 중에서 유효응력 (von-Mises stress)을 취하여 각 모형에서의 응력분포와 변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조직에서는 모든 모델에서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가장 큰 응력이 고정체 상부에 집중되었고, 고정체 하부에서는 근단 부위에서 응력 집중을 보였으며, 그 외의 부위에서는 큰 응력 집중은 보이지 않았다. 2. 고정체에서의 응력은, 모든 모델에서,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경부에서 최대의 양상을 보였다. 3. 응력은 골에서보다 임플란트 내부에서 훨씬 높았다. 4. 중심와에 수직하중인 하중조건 1에서, 가장 낮은 응력이 관찰되었으며, 이 때의 응력집중 현상도 가장 적게 나타났다. 5. 서로 다른 지대주에서 응력분포 양상을 살펴본 결과, 같은 고정체를 사용한 경우에 지대주의 연결 형태에 따른 골조직의 응력 분포에는 차이가 없었다. Statement of Problem There are many types of root-form implants with a variety of fixture to abutment conn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fixture types and abutments, the loading and stress distribution in the bone may be different. Therefore, the study on the fixture and abutment connections was necessar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implant system.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ress distribution after the connection of four different abutments on Avana SS-III?? fixture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The fixture of Avana SS-III?? (Osstem Co., Korea) with 4mm diameter and 11.5mm length was selected and the 4 types of abutments were analyzed; Model 1) Solid abutment, Model 2) Com-Octa abutment, Model 3) ComOcta Gold abutment, and Model 4) Octa abutment. The models were placed in the area of first molar in the mandible The 4 loading conditions were (1) the vertical loading of 100N parallel to the fixture on the central fossa, (2) the vertical loading of 100N parallel to the fixture on the buccal cusp, (3) the 30° inclined loading to lingual side of 100N on the central fossa, and (4) the 30° inclined loading to the lingual side of 100N on the buccal cusp. The 3-dimensional finite element program, 3G.Author, was used to analyze. The von-Mises stress was measured and the stress contours were plotted on each part of the implant systems and the surrounding bone structures. Results and Conclusions 1. Regardless of abutment types and loading conditions, the higher stress was concentrated at the cortical bone. In the cancellous bone, highest stress was observed at apical portion. 2. Regardless of abutment types and loading conditions, the maximum stress occurred at the neck of the fixture. 3. The higher internal stresses was observed in the fixtures than in the bone. 4. The lowest stress was observed at loading condition 1, vertical load at central pit, and the stress concentration was also lower than any other loading conditions. 5. The types of abutment connection does not affect significantly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bone structure.

      • 유기성 폐기물의 악취제어를 위한 bio-filter 특성

        이혜성 호서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음식물 쓰레기는 2005년 이후 직 매립이 금지되면서 발생량 최소화와 더불어 유기성 자원으로 재활용에 더욱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목적으로 퇴비화에 의한 처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악취가스의 제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종종 인접지역의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악취가스 중 많은 양이 다량 배출 되어 기준치에 훨씬 넘어서는 암모니아와 트리메 틸아민을 선정하여 미생물을 부착시켜 그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처리 효율이 뛰어난 생물학적 방법인 Bio-filter법을 이용하여 제어 하고자 하였으며 Bio-filter에 사용되는 최적 담체를 선정하기 위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인 악취가스 흡착능력과 생물학적 특성인 담체의 미생물 고정화 능력을 파악하였다. 또한 담체를 선정한 후 5가지 균주를 선별하여 각각 담체에 부착시켜 악취가스 제어능력을 확인한 후 최종 2가지 균주를 선정하여 악취가스 처리효율을 확인하였다. 