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참여형 SNS 프로필 이미지 생성 시스템 연구

        유진선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 기기 보급률의 증가로 온라인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수단이 증가하고, 2016년 정보정책연구원 KISDI의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전체 국민의 43.1%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하 SNS)를 사용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나아가 SNS를 활용한 커머스, 게임, 지식 거래 서비스 등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유저들은 프로필 이미지로 타인에게 1차적으로 본인을 표현한다. 또한 유저들은 SNS를 통해 메시지 전달 혹은 소통 외에도 '친구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이미지를 통해 특정인의 심경, 신분, 취향, 경험, 근황을 파악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프로필 이미지를 제작하는 프로세스는 일방적이며 고정적인 이미지라는 점에서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서비스 중인 프로필 이미지 생성 시스템에서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보완하여 타인으로부터 평가받은 피드백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변형, 재가공하여 실용성 있는 다양한 결과물을 확보하는 새로운 프로필 이미지생성 패러다임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The number of means to communicate on-line has been increased due to high distribution rate of smart devices.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KISDI(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in 2016, 43.1% of Koreans are in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Furthermore, various services such as commerce, games, and knowledge trading services using SNS are being released. Profile images on them take role of expressing individuals to others. Besides simple chat or communicating function of the services, Users of SNS are also interested in getting information such as mood, personal preferences, experiences or daily lives of whom added on his/her list of friends. There are limitations that the process of creating an profile image is one-sided and sta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paradigm of profile image creation in which new images are created, modified, and re-processed through feedback evaluated by others by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existing profile image creation system in service.

      • 삼자토론을 활용한 문학 수업모형(three-way interactive debate for literature education : TIDLE) 연구 : 고등학생의 토론 효능감을 중심으로

        유진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토론을 직접 수행하는 학습자들과 토론을 직접 수행하지 않는 교실 내 다른 학습자들까지도 교수·학습 상황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삼자토론(Three-way Interactive Debate:TID)을 활용하고, 토론 평가 활동의 비중을 높인 문학토론 수업모형(Three-way Interactive Debate for Literature Education:TIDLE)을 고안하였고 교육적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예술계 고등학교의 문예창작과 1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3차시의 문학 수업을 200분간 진행하였다. TIDLE 모형을 적용하여 교수·학습할 작품으로는 이광수의 ��무정��을 선정하였다. ��무정��은 작품의 주제의식을 나타내는 주요 인물이 세 명 이상 등장하므로, 인물들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평가가 가능하고 TID 방식으로 토론하기에도 적합하기 때문이다. 학습자들이 선택 중심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고등학교 1학년임을 감안하여, 교수·학습의 내용과 방법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국어〉영역 내 성취기준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수업 시간은 블록타임제를 접목하여 1차시 50분, 2차시 50분, 3차시 100분 단위로 구성하였다. 학습자들은 1차시에 문학토론의 개념과 삼자토론의 절차를 익힌 뒤 ��무정��의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였고, 2차시에 제시된 문학토론의 논제를 파악하고 ��무정��을 해석하면서 개별 토론 준비서를 작성하였다. 3차시에는 모든 학습자들이 9개 조로 나뉘어 조별로 토론 준비를 하고, 본격적으로 3개 조는 토론 수행, 6개 조는 토론 평가를 활동을 맡았다. 1차시 수업 전과 3차시 수업 후, 서영진(2011)이 개발한 토론 효능감 척도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결과,‘토론식 수업에 대한 흥미도’(t=6.826, p<.001)와‘토론 효능감’(t=4.006, p<.001)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토론 효능감을 척도별로 살펴보면, 논증 기능 요인(t=2.459, p<.05), 인정 요인(t=5.122, p<.001), 심리·생리 상태 요인(t=2.187, p<.05), 토론 규칙 요인(t=5.122, p<.001)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전체 학습자를 토론 활동 중 맡은 ‘역할’에 따라 토론 수행 집단과 토론 평가 집단으로 나누고, 집단 간 차이에 대한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 : ANCOVA)을 실시한 결과, 심리·생리 상태 요인에서만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다(F=5.340, p<.05). 토론 평가 집단의 토론 효능감은 향상되었고 (M=3.75, M=4.25), 토론 수행 집단의 경우 소폭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M=3.81, M=3.75). TIDLE 모형을 개발·적용한 본 연구의 교육적 함의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토론 수행에 집중되어있던 기존의 토론 학습 방식에서 벗어나 토론 교육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TIDLE 모형은 토론 평가의 비중을 높이고 토론 활동을 두 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토론 수행자에게는 발언 조건의 공평성을 보장하고 토론 평가자에게는 평가의 객관성을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토론 수업과 차별화를 이루었다. 둘째, 한국의 열악한 교실 상황에서도 학습자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문학토론 수업의 실현 방법을 교사들에게 안내하였다. 본 모형은 전반적으로 교실 내 모든 학습자들의 토론 효능감 향상과 수업 태도 변화를 이끌었다. 특히, 토론 중 맡은‘역할’이 토론 효능감의 심리·생리 상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은,‘토론 수행’만으로는 토론 효능감의 전반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없고, 토론 수업에서‘토론 평가’가 중요한 활동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내러티브 학습—문학, 영화, 드라마, 연극, 뮤지컬 등을 포함—에 최적화된 문학토론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학습자들은 ��무정��을 통해 근대의 풍속을 간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시대 상황에 따라 사회·문화적 가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해하고, 주체적인 관점에서 허구 세계 속 인물들의 삶을 이해하며 실제 자기 삶에 대한 이해를 확장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토론 효능감 향상, 토론식 수업에 대한 흥미도 증가, 토론의 효용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대라는 교육 효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놀이하는 인간 —21세기 핵심역량으로 대표되는 비판적 사고, 소통 능력, 협력, 창의력을 기르기 위해 자유롭게 사고하고 삶을 즐길 줄 아는 인간—의 장으로서 교실의 회복을 시도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 that makes even learners who do not perform debate in class that puts more importance in the evaluation of debate engag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To accomplish this, instructional model utilizing Three-way Interactive Debate for Literature Education (TIDLE) was designed to prove debate effectiveness in education. It was expected that since TIDLE Model is able to guarantee fair opportunity to speak for debate participants and to evaluate objectively for debate evaluators, it contributes in improving debate efficiency of learner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instructional model in education, total three trials of 200 minute literature class utilizing TIDLE model were held with 40 first graders of Art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piece chosen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class utilizing TIDLE model was ‘Mujeong’ written by Gwangsu Lee. Because there are more than three main characters implying the main idea of the piece, various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s were feasible and TID methods were appropriate to carry out debate. Through literature class utilizing TID, debate effectiveness of learners improved and level of interest toward debate class increased. Positive perception on effectiveness of debate was shown. Paired t-test was done to confirm the change in debate effectiveness and the level of interest in debate class. Interest in debate class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atistics (t=6.826, p<0.001). Debate effectiveness increased as well (t=4.006, p<.001). Even every measurement of ‘debate effectiveness’ increased in each feasible controversial factors (t=2.459, p<0.05), psychological∙physiologial