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선주의 졸업 작품 「Shape of water (부제 : 사랑의 모양)」 해설

        이선주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소논문은 「Shape of water (부제 : 사랑의 모양)」 라는 주제를 토대로 만들어진 4곡의 졸업 작품을 해설한 것이다. 영화 “Shape of water”는 서로 다른 두 종의 생명체가 만나 사랑하는 방식을 물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그려낸 작품이다. 모든 사람들이 끔찍하다고 말하는 괴생명체를 보고 연민을 느끼며 사랑에 빠지는 주인공의 모습을 보면서, 과연 나는 나와 다른 타인을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어떠한 태도로 접근해야 좋을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게 되었다. 특히 인상 깊었던 장면들을 이 영화의 전개에 따라 음악으로 표현하였다. 1) 다른 행성에서 : 온 몸이 비늘로 덮인, 물고기도 인간도 아닌 끔찍하게 생긴 괴생명체를 보고 첫 눈에 이끌리는 인간여자. 이 둘은 한 공간에 있음에도 마치 다른 행성에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낯선 생명체를 마주했을 때, 두려움과 거부감이 아닌 호기심과 동질감으로 대하는 주인공의 태도가 인상 깊었고 그 느낌을 곡으로 표현해보았다. 2) 사랑이라는 마음이 무얼까 떠올렸을 때 : 영화의 주인공은 농아이다. 장애인이기 때문에 차별받고 소외됐던 자신의 모습을 물고기 형상을 한 괴생명체에게 투영시키며 친절을 베푼다. 주인공이 괴생명체에게 느끼는 감정이 단순히 연민과 동질감을 넘어 사랑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장면들에서 나는 사랑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3) 사랑하면 누구나 다 : 현실적으로 말이 안 되고 기괴하리만치 아름답게 느껴지는 동화 같은 스토리지만 충분히 공감 할 수 있는 사랑 이야기였다. 사랑하면 누구나 동일하게 느낄 수 있는 감정을 개인적인 생각으로 표현한 곡이다. 4) F I N A L : 이 영화에는 말 못하는 농아, 흑인여성, 동성애자와 같은 소수자들에 대한 차별의 이야기를 다루는 장면들이 많이 나온다. 종을 넘어선 두 부류의 사랑이라는 설정도, 그리고 그 사랑을 응원하는 모든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주류의 기준에서 벗어난 ‘아웃사이더’ 라는 점도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그런 사회적 약자에 대비되는 캐릭터, 말하자면 악역이 등장하는데 이 인물은 자기주장이 강하고 소수자들에게 차별적 발언을 서슴없이 내뱉는 고집이 센 전형적인 60년대 남성주의 마초 캐릭터이다. 그가 세상을 판단하는 방식이 철저하게 선입견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다는 것을 죽기 바로 직전에 가서야 깨닫는 장면을 보고 그는 단순히 특권을 누리는 가해자가 아닌 나약한 인간이었음을 느꼈고 그 느낌을 곡으로 표현하였다.