악취가스의 흡착능력 실험 결과 암모니아 가스는 Bark의 흡착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Wood chip, Vermiculite, Compost I, II 순이었다. 트리메틸아민 가스의 경우는 Bark와 Wood chip이 우수했다. 미생물 고정화 능력 실험 결과 에서는 Compost II 의 고정화 능력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2 가지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Bark, Wood chip, Compost II를 최종 담체로 선정하였고, 3가지 선정된 담체는 공극률과 pH를 고려하여 공극률 50%, pH 7 이 되도록 1:1:0.6 으로 혼합하였다. 최적 조건의 담체를 선정한 후 단일 미생물 5가지의 균주를 통해 실험실 규모의 Bio-filter적용 실험 결과 #4, #5 균주의 처리 효율이 우수하였으며 적절히 혼합 하여 사용함이 옳다고 판단되어 혼합 균주로 사용하였다. 선정된 담체에 혼합 균주를 접종 시킨 후 체류시간 별 처리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각각 20초, 45초, 60초로 하여 실험한 결과 암모니아 가스의 경우 미생물에 의한 처리 효율이 체류시간 20초 하였을 때 57.14%인 반면 45초와 60초를 적용했을 때 최대 92.86%로 향상 시킬 수 있었다. 트리메틸아민 가스는 체류시간 20초일 경우 71.43%이며 45초와 50초를 적용했을 때 90.71%로 처리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악취가스의 처리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4, #5 균주는 DNA sequencing 결과 #4sms Delftia sp. #5는 Serratia sp.로 판명되었다. Bio-filtration utilizes microorganisms fixed to a porous medium to metabolize pollutants present in an air stream. The microorganisms grow in a bio-film on the surface of a medium or are suspended in the water phase surrounding the medium particles. Therefore, bio-filter support medium play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 roles in bio-filtration. In this study, to characterize and select the suitable support media, gas adsorption capacity, microorganism immobilization and odor removal efficiency in lab-scale apparatus. Microorganism immobilization was determined by the count of nitrogen oxidizing microbes population. For this purpose, 5 types of nitrogen oxidizing bacteria were separated from 50 samples which were collected from commercially produced compost, biological sludge and bio-filter material. As odor materials, ammonia and trimethylamine were utilized. They were the major odor causing materials generated from the process of organic waste composting, As potential support media, two types of compost(I, II), bark, wood chip, orchid stone, vermiculite were chosen. From the result of experiments, the bark was superior to any other support media tested in adsorption of ammonia, as much as 12.5 mg ammonia per !g weight of bark. In trimethyla_mine adsorption, bark and wood chip both showed a remarkable results as much as 21.1, 14.1mg/g respectively. In the meanwhile, the compost II showed the best result in microorganism immobilization test and wood chips and bark were also preferable showing 4 .1 X 1010 and 2.O X 1011 cfu/ml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btained above, the bark, wood chip, and compost II, which were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support media were mixed to the ratio of 1 1 : 0.6 to obtain pH of 7 and packing porosity of 50%. The mixture was then seeded individually by the 5 types of bacteria to select effective bacteria. Two types of bacteria were turned to be effective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identified to be Delftia sp. and Serratia sp. by DNA sequencing. The mixture of the two bacteria group were seeded again to the mixed medium and odor removal efficiency was investigated by varing the gas retention time of 20, 45, 60 sec. In both ammonia and trimethylamine, gas retention time affected the removal efficiency. The longer the gas retention time, produced the better removal efficiency showing 92.9% removal for ammonia and 90.7% removal for trimethylamine. However, retention time of 45 and 60 sec did not affect much to the removal efficiency.