status factors (t=2.187, p<.05), acceptance factor (t=5.122, p<.001), and factor of debate rule (t=5.122, p<.001). Based on ‘debate activity’, total learn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done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s a result, besides overall average, there was not any noticeable differences among feasible controversial factor, acceptance factor, factor of debate rule. But in psychological∙physiological factor, there was feasible difference in increase of debate effective between debate performing group and debate evaluating group (F=5.340, p<.05). Before class, in psychological∙physiological facto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ebate performing group (M=3.81) and debate evaluating group (M=3.83), while there was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debate performing group (M=3.75) and debate evaluating group (M=4.25) after class. In debate evaluating group, psychological∙physiological factor of debate effectiveness improved, but average of debate performing group even dropped, The fact that role given during the debate influences psychological∙physiological factor of debate effectiveness cannot contribute to the overall improvement of debate effectiveness just by performing debate. This implies that debate evaluation should be point out as a salient activity in debate class. Development of literature debate instructional model in this study ha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diverted from the ordinary debate learning method that focuses debate performing, putting more importance in debate evaluation and debate activity was carried out in two ways. Second, in spite of poor condition of classes in Korea, method of creating literature debate class where every learner is able to participate in was introduced to teachers. Third, debate model best suited for narrative learning was developed. Through understanding of fictional characters from subjective perspective, learners had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ir own life. Forth, based on efficiency of education embracing increase in debate effectiveness and the level of interest in debate class, this study has been attempting to recover the classroom as a forum of Homo Ludens.

      •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유진선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ole conflict and ambiguity of employees on their professional identity in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vagabo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given out to 353 employees in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vagabond, 243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 survey of welfare institutions social-workers, nurses, and nutritionists from 37 welfare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The data were analyzes using SPSS Win 15.0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ore male and aged employees in these institutions than others. Second, there are more long term employees with 5 years of service or longer, unlike othe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ird, the employees in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vagabond have personal-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work definition. These employees displayed the highest conviction on public service, representing their dutifulness to the client and the public. However, practice in conformity with the rules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which is a core of professionalism, was the lowest, indicating weak professional group identity. Forth, studies on the level of role conflict, ambigu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from personal and work description variables, role ambigu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the following correlations: role conflict depends on marital status, and role ambiguity depends on age, marital status, and work experience. However, personality and work duty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identity. Fifth, professional identity is strong for employees who are aged, have no intersender conflict, or have no role ambiguity in work environment. Professional identity is weak if personal-role conflict is high or there is ambiguity in work description and work evaluation. Sixth,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 determining professional identity are personal-role conflict, work definition and work evaluation. Higher personal-role conflict and higher ambiguity in work descrip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weakens professional identity. Among personal and work description variables, only work experience was significant. Longer work experience weakens professional ident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concludes that continuing education for long term employees, efficient staffing and role definition to eliminate role conflicts, and solid work definition, policy, and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to reduce role ambiguity can strengthe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vagabond employees. However, since there is no prior in-depth research on the causes of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vagabond, it is not this research’s scope to make a conclusion that the shortage of institute budget and manpower causes role conflicts and ambiguities. It is recommended that another study on welfare employees’ work duty analysis per job category shall be performed to identify the root causes. 부랑인복지시설이 가진 사회적 기능은 경제위기 이후, 노숙인 쉼터가 등장함에 따라 자립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던 차원에서 의료 및 요양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원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이로 인해 부랑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이 가지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에도 큰 혼란이 야기되었는데 연구자는 이러한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 37개 부랑인복지시설의 생활복지사, 간호사, 영양사를 대상으로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으로는 남성 종사자가 많다는 것, 비교적 연령이 높은 종사자가 많다는 것이 부랑인복지시설의 특징이었다. 둘째, 직무 특성 중에서는 5년 이상의 장기근속자가 많아 일반 사회복지관과는 매우 대조적이었다. 셋째,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은 개인-역할 갈등과 업무자체의 모호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문직업적 정체성 중에서는 공공 서비스에 대한 신념이 가장 높아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이 클라이언트 및 공중에 대하여 강한 서비스 신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활용은 가장 낮게 측정되어 전문직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개인 및 직무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정도 살펴본 결과, 역할갈등은 결혼사항 에 따라, 역할모호성은 연령, 결혼사항,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개인 및 직무특성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연령이 높고 직무관여자간 갈등이 없으며 업무환경에 모호성이 없는 경우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개인-역할 갈등이 많거나 업무자체와 업무평가에 있어 모호성이 많은 경우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개인-역할 갈등, 업무자체와 업무평가이며 개인-역할 갈등이 클수록, 업무내용과 평가기준에 모호성이 클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매우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인 및 직무특성 변수에서는 근무경력만 유의미한 변수로 채택되어 근무경력이 길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수준이 낮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장기근속자에 대한 전문 보수교육 실시, 역할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효율적인 인력배치와 역할정립, 업무자체의 모호성을 줄일 수 있는 정확한 업무규정 및 지침 개발과 업무평가 기준의 일원화를 통해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부랑인복지시설에서 역할갈등과 모호성이 유발되는 원인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어, 단순히 시설의 예산 및 인력부족으로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이 유발된다고 규정하기에는 연구에 한계가 존재하므로, 종사자의 직종별 직무분석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규명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 Chopin Sonata No.2 in B-flat minor Op.35에 대한 분석 및 연주기법 연구

