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의 음악분석을 통한 음악의 극적기능 연구

        이현희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Music plays the central role in musical. It is not simply an auditory meaning, but has a meaning more than music itself, making mutual relations with a drama. The compensating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drama is combined with an ideal form of expression so when universal form and contents become harmonious to be delivered, it can maximize its effects as a new artistic form and closely go to spectators with greater impression. This study intends to infer dramatic functions of music in a musical, "Romeo & Juliet", created by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through analysis of music. The reason why this paper is interested in "Romeo & Juliet" is that this work is assessed as one of the important works representing Korean creative musicals. "Romeo & Juliet" is based on the compact story of the original work, in which the role of music is remarkable. It describes a couple's tragic love story with modern senses on the basis of the Korean emotions. When it was performed first in August 2002, 97% of the total seats in the theater were filled and at the 9th musical award, it received a prize in 5 fields including the field of music. In addition, first in Korea, it was made into a music video for promotion of its performance. It received good evaluation both in terms of popularity and work quality. As a premise for studying dramatic functions of music,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music from various viewpoints such as scripts, formation, compass, tone, form, melody, and repetition tools, an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function of implying, suggesting, formulating, changing, maintaining, explaining, arousing, increasing and ceasing dramatic environment and mood is most universal in the whole of this musical. Second, the dramatic function of music that expresses characters' feelings is remarkable in the solos and duets of Romeo and Juliet. Third, music used for BG (background) plays a role of a temporary bridge for change of scenes. Fourth, the dramatic function of music that makes dances is well expressed in the scene of Capulets' party, Act 1, where Romeo and Juliet meet first. Fifth, the dramatic function of music that strengthens dramatic actions is found in the music presented right before Thibault, Romeo and Juliet died. Sixth, the dramatic function of music that puts the concept of theme in a definite shape is found in Romeo and Juliet's songs, which are the theme and aria of this musical. Seventh, the songs that make main opportunities driving Romeo and Juliet into death before the drama reaches the climax present the development of accidents. Eighth, the dramatic function of music that provides comedy is found in the songs of servants and the nurse who play a role of stopper. Finally Ninth, the dramatic function of music that suggests and implies dramatic conflicts is found in Act 1 that shows the conflicts between Capulets and Montagues. It enhances impression and perfection of a work to appropriately mix various dramatic functions of music. In order to make a cornerstone for musical, which is being activated in term of popularity and artistic quality, to be developed further, it is urgent to correctly understand music,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musicals, to make creative efforts and to systematize professional knowledge. In addition, depth study of correlations between music and drama, and of dramatic functions of music should be done further. 뮤지컬에 있어서 음악은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단지 청각적인 것이 아니라 극과 상호관계를 이루며 음악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음악과 극의 보완관계는 이상적인 표현양식으로 결합돼 보편적인 형식과 내용이 일치되어 전달될 때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관객에게 더 큰 감동으로 다가간다. 이에 연구자는 서울예술단 창작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의 다양한 음악 분석을 통해 음악적 특성과 음악의 극적기능을 유추해 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것은 이 작품이 한국창작뮤지컬을 대표할만한 중요한 작품 가운데 하나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은 원작의 탄탄함 위에 특히 음악적 역할이 두드러진 작품으로 두 연인의 비극적인 사랑이야기를 한국적인 서정성에 기초해 현대적인 감각으로 그려냈으며 2002년 8월 초연 시 97%의 객석 점유율과 제9회 뮤지컬 시상식에서 음악상을 비롯하여 5개 부문을 수상했다. 