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 교사의 직무수행상의 어려움

        양은정 순천대학교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 교사들이 지각하는 방과후 과정의 현황과 직무수행상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가 개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방과후 과정 교사들의 직무수행상의 어려움을 줄이고, 교사로서의 자기역량 강화와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높힘으로서 효율적인 방과후 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방과후 과정 교사가 지각하는 방과후 과정의 현황은 어떠한가? 2. 방과후 과정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수행상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3. 방과후 과정 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순천, 광양, 여수지역 소재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교사 112명이다. 연구도구는 Clark(1980)이 개발하고 D'Arienzo외 (1982)가 수정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질문지(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이며, 선행연구(김원희,2014; 심초혜, 2008)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선형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0.05을 기준으로 하였다. 신뢰도는 크론바하 알파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과정 교사가 지각하는 방과후 과정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운영목적은 교육과 보육을 통합한 프로그램을 제공, 필요성에는 유아들의 발달에 맞는 특성화 프로그램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것, 운영 내용중 가장 강조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친구사귀기, 사이좋게 지내기 등 사회성을 기르는 활동, 다음으로는 기본적인 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활동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으로는 오전반과 같은 생활 주제 및 교육내용, 운영계획 담당자로는 방과후 과정반 교사가 직접 계획에 참여, 교육계획 구성시 참고하는 자료는 교육부 발간 방과후 과정 운영 지도 자료,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한다고 하였다. 교육활동 형태로는 대, 소집단을 연계, 활동유형에 따라 개별화 교육, 소집단 교육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방과후 과정 특성화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교사로는 외부강사가 높았으며, 방과후 과정 교사가 담당하는 곳도 많았다. 특성화 프로그램이 어떤면에서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교육을 통한 유아들의 발달, 전문 인력을 통한 특기교육으로 기능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 과정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수생상의 어려움을 분석한 결과, 방과후 과정 운영 교육계획 작성시 참고자료의 부족, 혼합연령으로 구성된 학급에서는 연령별 교육계획을 작성, 급·간식 제공 이후 설거지하기, 균형적인 영양 섭취를 위한 식단이 고려 될 수 없다는 점이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량과 인간관계가 어려움으로 지적되었다. 방과후 과정 교사들은 방과후 과정 교육과정을 정상화하기 위해 오전반 교사와의 연계된 수업계획, 원아와의 활동이외의 과중한 업무와 바쁜 일과로 인해 충분히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오전반 교사와 방과후 과정 교사가 서로 협력관계가 아니라, 방과후 교사는 오전반 수업이 끝나 후 교실의 정리정돈이 잘 되어 있지 않아 정리 정돈, 청소, 환경구성, 행사 준비, 유치원의 전제적인 청소, 현장학습 보조 인력 등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교사로서의 자존감 상실과 수동적 근무 자세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 동료 방과후 과정 교사와의 관계에서도 큰 어려움은 없지만, 경력과 연령에서 차이가 있을 경우 업무의 일부가 나이 어린 방과후 교사에게 전담되는 것도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과정 교사의 처우문제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고용 불안정, 업무에 비해 낮은 급여, 연수 기회 참여 저조 등 방과후 과정 교사들은 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사기저하, 전문성 신장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after-school-class realities that the teachers got to recognize and difficulties on their job performance, and to find out whether their jot stress is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ould be us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after-school-class with reducing difficulties of the teachers' job performance and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as a teacher and enhancing their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themes were selected as research themes. 1. What are the realities of after-school-class that teachers recognize? 2.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their job performance that they recognize? 3. Are there differences of their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tres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12 teachers of after-school-class who were working at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Suncheon, Gwangyang, and Yeosu. The research tool is the Modified Teacher Occupational Stress Factor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Clark(1980) and modified by D'Arienzo et al (1982) ; The survey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that of the previous studies (Kim Won Hee,2014; Shim Cho Hye, 2008) was modified and completed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2.0. The significance level was specified by 0.05. Reliability was analyzed by producing Cronbach's alph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 Firstly,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after-school-class teachers recognize ; The purpose of the after-school-class operation is to provide the integrated programs of education and care ; Its necessity is to provide the special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development ; The contents that are to be stressed most are the activities for fostering sociality like making friends and getting along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activities for developing the basic life habits.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the same life themes and learning themes of morning class, and the after-school-class teachers take part in the operational plan ; When they make educational plans, they said that they use as reference materials the guide book for the after-school-class operation and the guide book for teachers of Nuri Curriculum published by the Education Ministry. The educational activity forms are associated with big and small groups; Individual education and small group education a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gram of educational activities. Those who are in charge of the special programs of the after-school-class are both lecturers invited from outside or the teachers themselves. The reasons that the special programs give some helps :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rough diverse education, and then special talent education by professional manpower. Secondly,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teachers' occupational difficulties they recognize ; The reference materials are lacking for the establishing of the after-school-class operation plan ; They have to make several educational plans according to the age in the mixed age class ; And these are also their difficulties : washing dishes after providing meals or refreshments and the reality that they cannot consider menu for taking balanced nutritions. In addition, it was also noted that the teachers took too much work and they felt difficulty 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after-school-class teachers felt difficulty in regard to making class plans associated with the teachers of morning class for the normalization of the after-school-class and in the lack of full communication with children owing to heavy works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with children care and busy daily task. These are also noted that teachers of morning class and after-school-class are not in cooperating relations; The after-school-class teachers have to clean the class and set it orderly after the morning class, and they have to prepare events, cleaning the whole kindergarten, and do as a para-educator's role in field learning. On occasion, they are forced to lose self-esteem as teacher or work passively. Although there is a big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among peer teachers, it was also noted as a difficulty that some task was given only the younger teacher, in case that they were different in age and career. Thirdly, the improved treatment is in need. It was found that the unstable economic position like unstable employment, low pay in comparison with their task, and rare opportunity for taking part in job training makes their morale low and it prevents their enhancement of specialty.