        유진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Chopin Sonata No.2 in B-flat minor Op.35에 대한 분석 및 연주기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Chopin Sonata No.2 B-flat minor Op.35 중심으로 쇼팽의 음 악적인 특징들이 이 작품을 통해 어떤 방식의 피아노 음악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연주기법이 활용되고 표현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위의 특징을 토대로 낭만주의 시대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고, 고전 소나타와의 차이점은 무 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달성하여, 소나 타 2번이 연주자들에게 어떻게 해석되고 연주되는지 이해와 적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절차를 수립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 1 장은 서론으로서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연구 내용 및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 였다. 제 2 장은 쇼팽의 삶과 음악, 피아노 소나타의 이해를 중점적으로 검토해 봄으로 써 소나타 2번 작품 분석 및 연주기법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 3 장은 소나타 2번 작품 분석 및 연주기법을 작품개요를 선행하여, 제 1악장, 제 2악장, 제 3악장, 제 4악장을 분석하고 연주기법을 고찰하였다. 제 4 장은 연구 결과 및 시사점,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탐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형식적인 면에서는 주제의 전개, 악장의 구성과 배열, 선율과 화성, 조 성의 움직임 등이 전통적 소나타 형식에 비해 대단히 혁신적임을 발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주부가 고전 소나타보다 짧고, 제1악장의 재현부에서 제1주 제가 생략되어 있다. 제2악장은 스케르초인데, 이것도 고전시대 소나타의 제2악장과 제3악장의 일반적 악장 배열과 다름을 발견할 수 있다. 장송행진곡 이라고도 불리 는 이 소나타의 제3악장은 이 소나타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느린 악장의 사용과 A-B-A의 단순한 구조는 비통한 멜로디를 더욱 극적으로 강조하고 있음으로 판단 된다. 제4악장은 연속적으로 옥타브 유니즌을 사용하고 있는데, 양손이 한 옥타브 간격으로 동시에 같은 음을 연주하는 것은 극히 드물다. 형식적인 면에서 매우 독 창적이고 자유로운 느낌과 표현을 담아 작곡되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선율에 있어서는 쇼팽 특유의 스타일인 노래하는 듯한 선율과 야상곡풍의 선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 선율에는 음형동기를 사용하여 곡의 통일성을 느끼 도록 반복, 변형, 확장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악장별로 구체적으 로 제시하였다. 셋째, 화성 및 조성, 리듬에 있어서는 반음계와 이명동음을 사용한 전조와 동형진 행을 활용한 원격전조를 사용해 색채감을 부여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루바토 템포와 서정적인 선율을 이용하여 음악적 감정표현에 효과를 더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소나타 2번에 대한 연주 기법적 측면과 감정적 측면을 연주자를 위한 해석보다 쇼팽다운 연주를 위한 해석에 중점을 두었다. 쇼팽의 음악은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지만 쇼팽의 원래 작곡 의도에 충실하고 효과적인 연주를 위해 감성 적 느낌, 프레이징 처리법과 페달 사용법 등 세밀한 연주가 가능하도록 연주기법을 분석하였다. 쇼팽의 소나타 2번은 고전주의 형식을 바탕으로 하여 각 악장들 간의 유기적인 통일감을 이끌어 냈다. 내용적인 면에서는 매우 자유로우며 비 관습적인 소나타 형 식을 취하고 있다. 화성적 진행의 관점에서는 다양한 주제 선율의 사용과 이명동음 사용, 반음계적 전조, 동형진행을 이용해 쇼팽 특유의 음악적 기법과 스타일로 낭만 주의 음악으로서 소나타 형식을 소화하고 창조해 냈다는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hopin's musical characteristic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iano music through this work, and which performance techniques are utilized and expressed, centering on Chopin Sonata No.2 B-flat minor Op.35 do. Furthermore, based on the above characteristics,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kind of connection it has with the romantic era and what is the difference from the classic Sonata. Above all, this study aims to be of help i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ctual performance techniques in the field, along with prior understanding of how Chopin Sonata No.2 in B-flat minor Op.35 is interpreted by achieving this series of process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procedures and conducted research.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to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study. Chapter 2 focused on Chopin's life, music, and understanding of the piano sonata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analysis and performance technique of Sonata No. 2. Chapter 3, the first movement, the second movement, the 3rd movement, and the 4th movement were analyzed and performance techniques were reviewed, preceded by the work outline of Sonata No. 2 work analysis and performance technique. Chapter 4 present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tasks. The research results explor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formality, it can be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ubject, th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movement, the melody and harmony, and the movement of the composition are very innovativ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sonata form. Specifically, the western part is shorter than the classical sonata, and the first theme is omitted from the reproduction part of the first movement. The second movement is Scherzo, and this can b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general arrangement of movements of the 2nd and 3rd movements of the Classical Sonata. The third movement forms the center of this sonata. It is judged that the use of the slow movement and the simple structure of A-B-A emphasize the bitter melody more dramatically. The fourth movement uses octave unison in succession, and it is extremely rare for both hands to play the same note simultaneously at one octave interval. It can be judged that it was composed with a very original and free feeling and expression in terms of form. Second, when it comes to melody, Chopin's distinctive styles such as singing and nocturnal melody were confirmed. The subject melody can be judged that it is repetitive, transformed, and expanded so as to feel the unity of the song by using sound motive. In the text, it is specifically presented for each movement. Third, in terms of harmony, composition, and rhythm, it can be judged that a sense of color is given by using a transposition using a chromatic scale and an imyeong homophony and a remote transposition using a homomorphic progression.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adding an effect to the musical emotional expression by using the rubato tempo and lyrical melody.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for Chopin Sonata No.2 in B-fla minor Op.35, rather than the interpretation for the performers, in the performance technique and emotional aspects. Chopin's music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ut the performance technique was analyzed to enable detailed performance such as emotional feeling, framing treatment and pedal usage for effective performance and faithful to Chopin's original compositional intention. Chopin's Sonata No. 2 was based on a classicist form, leading to an organic sense of unity between each movement. In terms of content, it is very free and takes an unconventional sonata form. From the point of view of harmonious progres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various subject melodies, the use of a homophonic tone, chromatic transposition, and homomorphic progression, digested and created the sonata form as a romantic music with Chopin's unique musical technique and style.