      • 남녀 공학 고등학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 비공학과 공학을 모두 경험한 교사를 대상으로

        이선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은 전인적인 인격을 지닌 민주 시민 양성을 이상으로 삼으며 그 한 방편으로서 남녀 공학의 문제가 대두되고 이에 대해 찬반이 엇갈린 가운데 이미 오래 전부터 남녀 공학이 실시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확대되어 나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계속 추진되고 있는 남녀 공학 고등학교의 교육적 효과를 남녀 공학 제도가 갖는 이론적 장점인 평등사상 구현, 사회성 발달, 학습 효과 신장 그리고 건전한 이성 교제의 네 가지 측면에 대해 비공학 학교일 때와 비교·분석하여 우리 교육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비공학 학교와 공학 학교를 모두 경험한 현직 교사 300명으로 하였으며, 남·녀 교사별, 교사 연령별, 경력별, 경험한 재직교 형태별, 설립 유형별, 현 재직교 계열별, 현 재직교가 남녀 공학으로 전환한 기간별 등으로 남녀 공학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비공학의 형태와 비교하여 볼 때, 남녀 공학으로 인한 학생들의 남녀평등 의식은 그다지 높게 보지 않았으며, 연령과 경력이 적을수록, 현 재직교 이전에 남학교에 근무한 교사일수록, 그리고 현재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와 실업계에 근무하는 교사·남녀 공학으로 전환한 시기가 3-5년 미만인 학교의 교사일수록 학생들의 남녀평등 의식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다. 2. 교사들은 남녀 공학으로 인한 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연령이 40세 미만, 경력이 적을수록, 현재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실업계 학교 교사, 남녀 공학 전환 시기가 오래된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다른 교사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3. 교사들은 남녀 공학으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 효과에 대해서는 그다지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연령과 경력이 적을수록, 현재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실업계 학교 교사, 그리고 남녀 공학으로의 전환 시기가 오래된 학교 교사일수록 다른 교사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4. 교사들은 남녀 공학으로 인한 학생들의 이성관에 대한 의식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남자 교사와 현 재직교 이전에 남학교에 근무한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5. 교사들은 남녀 공학에 대해 그다지 만족하지 않았으며, 남자 교사, 연령과 경력이 적은 교사, 이전에 남학교에 근무한 교사, 현재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와 실업계 학교 교사, 그리고 남녀 공학 전환 시기가 오래된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남녀 공학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다. 남녀 공학에 대한 만족도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남녀평등'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이성관' '사회성 발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효과'가 가장 낮았다. 이상과 같이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남녀 공학이 그다지 만족한 환경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즉 남녀 공학이 비공학이라는 학습 환경에 비해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음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선행 연구에서도 우려한 남녀가 중성화되는 경향, 학교 시설의 부족, 학습 면에서의 남녀 학습 흥미차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으며, 학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 강하게 부정적으로 나타난 반면에 비공학시와 비하여 이성을 이해하고 이성으로 인한 학생 사고가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언어가 순화되고 과격한 행동이 학생들 간에 많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만으로 남녀 공학에 대한 교육적 효과에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지나친 속단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남학교에 근무한 교사들은 남녀 공학이 학생들의 남녀평등 의식과 이성관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는 남학생들이 여학생과 함께 생활하면서 여학생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인격을 존중하게 되었으며, 또 남녀 공학으로 전환한 시기가 오래된 학교에 근무한 교사일수록 남녀 공학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현재는 남녀 공학과 비공학이라는 양 체제가 각각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갖고 있으며 정착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찬반이 엇갈리는 과도기라 볼 수 있으며 지속적인 남녀 공학은 점점 긍정적으로 정착되어 많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goal of education is to raise a well-rounded democratic citizen, and one of the issues constantly being raised in the process is the issue of coeducation. Despite a flurry of pros and cons over this matter, coeducation has been under way for quite some time, and the scope of it is expected to expand over the next several yea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compare the educational effect between coed and non-coed, and suggest ways for the direction of our education. Four aspects I have integrated in the project are conventional merits of coeducation-egalitarianism, social development, academic enhancement and wholesome gender relationship. Participants of the project were 300 instructors with experiences in both coed and non-coed surroundings. I sought after their opinions on the changing perceptions of students based on the following breakdowns: 1. Gender 2. Age 3. Work Experience 4. School Type 5. Foundation Type 6. Current School Type 7. Transition Period of Current School to Coed The research project summary is as follows: 1) The average for gender equality perception under coed surroundings was a lower than expected 2.97 when compared with non-coed surroundings. Instructors with a higher degre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ended to be those with shorter experience, younger age, experience at male-only schools, work at public schools, work at vocational schools and 3~5 years of coed experience after their schools have been transitioned to such. 2) Instructors in general were by and large skeptical of greater social development as a result of coeducation, supported by the average reading of only 2.64 in this regard. Instructors with a positive perspective on social development in relation to experience, currently teaching at a public school, vocational school teacher, have been under the coed environment for quite some time since the transition. 