또한 국내 최초 뮤지컬 공연 홍보를 위한 뮤직비디오를 제작하는 등 대중성과 작품성 모두 좋은 평가를 받았다. 본 논문은 음악의 극적기능 연구를 위한 전제로써 음악 대본 분석, 조성 분석, 음역과 음색 분석, 형식 분석, 곡 분석, 반복 장치 분석의 다각적인 음악 분석을 시도 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극적 환경 및 분위기를 암시ㆍ제시ㆍ조성ㆍ변화ㆍ유지ㆍ설명ㆍ환기ㆍ상승ㆍ종식시키는 음악의 극적기능은 극 전체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둘째, 등장인물의 심정을 표현하는 음악의 극적기능은 주로 로미오와 줄리엣의 독창이나 이중창에서 이 기능이 두드러졌다. 셋째, 장면전환의 음악의 극적기능은 대부분 BG(Back Ground)로 사용된 음악들이 장면전환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넷째, 춤을 만드는 음악의 극적기능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첫 만남이 이루어지는 1막 캐퓰렛가의 파티장면에서 이 기능이 잘 나타나 있다. 다섯째, 극적 행위를 강화하는 음악의 극적기능은 티볼트 그리고 로미오와 줄리엣이 죽기 전에 제시되는 음악들이다. 여섯째, 주제개념을 구체화하는 음악의 극적기능은 모두 로미오와 줄리엣의 곡으로 이 곡의 주제곡이자 아리아라 할 수 있겠다. 일곱째, 사건전개를 암시하는 음악의 극적기능은 극이 절정에 이르기 전 로미오와 줄리엣이 죽음에 이르는 주요 계기를 마련하는 노래들이다. 여덟째, 코미디를 제공하는 음악의 극적기능은 쇼 스타퍼 역할을 하는 하인과 유모 노래에 이 기능을 살펴볼 수 있다. 아홉째, 극적 갈등을 제시ㆍ암시하는 음악의 극적기능은 캐퓰렛가와 몬터규 가의 갈등을 처음 보여주는 1막에서 이 기능이 잘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음악 분석을 통해 본 음악의 극적기능들의 다양한 형태와 적절한 배합은 작품의 감동과 완성도를 높인다. 이미 대중성과 예술성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뮤지컬이 더욱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초석을 다지기 위해서는 뮤지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음악에 대한 올바른 인식, 창조적인 노력과 함께 전문적인 지식을 체계화하는 연구가 시급하다. 또한 뮤지컬에서 음악과 극의 연관관계 및 극적기능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추후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자존감 향상과 관계형성 강화를 위한 미술 프로그램 개발및 적용

        이현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정보화 된 현대 사회의 풍요로움 속에서도 부모의 지나친 기대와 날로 치열해지는 경쟁 속에서 아동들은 신체적, 지적, 심리적 성장을 균형있게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불균형한 성장의 결과 아동들은 자신의 가치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로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게 되고 올바른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낮은 자존감과 관계형성의 어려움은 불안, 분노, 우울,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는 문제행동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술은 아동들의 심리적 방어를 낮추고 자신을 표출하는데 유용한 매개체가 되므로 미술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존감을 향상시키거나 사회성을 기르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있어 왔으며 유의미한 결과도 많았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대부분 소수의 특정아동을 대상으로 방과 후 시간에 따로 진행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자는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내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과 미술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아동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관계형성을 강화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자존감과 관계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자존감과 관계형성의 개념, 중요성,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미술교육을 통한 자존감 향상 및 관계 형성 강화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아동의 올바른 성장을 위한 높은 자존감과 올바른 관계형성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자존감 향상과 관계형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연구 대상자의 연령과 학교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선별한 후 총 17차시로 구성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후 적용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은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학급 아동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집중관찰 대상자 5명을 선별하여 프로그램 적용 과정을 관찰, 기록하고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검사도구는 자존감 척도 검사와 HTP검사, 빗속의 사람 검사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미술교육이 아동의 자존감과 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효과적임을 파악하였다. 