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공기극 재료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미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ynthesized (La_(1-x)Sr_(x))MnO₃ as a cathode for SOFC by glycine nitrate process(GNP) and knew the different properties of (La_(1-x)Sr_(x))MnO₃ by using nitrate solution and oxide solution as a starting material. In case of using nitrate solution as a starting material, main crystal phase peak of LaMnO₃ increased as Sr content added up and a peak of Sr2MnO4 and La₂O₃ was showed as a secondary phase. We added Mn excess to control a crystal phase. In this cas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had a high value 210.3S/cm at 700℃. On the other side, when we used oxide solution as a starting material, we found main crystal phase of LaMnO₃ to increase as Sr content added up and a peak of La₂O₃ as a secondary phase. Similary, we added Mn excess to control a crystal phase in this case. We knew (La,Sr)MnO₃ powder to sinter well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intered body at 1200℃ for 4hrs was 152.7s/cm at 700℃. The sintered (La,Sr)MnO₃ powder at 1000℃ for 4hrs got the deoxidization peak,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in case of using nitrate solution as a starting material, the deoxidization peak was showed at 450℃ which is lower than used a oxide solution as a starting material. As a result, when (La,Sr)MnO₃ powder was synthesized to add Mn excess and to use nitrate solution as a starting material, we found it to have the higher deoxidization property and considered it as a cathode for SOFC properly. And we found it to have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y the synthesized (La,Sr)MnO₃ powder by using different starting materials like nitrate solution and oxide solution which influence a sintering density and crystal phase. The LSCF cathode for Solid Oxide Fuel Cell was investigated to develop high performance unit cell at intermediate temperature by modified oxalate method with different electrolytes and different pH. The LSCF powders employed La, Sr, Co and Fe oxides, oxalic acid, ethanol and NH₄OH solution were synthesized with pH controlled as 2, 6, 7, 8, 9 and 10 at 80℃. Single crystalline phase was obtained from pH 2~9. on the other hand, La₂O₃ appeared from pH 10. Very fine powder with particle size of 50nm was obtained at calcination temperature of 800℃ for 4 hours. LSCF cathode synthesized at pH 7 showed the highest electric conductivity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00℃ to 900℃. its value was 950 S/㎝ at 900℃. Under same synthesis conditions, polarization resistance of each LSCF cathode was changed with different calcination temperatures. As-prepared powder presented 2.52, 1.54 and 2.58Ω at 600℃ with ScSZ, 8Y-YSZ and GDC as its electrolyte respectively after calcination at 800℃ for 4 hours.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공기극에서는 전기화학반응에 대해 높은 촉매활성을 가져야 작동온도 감소에 따른 성능저하를 막을 수 있다. 이러한 공기극의 성능저하를 막기 위해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면서 낮은 분극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혼합이온전도체를 선정하여 미세구조를 제어하고 높은 전기화학반응이 발생하도록 삼상계면을 증가시켜 분극저항을 낮추어야 한다. 이러한 삼상계면의 증가는 조성물의 입자크기와 관련되며, 또한 저온에서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미세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극 재료로 산화분위기에서 높은 전기전도도와 전해질과의 열팽창계수 호환, 고온에서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공기극인 (La_(1-x)Sr_(x))MnO₃과 중저온(600~800℃) 영역에서 특히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La_(0.6)Sr_(0.4))(Co_(0.2)Fe_(0.8))O₃를 선정하여 각각 glycine nitrate process(GNP)와 공침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La_(1-x)Sr_(x))MnO₃는 GNP법을 이용하여 stoichiometric 조성에 있어서 질화물 및 산화물의 다른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합성하였을 때 여러 합성조건에 따른 결정상과 이러한 결정상이 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고, non- stoichiometric 조성에 있어서 출발물질을 질화물로 하여 합성한 경우 Mn excess 첨가 조성의 영향과, 이에 따른 결정상을 평가하고, 이러한 특성이 공기극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였다. 또한 non-stoichiometric 조성에 있어서 다른 출발물질을 이용하여 합성한 합성물의 환원특성을 평가하여, 공기극의 환원특성이 전기화학적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비교 평가하고, 최적조건에서 합성한 (La_(1-x)Sr_(x))MnO₃가 여러 종류의 전해질에서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 가를 평가하였다. 출발물질을 질화물을 사용한 경우 주 결정상은 LaMnO₃ 였으며, Sr 첨가량 증가에 따라 Sr2MnO4 과 La2O₃의 이차상이 나타났으며, Mn excess 조성의 경우 결정상을 조절할 수 있었으며, 700℃에서 210.3S/cm의 높은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었다. 산화물을 이용하여 합성 한 경우도 주 결정상은 LaMnO₃ 였으며, Sr 첨가량 증가에 따라 La2O₃의 이차상이 나타났으며, 700℃에서 152.7S/cm의 전기전도도를 얻을 수 있었다. 환원특성은 질화물을 사용한 경우 deoxidization를 나타내는 β-피크가 산화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낮은 온도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질화물을 사용한 경우 산화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우수한 특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_(0.6)Sr_(0.4))(Co_(0.2)Fe_(0.8))O₃는 공침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였으며, pH 및 열처리 조건 등의 합성 조건을 변화시켜 각 조건에서의 최적 합성 조건을 도출하고, 이 조건에서 합성한 분말의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통해 합성된 분말의 미세구조와 그에 따른 공기극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적조건에서 합성한 (La_(0.6)Sr_(0.4))(Co_(0.2)Fe_(0.8))O₃의 각 전해질에 따른 분극특성을 평가하여, 합성조건과 전기화학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공침법으로 합성한 (La_(0.6)Sr_(0.4))(Co_(0.2)Fe_(0.8))O₃는 pH 9의 조건에서 합성한 분말이 900℃에서 950S/㎝로 최적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다양한 전해질을 이용한 분극특성은 600℃의 ScSZ, 8Y-YSZ 및 GDC에서 각각 2.52, 1.54 및2.58Ω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La_(1-x)Sr_(x))MnO₃과 (La_(0.6)Sr_(0.4))(Co_(0.2)Fe_(0.8))O₃의 합성방법에 따른 영향과 합성조건을 규명하였으며, 이에 따른 SOFC 공기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용산구 재가노인을 중심으로

