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준 대학원 졸업공연 '우리의 계절' 소논문

        이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공연 <우리의 계절>에서 연주된 곡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작곡된 곡들과, 편곡된 곡들의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석사과정 재학 중 학습했던 이론과 방법들 그리고, 필드에서 음악 활동 및 공연 등을 바탕으로 곡의 의도, 형식, 밴드 편성, 베이스 라인 바레이션 등을 편곡 구조에 따라 각각 분석하여 작품의 음악적 의도와 특징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졸업 작품은 총 7곡으로 4곡의 자작곡과 3곡의 기존 곡을 재 편곡하였는데, 각 곡에서의 <우리의 계절> 주제에 맞는 의도에 따라 곡의 리듬과 다이내믹, 악기 편성 등과 화성 등을 표현해 내었다. 특히 이 주제에서 연주자가 갖고 있는 경험으로서 함께 느끼고 공감하는 무대로 표현하였고, 악기 편성은 드럼, 베이스, 기타, 피아노 1,2, 보컬로서 리듬 섹션에 스트링과 패드, 신스 등을 추가해 나가는 형태를 가져갔다. 또한 MTR 을 이용해 리얼 브라스와 보컬 코러스 등의 사운드로 도움을 받았다. 이로써 각 계절을 더욱 느낄 수 있는 사운드로 표현해 나갔고, 각 곡마다의 베이스 연주 기법을 통해 공연의 주제로써 더욱 조화를 이루는데 중점을 두었다.

      • 高麗時代 石棺 硏究

        이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ulture of graves is relatively less volatile culture among the diverse cultures which human made, and it has obvious regionality and contemporary characteristic. The sort of tombs in Goryeo period is classified as pit burial, stone-lined chamber, stone chamber tombs, and stone-cist tomb(sarcophagus), and only sarcophagus was made by clay slate. Sarcophagus were used after secondary burial(洗骨葬) or cremation. Sarcophagus in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was built by assembling six slates and was embossed or engraved with the patterns of the Four Deities(四神),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peony, lotus, and Flying Apsaras(Flying Deva, 飛天) and the record of the owner of the tomb. In this sense, sarcophagus is the most outstanding material among art history, costume history, folklore, and funeral arts including epitaph related to history, literature, and caligraphy. Nevertheless, it hasn't received attention yet from the art history. Existing research results show the method of funeral or ideological foundations about sarcophagus, or deal with only one example individually.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lluminate the art-historical value of sarcophagus, examining the origin of sarcophagus and the position of the owner of the tomb who chose the sarcophagus and analyzing the structures and motifs of sarcophagus. First, about the origin of sarcophagus, stone-cist tombs and cremation tombs which existed before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sacrophagus in China were examined. Cremation tombs in the period of Unified Silla were chosen by the part of ruling class such as the royal family, Buddhist monks, and the Yookdoopoom(六頭品) mainly in the royal district, and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burial urn, stone case, stone-lined chamber, and stone cist. Burial accessories were the earthen image of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bronze ingots, scraps of iron, and so on. On examination of Chinese stone cist, funeral arts on a variety of subjects such as the Four Deities(四神),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procession had already been developed since the Han period, and the form that the pattern of the Four Deities(四神) and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are engraven was not changed though the expressions were differen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epitaphs of Goryeo made of the same quality of the material of sarcophagus was produced before the period when sarcophagus of Goryeo was emerged, and among those epitaphs, the oldest things which inherited until now are the epitaphs of Chae In-beom and Yu Ji-seong who were naturalized from China. In addition to them, some naturalized people were engaged in ritual work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fact that the regulations about funeral in Goryeo were organized at that time can be found in the records. Through this, the origin of sarcophagus is assumed that it was developed from the cremation tomb chosen by some ruling class of Unified Silla and changed to ornament the Four Deities(四神) or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on the four wall stones by emboss or petrogram under the Chinese influence. Also, the status of the owner is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sarcophagus or the epitaph produc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sarcophagus. In the case of 23 examples of 45 sarcophagi which have examined until now, the owner of sarcophagus can be identified. On investigation of the owners focused on the process of holding the government position, final position, and the family, they held the government position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s, the protected appointments, or making a contribution, and stayed over the fifth grade of office. Most of them belonged to hereditary aristocracy including famous royal in-law families. Judging from this, the fact that cremation tomb of Unified Silla was turned into the way of culture which was enjoyed by hereditary aristocracy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in the period of Goryeo. The evidence of this is the similar periods in which hereditary aristocracy was built and in which sarcophagus emerged. The structure of sarcophagus consist of the foundation stone which plays a role of floor, wall stones which compose the four sides with four slates, and cover stone. The assembling method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methods: the structure style and the joint style. The structure style is inserting the part of wall stones into the ring or hole made in each other, and the joint style is interlocking the long wall stones into the shallow grooves which is cut on the short wall stones vertically. Images are generally ornamented o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four wall stones and cover stone as the raised carving or the petrogram. On the outside of wall stones are mainly decorated the Four Deities(四神) and the Twelve Zodiac Animals(Twelve Calendrical Animal, 十二支神), and on the inside of wall stones are the peony motifs. The images of lotus, Flying Apsaras(Flying Deva, 飛天) and constellations are carved on the cover stone. These images are only different in terms of forms, and similar to general subject decorated on burial system in Korea or on Goryeo Celadon and the object of metal craft at that time. In this respect, sarcophagus shows simultaneously universal arts and funeral arts of Goryeo. Sarcophagus was produced actively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the twelfth century, and the appearance of style and shape was somewhat multiple. However, the amount of sarcophagus was definitely decreased since Goryeo military regime. In this regard, the estimation can be arised that there were two backgrounds. First, because hereditary aristocracy which mainly selected sarcophagus loose their footing at the central government, their culture changed. Second,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Buddhist funeral system was prohibited and burial place was also changed from temple to one's own house. This seemed to cause sarcophagus to decline and moreover become extinct. This is in the same vein of trend of thrifty tombs rather than lavish tombs in East Asia in the fourteen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t burial system inherited from the period of Unified Silla and of foreign culture, the only prefabricated tomb type of Goryeo formed, and due to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ism, the tomb type disappeared. In this sense, the sarcophagus style is a typical example to demonstrate the process where material culture is built and disappears naturally in human living..