      • 정신장애인 접촉자의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 변화 : 과정과 맥락

        유진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oot of this study came from the controversy that the perception of members of community on mental illness is not an image of a people with mental illness but an image of studying the notion that was formed socially. To see the 'real' people with mental illness not socially known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is study have looked at the researches that focused on people who had contacted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After looking at the research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wo contrary result. One was the contact changed people's prejudices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affirmatively and the other was it changed people's prejudices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negatively. Therefore,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eople's perception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change during process and the context of the contact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ecause the current social system limites contact situation in community, the continous contact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usually happen with specialists, families, and volunteers. In order to exclude the changes that might come from other experiences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other than the contact, the objects of this study was chosen to be the volunteers. By analyzing the datas on 8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depths interviews in comparative method, This study could see the effects of process and context of the contact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ption on mantal illness ca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 volunteers are cureently in. By making contac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 people formed their own stance on mantal illness and it lead to change in the attitude of perception on mantal illness and how to treat them. Afterward, it created idea of retur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community. During the contact, the main reason for changing the notion on mantal illness was drawn to be 'See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with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 Before making contact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cared of the 'unexpected actions' of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Also, participants saw people with mental illness as 'people who can't do anything' since they lived in the community that is bound to form negative image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since it treated 'mantal illness as a negative nuance', 'the media that report mantal illness in provocative manner' and 'the system that enhances social streotype'.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could only perceive people with mental illness negatively changed their perception by interacting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rough the contact. Through the direct contact, the participants had chance to see the 'real' mentally disalbed people but they returned to see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with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s, seeing them as 'human' or focusing on the 'disease'. The process of changing perception through the contact includes first, 'making stanc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 second, changing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actions' based on the stance, third, led from the methods 'attitude toward the action' changed. Based on mentioned processes, they formed 'the notion of retur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community.' The process showed contrary result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s, whether to see people with mental illness as 'human' or focus on the 'disease'. The research participants changed their perception on mantal illness within the context of 'switching the perspective within relaton of power' during all processes, starting from before the contact to the contact.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fferentiat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from community mainly affected by highly influencing instruments like media, language and the system in this social structure which grants limited contact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Also, during the contact, they were understand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within the power structure of the perspective of staff of the volunteering institution and volunteers. The process of concept change of mantal illness upon the contact with mantal illness shows that the change occurs within the power structure and they were recognizing mantal illness in single institutional perspective within power structure. Therefore, research participants were unable to see the 'real' people with mental illness due to various power structur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came to two implications. First, from which perspective people with mental illness should be viewed when discussing about retur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community. Second, it should be community's job to overcome social perception of mantal illness not individual's when discussing about retur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community. However, this study was premised on one perspective within single institution and its contact between volunteers and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e limit of study is the contact in community in natural situation was not studied. 본 연구는 정신장애에 관한 사회구성원의 인식이 정신장애인의 모습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념들을 학습한 데에서 기인한다는 데에 관한 문제제기로 시작했다. 사회적인 관념이 덧씌워진 정신장애인이 아닌 ‘진짜’ 정신장애인을 보기 위해 실제로 정신장애인과 접촉한 사람들에 관한 연구를 살펴본 결과, 접촉이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연구와 오히려 더 부정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정신장애인 접촉자가 정신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에서의 과정과 맥락에 따라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도로 인해 지역사회에서의 접촉이 제한된 상황에서 정신장애인과의 지속적인 접촉은 주로 전문가, 가족, 자원봉사자 등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접촉 경험 외의 다른 경험으로 인한 인식의 변화를 배제하기 위해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8명의 연구 참여자와 심층 면접을 통해서 얻은 자료를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정신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에서의 과정과 맥락을 볼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은, 기관의 관점을 덧쓴 채로 접촉을 하면서 기관의 관점에 따라 자신의 하나의 입장을 취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정신장애를 인식하는 것과 정신장애인을 대하는 태도가 변화되었으며, 이후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에 관한 인식을 형성했다. 접촉 과정에서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맥락으로는 ‘기관의 관점이 덧씌워진 안경으로 바꿔 쓰기’가 도출되었다. 정신장애인과 접촉을 하기 전에 연구 참여자들은 부정적인 어감의 정신장애라는 언어와 정신장애에 관해 자극적으로 보도하는 ‘미디어’, 사회의 관념을 강화하는 ‘제도’라는 세 가지 맥락들로 인해 ‘정신장애에 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생길 수밖에 없는 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을 ‘할 수 없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정신장애인의 ‘돌발행동’을 두려워하고 있었다. 정신장애인을 부정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던 연구 참여자들은 접촉을 통해 상호작용하며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서 정신장애인의 ‘진짜’ 모습을 볼 기회를 제공받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또다시 기관의 관점이 덧씌워진 ‘안경’을 쓴 채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았다. 기관의 관점에 따라 ‘인간’으로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거나 ‘병’에 초점을 두고 정신장애인을 바라보았다. 접촉을 통해 인식이 변화하는 과정은, ‘기관에 관점에 따라 입장’을 취하고, 서 있는 입장에서 ‘행동을 인식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행동을 대하는 태도’가 변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에 관한 인식’을 형성하였다. 변화의 과정은 ‘인간으로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는 기관의 관점과 ‘병에 초점을 두고’ 정신장애인을 바라보는 기관의 관점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낳았다. 선행연구에서도 볼 수 있었던 상반된 연구 결과는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보는가의 차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정신장애인과 접촉을 하기 전부터 접촉을 하는 과정까지 모든 과정에서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은 ‘권력관계 안에서 안경 바꿔 쓰기’라는 맥락 안에서 변화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정신장애인과의 접촉이 제한된 구조에서 미디어, 언어, 제도 등 인식을 형성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도구들의 강력한 힘에 의해 정신장애인들을 사회로부터 구별 짓고 있었다. 또한 접촉 과정에서는 전문가와 자원봉사자라는 권력관계 안에서 전문가의 관점을 덧쓰며 정신장애를 인식하고 있었다. 정신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에 따라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이 변화하는 과정은 권력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권력관계에 따라 어떠한 하나의 관점 안에서 정신장애를 인식하는 것을 보여주는 과정이었다. 즉, 다양한 권력 관계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진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지 못하고, 하나의 관점을 덧쓴 채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고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논함에 있어, 어떠한 관점을 통해 정신장애인을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논함에 있어 사회적 인식에 초점을 두는 것은 정신장애로부터의 회복은 개인의 몫이 아니라 사회의 몫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관 내에서 접촉을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접촉의 과정과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하나의 관점을 전제한 채 접촉을 하는 상황만을 볼 수밖에 없었다. 