        이미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이 연구는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고 그 분석 결과를 근거로 성공적 노화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요 독립변수들은 인구학적 요인, 건강 요인, 심리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들로 구분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성공적 노화는 부부관계, 자녀성공,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를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 모집단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재가노인으로서 용산구 관내 종합사회복지관 2개소, 노인종합복지관 1개소, 노인교실 19개소, 경로당 78개소, 그리고 16개동의 자치회관에서 노인관련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가족지지’, ‘결혼상태’, ‘주관적 건강’ 그리고 ‘여가유형 1’, ‘우울감’ 등이었다. 둘째, 다양한 유형의 여가활동 가운데 조사대상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편안하게 취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의 많은 노인관련 문헌에서 적극적 여가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해오던 바와는 차이를 보이는 결과이다. 물론 이 연구가 성공적 노화의 심리적 구성요인들에 집중하고 있음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셋째, 우울감은 성공적 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노인들의 우울감은 어디에서 기인하는지 또는 어떤 경로를 통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자료상의 한계로 규명이 불가능하지만 최소한 노인들의 우울감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공적 노화를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정책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첫째, 노인의 평균연령 증가로 길어진 노후를 준비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세분화하여 지역사회, 기업, 그리고 정부차원의 정책을 수립하고 관리와 지원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들이 건강정도에 따라 무료로 쉽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맞춤형 건강프로그램을 공공기관이 운영 지원하고 유료로 이용할 수 있는 질 높은 건강프로그램을 민간이 운영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들이 연령, 지역, 계층별 특성에 따라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평생학습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노인의 축적된 경험과 기술,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봉사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일자리 창출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정책추진이 필요하다. 다섯째, 주간보호시설을 확충하고 지역사회와 1, 3세대 간을 연계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핵심어 : 성공적 노화, 여가활동, 가족지지, 주관적 건강, 우울