3) Instructors as whole were not so enthusiastic about the effect of higher academic achievement via coeducation, indicated by the 2.42 average reading on this respect. Again instructors with almost identical profiles as mentioned above in two cased had a greater propensity to demonstrate more positive linkages between coeducation and higher academic standards. 4) Instructors were not so positive on the outcome of better gender relationship stemming from coeducation. Male teachers and those who taught at male-only schools expressed positive responses. 5) In a nutshell, the satisfaction index of coeducation put gender equality at the pinnacle with a 2.97 average, followed by gender perspective (2.89),social development (2.64) and academic achievement (2.42). The average of co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mong teachers were rather low at 2.73, and those who are male, younger and shorter in job experience, who taught at male-only schools, who currently teach at public schools and vocational schools, and those who have spent considerable amount of time under the coed circumstances after the transition had a tendency to feel greater degree of satisfaction on coeducation. My research project shows that teachers in general have a low level of satisfaction on coeducation. In summary, this very research proves little correlation between improved perception among students' view of the world and coeducation as an academic milieu.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any negative conclusion jumping of coeducation's effect on education solely on the basis of this project ought to be avoided at all costs. We should pay keen attention to the finding that teachers with extensive years of exposure to the coed environment demonstrated greater level of satisfaction towards coeducation. Since both coed and non-coed have positives and negatives, the drawing I would like to make from this project is that we are in the midst of a transition and that as time goes, so will the maturation of this phenomenon.

      • 자기성찰지능과 정서조절능력이 초등학교 학교폭력 가해경험 및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이선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on school violence experience. The effects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on bully and victim of school violence were 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students at 3 elementary school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 total of 927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ir responses on the scales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between school grades. School violence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irls and boys.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had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violence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However, a sub-factor of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control for other person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hird, intrapersonal intelligence,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violence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had high correlation with each other. Fourth,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turned out to significantly predict both school violence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in predicting school violence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에서는 자기성찰지능, 정서조절능력이 학교폭력 가해경험 및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학교폭력 가해경험 및 피해경험에 대한 자기성찰지능과 정서조절능력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그리고 인천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 남녀 학생 927명의 설문지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성찰지능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 학교폭력 가해경험 및 피해경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기성찰지능에서 유의한 학년 차이가 나타났고, 학교폭력 가해경험 및 피해경험에서는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찰지능과 정서조절능력 각각 학교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과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이 때 정서조절능력의 하위변인인 타인의 정서조절에서는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성찰지능과 정서조절능력 그리고 학교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이 서로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성찰지능과 정서조절능력은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을 모두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성찰지능과 정서조절의 상효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이중언어사용자의 받아쓰기에 나타난 음운 특성 : 여성 결혼 이주민을 중심으로

