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균형잡힌 성과평가표에 의한 은행성과평가모형의 구축

        이창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관리회계 분야의 새로운 성과측정지표인 균형잡힌 성과평가표(BSC)를 통해 새로운 은행성과평가모형을 구축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과거 우리 나라 은행경영평가제도는 상대평가를 주축으로 일반은행을 평가해 왔다. 그러나 상대평가제도 자체의 문제점과 국제적인 정합성의 결여로 1996년 10월 절대평가제도인 "은행경영실태평가제도"로 개편했다. 이 "은행경영실태평가제도"는 미국의 CAMEL방식을 벤치마킹하였고 자본의 적정성, 자산의 건전성, 경영관리 능력, 수익성, 유동성의 5개 평가부문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 CAMEL방식은 미국의 경제 환경 하에서 발전해 왔기 때문에 다소 우리 나라의 현실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우리 나라의 경우, 줄곧 상대평가제도를 사용해 왔기 때문에 이 "은행경영실태평가제도"가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다년간의 경험과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본 연구는 새롭게 부상하는 통합적인 경영지표인 균형잡힌 성과평가표(BSC)를 통해 은행성과평가모형을 구축하려고 한다. 균형잡힌 성과평가표(BSC)는 기업의 비전과 전략을 목표와 측정지표로 전환시키며 재무, 고객,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의 네 가지 시각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성과측정지 표이다. 전략적인 차원에서 우리 나라 은행은 주로 도·소매금융 형태를 띠고 있다. 균형잡힌 성과평가표(BSC)를 통해 각각의 전략에 맞게 은행성과평가모형을 구축하였다. 비록 측정지표상 미흡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선행지표들도 있지만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들을 통해 더욱 정교한 측정지표들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e a commercial bank performance evaluation model(CBPEM)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the Balanced Scorecard (BSC) that is anew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developed by Kaplan and Norton(1992). In the past, commercial bank had been evaluated by the Bank Supervisory Commission of Korea(BSCOK) with the relative evaluation system. BSCOK changed the relative evaluation system into Bank Management Reality Evaluation System(BMRES) based on the absolute evaluation on October 1996, because of the relative evaluation system's inherent problems and the lack of international coincidence. BMRES is benchmarked to the CAMEL system of America and composed of five evaluation areas: capital adequacy, asset soundness, management ability, earnings, and liquidity. But CAMEL system is not considered to suitable for Korean economic situation because it has been developed under the American economic situation. Thus, to settle down in Korean economic situation, BMRES will be taken several years and had experience. On account of this reason, this study is to develop CBPEM by utilizing the structure of the Balanced Scorecard, integrated management indicators. The Balanced Scorecard translates vision and strategy into objectives and measures, organized into four perspectives: financial, customer, internal business process, and learning and growth. From the viewpoint of strategy, Korean banks are mostly either a retail bank or a wholesale bank. Thus, this study divides Korean banks into internal retail bank and internal wholesale bank and builds CBPEM that accords with each strategy. CBPEM has an imperfect measures and performance drivers which is not grasped concretely. Therefore, the additional study must be developed with more elaborate measures on CBPEM.