      • 우리나라 企業文化 特性에 관한 硏究 : 財閥그룹에 대한 實證分析을 中心으로

        이미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31

        1. 硏究의 目的 우리 經濟는 1960년대부터 꾸준히 工業化를 추진한 결과 世界에서 보기 드문 괄목할 만한 經濟成長을 이룩해 왔다. 우리 經濟의 成功的 要因은 政府主導의 效果的인 産業政策과 經濟發展의 主役이 이끄는 大企業軍團 즉 財閥이 經濟發展의 牽引車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勤勉하고 우수한 人力을 바탕으로 外國技術의 소화흡수력이 매우 높았으며, 低賃金이라는 國家的 比較優位 등이 原價主導의 國家競爭力을 유지하는데 寄興해 왔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우리나라 財閥企業을 대상으로 그들 각 기업이 成長해온 歷使와 傳統, 그리고 經營理念과 經營戰略을 통하여 어떤 특정기업문화를 創出하였는가를 살펴보고 발전의 원동력이 된 企業文化는 확산하고, 發展에 沮害되는 企業文化는 새로운 文化로 轉換, 跳躍의 발판으로 삼아야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本 硏究에서는 첫째 우리나라 財閥企業들의 普遍的 企業文化의 類型과, 둘째, 各 財閥企業의 企業文化 類型과, 셋째, 各 産業의 企業文化 類型과, 넷째, 企業文化 類型에 가장 큰 影響을 미치는 變數는 무엇인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업문화 유형에 적합한 戰略을 제시함으로써 國際競爭力을 강화하는 기틀을 提供하고자 하였다. 2. 硏究의 方法 本 硏究는 理論的 方法과 實證的 方法을 병용하였다. 理論的 硏究에 대한 자료는 企業文化와 우리나라 財閥企業에 관한 內容의 文獻들로서 國內·外에서 이미 발표된 學術文獻 및 著書 등의 先行硏究와 公式 統計資料, 그리고 硏究對象企業의 最高經營者들이 쓴 傳記(biography)와 語錄, 기타 관련되는 내용의 新聞記事등을 활용하여 本 硏究의 模型을 設定하였다. 3. 資料蒐集 本 硏究에서의 調査對象企業 數는 12개 그룹에서 30개 기업이며 業種別로는 11개 업종이다. 그룹분포와 조사대상자수는 S그룹, HY그룹, L그룹, D그룹, SK그룹, SS그룹, K그룹, HH그룹, KO그룹, HL그룹, P그룹, HA그룹으로 12개그룹 이다. 業種別로는 纖維·衣類, 石油·化學, 金屬·鐵鋼, 機械·電氣組立, 建設, 自動車, 電子, 輸出·流通, 金融·保險, 소프트웨어·컨설팅, 其他 등으로 11개 업종이다. 이러한 資料를 根距로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패키지를 사용하여 頻度分析을 통하여 一般的 狀況을 檢討하였으며, 普遍的 企業文化 類型의 分析과 財閥企業 및 産業에 따른 文化類型의 差異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one way ANOVA를 그리고 文化類型과 變數와의 關聯性을 分析하는데는 多重回歸分析(multiple regression analysis) 方法을 사용하여 얻은 結果는 다음과 같다. 4. 硏究 結果의 要約 1. 調査對象者 全員이 知覺한 文化類型을 통해서 전체적인 韓國財閥그룹의 文化類型을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그룹별, 기업별, 산업별 구분없이 應答者 全員이 지각한 것을 처리한 바, 이용가능 응답자 전원 581명에 의해 지각된 各 文化類型의 算術平均값은 다음과 같다. ◁ 표삽입▷ (원문을 참고하세요) 各 그룹의 構成員들이 知覺하는 企業文化 類型은 合理的 文化(M=3.81), 革新的 文化(M=3.36), 官僚的 文化(M=3.23), 人間的 文化(M=3.22)의 順으로 나타났는데 各 類型들이 중간값(3)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各 그룹의 構成員들이 知覺하는 企業文化 類型은 合理的 文化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Mean=3.81). 2. 業種別로 文化類型의 수준을 絶對的 水準으로 보면 全 業種에 걸쳐 合理的 文化가 높게 지각되고 있다. 3. 職責에 따른 그룹별 影響力 差異를 調査分析한 結果는 완전한 피라밋 구조로 우리나라 그룹의 企業文化가 合理的 文化로 知覺된 것은 社業面에서이고 管理面에서는 여전히 官僚制 形態를 취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4. 그룹별 經營戰略 中點事項에 있어서는 SK그룹을 제외하고는 전 그룹이 生産管理 中點에서 마케팅으로 옮긴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것 또한 國際化, 世界化 時代의 世界經濟의 흐름을 反影하고 있다. 5. 企業文化에 가장 큰 影響을 미치는 要因은 企業主와 最高經營者에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經營理念을 價値觀이나 비전이라고 知覺하며, 經營者의 哲學이라든가 企業文化라고 知覺하는 사람은 낮은 比率을 보였다. 또한 經營理念의 制定에서 가장 큰 影響力을 미치는 要因은 企業主義 理念이나 哲學이고, 다음으로는 社會的 環境과 市場與件의 順으로 나타났다. 7. 다음으로 우리나라 財閥그룹의 最高經營者가 强調하는 것은 優良 企業과 利潤極大化이고, 가장 강조하지 않는 것은 所有主의 富와 影響力 增大, 從業員의 福祉向上인 것으로 나타났다. 8. 企業文化를 形成하는데 影響을 미치는 要因은 環境(政治, 經濟, 社會, 文化)과 創業主 또는 最高經營者의 影響力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 The Purpose of Study During the past decade extensive literature, and practices have been developed on the theme of Corporate culture. The pursuit of the composition, impact, or characteristics of that culture, considers the theme from an intraorganizational perspective. It has been argued that this is a valid way corporate culture can be viewed. As the Korean society face the transitional period of cultural changes in 1990s, the previous study on Korean Corporate Cultures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explain our current corporate culture characteristic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 (1) The identification of the corporate culture patterns of the chaebol group(HL group, P group, D group, HY group, L group, KO group, K group, HA group, SK group, S group, HH group, SS group). (2) The identification of the corporate culture patterns of the industry(textile·clothing, petroleum·chemical, metal·iron, machine·electricity, construction, automobile, electron, export·circulation, finance·insurance, software·consulting, the others)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3) The identification of the major factors on corporate cultures formations. ◁표 삽입▷ (원문을 참고하세요) Figure 1.