        이선주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중언어사용자의 쓰기에 나타난 음운 오류 특성을 알아보고자하는 것으로, 겹받침을 이용한 받아쓰기를 통하여 ‘겹받침+모음’, ‘겹받침+자음’ 환경에서 나타나는 음운 표기 오류 종류와 빈도의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인과 결혼하여 한국으로 이주한 후 최소 1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 이주민들로,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3~4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이며 이중언어강사 양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자들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겹받침이 포함된 문장을 받아쓰기를 한 결과 약 25% 정도의 오답률이 나타내었다. 둘째, 겹받침이 포함된 받아쓰기에서 오류의 발생 정도를 보면 생략>소리대로 표기>대치>중복 오류>위치혼동 순으로 발생하며 정확히 분류할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오류도 발생하였다. 셋째, 반드시 사용 빈도와 오류율이 일치하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오류가 적게 나타났다. 넷째, 분류가 어려운 특이한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문맥을 고려하지 않고 쓰기에 집중하여 발생한 현상으로 보였다. 다섯째, ‘겹받침+모음’, ‘겹받침+자음’의 환경에서 음운 표기 오류의 빈도 차이를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겹받침+모음’의 환경에서 ‘겹받침+자음’보다 오류가 적게 나타났다. 여섯째, 생략, 대치, 위치 혼동, 기타 분류하기 힘든 답변에서는 ‘겹받침+자음’의 오류가 월등히 높은 반면, 소리대로 표기, 겹받침을 대치 한 후 뒤에 오는 모음을 소리대로 표기한 중복 오류는 ‘겹받침+모음’의 경우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겹받침이라는 어려운 구조와 받아쓰기라는 환경만을 연구하여 전체적인 오류를 알아보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른 환경에서 나타나는 쓰기 오류에 대해 연구와 다양한 음소에서 나타나는 쓰기 오류를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받아쓰기 교육이 이중언어사용자들의 한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errors in phonemes shown in the writing of bilinguals; thus, the study analyzed the error types and frequency of errors in indicating phonemes shown in ‘final double consonants+vowel’ and ‘final double consonants+consonant’ environments through dictation using final double consona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have resided at least over one year in Korea since they immigrated to Korea through marriage with Koreans and are Korean language learners at the 3~4 levels of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have participated in the bilingual lecturer cultivation cours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aking dictation of sentences including final double consonants, about 25% of the incorrect answer ratio appeared. Second, in looking into the level of the occurrence of errors in dictation including final double consonants, errors occurred in the order of omitting>indicating according to sound>substituting>error of redundancy>confusion in placement. Also, a specific type of error which cannot be accurately classified appeared. Third, although the frequency of use does not necessarily match the error ratio, the higher the frequency of use was, the smaller the error was in most cases. Fourth, there appeared a lot of specific errors which are not easily classified. There appeared to be a phenomenon caused by concentrating on writing without considering a context. Fif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errors in indicating phonemes in ‘final double consonants+vowel’ and ‘final double consonants+consonant’ environments. Then, in general, errors appeared less in the ‘final double consonants+vowel’ environment than in the ‘final double consonants+consonant’ environment. Sixth, in some answers in which omitting, substituting, and confusion in placement appeared and/or which were not easily classified, the error of ‘final double consonants+consonant’ was remarkably high. Meanwhile, indicating according to sound and an error of redundancy which indicates vowels which are placed behind according to sound after substituting final double consonants were higher in the case of ‘final double consonants+vowel’.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discovering all types of errors since it researched only a difficult structure of final double consonants and an environment of dic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into errors found in a different environment and to find out errors in writing, which appear in diverse phoneme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discover any effect of consistent dictation education on the learning of Korean language by bilinguals.