지역사회에서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접촉 상황을 보지 못한 것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 노인의 운동과 인지기능의 관계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진선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entering the age of aging,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not only living longer but also prolonging the life expectancy and healthier life due to the increase i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The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elderly is mostly influenced by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elderly. In the healthy elderly, the decrease in cognitive function and the increase in depression are not found. Therefore, the health maintenance of the elderly including the body and the mind is separated from aging It is a factor that can not be seen. Exercise is an activity that can represent both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elderly. Exercise plays a role in positively changing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elderly, so exercis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lderly with depression. Depression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hich is a factor that accelerates the decline of cognitive function. Exercise can perform the function of relieving the symptoms caused by depression and cognitive decline. Thus, by participating in continuous exercise, it can lower the degree of depression, thereby slowing the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 thereby lowering the incidence of dementia and helping the elderly to live an active and healthy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tervention plan to prevent and solve the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 through reduction of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effects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cognitive function through depression in the using the 5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26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Among them, 1,290 were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and 4,226 elderly and 1,290 elderly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Statistics Program.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exercise and exercise quantity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 used the cognitive function scores of the elderly using K-MMSE. The parameters were scored using CES-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s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showed higher cognitive function. Second, depression was lower as the exercise continued, The more the participation in the exercise, the higher the cognitive func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showed that depress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ecognize separately about exercis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but also to identify it as an integral facto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complex program that can lower th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and prevent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 The development of an exercise program that enables the elderly to be active may help to maintain adequate health and may contribute to lowering the level of depression. Finally, management skills are needed to enable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to continue to participate by strengthening their attitudes and motivation for health promo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lderly can be easily accessed and actively operated in order to maintain healthy cognitive function, and should be developed and studied so that a systematic exercise program can be continu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for a long period of time. 현대 사회에서 의학과 기술의 발달로 인구의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고령화 시대에 들어선 이후 평균 수명의 증가로 인하여 오래 사는 것뿐 아니라 건강 수명을 연장시켜 건강하게 노년기를 보내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노년기에 접어들어 나타나는 인지기능의 감퇴는 대부분 신체 건강상태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건강한 노인의 경우 인지기능의 저하와 우울증의 증가가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신체와 정신을 비롯한 노인의 건강 유지는 노화에서 분리하여 볼 수 없는 요인이다. 운동은 노인에게 있어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모두를 다룰 수 있는 것으로 대표할 수 있는 활동이다. 운동은 노인의 신체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우울을 겪고 있는 노인에게서 운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우울은 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인지기능 저하의 속도를 빠르게 하는 요인이 된다. 운동은 우울증, 인지기능 저하로 발생하게 되는 증상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운동 참여를 통해 우울정도를 낮추고 이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를 늦춤으로써 나아가 치매의 발병률을 낮추고 노인이 활동적이고 건강하게 살아가는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우울의 감소를 통해 인지기능의 저하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운동참여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제5차 고령화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운동 참가 여부와 운동 참가 응답자 내의 지속적인 운동 참여 노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운동참여가 우울을 매개로 하여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4,226명이다. 그중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은 1,290명으로 4,226명의 노인과 1,290명의 노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SPSS 23.0 Statistics Program을 사용하여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변수는 운동 여부와 운동량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인지기능 측정 도구인 K-MMSE를 사용하여 노인의 인지기능 점수 총합을 사용하여 평가한 인지기능이 종속변수, 노인 우울 척도인 CES-D를 사용하여 점수 총 합을 사용하여 평가한 우울이 매개변수로 사용되었다. 연구 모형의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분석과 변수 간 선형 회귀분석과 우울을 통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과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운동에 참여하는 노인일수록 인지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 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운동을 지속하는 노인 일수록 우울이 낮게 나타났으며, 운동에 참여하는 노인일수록 인지기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과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우울은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과 우울 및 인지기능에 관하여 별개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인 하나의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적인 해결방안을 위한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노인의 우울 수준을 낮추고, 인지기능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융‧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노인이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하는 이러한 운동 프로그램의 개발은 적절한 건강을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고 우울 수준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에 대한 태도와 동기를 강화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한 인지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접근성이 쉽고 활기차게 시행할 수 있으며, 단기간에서 장기간으로의 체계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지속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청년 세대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유진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trade union is a voluntary association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to set overall social and political orders within society, not just limited within industrial relations and labor market. However, the recent labor movements have reflected the continuous decline of trade union density begun in the 1970s. The western countries that have experienced such declines prior to Korea have paid close attention to the younger generation’s organization of unions as a key solution to a continuation of the labor movement in the future. To encourage the younger workers to join trade unions, western countries have studied their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and the factors that have shaped such attitude. Attitude here means behavior orientation or behavior tendency based on consciousness and it itself can inspire specific actions under certain incidents. It is further known that the positive attitudes that are created in youth towards trade unions lead them to be open-minded and to join a trade union. Therefore, the strategies for the unionization of a youth labors to revitalize the labor movement can be achieved by studying the distinctive difference of the younger generation’s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from the one of the other generations. Apart from western countries, in Korea, the solution for the decline of trade union density has focused on encouraging non-regular workers and female workers to join the unions. As a result, the unfavorable labor market for the younger generation was not considered as a part of the discussion of the labor movement crisis. Studies on the attitudes towards trade unions have begun in the late 1990s, but they were limited to find the determinants of union membership and lacked throughout theoretical review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researches were not chosen care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us to scrutini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younger generation's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Moreover, it has analyze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attitude of the younger generation by comparing it with the one of the middle-aged generation. To achieve these goals, the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has been se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re are three different categories in independent variables—socio-demographic factors, political and welfare consciousness factors, and job-related factors. Also,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the study has carried out a survey of 1,020 people aging over nineteen using SPSS 18.0 and examined the collected data. The brief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by including social 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es,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the study has confirmed how these variables are related to the attitude of the younger and the mid-aged generations towards trade unions. As a result, young female workers have shown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a form of trade unions and collective actions compared to young male workers. However, this positive attitude of female workers is negatively influenced by the milit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e unions and thus a desire for strong unions or trust towards trade union activists has diminished. On the other hand, th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s have no impacts on the attitudes of both younger and mid-aged generations towards trade unions. Thus,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social