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II. Methodology of Study The size of sample is 581 respondents of 30 firms from 12 chaebol groups. The data of empirical study was obtained by questionnaire using Likert 5 scale. In research methodology, all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alysis,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mputation and data analysis were done by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The main findings acquir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III. Summary of Findings 1.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ur explanatory variables are identified as a set of corporate culture patterns in this study:Human culture, Innovative culture, Rational culture, Bureaucratic culture. 2. Universal culture of our nation's chaebol group is rational culture as recognized by their group members(RAT. 3.81, INN. 3.36, BUR. 3.23, HUM. 3.22). 3. All chaebol groups except D group (INN 4.09) are rational culture as recognized by their group members(RAT. S group 4.16, L group 3.98, HY group 3.90, HH group 3.82, HA group 3.79, KO group 3.75, SS group 3.74, P group 3.73, SK group 3.72, K group 3.60, HL group 3.54). But the hierarchical order of the next three cultures are varied. cf.<Table 1> ◁표 삽입▷ (원문을 참고하세요)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pattern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corporate environmen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globalizational strategy as dependent variables. Some specific culture patterns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pecific forms of variables of corporate environmen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globlizational strategy. cf. Table 2. ◁표 삽입▷ (원문을 참고하세요) Each culture was affected. as follows; Human culture is forming with participant value, Innovative culture is forming with the Management innovating differentiational strategy, Rational culture is forming with the prime cost strategy, and Bureaucratic culture is forming with centralization. 5. The chaebol group's top managements emphasized the highest priorities were making super top corporate ranking & the maximization of profit. 6. Each chaebol group's management strategy is emphasized be shifted from production control to marketing action. IV. Suggestions for Furtner Strategy 1. There exists corporate strategy that fit with corporate culture. According to the finding from this study, all chaebol groups except D group are rational culture as highly recognized by their group members. Therefore, each group is needs to design the taking of a serious view of performance, positiv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maximum of profit strategy and so on, in order to gain the victory in the global market. On the other hand, in the long term, Our chaebol group's rational culture should fit with our inherent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composed of harmony, cooperation, and solidarity. And so, our chaebol group should pursue continued our unique rational culture, on the foundation of globalization culture. 2. There exists corporate culture that fit with corporate strategy. Therefore innovative culture should combine with prospective strategy, human culture should establish with congruent strategy, whereas bureaucratic culture should establish with defensive strategy. Clearly, more research is needed to properly portray the corporate culture to test, and expand study. This study does suggest that the concept of corporate culture can provide a useful vision for viewing the challenge of global super top ranking desired by corporate management.