      •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변동 요인 연구

        이창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는 2050년 ‘탄소중립’을 전 세계에 공표하였으며,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 40%를 감축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도입 및 급속한 ‘에너지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에너지전환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화석연료의 사용을 대폭 감축하며, 수소에너지의 보급을 확대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나가야 한다. 배출권거래제는 시장 메커니즘에 기반을 두어 기업이 온실가스저감 정책에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가장 적은 비용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되고 1, 2차 계획기간이 지났지만, 지속해서 새로운 정책이 시행되고, 기존 정책이 변경되면서 배출권 거래시장에 왜곡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배출권 가격은 배출권거래제를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한 필수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유럽연합 탄소배출권거래제의 특성과 현황에 대해서 파악해보고, 각 시장의 특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또한, 다양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탄소배출권 가격의 변동요인과 제도적 이슈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은 1차 계획기간에는 할당대상 기업들의 소극적인 대응으로 거래량이 적었으나, 마지막 단계에 배출권 유동성 부족이 발생함에 따라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정부는 이러한 유동성 부족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시장안정화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차 계획기간에는 배출권거래제의 개선 및 정착을 목표로 1차 계획기간의 경험을 참고하여 ‘유상할당’, ‘할당방식의 변경’ 및 ‘시장조성자 도입’ 등의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제도가 배출권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정부 주도의 제도 시행과 변경이 배출권 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빈번한 제도 변경과 과도한 시장 개입은 시장 참여자가 배출권 거래시장을 효율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식하게 하였고, 다른 직접규제를 위한 정책과 동일하게 받아들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Korea announced 'carbon neutrality' around the world in 2050 and declared that it would reduce 40%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2018 by 2030. 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rapid 'energy conversion' are required. It is necessar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expanding the suppl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hrough energy conversion, drastically reducing the use of fossil fuels, and expanding the supply of hydrogen energy. The emission trading system aims to reduce greenhouse gases at the lowest cost by flexibly and flexibly responding to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ies based on market mechanisms.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planning periods have passed since the emission trading system was implemented, concerns have been raised over distortion in the emission trading market as new policies continue to be implemented and existing policies change. The price of emission permits i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smooth operation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carbon emission trading system in Korea and the European Union were ident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rket were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previous studies, the factors of change in carbon emission ticket prices and institutional issues were examined. In the domestic greenhouse gas emission trading market, the volume of transactions was small due to passive responses from companies subject to allocation during the first planning period, but prices rose sharply due to a lack of liquidity in emission rights in the last stage.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market stabilization policy to address this liquidity shortage, which showed that prices fell. In the second planning period, with the aim of improving and establishing the emission trading system, new systems such as 'paid allocation', 'change of allocation method', and 'introduction of market creator' were introduced by referring to the experience of the first planning perio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se systems affect the price of emission righ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mplementation and change of the government-led syst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ice of emission rights. Frequent system changes and excessive market intervention led market participants to recognize the emission trading market as a way to respond to regulations, not as an efficient mean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sulting in the same acceptance of policies for other direct regulations.

      • 활주로 접근 영상 내 기하학적 형태 기반 활주로 검출

        이창현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항공기 안전한 착륙 보조를 위한 활주로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비디오 프레임에 투영 된 활주로의 형태는 활주로와 항공기 사이의 위치관계, 활주로의 크기, 항공기의 자세, 이미지 센서의 해상도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활주로 접근 영상의 비디오 프레임에 소벨 필터링과 허프 변환을 통해 직선성분을 검출한다. 검출된 직선성분들은 수직과 수평성분의 직선으로 나눈다. 활주로를 둘러싸고 있는 직선의 검출은 앞선 수평 및 수직 선 후보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최종 활주로는 히스토그램에 기초한 최종 라인 트리플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이진화에 의해 추출되고, 활주로의 꼭지점들은 이진화 된 활주로에 기초하여 활주로의 수직선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영상 내 활주로의 위치는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전에 검출된 활주로 영역과 현재 프레임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현재 프레임에서의 활주로 탐색 영역을 제한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제안 된 활주로 탐지 알고리즘은 활주로에서 비디오 시퀀스에 접근하는 매우 정확한 활주로 위치를 제공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항공기와 활주로 사이의 거리가 0.96-0.72km 일 때 95% 이상, 0.72-0.36km에서 100% 검출률을 보였다. 제안된 활주로 검출 알고리즘은 항공촬영 영상의 안정화, 자동 착륙 또는 안전 착륙 지원을 지원하는 착륙 보조 시스템, 활주로에서의 장애물 탐지에 이용될 수 있는 활주로 표적화 등에 사용될 수 있다

      • A Genomic Study of the Cervical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Using Whole-Exome Sequencing