      • 전자기록물 장기보존을 위한 학위논문 디지털자료 납본체계 및 전자포맷관리 효율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회도서관 중심으로

        양은정 중부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서관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모든 기록정보가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그 중 학위논문은 국가적으로 보존 및 활용가치가 높은 지식정보자원이다. 따라서 학위논문은 신속하고 지속적인 디지털화 및 활용 서비스를 통해 학술연구자들의 정보 활용 범위를 넓혀 연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서관에서 매년 새롭게 수집하는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절차에 의한 체계적인 포맷 관리가 필요하다. 또 디지털 파일의 장기보존을 위해서는 각 주체들의 합의에 의한 합리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현재 국회도서관의 학위논문 수집 및 보존에 대한 포맷 관리표준은 따로 명시 되어있지 않다. 디지털 파일의 생산 포맷을 표준화하거나 통일하는 것은 디지털 파일의 장기보존 측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효율적인 학위논문 보존과 관리를 위해서는 최초 자료의 수집 시점인 납본 단계부터 일관성 있는 포맷 관리 표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회도서관을 중심으로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의 장기보존에 대한 납본 규정과 중앙영구기록물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의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비교 평가함으로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의 장기보존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회도서관의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의 효율적인 장기보존을 위해 다음과 같이 납본제도 포맷 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국회도서관에서 효율적인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의 보존관리를 위해 디지털 파일 납본을 위한 생산 포맷을 표준화하거나 통일하여 최초 자료의 수집 시점인 납본 단계부터 일관성 있는 포맷 관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위논문의 지체 없는 수집을 위해서는 각 대학에서 성실한 납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납본 제도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납본 받은 디지털 파일의 확장자는 hwp, doc, pdf로 다양하다. 이는 문서보존포맷으로 변환 시 문서 내 이미지 유실, 데이터 왜곡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국가기록원에서 공공표준으로 제정된 PDF/A-1로 일괄 변환하여 납본을 받는 것이 필요하겠다. 특히 hwp포맷은 글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바이너리 형식의 독자포맷으로 타사의 소프트웨어로는 그 내용을 정확히 확인이 불가능하며, 내용이 확인 가능하더라도 원래의 서식과 모양이 동일하게 구현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글, PDF, MS오피스 등 전자파일을 대상으로 파일손상, 확장자 이상 등 기계적인 방법을 통해 상태 검증을 실시하여야 한다. 특히 국가기록원에서 전자기록물에 대한 장기보존포맷 변환과 이에 대해 육안검수를 진행하는 것처럼 국회도서관도 통일된 시스템을 통해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의 문서보존포맷과 장기보존포맷으로의 변환과 육안검수를 진행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All of the recor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ibrary has important value, but thesis is a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with high national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value. Therefore, thesis can maximize the research effect by expanding the scope of information use by academic researchers through rapid and continuous digitalization and utilization services. In order to quickly and efficiently search digital thesis digital files that the library collects every year, systematic format management is required by standardized procedures. In addition,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files, a reasonable standard by agreement of each subject is required. Currently, the format management standard for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degree thesis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is not specified. Standardizing or unifying the production format of digital file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files. Therefore, for efficient disserta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consistent format management from the legal deposit stage, which is the time of initial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long-term preservation of thesis digital file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legal deposit regulations for long-term storage of digital files of degree thesis centered o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state of long-term storage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of the National Archives, a central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We proposed a plan for this. For the efficient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files for degree thesis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 proposed the following ways to improve the legal deposit system format management. The following are the ways to improve the legal deposit system format management for the efficient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files for degree thesis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Firs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or unify the production format for depositing digital files in order to preserve and manage digital thesis digital files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conduct consistent format management from the depositing stage, which is the time of initial data coll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ollect dissertations without delay, the legal deposit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each university can faithfully deposit them. Second, the extensions of digital files that have been deposited are various, such as hwp, MS office, and PDF. When converting to the document preservation format, problems such as loss of images and data distortion may occur in the document, so it is necessary to collectively convert PDF/A-1 established as a public standard by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eive a deposit copy. In particular, the hwp format is a binary format that can only be used with specific software, and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contents with third-party software. Final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status of electronic files such as hwp, PDF, and MS office through a mechanical method. In particular, just as the National Archives of Records converts to a long-term preservation format for electronic records and conducts visual inspections,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should proce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digital thesis digital file should be converted into a document preservation format and a long-term preservation format, and visual inspec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a unified system.