      • 勤勞者의 職務滿足을 통한 職場生活의 보람(QWL)에 관한 硏究

        이미재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QWL and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at first w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n we make an empirical study. This paper defines the QWL as follows : QWL is a self-actualization which employees satisfy desires, through Workers'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is a pleasurable or positive emotional state resulting from the appraisal of one's job or job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llowing questions. Q1. Between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QWL variables, it has positive correlation. Q2. The Job Satisfaction and QWL variables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ividual elements. Q3. The Job Satisfaction and QWL variables mak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ctronic and apparel industry. Q4. The Job Satisfaction and QWL variables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fir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1. Between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QWL, it has positive correlation. 2. From the results of ANOVA analysis we can find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degree of education and average salary, but in age, marital status and year of tenure, significant difference can not find. 3. The values of Job Satisfaction and QWL related to industry and firms make difference in significance. Accordingly, it is needed to take different variable strategie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ctors, the firms and industry.

      • 해외거주선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 관련 요인

        이미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해외거주선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련 요인을 구명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의 실천을 중재하며, 향후 선교사를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기획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일 선교단체 소속의 선교사이며, e-mail을 통해 320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AS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과 t-test,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평균 2.93점(최고 4점)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의 경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평균수면시간이 길수록, 정확한 출퇴근 근무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11개 하부 영역 중에서 실천정도가 높은 것은 위생적 생활, 조화로운 관계, 자아실현 순이었으며, 낮은 것은 전문적인 건강관리, 운동 및 활동, 자아조절 순이었다. 2. 인지-지각요인은 지각된 유익성이 3.53점(최고 4점), 지각된 장애성이 1.72점(최고 4점), 자기 효능감이 3.89점(최고 5점), 사회적 지지 2.96점(최고 4점), 지각된 건강상태는 2.88점(최고 4점)이었다. 3.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지각된 유익성, 장애성,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 지각된 건강상태, 연령, 평균수면시간, 거주기간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특별히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5632, p<.0001)가 있었다. 4.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계있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 효능감, 연령과 평균수면시간이며, 이 요인들이 증가 할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도 증가하는 양의 관계가 있다. 또한 24시간 상근 및 기타의 근무형태가 정확한 출퇴근 근무에 비해, 또 비만(BMI 25이상)의 경우가 표준체중에 비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가 감소하는 음의 관계에 있으며, 가장 관계있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R²=.3221, p<.0001)이며, 모든 변수들의 설명력은 49.73%이다. 따라서 선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지선교사와 긴밀한 네트웍을 형성하여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연락과 격려로 고립감이 없도록 하며, 현지에서는 소그룹을 형성하여 상호 협력 및 교통을 통한 관계성을 향상하여, 자존감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긍정적인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대한 정기적인 정보 제공 및 교육을 실시하며, 특별히 스트레스 대처나 자아조절, 운동, 안전관리 등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실생활에서의 실천을 유도한다. 전문기관과 전담상담자를 통한 선교사종합관리시스템(Total member care system)을 구축하여, 선교사의 선발부터 은퇴까지 선교사의 건강관리 및 복지 혜택을 제공관리하며, 정확한 출퇴근 근무로 근무형태를 개선하도록 권장하며, 규칙적인 생활을 실천하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overseas missionaries and to help them develop and practice such a lifestyle and also to use it in the health promoting program for missionaries. Missionaries from one mission organization have been targeted for this study. After getting 320 questionnaires answered via e-mail, we have calculated and have come up with a statistical data using the SAS Window program as well as th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argeted person''s general distinctive qualities, the rate for