      • 청소년의 애착수준과 애착유형에 따른 열등감과 분노표현

        이선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애착수준과 애착유형에 따른 열등감과 분노표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2개교의 1, 2학년 남녀 4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애착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IPPA-R), 애착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애착유형척도, 열등감을 측정하기 위해 열등감 척도, 분노표현을 측정하기 위해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수준에 따라 열등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애착수준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열등감의 모든 하위척도(신체적 열등감, 학업적 열등감, 가정적 열등감, 사회적 열등감)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열등감은 학업적 열등감, 사회적 열등감, 신체적 열등감, 가정적 열등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수준에 따라 분노표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애착수준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분노억제, 분노표출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분노조절은 애착수준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애착유형에 따른 열등감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애착유형의 네 가지 유형인 안정형, 무시형, 몰입형, 공포형에 따라 열등감의 하위유형인 신체적 열등감, 학업적 열등감, 가정적 열등감, 사회적 열등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등감은 안정형, 무시형 애착유형에서 적게 느끼고 있고 공포형, 몰입형이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애착유형에 따른 분노표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애착유형의 네 가지 유형인 안정형, 무시형, 몰입형, 공포형에 따라 분노표현의 하위유형인 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조절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억제는 안정형이 무시형, 몰입형, 공포형보다 덜하고, 분노조절은 안정형, 몰입형이 무시형, 공포형보다 덜하는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기 나눠서 연구되어 오던 청소년의 애착수준과 애착유형에 따라 열등감과 분노표현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며, 아동상담에서 애착수준과 애착유형이 청소년의 열등감과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sense of inferiority and anger expression in the adolescence according to attachment level and attachment style. For this purpose, 474 male and female 10th and 11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or a survey from two high schools in Incheon.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R) was used to measure their attachment level, Inventory of Attachment Style to measure their attachment style, Sense of Inferiority Inventory to measure their sense of inferiority,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to measure their anger expression.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students' sense of inferiority according to attachment level, it was found that the all subfactors of inferiority (physical inferiority, academic inferiority, family inferiority, and social inferior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group with weaker attachment level. The highest sense of inferiority was academic inferiority, followed by social inferiority, physical inferiority, and family inferiority. Second, in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students' anger expression according to attachment level,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weaker attachment level has significantly higher anger-in and anger-out, but anger-control was similar for all groups. Third, in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students' sense of inferiority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 it was found that the four styles of attachment - 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and fearful - have influence in the sub-factors of inferiority: physical inferiority, academic inferiority, family inferiority, and social inferiority. The sense of inferiority was experienced less in secure style and dismissing style and was experienced more in preoccupied style and fearful style Fourth, in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students' anger expression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 it was found that the four styles of attachment - 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and fearful - have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anger expression: anger-in, anger-out, and anger-control. Anger-in was experienced more in fearful style, preoccupied style and dismissing style, and was experienced more in secure style. Anger-control was experienced less in secure style and preoccupied style and was experienced more in dismissing style and fearful style. This was an integrative study of the sense of inferiority and anger expression of the adolescence according to attachment level and attachment style and its significance is that it provides basic resources for parent counseling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ttachment level and attachment style on the sense of inferiority and anger expression of the adolescence.

      • 암환자의 심리사회 적응 구조모형

        이선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Amid the recent increase of the cancer incidence, the survival rate of the cancer patients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s of the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However, they experience the fear and the anxiety once they are diagnosed. Also, they suffer from psychological and social difficulties as well as physical pains during the treatment. The patients spend the painful time psychosocially on the repeated treatments and progressions for a long time during the treatment courses.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changed situation and to participate in the treatments actively together with continuous management of their healt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s for self-initiated healthy lives by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model was described and validate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the cancer patients’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and to estimate the factors to affect the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directly and indirectly based on Kim In Ja’s theory (1997) which combined with Roy’s adjustment theory and proposition of stress-evaluation-countermeasure by Lazarus and Folkman. The measurement variables consisted of three external ones including symptom experienc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nd six internal ones including uncertainty, overcome, self-esteem, problem oriented countermeasure, emotional oriented countermeasure, and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The study subjects were the cancer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gastrointestinal cancer, breast cancer, pulmonological cancer, genitourinary cancer, and so on as the inpatients or outpatients in the general hospitals in D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y self-reported survey form from November 20, 2016 to February 10, 2017, and 200 data were analyzed out of 220.