둘째, 아동의 자존감 향상과 관계 형성 강화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 사전 사후 검사의 결과를 분석해 보니 자존감 척도 검사 점수가 향상되었고 HTP검사, 비오는 날 사람 검사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자존감 척도 검사의 사전, 사후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자존감 점수 향상 영역은 아동에 따라 다르게 나왔는데 이는 아동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과의 관련성이 큰 것으로 보였다. HTP검사와 비오는 날 사람 검사의 사전 사후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필압이 강해지고 그림의 위치가 중앙으로 이동하였으며 전체적인 분위기가 밝아지는 등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동이 미술활동 중에 자신의 내면을 표출하고 자기 인식을 긍정적으로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자존감이 향상되었고 타인과 함께하는 미술 활동 중에 관계 형성에 필요한 여러 가지 사회적 기술을 자연스럽게 익히면서 관계 형성이 강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셋째, 아동의 자존감 향상과 대인관계 강화를 위한 미술프로그램이 교사와 아동에게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교사는 아동 이해를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개별 아동을 위한 교육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동은 프로그램 적용 후 자신감을 회복하고 친구들과 원만하게 지내며 학교생활과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미술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존감 향상과 관계 형성 강화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정규 교육과정 시간 내에 실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본 프로그램이 아동 이해와 지도에 필요한 정보를 교사에게 제공할 수 있고 아동은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관계 형성을 강화함으로서 원만한 학교생활과 건강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자존감, 관계형성, 미술프로그램 With all the affluence that we have today, thanks to the modern information-society, excessive expectation from the parents and ever-increasing competition hinder children’s balanced physical, intelligent, and psychological growth. This unbalanced growth causes children to have low self-esteem due to negative evaluation of their own worth, which leads them to have difficulty in forming proper relationships. Low self-esteem and difficulty in building relationships can trigger anxiety, anger, depression, and stress, which can cause behavioral problems. Since arts can serve as a useful medium for reducing children’s psychological defensiveness and expressing themselves, art programs have been frequently used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sociability with significant results in many cases. However, a majority of prior studies were conducted on a small number of particular students in after-school classes.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programs used in art classes and creative activity classes of the curriculum for ordinary children. The study developed programs to improve children’s self-esteem and help them to form stronger relationships and applied them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concept, importan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self-esteem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s to better get to know about them and then how art education can improve self-esteem and enhance formation of relationship, laying the ground for necessity and importance of high self-esteem and appropriate relationship building which can help children to grow in the right direction. Second, prior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were reviewed to develop programs for better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tronger formation of relationship, and the programs selected considering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and school conditions were applied to recast curriculum over 17 sessions. Third, the study applied the programs to a class that the researcher was in charge of and intensively observed 5 selected children, observed and recorded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programs, and conducted tests on them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s. Self-esteem scale and House Tree Person (HTP) and Person in the Rain (PITR) tests were used as test tool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viewing prior studies confirmed that art education gives children positive effects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form healthy relationship. Second, analyzing the test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the self-esteem scale scores were higher after the application and positive changes were shown in HTP and PITR tests. The comparison of the self-esteem scal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showed improved scores on varied by child, which seems to suggest correlations with the situation that the children have difficulties in. The HTP results analysis and PITR tes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identified the positive effects such as higher pen pressure, the objects in a drawing moved to the center, and overall atmosphere has brightened up.