demographic factors play very insignificant roles in shaping the attitude towards labor unions. Secondly, this study has been carri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desire for a more equal society with social welfare benefits would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As a result, for the younger generation in Korea, the agreement with egalitarian principles and welfare state type does not affect their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This result contradicts the one of western countries, in which the demand for more social benefits has developed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working class. On the other hand, the mid-aged generation has display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in connection to the desire of a more equal society with social welfare benefits, a mindset which can also be interpreted as an agreement with egalitarian principles, but no effect has been found along with welfare type variables. H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in Korean society, these political awareness factors do not consistently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Thirdly, another assumption has been set that political orientation, party affiliation, and geographical regions— the three factors that shape political perceptions—would affect the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The result has been confirmed and these three factors all impact the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of both the younger and mid-aged generations. Especially, the mid-aged generation has been strongly and consistently influenced by these factors and further, both political orientation and party affiliation have shown similar magnitude of impact. On the other end, for the younger generation, only the geographical region factor has an impact, but regardless of regions, all has shown negative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and thus further theoretical discussion is needed to explain such a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al regions and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Moreover, it is questionable to include geographical regions as one of the factors that shape political perceptions since the impact appeared in geographical region factor has not found in the other two factors. Lastly, the effects of job related factors—employment status, occupation, size of a firm, salary satisfaction,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have been verified in relation to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For the effects of employment status and occupation, the result both the younger and mid-aged generations has agreed with the previous studies. Young non-regular workers tend no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form of trade unions and collective actions and those who work in sales and service with low job stability have shown positive attitude toward trade unions and their class actions. These results are very similar to the empirical research results of western countries and thus it can be seen that job related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determinant that shapes the attitude of the younger workers towards trade unions. However, it has also been shown that the higher job satisfaction for the younger and mid-aged generations, the more positive attitude has been displayed towards trade unions, the result which contradicts to preceding studi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non-regular workers and female workers as a solution to revitalize and enhance trade unions, this research has scrutinized the attitude of the younger workers towards trade unions and the factors that drive such attitude. Furthermore, this study has compared different age groups to clarify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tion. Finally, while the preceding studies face limitations by carrying empirical researches that mainly concentrated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individual inclination to join a trade union to determine the attitude towards trade unions, this study has further analyzed diverse aspects such as the importance of a form of unionization and class action, need for strong unions, and trust towards trade union activists. Moreover, the study has been strengthened with a more in-depth research by introducing the attitude towards social welfare and political perception have been as independent variables. 노동조합은 자본주의 경제 질서의 중요한 사회주체로서 노사관계와 노동시장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정치 전 영역에 걸쳐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자발적 결사체이다. 하지만 최근의 노동운동은 1970년대 이래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조직률 하락을 경험하고 있다. 한국보다 앞서 노동운동의 침체를 경험했던 서구에서는 미래 노동운동의 존속을 위한 핵심 방안으로 일찍이 청년 세대의 조직화에 주목하여 왔다. 서구의 학계에서는 청년 세대의 노조 가입률을 높이기 위해 청년 노동자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와 그 영향요인을 밝히려는 연구들을 축적하여 왔다. 여기서 ‘태도’(attitude)는 의식(consciousness)에 기반 하는 행동지향 또는 행동성향으로, 그 자체가 특정 상황이나 대상에 대해 구체적인 행동지향성을 내포하며, 청년기에 형성된 긍정적인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는 적극적인 노조가입으로 이어진다고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노동운동의 재활성화를 위한 청년 세대의 조직화 전략은 다른 연령 집단과 구별되는 청년 집단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의 특성을 밝히려는 것이다. 그러나 서구와 달리 한국 노동조합의 조직률 하락은 주로 비정규직과 여성 노동자의 가입률을 높이려는 방안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년 노동자의 열악한 노동시장 상황은 노동운동의 위기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다루어지지 못했다. 1990년대 후반 등장한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를 탐구하는 연구들은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를 노동조합 가입성향 결정요인을 탐구하려는 단일차원에 한정되어 축적되었으며 이들 연구에서의 독립변수의 선택은 산발적이고 심도 있는 이론적 검토가 결여된 채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년 세대의 노동조합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청년 세대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를 탐구하기 위해 중장년 세대와의 비교를 통해 청년 세대의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정치 및 복지의식 요인, 일자리 특성 요인의 세 가지 범주에 속하는 각각의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1,0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SPSS 18.0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성별, 학력, 혼인상태를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포함시켜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에 있어 이들 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청년 여성은 노조의 결성과 단체행동의 중요도에 대한 평가에서 청년 남성에 비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청년 여성의 노동조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강한노조의 필요성과 노조활동가에 대한 신뢰를 측정하는 항목에서는 그 영향력이 사라져, 전투적 성향의 한국 노동운동의 운동방식과 노동운동 주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이 집단에서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배우자의 유무에 따른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와 학력 집단 간 차이는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 모두에서 노동조합 참여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한국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 모두에게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아니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복지유형과 사회복지혜택의 평등사회 건설에 대한 동의여부가 복지의식 차원에서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 하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청년 세대에 한정해서는 복지유형의 차이와 사회복지혜택의 평등사회 건설에 대한 믿음이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통상적으로 높은 수준의 복지국가에 대한 요구가 노동계급의 성장과 함께 발전되어 왔던 서구 복지국가들의 경험과는 완전히 상반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평등주의 원칙에 대한 동의 정도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는 복지혜택의 평등사회 건설에 대한 동의에 대해 중장년층이 노동조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인 반면에 복지유형 변수에서 유의한 영향력이 발견되지 않다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정치의식 요인은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에 일관적인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정치성향, 선호정당, 지역이 정치의식 차원에서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 하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들 세 변수 모두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중장년 세대에서 정치성향, 지역 및 선호정당은 모두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 영향을 미쳤으며, 정치성향과 선호정당은 그 영향력 또한 상당히 일관된 양상을 보였다. 반면 청년 세대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 변수가 유일하였으며, 지역 차이와 상관없이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과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심도 있는 이론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지역 변수에서 발견되었던 변수의 유의한 영향력이 정치성향과 지지정당에서는 발견되지 않아 지역 변수를 동일한 정치의식 요인으로 포함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고용형태, 직업, 기업체 규모, 임금수준 만족도, 일자리 안정성, 일자리 만족도를 포함하는 일자리 특성 요인으로 포함시켜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에 있어 이들 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용형태의 차이와 직업 변수에 따른 노동조합의 태도는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 모두에서 기존의 연구결과와 합치되는 경향성이 도출되었다.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는 노조결성과 단체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낮은 평가를 보였으며, 판매서비스직에 종사하면서 현재 일자리가 불안정한 것으로 인지하는 청년 세대일수록 노조의 단체행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는 사실은 서구의 경험적 연구들과 유사한 맥락에 있다는 점에서, 일자리 특성 요인이 한국 청년 세대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일자리 만족도가 높은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일수록 노조활동가에 대한 긍정적인 선호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는 기존 연구들과 상반된 양상이었다. 본 연구는 지금껏 노동운동의 조직률 제고를 위한 연구경향이 비정규직과 여성 노동자에 주목해 왔던 것과 달리, 청년 노동자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와 그 영향요인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령 집단 간 비교를 통해 청년 세대의 특성을 더욱 명확히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에서는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라는 추상적인 종속변수를 측정하려는 경험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주로 개인 노동자의 노동조합 가입성향 결정요인 탐구라는 단일 차원의 연구들이 많았다는 한계에 착안하여, 종속변수인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를 노조결성과 단체행동 가능성의 중요성, 강한노조의 필요성, 노조활동가에 대한 신뢰라는 다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는 지금껏 노동조합 태도 연구들에서 독립변수로 활용되지 않았던 복지의식과 정치의식 요인을 적용하여 독립변수 영역에서의 다차원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는 의의를 갖는다.