      • 산림토목사업 감리제도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준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2006년 8월 6일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산림분야의 사업에도 감리제도가 도입되어 실행되고 있다. 감리제도는 사업의 질적 향상과 투명성의 확보 등을 목적으로 실행되어 지는 제도로서 산림토목분야에 감리제도가 실행됨으로서 사업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오고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감리제도는 건설분야 등의 감리제도를 참고하므로서 산림토목사업이 갖는 사업지의 분산과 공사비 규모에 비해 과다한 사업기간 그리고 사업지의 분산 등 여러 특수성에 대한 고려없이 시행됨으로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제도의 시행 초기로서 감리원 업무범위의 사업적 특성의 미반영, 산림사업법인과 1급 산림공학기술자 자격만으로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원의 자격에 대한 문제점, 또한 감리의 업무에 비해 과소하게 책정된 감리비용 및 감리현장의 개소수에 대한 제한 등 여러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산림토목사업의 감리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첫 번째 사례인 2006년 집중호우피해복구공사에 대한 감리에서 나타났고 현재도 이러한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림토목사업이 갖는 특성을 고려하여 첫째, 감리메뉴얼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고 산림토목사업의 특성과 현실에 부합하는 감리의 업무범위 조정이 필요하며, 둘째, 감리업무의 전문화와 질적 향상을 위한 산림토목감리 전문업체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사업기간의 산정에 있어 사업비의 규모에 부합하는 적정 사업기간의 산정이 필요하고, 넷째, 감리대가의 산정에 있어서 감리업무내용에 부합하는 객관적인 감리대가산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방사업시공감리업무지침에서 규정한 3개소 계약초과 금지 규정에 대해서는 사업비와 사업 개소수에 대한 연동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산림토목사업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설 등의 타분야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는 분야로서 감리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산림토목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고 현행의 불합리한 제도에 대한 수정 및 보완으로 감리제도가 사업의 질적 수준 향상이라는 본연의 목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산림토목사업 감리제도의 효율화를 이루고 감리제도의 발전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산림사업의 감리제도의 정착과 발전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upervis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and carried out in the forest work since 'Law of Forest Resource Preparation and Management' came into effect in August 6, 2006. As supervision system enhances a work quality and transparency, the introduction of the supervision system in the forest work enhanced a forest work quality and transparency. However, the supervision system in the forest work brought about several problems because it referred to the one in the civil engineering without considering such facts as dispersion of work places and size of working expense. As the enforcement of the system is at the beginning, the problems were caused that characteristics within the affair of supervisor were not considered, a forest corporation or a first rated forest civil engineer can carry out the supervision, the supervision coat is too low relative to the heavy work, and the number of supervision fields is limited. These problems came out first in supervision the repair work of the area damaged by heavy rain in 2006 when the system came into effect, and still can be happened in the work. For solving these problems, at first there need the preparation of the supervision manual and the adjustment of the supervision scop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forest civil engineering, Secondly a special supervision corporation of forest civil engineering should be introduced for advancing the speciality and quality of the supervision. Thirdly the work period should be calculated suitably to the work size and fourthly the supervision cost should be assessed considering the content of supervision work. Fifthly the prohibition over three contracts in the guideline of erosion control supervision needs to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cost and the number. As the forest civil engineering is different with other civil engineering as mentioned above, its supervision need special knowledge and experience on forest civil engineering. Considering this, the improvement of work quality will be acquired through the revision and repletion of the system. I hope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and advancement of supervision system of forest civil engineering and more studies and reviews are needed for the firm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장기보험고객의 이탈예측모형에 대한 연구