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rough self-evaluation while engaged in art activities which provided the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and thoughts, and positively reorganize self-awareness, the children could raise their self-esteem, and reinforce relationship formation through natural acquisition of diverse social skills necessary to form relationships through art activities with others. Third, art programs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children are considered necessary. Applying the programs suggested in the study allow teachers to obtain knowledge needed to understand children in the process, and help set educational directions for each student. After applying the programs children recovered their self-confidence, and well got along with their friends, which show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s on children’s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 In conclusion, the art education programs propos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reinforcing relationship formation of children. Beside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proving the effect of the programs by applying them in regular classes on ordinary children. The programs are expected to provide teachers with information needed to understand and guide children, and help children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enhance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thereby leading to their smooth school life and healthy social life. Keywords: self-esteem, formation of relationships, art programs

      • 사회상황 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이 고기능자폐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현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on the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lthough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ad cognitive and language abilities, they had impairments in the areas of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as well as by the restricted, repetitive behaviors. This study was designed by single subject case study. The subject was a seven-year-old boy, diagnosed as high-functioning autism. To measure interaction displayed by children on the lesson activity hours, target behaviors were identified and defined for measurement purposes. The target behaviors included appropriate interactions(appropriative answers on the situation, gazing, physical touching and expressiveness) and inappropriate interactions (inappropriative answers on the situation, ignoring, abnormal behaviors) This study planed to describe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interaction intervention program 30 minute lesson activity hour by examining the changes of target behaviors during pretreatment and treatment ses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interactions (increasing of appropriate interactions and decreasing of inappropriate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econd,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upgrading the quality of interactions that reduced interactions of preschool level as reduce gazing, physical touching and increased language response. Third, The significant effects of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were not found in the self-ac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 21세기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