practicing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2.93 on average. Statistically, the older people, those who were married, and had high incomes, as well as the people with the average of longer sleeping hours in general showed to have a constant numeric data of working hours with accurate time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each day''s work. Out of the eleven way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sanitary life, harmonious relationship and self-achievement were the three that were best practiced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 least practiced ones were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 exercise and activity and self-control. Second, measured datas as follows : the perceived benefits:3.53, perceived barriers:1.72, perceived self-efficacy:3.89, social support:2.96, perceived health status:2.88. Third, statistically, the amount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ing practiced, the perceived benefits, barriers,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perceived health status, age, average sleeping time, residing period and human relationships are meaningfully related. The amount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ing practiced and social support are highly related in meaningful ways.(r=0.5632, p<.0001) Fourth, social support, perceived benefits and health status, self-efficacy, age and average sleeping time are related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As these factors increase or improve, one''s health promoting lifestyle also gets better. Also, health promoting lifestyle worsen in one''s life when one works 24 hours a day each day compared to another working for a set amount of time. The same thing happens when one is over weighed (over BMI 25) compared to another with a standard weight. The most related factor to this is social support(R²=.3221, p<.0001) and the combination of that variable explained 49.73%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missionaries, it is important to form a tight network with the missionaries. They should make sure to create no isolation through continuous and regular contact and encouragement. On their mission fields, they should form a small group through which they can help each other and build relationships through fellowship which can improve their self-respect. They should start an education that will provide a regular and continuous information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t is important to prompt people to practic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y making programs on stress relieving, self-control, exercising and safety management. They should establish a total member care system with the help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counselors and provide a health welfare benefits to the missionaries from the time of their recruitment to retirement. They should also try to improve the working time by setting up an exact time for starting and finishing their work each day. It is important to let them live an orderly life.

      • 變形 規則의 循環的 適用

        이미재 全北大學校 大學院 1978 국내석사

        RANK : 247631

        Cyclic hypothesis is an important assumption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transformational rules of grammer. Because there are base rules given including the recursive symbols, and structual analysis of every transformation extending over a sentence, in a complex base phrase-marker, the rules of the transformational component must be ordered extrinsioally and cyclically from the most deeply embeded sentence to 'upward'. A surfaces structure is then defined as a p-marker derived from a base phrase marker by teh transformational rules applied eyclically and in proper order. A base phrase-marker that has such a surface structure is called a deep structure. Two hypotheses are shown : unordered hypothesis, cyclic hypothesis. considering a number of facts about English sentences, including the rules of Raising, Passive, its Replacement, Reflective, Imperative, and Pronominalisation. I will attempt to show the hypothesis of ordered cyclic rules to be sufficient to account for them empirically and to show plausible alternative to fall to explain those facts or to load to other undesirable consequences. Therefore it is shown that the hypothesis of ordered cyclic rules is necessary in this thesis. The superiority of the hypothesis of ordered cyclic rules is backed up by explanatory adequacy.