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Win 23.0 by descriptive analysis per demography and study variables. Applicability of hypothesis model and its test were performed using Amos 23.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Upon the fit analysis of the hypothetical model, overall fit index of the model was = 300.52(p<.001), /df= 2.76, GFI .86, RMSEA .09, NFI .83, CFI .88, NNFI(TLI) .83, AGFI .86, PNFI .59,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the amended model. 2. To enhance the fit level of the hypothetical model, the amended model supporting 11 paths as a whole was finalized by deleting the paths if the value between the measured errors is smaller by amended index measurement. 3. Upon the fit analysis validation of the amended model, the results showed with =121.07(p<.001), /df=2.24, GFI=.93, RMSEA .08, NFI .90, CFI .94, NNFI(TLI) .90, AGFI .86, PNFI .54 suggesting the better amended model than the hypothetical model. 4. According to the validation results of the amended model,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the uncertainty of the cancer patients wer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demonstrating 55.1% explanatory power of uncertainty to the cancer patients by thes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overcome wer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uncertainty, demonstrating 40.3% explanatory power of overcome to the cancer patients by thes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self-esteem wer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overcome, demonstrating 44.1% explanatory power of self-esteem to the cancer patients by thes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problem oriented countermeasure wer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demonstrating 32.2% explanatory power of problem oriented countermeasure to the cancer patients by thes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were symptom experience and uncertainty, demonstrating 41.0% explanatory power of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to the cancer patients by these variables. In conclusion, symptom experience and uncertainty were found to be the crucial factors to affect the cancer patients’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Using these results, it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symptom relieving programs, objective treatment directions, potential symptoms and nursing interventional program on the information to lower the experiences of symptoms. To lower the uncertainty, it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the programs of adjustment to the psychological society by self-support meeting of the cancer patients who were in common to have counseling and treatments on the progression and treatment plans after diagnosis of their cancers.

      • 중장년층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요구분석

        이선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Successful Aging Needs in the Middle-aged Class This study targets the middle-aged class, between the age of 40~65, to empirically verify their successful aging need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configured.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needs per component factor for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aged class?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needs per component factor question for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aged class? [Research Problem 3] What are the lifelong education needs for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aged class? A survey f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approximately a month, from January 15th to February 15th 2020.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for the selection of survey participants. The survey consists of 55 questions in total; 6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participant, 31 on successful aging, 18 on lifelong educations they want to learn for successful aging. 270 surveys were distributed of which 250 were retrieved (retrieval rate: 92.5%), and excluding 47 half-hearted surveys, 203 surveys (effective data rate: 81.0%) were used as the research material for this study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Borich’s Demand, LFF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analyzed. First, the analysis of needs per component factor for successful aging showed orientation for self-perfection in the top priority group. Second, the analysis of needs per component factor question for successful aging showed no.7 & no.9 for autonomous life and no.29 & no.30 for acceptance of others in the top priority group. Autonomous life was no.7 ‘I try to correct habits that are destructive to my health’ and no.9 ‘I maintain the necessities of my life within my means’. Acceptance of others was no.29 ‘When something upsets me, I don’t dwell on it for long’ and no.30 ‘I can well accept the stance of younger generations’. Third, the analysis of needs per component factor question for successful aging showed no.14 & no.15 for self-perfection, no.16 for active participation in life, no.23 & no.25 for satisfaction with children, and no.26 for proprioception in the secondary priority group. The contents of each question was no.14 ‘I donate stuff for others when I get the chance’, no.15 ‘I consistently exercise to maintain my health’, no.16 ‘I take part in many social activities (leisure and religious activities)’, no.23 ‘My children have brotherly-sisterly compassion for one another’, no.25 ‘My children’s family is harmonious’, no.26 ‘I feel that I have value of existence in this world’. Fourth, the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needs for successful aging showed ‘health care’ and ‘language’ in the top priority group. ‘Hobbies and instruments’ ‘investment techniques and real estate’ was in the secondary priority group. Fifth,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showed ‘lack of education information’ in the top priority group, and ‘economical reasons’ ‘health reasons’ was in the secondary priority group.