        이현희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현대사회의 특징 중의 하나는 인구의 고령화이다. 지구촌 여러 나라에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것은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개선과 의료기술의 발달은 국민의 수명을 연장하고 노인인구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 속도가 노인들 자신들과 이들이 속해 있는 가정 및 교회, 그리고 사회에 여러 측면의 문제들을 야기되고 있다. 노인교육은 이러한 노인문제의 해결을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노년학에서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서 종교화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를 들고 있다. 교회의 노인교육은 종교활동과 교육활동을 동시에 만족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교육은 근본적인 목적을 노인들이 겪는 생활고, 병고, 무위고 등에 노인들 자신이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될 것인가, 또 건강의 악화, 오감의 감지력 감퇴 등 신체적 문제를 비롯하여 사회적 역할의 상실, 대인접촉의 빈도 등 사회적 문제, 심리적 문제로 자아정체감의 상실, 외향성의 상실 등이 있다. 과연 노인문제가 노인산업 혹은 정부와 관련기관의 한정된 복지혜택, 그들의 여가를 위한 특정 프로그램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일까?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노인문제가 바로 우리의 현실 문제요 가족의 문제이며 노인의 필요가 물질과 건강과 향락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그 무엇이 있다는 데 있다. 노년의 무력감과 외로움을 달래주고, 보다 건강하고 재미있게 인생을 마무리하도록 도와주는 것도 노인들의 필요를 채워 주는 중요한 방편이 될 수 있다. 교회는 무엇보다 이 점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앞으로의 교회는 지역사회 문제에 대해 책임성 있게 대처해야 하고 지역사회 문제 중 노인문제의 해결의 방향을 논하여야 한다. 21세기 현대 교회 교육의 관심은 어린이, 청ㆍ장년에게 편중되어있다. 따라서 노인교육의 문제는 단순히 사회적 문제로만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교회 안에서도 이 문제를 보다 더 관심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인간존중의 정신은 영ㆍ유아에서 시작하여 노인에 이르기까지 평생교육으로 이어져야 한다.

      • 대학동문계열 태권도장 브랜드경험에 따른 브랜드사랑이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현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동문계열 태권도장 브랜드경험에 따른 브랜드사랑이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련생유지를 통한 태권도장의 경쟁력강화, 이탈수련생의 감소 등을 통해 태권도장 수익을 극대화시키는 방안에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경기도 수원시 지역에 소재한 태권도장 관원생들의 학부모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작성 시 유의해야 할 사항과 설문 목적 및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 뒤,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한 후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여, 실제 분석된 자료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한 자료를 입력지침에 따라 컴퓨터에 입력하여 윈도우용 PASW/WIN 18.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브랜드경험의 차이검증 결과, 브랜드경험의 하위요인 중 감각적 경험요인과 감성적 경험요인, 인지적 경험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서는 감각적 경험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력에서는 브랜드경험의 하위요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문계열에서는 감각적 경험, 행동적 경험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브랜드사랑의 차이검증 결과, 브랜드사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 따른 브랜드사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력에 따른 브랜드사랑의 차이검증 결과, 학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동문계열에 따른 브랜드사랑의 차이검증 결과, 브랜드사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소비자반응의 차이검증 결과, 소비자반응의 하위요인 중 충성도요인과 구전의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서는 소비자반응의 하위요인 중 충성도요인과 구전의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력에서는 소비자반응의 하위요인 중 구전의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동문계열에 따른 소비자반응의 차이검증 결과, 소비자반응의 하위요인 중 충성도, 구전의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동문계열 태권도장의 브랜드 경험은 브랜드 사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동문계열 태권도장의 브랜드 경험은 소비자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동문계열 태권도장의 브랜드사랑은 소비자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統一新羅時代 佛像着衣法 硏究

        이현희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硏究는 統一新羅時代 佛像着衣法 중에서 특히 偏衫 着衣法을 중심으로 기존의 通肩·偏袒右肩 着衣法과 비교 고찰한 것이다. 偏衫 着衣法은 佛像 앞면의 착의 표현이 양쪽 어깨를 모두 法衣로 가리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通肩 着衣法으로 보고 있으나 실제 불상의 왼쪽과 오른쪽의 法衣는 별개의 것으로 이것은 불상 뒷면의 착의 표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불상은 뒷면의 착의표현이 생략·단순화되거나 實見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앞면에 나타난 착의표현으로 구별할 수 밖에 없는데, 通肩 着衣法은 양쪽 어깨를 연결하는 U자형 옷주름이 표현되는 반면 偏衫 着衣法은 偏袒右肩의 大衣와 偏衫이 겹쳐져 생기는 逆y자형 옷주름이 표현되어 두 着衣法을 구별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慶州 南山 三陵溪石 造如來坐像②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偏衫 着衣法은 統一新羅下代 불상에서 많은 제작사례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우리나라 偏衫 着衣佛像은 7세기 초반 백제지역인 忠北 禮山 花田里四面 石佛에서 처음 나타나기 시작하여 7세기 후반에는 신라지역으로 전해진다. 신라로 전해진 偏衫 着衣佛像은 편삼 착의방법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A형은 7세기 후반의 軍威石窟에서 처음 나타나며 시기적으로 수용기에 해당된다. B·C형은 신라로 전해진 偏衫 着衣法이 착의 표현에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는 발달기에 해당되며 偏衫 着衣法의 완성기인 D형은 9세기 초반 慶州 南山지역 불상에 집중되어 있어 南山이 당시 불상 造成활동의 중심지였음을 알 수 있다. 