      • 질문생성전략기반 독서 활동에서 초등 과학영재의 탐구적 질문과 답변 분석

        유진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inquiry questions generated by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in order to prepa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creating inquiry questions and writing answers.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what types of inquiry questions do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generate in question-generating strategy-based reading activities, and what is the frequency of each type; and what is the frequency for each leve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0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from S University's 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who were selected as a non-grade system. Five evaluators prepared evaluation criteria using the results of the 2021 question-based reading activities and selected 5 books to be used for the assignment. Science gifted students submitted assignments after reading one book per month, and read a total of 5 books and performed 5 assignments. The 300 exploratory questions and 600 inquiry plans created in this way were analyzed, and the type and frequency of inquiry questions,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inquiry plans, and the frequency by level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of inquiry questions and the frequency of each type, science gifted students made a total of 6 types of inquiry questions in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based reading activity. Among the six types, the questions that reached the learning goal of the inquiry question were 'information search question', 'practical inquiry question', and 'content application question', and the questions that did not reach the learning goal were 'question unrelated to the book content' and 'question type'. 'Questions that do not fit' and 'Questions overlapping with example questions'. Looking at the frequency of questions that reached and failed to reach the learning goal, the number of inquiry questions that reached the learning goal was 165 (54%).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requency of each question type, practical inquiry questions were the most frequent among the questions that reached the learning goal, and it was judged that this was influenced by the description method of the selected book. Comparing the frequency of questions that did not reach the learning goal, most of the questions were created by confusing the concepts of inquiry questio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levels, and frequency of inquiry plans,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characterized by mainly writing the experiment process when creating inquiry plan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cience gifted students in the degree to which the research plan was detailed, the degree to which feasible research methods were planned, and the degree to which knowledge was utilized. Therefore, based on this, the evaluation domains of 'specificity', 'feasibility', and 'knowledge utilization' were created, and evaluation criteria of 'excellent', 'average', and 'insufficient' were established for each domain. When analyzing the level of specificity and the frequency by level, there were many cases where only one of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preparations, (variable) conditions, method, experimental process, result drawing, and conclusion were writt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by level of the feasibility area, there were many cases where science gifted students wrote the overall experiment process, but could not establish a feasible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plan or method. After dividing the inquiry plan into levels according to the level of knowledge utilization and examining the frequenc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knowledge inside and outside the book was not utilized, and it was difficult to write a plan using the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effective inquiry generation and response writing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student inquiry question gener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guide inquiry generation in question generation strategy-based reading activities. Seco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process of drafting an inquiry plan is needed to provide effective feedback on the inquiry plan. Third, since the reading activity based on th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provides an experience of actively creating and answering questions rather than passive participan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eparation of reading assignments that can be applied to general students as well as gifted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탐구적 질문생성 및 답변 작성에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과학영재가 생성한 탐구적 질문과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주요한 연구 질문은 첫째, 질문생성전략기반 독서 활동에서 초등 과학영재는 어떤 유형의 탐구적 질문을 생성하며 유형별 빈도는 어떠한가, 둘째, 탐구적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특징의 답변을 작성하며 답변의 수준 및 수준별 빈도는 어떠한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무학년제로 선발된 S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의 초등 과학영재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5명의 평가위원은 2021 질문형성기반 독서 활동 결과를 활용해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과제에 활용될 도서 5권을 선정하였다. 과학영재는 한 달에 1권의 도서를 읽은 후 과제를 제출하였고 총 5권의 도서를 읽고 5개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생성한 300개의 탐구적 질문과 질문의 답변으로 작성한 600개의 탐구계획을 분석하였으며 탐구적 질문의 유형 및 빈도 그리고 탐구계획의 특징과 수준 및 수준별 빈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적 질문의 유형과 유형별 빈도를 분석한 결과, 질문생성전략기반 독서 활동에서 과학영재는 총 6가지 유형의 탐구적 질문을 만들었다. 6개 유형 중 탐구 질문의 학습 목표에 도달한 질문은 ‘정보탐색 질문’, ‘실행적 탐구 질문’, ‘내용적용 질문’ 이며 도달하지 못한 질문은 ‘도서 내용과 무관한 질문’, ‘질문유형에 맞지 않은 질문’, ‘예시 질문과 중복인 질문’이었다. 학습 목표에 도달한 질문과 도달하지 못한 질문의 빈도를 살펴보면 학습 목표에 도달한 탐구 질문 수가 165개(54%)이었다. 질문 유형별 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학습 목표에 도달한 질문 중 실행적 탐구 질문이 가장 많고 이는 선정된 도서의 서술방법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학습 목표 미도달 질문의 빈도를 비교해 보면 탐구 질문 개념을 혼동하여 질문을 생성하는 경우가 제일 많았다. 둘째, 탐구계획의 특징과 수준 및 수준별 빈도를 분석한 결과, 과학영재는 탐구계획 작성 시 실험과정을 주로 작성하는 특징이 있었다. 그리고 과학영재 간 탐구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한 정도와 실현 가능한 탐구 방법을 계획하는 정도 그리고 지식을 활용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래서 이를 기준으로 ‘구체성’, ‘실현 가능성’, ‘지식 활용’ 평가영역을 만들었으며 영역별로 ‘우수’, ‘보통’, ‘미흡’의 평가 기준을 세웠다. 구체성 영역의 수준과 수준별 빈도 분석해보면 실험 환경, 준비물,(변인) 조건, 방법, 실험과정, 결과도출, 결론 중 1개만 작성한 경우가 많았다. 실현 가능성 영역의 수준별 빈도를 분석한 결과 과학영재는 전반적인 실험과정은 작성하나 실현 가능한 측정 및 조사 계획 또는 방법을 세우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탐구계획을 지식 활용 정도에 따라 수준별로 나눈 후 그 빈도를 살펴보았을 때 도서 내외의 지식을 활용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고 지식을 활용하여 계획 작성하는 것을 어려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탐구적 질문생성 및 답변 작성 교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질문생성전략기반 독서 활동에서 효과적인 탐구적 질문생성 지도를 위해 학생의 탐구적 질문생성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탐구계획의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주기 위해 탐구계획의 작성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질문생성전략기반 독서 활동은 수동적 참여자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답하는 경험을 제공해줌으로 영재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독서과제 마련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유진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된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의 참여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와 관계성을 규명함으로써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함의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고 참여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그리고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지 개방형 문항을 통하여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학생이 느끼고 있는 다양한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A중학교, 경기도에 소재한 B중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을 