      •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양은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purpose: Mothers who play a crucial role in maintaining the environmental health of their infant children are subject to education and management in regard to the prevention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hazards. Based on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rogram for preventing exposure to environmental hazards for women with infant children. Methods: The program for preventing exposure to environmental hazards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in whic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demand survey were conducted in the Analysis step, and then the detail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the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the assessment tool were determined in the Design step. In the Development step, the PowerPoint-based lecture material, video, and booklet were produced and the user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experts. In the Implementation step, quasi-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for women with infant children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repeated measure design. Educational intervention was provided to the mothers who have infant children attending five different daycare centers in S district in Seoul; 30 mother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31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The program for preventing exposure to environmental hazards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 group twice a week for a total of four times. The intervention involved group training, watching current affairs programs and educational videos, discussions, booklets,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social, and Q&A sessions. A questionnaire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o examine the subject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coping efficacy, coping cost, selfefficacy, and intended preventive behavior. Lastly in the Evaluation step,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mong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 group to evaluate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developed program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program was operated eff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4.0.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2-way repeated measures ANOVA,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conducted. Results: The experiment group to which the developed program was provided had improved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coping efficacy, coping cost, self-efficacy, and intended preventive behavior immediately after an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respect to the effectiveness within the group,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coping efficacy, coping cost, self-efficacy, and intended preventive behavior of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improved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maintaine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Meanwhile,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coping efficacy, coping cost, self-efficacy, and intended preventive behavior of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exhibi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e program for preventing exposure to environmental hazards develop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coping efficacy, coping cost, self-efficacy, and intended preventive behavior of the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Therefore, the program for preventing exposure to environmental hazard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preventive behavior among the environmentally susceptible population in communities and establish relevant strategies. 배경 및 목적: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은 자녀의 환경건강을 유지하는데 주된 역할을 하므로 환경유해인자 노출 예방을 위한 교육과 관리가 필요한 대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호동기이론을 기반으로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환경유해인자 노출 예방프로그램 개발은 ADDIE의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분석(Analysis)단계에서는 문헌 고찰, 심층 면담 및 요구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계(Design)단계에서는 교육의 구체적인 목표와 내용, 방법 등을 설정하고 교안을 작성하였으며, 평가도구를 구성하였다. 개발(Development) 단계에서는 PPT 강의안, 동영상, 소책자를 개발한 후 전문가와 사용자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후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을 대상으로 비 동등성 대조군 반복측정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를 실행(Implementation)하였다. 서울 S구 소재 5개의 어린이집에 등원하는 영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교육 중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군 30명, 대조군 3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실험군에는 주당 2회 총 4회기의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중재방법은 집단교육, 시사 프로그램 시청, 동영상 시청, 토론, 소책자 제공, SNS 정보제공 및 질의응답을 활용하였다. 중재 전후, 중재 2주 후에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대처효능감, 대처비용, 자기효능감, 의도적 예방행위를 설문 조사하였다. 마지막 평가(Evaluation)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운영과정과 내용이 효과적으로 시행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군을 대상으로 과정평가와 결과평가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2-way repeated measures ANOVA,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직후와 중재 2주 후에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대처효능감, 대처비용, 자기효능감, 의도적 예방행위가 개선되었다. 집단 내 효과검정에서 실험군의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대처효능감, 대처비용, 자기효능감, 의도적 예방행위는 중재 전과 비교해 중재 직후 개선되었으며, 중재 2주 후에도 효과가 지속되었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집단 내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대처효능감, 반응비용, 자기효능감, 의도적 예방행위는 중재 전과 중재 직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보호동기이론 기반 환경유해인자 노출 예방프로그램은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대처효능감, 대처비용, 자기효능감, 의도적 예방행위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추후 지역사회 여러 환경취약계층의 환경유해인자 예방행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읽기능력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언어 표현력