지역적으로는 忠北 禮山에서 시작하여 慶州 以北지역과 慶州지역을 거쳐 9세기에는 慶州 以南지역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偏衫 着衣佛像의 제작시기와 분포양상은 新羅 遣唐使의 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偏衫 着衣佛像은 隋末~唐初의 山東 지역에 집중된 양상을 보이는데 山東 지역은 신라 遣唐使 이동행로 중 黃海北路상에 위치하며 龍興寺와 禮泉寺라는 新羅院이 있어 遣唐使의 왕래가 빈번했던 곳이다. 즉 前代에 비해 遣唐使의 문화적 활동이 강조된 9세기를 전후한 遣唐使의 활약으로 統一新羅時代 偏衫 着衣法은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偏衫 着衣佛像의 제작배경을 불교 사상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통일신라시대 降魔觸地印佛坐像은 偏衫 着衣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智拳印의 毘盧遮那佛은 通肩 着衣法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華嚴宗이라는 같은 사상적 배경 아래에서 조성된 두 불상에 서로 상반된 착의 표현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착의 표현에 있어서 제작자의 입장이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偏衫을 표현하는 데에는 오른손을 아래로 늘어뜨리는 것이 제작상 좀 더 용이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불상의 손 위치에 따라 적절한 착의 표현을 자유롭게 선택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 D형 偏衫 着衣佛像에 보이는 오른쪽 어깨 위의 띠 매듭은 주로 僧侶像에서 확인할 수 있는 法衣 장식인데 이것은 현실에서 행하고 있던 僧侶의 착의표현이 如來像에 채용된 것으로 법의표현에 있어서 일종의 사실주의 경향이 나타남을 지적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by comparing Pyunsam(偏衫 着衣法) to the existing Tongkyun(通肩 着衣法) and Pyundanwookyun(偏袒右肩 着衣法 ) with special reference to dressing a Buddhist statu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Pyunsam(偏衫 着衣法 ) is considered as Tongkyun(通肩 着衣法) up to now in the point that both shoulders of the Buddhist statue are covered with a vestment, but in fact, the left vestment of the statue is separately from its right one as known in wrinkles of vestment at the back of the statue. Its typical odel is Seated statue of stone Buddha in Samnung Valley at Mount Namsan in Kyong-ju(慶州 南山 三陵溪石造如來坐像), whose dressing is in order to cover the right shoulder revealed due to Pyundanwookyun (偏袒右肩 ). It is worthy of note in accordance with dressing the statues that many Buddhist statues wearing in Pyunsam(偏衫) are comparatively often found among the statu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can b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the Buddhist statues in Pyunsam(偏衫), and they appeared first in Yesan, Chungbuk(忠北 禮山) and were distributed to north of Kyong-ju(慶州) and to south of Kyong-ju(慶州) in the ninth century. The period of producing the Buddhist statues wearing in Pyunsam(偏衫) and their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have a close relation with the backgrounds of their production in the Unified Silla Period. Namely, the Buddhist statues wearing in Pyunsam(偏衫) in the Unified Silla era were deeply affected by Sandong(山東), China in the late Sui and the early Tang, and Sandong(山東) is situated at the north route of Yellow Sea, the travelling route of Kyondangsa(遣唐使). In addition, Sillawons(新羅院) named YongHung Temple(龍興寺) and Yechun Temple(禮泉寺) were in Sandong(山東) where Kyondangsa(遣唐使) frequently visited. Especially, the Buddhist statues wearing in Pyunsam(偏衫) were, for the most part, made in the early and mid eighth century and in the early ninth century when a cultural mission played more important role compared to the former period. Finall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into the background of producing the Buddhist statues wearing in Pyunsam(偏衫) in the aspect of thought. Evil-expelling-hand statues(降魔獨地印), dressing in Pyunsam(偏衫) was the main trend in the expression on vestment, while as for Vairocana(毘盧遮那佛) of Wisdom-first-hand(智拳印), a peculiar dressing in Tongkyun(通肩) were given much more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kinds of dressing the Buddhist statue under the same influence of Hua Yen school(華嚴宗) shows that eir producers' different views were positively reflected in the expression on vestment.