        이창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in the cervical spine is known as a rare, complex genetic disease, its complexity being partly because OPLL is diagnosed by radiological findings regardless of clinical or genetic evaluations. Although many genes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have been reported, the exact causative genes are still unknown. OBJECTIVE We performed an analysis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and including only patients with a clear involved phenotype. METHODS We consecutively included the OPLL patients with continuous-/mixed-type and an occupying ratio of ≥ 40%, and performed whole-exome sequencing (WES) and bioinformatic analysis. Then, a validation test was performed for candidate variations. Among the patient group,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rapidly-growing OPLL, growing rate ≥ 2.5%/year; slow-growing, < 2.5%/year; and uncertain). RESULTS WES was performed on samples from 74 patients with OPLL (rapidly-growing, 33 patients; slow-growing, 37; and uncertain, 4) with 26 healthy controls. Analysis of 100 participants identified a newly implicated single-nucleotide variant (SNV) and four candidate genes based on gene-wise variant burden (GVB). The GVB of CYP4B1 showed a more deleterious score in the OPLL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closely rel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osteoarthritis. Cytochrome P450 WP43 related with the gene was identified for the pathway enrichment analysis. The other variations could not be explained by current genetic knowledge. Comparison between the rapidly growing OPLL and control groups revealed seven newly identified SNVs. We found significant association for two rare missense variants; rs121502220 (odds ratio [OR] = infinite; minor allele frequency [MAF] = 0.034) in NLRP1 and rs13980628 (OR= infinite; MAF = 0.032) in SSH2. The three genes ar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control and arthritis, and SSH2 and NLRP1 are also related to vitamin D modulation. CONCLUSION Identification of unique variants in novel genes such as CYP4B1 gene may induce the development of OPLL. In subgroup analysis, NLRP1 and SSH2 genes coding inflammation molecules may related with rapidly-growing of OPLL. 배경 후종인대의 골화는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주로 발견되는 희귀하고 복합 유전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인대가 골화되는 것은 노화의 과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후종인대골화증의 진단기준에 퇴행성 질환을 배제하지 않아 유전성 질환과 퇴행성 질환이 혼재되어 있다. 북미, 유럽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연구가 거의 없고, 아시아 국가에서 발표한 기존의 연구들에는 유전성 질환을 선별하여 유전체 연구를 하지 않아 결과가 연구들마다 상이하다. 후종인대골화증의 발생과 질병의 진행과 관련하여 발병 유전자를 찾으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 유전자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후종인대골화증 환자들 중 유전성 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와 같은 희귀질환에 최적인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후종인대골화증의 발병의 원인 유전자를 찾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환자-대조군 연구로 환자군은 후종인대골화증의 4가지 형태 중 연속형과 혼합형이고, 골화된 후종인대의 척수강 점유율이 40 % 이상인 경우만을 선정하였고, 정상인 지원자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후종인대 골화증의 진행 여부를 알기 위해, 환자군을 진행속도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고속성장, 성장률 ≥ 2.5 %/년, 저속성장, <2.5 %/년, 불분명). 총 10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전체 엑솜 염기서열분석 및 생물정보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데이터를 정제하고, 단일염기, 유전자, 패스웨이의 각 단계에서 변이를 검색하였다. 도출된 후보 유전자 변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후종인대골화증 환자 74명 (고속성장, 33명, 저속성장, 37명, 불분명, 4명)과 26명의 건강한 대조군의 전체 엑솜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100명의 참가자를 분석한 결과,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eucleotide variation, SNV)에서 1개, 유전자수준 변이부담 (gene-wise variant burden, GVB)을 기반으로 4개의 후보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CYP4B1의 GVB는 대조군보다 후종인대골화증에서 더 해로운 점수를 보였다. 이 유전자는 관절염과 관련이 있고, 패스웨이분석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외 통계적 차이를 보인 3개의 유전자의 GVB와 1개의 SNV는 기존의 유전정보로는 설명이 어려웠다. 고속성장 OPLL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여 7개의 SNV가 도출되었다. 그 중, NLRP1유전자좌의 rs121502220 (우도비: 무한대, 대립유전자빈도: 0.034)와 SSH2 유전자좌의 rs13980628 (우도비:무한대, 대립유전자빈도: 0.032)는 내재면역에 관여하며 염증 조절에 관련이 있어 자가면역, 류머티스 질환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CYP4B1 유전자의 변이가 OPLL 발병에 관련이 있을 수 있고, 빠르게 성장하는 OPLL은 특히 NLRP1, SSH2 등의 자가 염증에 관련한 유전자의 변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 학습 무동기 척도개발 : 학습 무동기의 잠재집단 분류 및 예측요인 검증 : Classifying and Exploring Latent Profiles of Amotivated Students