      • 중환자실 간호사와 환자의 상호작용 행위와 유형 분석 연구

        이미재 단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간호사와 환자의 상호작용 행위를 관찰하여 그 양상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상호작용 행위를 유형으로 분류하여 간호사의 상호작용 행위별 환자의 상호작용 행위를 파악한 탐색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9년 10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C시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의 중환자실에서 실시하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와 환자의 상호작용 행위 빈도를 조사하였고 상호작용 행위는 의사와 환자간의 의사소통을 분석한 Roter(1997)의 상호작용 분석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간호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한 김은정(2003)의 상호작용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상호작용 행위는 주로 환자상태나 처치에 관한 정보제공 행위와 환자 상태․처치에 관한 상담 및 행위를 지시하는 행위가 많았고 환자의 상호작용 행위는 동의 및 이해가 전체 상호작용 행위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간호사의 상호작용 유형은 업무 중심적 유형과 온정적 유형, 부정적 유형, 균형적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간호사의 상호작용 유형별 환자의 상호작용 행위는 간호사가 업무 중심적 유형일 때 환자는 긍정적 정서 행위를 포함한 상호작용 행위 빈도가 낮았고 온정적 유형일 때 긍정적 정서 행위를 많이 하였다. 부정적 유형에서는 부정적 정서 행위 빈도가 높았고 폐쇄적 질문을 자주 하였으며 균형적 유형일 때 긍정적 정서 행위와 처치나 심리 사회적 상태에 관한 정보 수집과 정보제공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변화하는 휴대폰 산업환경에서의 중국진출 전략 : 노키아와 삼성애니콜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휴대폰 산업을 중심으로 한 중국 진출 전략을 논의하고 있다. 오늘날의 휴대폰 산업은 전세계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지구촌 인구의 약 50%가 휴대폰을 소유하고 있으며 휴대폰은 단순한 전화가 아닌 사람들의 삶과 비즈니스의 동반자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또한 휴대폰 산업은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이 필요한 산업분야이다. 이 분야는 기술과 시장의 변화에 따라 꾸준히 발전하며 최신 기술력으로 트렌드 변화에 얼마나 신속히 그리고 주도적으로 대응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성패가 좌우된다. 이러한 트렌드는 2-3년의 주기로 급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2004년 까지는 디지털 컨버젼스가 주요 이슈였던 것에 반해 2005-2006년은 저가화와 디자인이 주요 이슈였다. 그리고 2007년 이후 현재까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기술이 휴대폰 시장의 대세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의 휴대폰 시장 변화 산업을 크게 3 가지로 예측하였다. 즉 브로드밴드 방식의 스마트 폰이 대세가 될 전망이며 컨텐츠 시장 확보에도 집중하여 관리를 해야 될 전망이다. 또한 신흥국 시장의 부상으로 신흥국 시장에 적합한 제품출시로 수익을 올려야 함을 예상하고 있다. 이 논문은 신흥국 시장의 부상으로 중국을 주요 대상으로 삼고 중국 시장에서의 휴대폰 산업 현황을 알아본다. 이렇게 휴대폰 산업의 환경을 논의한 후, 논문에서는 세계 1위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노키아의 사례와 그 뒤를 바짝 뒤쫓고 있는 삼성전자 애니콜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본 논문은 노키아의 전반적인 기업 현황과 전략, 그리고 중국에서의 전략을 자세히 논의한다. 또한 노키아의 내부환경과 외부환경을 분석해보고 노키아의 중국 진출 현황을 분석한 후 노키아의 경영전략과 기능전략을 구분해서 논의해보았다. 그리고 노키아만의 중국 진출 전략을 시장구분전략과 전체시장에 적용되는 전략으로 세분화하여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노키아의 조직구조 전략도 논의한다. 그리고 삼성 애니콜의 역량과, 전략을 분석하여 노키아의 전략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세계 1위의 노키아에 대응하기 위한 삼성 애니콜의 미래 전략을 제시하였다. 제안점으로는 노키아와 같은 클러스터 전략, 삼성 애니콜만의 차별적 경쟁우위를 지키기 위한 전략, 현지 유통망 구축 강화전략,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기술유출 방지 전략, 컨텐츠 확보전략, 그리고 삼성의 본국지향 조직구도의 재편 전략의 필요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