모집하여 2014년 4월에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A중학교에서 참여 집단 20명, 미참여 집단 20명이 참여하고 B중학교는 참여 집단 71명, 미참여 집단 90명이 참여함으로써 총 201부의 설문지가 이 연구 결과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연구 도구는 박은희(1996)가 자아탄력성 측정을 위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를 신지연(2004)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아영(2002)이 ‘학업 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검사도구 및 수집된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는 SPSS ver. 19 프로그램이 사용되었고 연구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이상의 연구 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한 중학생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자아탄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한 중학생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체적으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체적으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탄력성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의 76.7%를 설명함을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2개의 개방형 질문을 통해 교육에 참여하며 느낀 장점 및 긍정적 영향과 단점 및 보완점에 대하여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질적 분석한 결과 참여 학생 중 91%가 교육적·정서적·정책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보고하였다. 반면, 단점 및 보완점의 경우 22%의 학생들만이 열악한 시설, 수업시간 부족,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재 등을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국가의 중요 정책인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의 교육적 효과와 영향력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은 인간이 음악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활력과 정서적 안정 등을 토대로 학생들에게 높은 자아탄력성을 가지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며 이는 학교생활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이 단순한 예체능 교육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이와 같은 새로운 교육 효과에 집중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교육의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가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교육의 전문적인 프로그램 및 교수법 개발에 기여하고, 신체적·심리적으로 혼란을 겪는 중학생들이 음악 교육을 통해 스트레스 상황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능력인 자아탄력성을 신장하여 보다 원활하게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모색을 위한 이론적 바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invigoration of the national policy,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that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s have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either participate in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s or do not, these music programs have been observed to result in better outcomes with regards to the students’ego-resiliency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nature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have been considered,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ego-resiliency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addition,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ob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usic students’ diverse backgrounds and perceptions of the program. In order to carry out the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chool A in Seoul and school B in Gyeonggi-do have participated.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and those who weren’t were recruited from each school. The study commenced on April, 2014 with 20 music students and 20 non-music students from school A, and 71 music students and 90 non-music students from school B. A total of 201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t the end of study for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ego-resiliency, and adaptation to life at school. Ego-resilient scale that was used to evaluate ego-resiliency in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by Eun Hee Park(1996) based on the underlying research conducted by O’Connell-Higgins(1982) and Block &Kremen(1996), and which since then, has been revised by Jee Yeon Shin(2004). In evaluating the students’adaptation to school life, a studying-motive scale that has previously been used in a normative study by Ah Young Kim(2002) was used. To evalu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A program called SPSS (ver.19) has been utilized as a screening tool, for information collection, as well as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or independent sample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used throughout the study as need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according to procedures previously described. First of all,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in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in their ego-resiliency according to t-test(p.<01). Participants in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is found to have higher ego-resiliency compared to non-participant group. Secondly,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in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in their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according to t-test(p.<01). Participants in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is found to adapt better to school life compared to non-participant group. Thirdly,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ego-resiliency in between groups of different sex and age. Male students had slightly lower ego-resiliency compared to female students.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had slightly higher ego-resiliency than first-year and third-year students while the third-year students had higher ego-resiliency than the first-year students insignificantly. Fourthly,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bility in students’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in between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in their similar sex and age. Male students had slightly less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compared to female students. Also, second-year students had slightly better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than first-year and third-year students while third-year student had better ability to adapt than first-year insignificantly. Fifthly, it was observ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y and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for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students in the program with higher ego-resiliency adapted to school life better. Additionally according 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higher ego-resiliency was confirmed to be directly related to better adaptability of students to school life. Sixthly, the result of the two open-end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spects of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was that 91% of the students had a positive opinion about the program in terms of education, emotion, and policy. On the other hand, 22% of students reported that there needs to be an improvement with regards to the facility, of the class, and variety within the program. In conclusion, we propose that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s result in beneficial outcomes. Through th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students develop an ego-resiliency based on the positive aspects of music, such as its energy and its ability to stabilize emotions. Furthermore, it can lead to better school life adaptation for the students. Therefore,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should be viewed to be more than just a simple after-school activity; it is an opportunity for new, effective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on the effects of after-school specialty-aptitude music program is theoretically expected to contribute to finding new methods about effectively controlling bot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ress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y improving their ego-resiliency, as well as their adaptability to school life through th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