        이창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scale for measuring academic amotivation of adolescents. And It was to find out if the patterns of amotivated adolescents were qualitatively distinct rather than appearing as one of a plurality of patterns; if they were qualitatively different, then these differences would be examined through further exploration. First, for the theoretical frame for the scale development, amotivation, learned helplessness, the expectancy-value model was based for scale for academic amotivation. Next, open-ended survey was administered to 220 middle school students and data of 210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items that explain the organizing factors of the scale were extracted. Their content validity was analyzed and the pre-scale for motivation for academic amotivation was established. Secon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23 items was administered to 200 middle school students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and the organizing factors for scale and data of 200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Lastly, the final version of academic amotivation was settled. The scale developed through the stage of the research included 6 subcategories which included ‘Lack of Intrinstic Value’, ‘Lack of Utility Value’, ‘Perceived Cost’, ‘Lack of Ability ’, ‘Lack of Effort’, ‘Social Pressure’. A total of 18 items were included to measure these factors. The third stage was to validate the developed scale. First,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7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of 697 valid questionnaires ware analyzed. The goodness of fit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items in the final version of the scale. Then,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s factor structure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on motivations for academic amotivation and related variables,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tested to high school students. Lastly, the cross validity was verified to find out if the scale can be generalized. Through these analyses, the scale with 6 subcategories and 18 item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and valid. Also, all subcategories and items were considered reliable. Academic amotiva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self-determinated motivation. Regard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i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Thus, the correlation with the variables used for criterion-related validation was confirmed which proves the validity of the scale for academic motivation. The goodness of fit index for the developed scale was reviewed to confirm that it is a scale that can be generalized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forth stage, by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to 152 middle school students(highly amotivated students), four distinct latent profiles of amotivation were found: will group, lack of effort group, helplessness group and lack of value group. Students who had lower mastery goal were more likely to be helpless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hree groups. Students who had lower performace-avoidance goal were more likely to be helplessness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hree groups. Students who had high performance goal were more likely to be will group, lack of effort group compared to helplessness group. Students who had high academic achievement were more likely to be will group and value lack group compared to helplessness group. Students who had lower perceived parents' autonomy support were more likely to be helplessness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hree groups.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Korean students to develop an scale for academic amotivatio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development of a basic questionnair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explaining of the research on amotivation. Various amotivational factors included in this scale provide concret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students who are amotivated. Therefore the scale for academic amotivation, which was developed and verified to be valid in the present study, will be used to establish distinct intervention strategies. Futhermore, this scale is expected to be a useful tool for understand amotivation problems of students who have a hard time in learning.

      • 한국 노인의 외식 및 커피 소비 행태 추이 분석 : 2001,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이창현 우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ults obtained throughout the study, will be intended for use as a pre- diction article on the consumption behavior of the elderly and the size of the market that targets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transition analytical materials on eating out consumption behavior will be used as a basis for multilateral organizations from marketing and food service companies and food. And, I suspect that the transition analytical materials on consumption behavior of coffee, will be used as basis for consumer positioning strategy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franchise coffee shop.

      • 경기변동이 발생액 지속성과 발생액 이상현상에 미치는 영향

        이창현 인천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재무회계시스템에서 산출된 회계이익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여러 정보 중 하나이다. 지난 30여년 동안 재무회계 연구의 중심은 기업이 보고한 회계정보와 주가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었고, 현행 재무회계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발생주의 조정과정이 회계이익과 관련하여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다. Sloan(1996)은 최초로 이익의 구성요소로서 발생액이 현금흐름에 비해 지속성이 낮다고 주장하였으며, 투자자들이 미래 이익에 대해 발생액의 낮은 지속성이 갖는 의미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액 가격결정오류가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후 재무회계 연구는 발생액의 낮은 지속성과 이상현상(가격결정오류)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변동이 발생액 지속성과 발생액 이상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으로 첫째, 순영업자산 성장과 그 구성요소로서 발생액과 장기 순영업자산 성장의 차별적 지속성 및 이상현상(가격결정오류)이 국내에도 존재하는지를 조사한다. 둘째, 경기변동이 발생액과 장기 순영업자산 성장의 지속성과 이상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1993년부터 2008년 3월 말 까지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중 FnGuide의 데이터베이스, 한국은행의 경제통계시스템, 그리고 통계청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6,913개 기업-년 표본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표본을 이용하여 주요변수들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다변량 회귀분석과 헤지포트폴리오 수익률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변량 회귀분석과 헤지포트폴리오 수익률 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첫째, 순영업자산 성장의 두 가지 구성요소인 발생액과 장기 순영업자산 성장이 유사하게 낮은 지속성 행태를 보임을 발견하였다. 둘째, 발생액의 지속성이 경기후퇴기에 비해 경기팽창기에 상대적으로 더 낮아진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장기 순영업자산 성장의 지속성이 경기후퇴기에 비해 경기팽창기에 상대적으로 더 높아질 것이라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셋째, 우리나라의 경우 발생액에 대해서는 이상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장기 순영업자산 성장에 대해서는 이상현상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 또한 경기후퇴기에 비해 경기팽창기에 발생액에 대한 가격결정오류가 더 커진다는 증거를 발견하였으나, 경기후퇴기에 비해 경기팽창기에 장기 순영업자산 성장에 대한 가격결정오류가 더 작아질 것이라는 증거는 확보하지 못했다.