      • 국어 접사 범주에 관한 연구 : 접사와 인접 범주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현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국어 접사가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면서 다른 범주와 중복되어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여 이를 접사원형성의 정도 차이로 설명하고 접사범주에 원형적 구조를 적용하여 도식화하였다. 동시에 접사와 인접범주에 속한 요소들 간의 관계를 시간의 흐름이 개입된 접사성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논의하고 이를 3차원 도해를 통해 명시적으로 설명하였다. 한국어 접사 범주에 대해 모든 접사가 동일한 수준의 접사원형성을 가지는 것이 아님을 접사 판정을 위한 3단계 조건을 적용하여 수치화를 통해 정도의 차이로 드러내었고 이를 다시 자연물의 원형적 구조 개념을 도입하여 정도성의 차이로 명시적으로 구현하였다. 동시에 실사나 허사에서 비롯된 범주라는 접사의 본유적 성격에 착안하여 범주 중복의 양상이 나타나는 접사의 예들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접사와 접사에 인접해 있는 범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범주의 중복 양상을 보이는 접사들 중 일부는 접사의 전형성이 높게 나타났고 일부는 다른 범주의 전형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접사 범주 내의 모든 요소들이 동일한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처리하였던 그간의 획일적 처리에서 벗어나 동일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는 전형성의 차이를 논의의 전면에 부각시키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범주 판정과 관련된 기준의 적용도 그동안의 일괄적인 적용에서 벗어나 필수조건과 수의조건으로 나누고 거기에 다시 접사의 기능을 더하여 3단계 접사전형성의 검증 방식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3단계 기준의 적용 역시 대상이 되는 접사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용하여 다른 범주와 중복 양상을 보이는 경우들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한두 개의 접사가 접사를 대표한다고 할 수 없듯이 한두 개의 용례를 통해 접사와 인접 범주까지 그 관계를 살피는 것이 과도한 일반화의 오류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는 앞으로 보완해 가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 해결하고자 한 문제는 크게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접사의 범주 경계가 모호한 것으로 단정 지은 그동안의 처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모호한 경계를 좀더 명시적으로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범주 경계가 모호하다면 그 모호한 경계를 그냥 넘어갈 것이 아니라 판정 기준을 단계화, 세분화하여 조정하고 각각의 경우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정도의 차이를 좀더 세밀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그동안 접사의 판정 기준은 학자에 따라 그 숫자만 더해갈 뿐 실제 내용의 차이는 크게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사 판정 기준이 해결하지 못한 많은 문제들은 언어요소들의 균등한 성질을 기본 전제로 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자연물의 범주와 마찬가지로 언어 요소의 성격에도 전형적인 예와 그렇지 않은 예들 사이에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을 전제로 하고 논의를 접사전형성의 정도 차이에서 시작하였다. 그 결과 접사로 인정되는 요소들 간에도 접사전형성에 하지만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보았다. 이러한 접사전형성의 정도의 차이를 자연물의 원형구조의 개념을 빌어 원형적 구조로 도식화하였다. 다음으로 접사가 통시적 변화의 산물임에 착안하여 접사와 인접범주 간의 중복 양상에 대해 3차원 도식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접사가 범주 전형성에 차이를 보이고 그 차이의 한 원인이 통시성의 개입, 그로 인한 범주의 중복 때문임을 고려하여 접사전형성에 따라 범주 중복 양상을 접사전형성의 확대로 설명하였다. 즉 접사전형성을 보이지 않는 다른 범주로부터 통시적인 흐름을 겪으면서 접사전형성이 점점 높아지는 것을 3차원 차트를 통해 나타내 보았다. 이를 통해 언어 요소가 범주의 이동을 경험할 수 있으며 접사의 경우 특히 다양한 범주로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접사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치과위생사의 분노표현유형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이현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분노표현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치과위생사의 긍정적 분노표현인 분노조절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2019년 8월1일부터 10월7일까지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에 소재한 치과의료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위생사의 특성분노,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은 최대 4점 중 특성분노 2.05점, 상사의 사회적지지 2.07점, 동료의 사회적지지 3.07점, 자아존중감 2.83점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100점 중 46.90점 이었다. 2. 단변량분석에서 특성분노는 분노표출(r=0.676, p<0.001), 분노억제(r=0.495, p<0.001), 직무스트레스(r=0.152,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고, 분노조절(r=-0.279, p<0.001), 자아존중감(r=-0.263, p<0.001), 동료의 사회적지지(r=-0.171, p<0.01), 상사의 사회적지지(r=-0.107, p<0.05)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분노조절은 자아존중감(r=0.200, p<0.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상사의 사회적지지(r=-0.540, p<0.001), 자아존중감(r=-0.409, p<0.001), 동료의 사회적지지(r=-0.307, p<0.001)와 부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3. 치과위생사의 분노표현유형은 분노조절군과 분노표출·억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분노조절군이 233명(58.0%)이었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OR=5.952 p<0.001)과 동료의 사회적지지(OR=1.172, p<0.05)가 높을수록 분노조절군일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과위생사의 자아존중감과 동료의 사회적지지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치과위생사의 분노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치과위생사의 분노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치과의료기관의 업무능력에 따른 적절한 보상과 체계적인 보수, 복지제도의 마련, 최상의 능력을 발휘하여 업무능력을 인정받으려는 치과위생사의 노력, 그리고 현실적인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 마련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