      • 소통능력신장을 위한 공간중심 미술프로젝트 사례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이혜성 광주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ldren living in the 21st century have experienced confusion and conflict arising from insufficient human relationship amid overheated competition, egoism, and mammonism, which have fueled social issues such as increase in suicide ratio of juveniles, school violence, and de-schooling, etc. There might be many causes for the above-said issues, but it is deemed that the 'communication' breakdown i.e., close relationship or harmony cannot be built between person and person or person and society is the most substantial cause. Therefore, educational measures that can beef up children's communication with their internal feeling(internal self) and warm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family, and increase their interests in society are deemed required. Hence, this research places its object on designing and applying creativeㆍcomprehensiveㆍsubjective art project centering on 'space', which is most detailed and substantial for children, and finding out its relationship with improvement in the children'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effectiveness. For this object, I figured out general concep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ts value in terms of art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and found out correlation between the project-based learn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lso, I designed the art project activity centering on house, school, and town through survey, analysis on art education curriculum, and case study on culture & art education, and applied this activity to the class composed of the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Finally, by means of teacher'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nalysis on written opinions, query sheet, and artwork, etc., I analyzed and organize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shown below. Firstly, children began to objectively observe their house, school,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ame to mull over what they want, their identity, and internal self through mind mapping and expression, and consequently this became an opportunity for children to open internal communication with internal self. Secondly, in this project-based learning where children had to choose and take initiatives in experience and expression activities, could enhance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express their thoughts freely, children could enhance soci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irdly, in the process of the project which made children observe ordinary and friendly 'space' in a new point of view, which was linked to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children could cultivate artistic communicative competence including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oward visual environment, aesthetic perspective, and creative expression, etc. Also, by combining the 'place'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children's real life and the project learning which began from children's interest and concerns could motivate children to do aesthetic expression, and got childre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earning, and express themselves creatively. Fourthly, while conducting the wrap-up activities of the project in which children directly installed, exhibited, made PR activities, and evaluated artwork, children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become both producer and planner of artwork, and consequently they could extend expression area. With feeling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children could try social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As the above, the space-centered art project activities could enhance not only internal/social/artistic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also aesthetic perspective, observation ability, and creativity of children who are living in the era of absence of communication. In the future, art project activities focusing on sustainable and realizable subject, through which 'art education for life' that can give a value and meaning to ordinary lives of children can be conducted, should be tried. 21세기를 살아가는 아동들은 과도한 경쟁과 이기주의, 물질만능의 풍조 속에서 진솔한 인간관계 부재로 인한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곧 청소년 자살율 상승, 학교폭력, 탈학교 등의 사회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다양한 요소들이 얽혀져 있겠으나 근본적으로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가 서로 친밀한 관계성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소통’의 단절이 문제라고 생각된다. 이제는 아동들에게 자기 내면의 감정(자아)과의 소통, 친구ㆍ가족과의 따뜻한 관계맺음, 나아가 사회에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관심과 소통의 과정을 열어 줄 수 있는 교육적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들에게 가장 구체적이면서도 본질적인 ‘공간’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ㆍ통합적ㆍ주체적인 미술프로젝트 학습을 구안ㆍ적용한 후, 아동의 소통능력 신장과의 관계 및 그 효과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소통능력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미술교육에서의 가치, 프로젝트 학습의 특징 및 방법을 알아보고 미술 프로젝트학습과 소통능력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설문지 조사,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 문화예술교육사례조사를 통하여 집, 학교, 마을 공간을 중심으로 한 미술프로젝트 활동을 설계,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관찰 기록, 소감문, 질문지, 작품 분석의 방법으로 프로젝트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분석ㆍ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들은 집, 학교, 주위 환경 등의 객관적인 관찰을 시작으로 마인드맵핑ㆍ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것, 정체성, 자아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가지게 됨으로써 자신과의 내면적 소통을 여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아동들이 체험 및 표현 활동을 선택하고 주도적으로 계획해야 하는 과정, 친구들과의 긴밀한 협력관계,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분위기 등의 미술프로젝트 학습은 아동들간의 사회적인 소통력을 향상시켰다. 셋째, 아동들이 익숙하게 지나치던 일상의 ‘공간’을 새로운 시각으로 관찰하고 의미를 부여하며 창조적 표현 활동으로 이어 가는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 시각적 환경에 대한 종합적 이해, 미적안목, 창조적 표현 등의 예술적 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의 실생활과 가까운 공간이라는 소재 접근과 아동의 흥미와 관심에서 출발하는 프로젝트 학습법의 결합은 아동들에게 미적 표현을 위한 내적동기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 적극적인 참여와 아동들의 일상을 담은 창의적인 표현으로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넷째, 아동들이 직접 작품을 설치, 전시, 홍보, 평가하는 프로젝트의 마무리 활동은 아동이 작품의 생산자임과 동시에 기획자로서의 역할로 자리매김하여 새롭게 표현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성취감과 만족감을 가지고 관객과의 사회적 소통을 시도할 수 있기도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공간중심 미술프로젝트 활동은 소통부재의 시대에 살고 있는 아동들에게 내면적ㆍ사회적ㆍ예술적 소통력 뿐만 아니라 미적 안목, 관찰력, 창의성까지 신장시킬 수 있었다. 앞으로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지속적인 실현이 가능한 주제 중심의 미술프로젝트활동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아동들의 일상적 삶에 아름다운 가치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삶을 위한 미술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