      • 방과후학교의 사회계층별 만족도 및 요구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방과후학교 운영 방안 연구 : 대전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선주 公州敎育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level satisfaction and demand by different social classes for elementary After-School Education in based on elementary After-School in Daejeon area and subsequently proposed a method to effectively operate the after-schoo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have the demand to set up various programs which will improve their children's ability and aptitude.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to understand the demand to operate the program. Second, the lower class had the highest demand for supplementary learning of basic English, Math etc.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balance between variations in the levels of demand for after-school education. Third, the upper class had lower demand for mathematics and basic English related after-school education as opposed to a higher demand for science, logic and creativity related program. This means into the dependence of their children's English and mathematics learning by private or extra education, and their demand to take advantage of after-school education when it comes to miscellaneous learning. But, the lower class have a desire to make use of after-school education for the learning of major subjects. Last, the upper and lower class highly favors various performance or exhibition as a means of evaluating after-school education. They all want to confirm their children's abilities and talents. But the lower class don't have enough time to pretend the performance or exhibition. For this reason, teachers have the need to promptly notify what is going on with the programs in the interest of the lower class and working parents and the use of private consultation, presentations and open lessons must also be well balanced. As the outcomes may differ between schools, further studies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s the demands made by parents are required. With further studies to be done in the near future, we can expect to see improvements in post-school programs in terms of quality and thus active participation by different social classes. 이 연구는 사회계층에 따른 방과후학교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여 방과후학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방과후학교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방과후학교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방과후학교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방과후학교 개념, 방과후학교의 추진과정, 방과후학교의 목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 교육청 산하 2개의 각 지역교육지원청에서 각 3개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생의 학부모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였는데 262부가 회수되었으며 유효 설문지 212부를 최종자료로 활용하였다. 사용된 측정 도구는 방과후학교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와 요구 분석에 관한 질문지이다. 가정의 사회계층을 측정, 방과후학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와 요구 분석을 위한 질문지는 이언정(2008)이 사용한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에 관한 만족도․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먼저 사회계층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사회계층을 결정하는 연구대상의 인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통해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사회계층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만족도 차이 검증을 위하여 분산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x2(Chi-square)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사회계층별 방과후학교 교육 프로그램의 요구에 대한 차이 검증을 위해서도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x2(Chi-square)값을 구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에 대한 사회계층별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운영, 수업내용, 지도교사, 시설환경, 평가효과에 대해서 사회계층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학부모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평가효과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만족 정도의 차이는 하위계층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중위계층, 상위계층 순이었다. 둘째,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를 분석한 결과 상위계층은 논리·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놀이 프로그램, 중위계층은 취미․소질 발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하위계층은 부족한 과목을 보충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과 교육 관련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를 분석한 결과 상위계층은 과학 관련 프로그램, 중위계층과 하위계층의 경우 수학 관련 프로그램이 가장 높게 나왔다. 음악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 상위계층은 플롯고, 중위계층은 바이올린, 하위계층은 오카리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미술, 컴퓨터, 국어․논리․창의력, 취미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 분석 결과는 상위계층은 검도와 발레, 중위계층은 검도, 하위계층은 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기․적성 프로그램의 교재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는 계층별 요구의 정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지도교사가 만든 교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가 방법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는 전체적으로 발표회 및 전시회, 공개수업, 아동․학부모 개별상담과 가정통신문 순으로 발표회 및 전시회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부모가 발표회 및 전시회에 대해 높은 요구를 보이고 있지만 상위계층일수록 발표회 및 전시회 형태의 평가 방법을 더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를 분석한 결과 사회계층에 따른 학교 내 보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여부는 대부분의 학부모가 필요하다는 인식하고 있었다. 보육 프로그램의 중점 기능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는 전체적으로 부모를 대신하는 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동의 욕구․흥미를 위한 활동, 공동체 의식 함양 순으로 나타났다. 놀이 및 예체능 관련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 분석 결과 상위계층은 플롯, 중위계층은 한글서예, 하위계층은 종이접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계층별에 따른 놀이 및 예체능, 체험활동에 대한 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어 관련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계층별 요구는 상위계층은 영어회화 심화반, 중위계층과 하위계층은 영어회화 기초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 프로그램의 교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