      • 자연어 처리 모델을 이용한 특허 청구항 작성 및 구체화 방법

        이창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about a method of drafting and developing patent claims using natural AI language processing models. This research is about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apply the creative ability, automation ability, and mass processing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for formalities of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del, which has shown a dramatic performance improvement since the recent release of Transformer, to the field of patent claim drafting.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includes a total of four phases. The first phase is claim generation. The first phase is to generate the output in the form of patent claim from the input of the seed idea of the invention using a natural language generative model. The second phase is claim development. The second phase is, using a natural language generative model, to develop the claim generated through the phase 1 further in multiple directions. The third phase is claim clustering. The third phase is, using a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model, to track and analyze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s generated through the phase 2. The fourth phase is to further claim development. The fourth phase is,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hase 3, to develop the claim further and induce the development in a selected direction. The majority of experiments has been performed in field of electronic cigarettes whose elements are relatively easy to understand. This research demonstrated a new application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odels into the field of patent claim drafting and development. It was demonstrated that a seed idea can be developed using a natural language generative model. It was also demonstrated tha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can be tracked using a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model and the development can be induced to further into a selected direction using. As a future research proposal, analyzing the inventiveness of the results generated through the method according to this study is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ursue in-depth research on outliers generated in the claim specification stage. In addition, research on prompt engineering in the field of drafting and development of patent claims is necessary.   본 연구는 자연어 처리 모델을 이용한 특허 청구항 작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 Transformer 공개 이후 비약적인 성능 향상을 보인 자연어 처리 모델의 창의적 능력, 자동화 및 대량 처리 능력 및 형식적 사항에 대한 학습 능력을 특허 청구항 작성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연구에 따른 청구항 작성 및 구체화 방법은 총 4단계를 포함하며, 제1 단계는 청구항 생성 단계로서 자연어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발명의 시드 아이디어로부터 청구항 형태의 결과물을 생성하는 단계이고, 제2 단계는 청구항 구체화 단계로서 제1 단계를 통해 생성된 청구항 형태의 결과물을 자연어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다수의 방향으로 발전된 청구항들을 생성하는 단계이며, 제3 단계는 청구항 군집화 단계로서 제2 단계를 통해 발전된 구체화 내용을 자연어 이해 모델을 이용하여 추적 및 시각화하는 단계이다. 제4 단계는 청구항 구체화 심화 단계로서 제3 단계를 통해 파악한 청구항 구체화 내용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청구항들을 더욱 구체화시키고, 특정한 방향으로 청구항들이 구체화되도록 유도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실험들은 그 구성 요소들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가 용이한 전자 담배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자연어 처리 모델을 특허 청구항 작성 분야에 적용하여 자연어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시드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킬 수 있고, 자연어 이해 모델을 이용하여 그 구체화 방향을 추적할 수 있음을 보였고, 또한 특정 방향으로 구체화되도록 유도할 수 있음을 보였다. 향후 연구 제안으로, 본 연구에 따른 방법을 통해 생성된 결과물의 진보성 지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청구항 구체화 단계에서 생성된 이상치(Outlier)들을 추적하여 심화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 청구항 작성 및 구체화 분야에서 prompt engineering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