        이준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서 정보기술의 지속적 발전은 대량 데이터의 축적은 물론 이들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관계, 패턴, 규칙을 탐색하고 분석하여 모형화하는 기법, 즉 데이터 마이닝의 발전을 가능케 하였고, 고객관계관리, 신용평가, 품질개선, 부정행위 적발 등 실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활용하고 있다. 보험회사에서는 보험고객의 중도이탈로 인한 수익성 및 안정성 문제, 그리고 소비자 보호 및 보험감독 측면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고객의 유지를 통하여 고객가치 및 기업 가치를 극대화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의 주요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측면을 기존 문헌을 토대로 설명하고, A 보험회사의 장기보험 유지계약과 해지계약을 표본추출한 후, 장기보험 해지여부를 반응변수로 하고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설명변수를 고객정보, 계약정보, 채널정보에서 각각 선정하여 탐색적 자료분석(EDA)을 먼저 실시하였다. 데이터마이닝의 주요 방법론인 로지스틱회귀 분석, 의사결정나무 분석, 신경망 분석 방법별로 모형을 상호 비교하여 로지스틱회귀 분석에 의한 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고, 앞서 실시한 탐색적 자료분석(EDA)을 통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계수를 이용한 스코어링(Scoring) 및 고객이탈 예측모형 평점표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실제 현업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데 필요한 화면 및 데이터마트(Data Mart)를 구성하였다.

      • 수유기의 C57BL/6계 어미 생쥐에서 Litter-크기에 따른 에너지-항상성 조절 지표들의 변동에 대한 연구

        이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동물에서 신생아기에 ‘Leptin surge’가 나타나며, 태생기와 신생아기의 스트레스 반응 및 성장과 발달, 및 뇌의 발달, 특히, 에너지-대사조절프로그램의 발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데, 어미쥐에 대한 새끼쥐의 비 (litter size)가 작은 조건에서 ‘leptin surge’의 정도가 증강되면, 성장한 후의 동물, 특히 암컷 흰쥐에서 비만과 insulin저항성 등의 발병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산후 체중 증가증 및 임신성 비만과 당뇨병 등이 약 10% 이상에서 발생하고 만성 대사성 질환의 위험을 증대시킨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 12주령의 C57BL/6계 임신생쥐를 출산후 2일에 어미에 대한 새끼생쥐수(ltter size)가 정상인 8수군(NL)과 작은 3수군(SL)으로 나누어 산후-21일간의 수유기와 이유 후 4일간에 나타나는 수유 중 어미생쥐의 체중, 식이와 음수량, 혈장의 prolactin, leptin 및 corticosterone치, 및 지방조직의 leptin과 시상하부의 CRH, NPY,및 ObRb와 STAT3의 mRNA 발현도를 분석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유-어미생쥐들은 비수유 암컷 생쥐들에 비하여 수유기간, 특히 수유-전기인 산후14일간 섭식량과 체중의 증가가 현저하였고, 수유-후기인 산후14-21일간의 섭식량은 그 전주 정도로 여전하였으나 체중은 섭식효율과 함께 급격한 감소를 보였고, 이 때 나타난 체중의 감소는 이유 후 산후25일까지 지속되었다. 둘째, 혈장prolactin은 수유기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leptin과 corticosterone은 별 변동을 보이지 않았고, 시상하부의 CRH mRNA 발현도는 산후14일가지 현저히 증가한 후 산후25일가지 회복되었으나, 지방조직의 leptin mRNA와 시상하부의 NPY, ObRb 및 STAT3 mRNA들은 별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NL군의 어미쥐들의 식이와 음수량, 및 체중 증가는 SL군의 그 것들 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혈장호르몬들과 조직 mRNA 발현의 성적 중에 NL군의 혈장 prolactin치만 SL군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산후21과 산후25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성적은 (1) litter크기에 따른 차이를 혈장 prolactin 증가가 일부 반영하는 것으로는 보이나 다른 인자들에 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2) 산후14-21일간에 수유-어미 생쥐의 식이와 음수량 및 체중증가와 섭식효율 등의 감소를 저해한다면, 수유-어미와 그 자손의 대사성 만성질환과 산후우울증 등 산후에 발병하는 질환에 대한 연구의 실험동물모델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논문이 산후체중증가증과 연관되는 비만과 insulin저항성, 및 산후우울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의학의 발전에 이바지 하는 바가 크며, 의학박사학위논문으로 타당하다고 판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