        양은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nd language expression and the reading abilities and age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80 four-year-old children 80 and five-year-old children selected from five daycare centers located in D-city. Reading ability tests were type A and type C of Reading Test develop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88). Story comprehension tests was composed of excerpts from Young-Ae Jang’s “Language Ability Test tool” (1988). Language expressions test was the Language Expressions Test made by Young-Ae Jang (1981). Two-way ANOVA was performed to test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and language expressions depending on reading ability and 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y comprehension between groups of reading ability. In other words, children of high reading ability could comprehend stories better than children of low reading abi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y comprehension between four years old and five years old children. It showed that children of older age could comprehend stories better.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read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language expression ability depending on reading ability, showing that children in higher reading ability group recorded the higher average mark in language expressions than children of the lower reading ability. Fifth, there was no language expression depending on age. That is, it can be said that age had no effect on what child expressed in language. Sixth, reading ability and age had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language expression. It meant that both four and five year old children in group of superior reading ability could express better than children group of inferior reading ability. (초록)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읽기능력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언어표현력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위치한 5개의 어린이집에서 만4세아 80명, 만5세아 80명으로 총 160명이었다. 연구자는 유아에게 일대일 면접을 통해 읽기능력 검사를 실시한 다음 이야기 이해력 검사, 언어 표현력 검사 순으로 개별 검사하였다. 읽기능력 검사는 유아의 읽기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연구원(1988)에서 제작한 읽기검사 가 형, 다 형을 사용하였다. 이야기 이해력 검사는 장영애(1981)의 『언어능력 측정 도구』중 언어 이해력 부분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언어 표현력 검사는 선행연구(이연섭 외, 1980; 전용신, 1971; 한국행동과학 연구소, 1973; 허형 외, 1978)를 기초로 장영애(1981)가 제작한 언어표현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읽기능력과 연령에 따라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과 언어 표현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어느 집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능력에 따라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읽기능력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느 읽기능력 집단에서 이야기 이해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읽기능력 상 집단과 읽기능력 하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읽기능력이 높은 유아가 읽기능력이 낮은 유아보다 이야기를 잘 이해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연령에 따라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높은 아이가 이야기를 더 잘 이해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읽기능력과 연령의 상호작용이 이야기 이해력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읽기능력에 따라 유아의 언어 표현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읽기능력 중 집단의 유아가 읽기능력이 가장 높은 상 집단의 유아보다 언어표현력 평균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읽기능력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령에 따라 언어 표현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유아가 언어로 표현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읽기능력과 연령의 상호작용이 언어 표현력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읽기능력이 낮은 집단에 비해 읽기능력이 높은 집단 4, 5세 유아 모두 언어 표현을 잘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p색 칠하기를 이용한 매듭 불변량

        양은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매듭 불변량(knot theory)의 한 종류인 색깔칠하기(coloring)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색깔칠하기의 가장 간단한 예인 3색칠하기(tricoloring)를 먼저 알아보고 3색칠하기의 가능 여부가 매듭불변량이 됨을 보인다. 이를 이용하여 삼엽매듭(trefoil knot)과 8자매듭(figure-8 knot)이 서로 다른 매듭이 됨을 보인다. 또한 주어진 매듭에 대해 3색칠하기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정리들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3색칠하기를 일반화한 p색칠하기(p-coloring)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주어진 매듭에 대한 p색칠하기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여러가지 정리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특히 주어진 매듭의 이중 가지친 덮개공간의 첫번째 호몰로지의 위수(order)가 p를 나누는 것이 그매듭이 p색칠하기가 가능한 필요충분조건임을 증명한다. 이를 이용하여 주어진 매듭의 알렉산더 다항식을 이용한 p색칠하기 가능여부의 판별법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이 논문에 나오는 모든 내용들은 기존의 논문들에서 이미 소개된 정리들을 종합하여 정리한 것이다. The coloring which is one type of knot invariant does about, does from this paper. Tricoloring is a simple example most p-coloring, the possible yes or no becoming knot invariant, is visible. Use this, trefoil knot and figure-8 knot are different each other. Also about the knot which comes to give tricoloring about the theorem which discriminate the possible yes or no.

      • 꿈 분석을 통한 기독교 영성 교육에 관한 한 연구 : C. G. Jung을 중심으로

        양은정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영성 교육의 한 도구로 음의 꿈 분석을 이야기 해왔다. 2장에서는 꿈이 우리의 일상에서 큰 자리를 차지고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요하게 가치부여가 되지 않는 상황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나, 생리학적으로나 꿈이 우리에게 중요한 것임을 동기부여 하였다. 다음으로 성서와 기독교 역사에서 꿈이 어떻게 다루어겼는지를 살펴보았다. 성서에서는 꿈이 하나같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고, 하나님의 계시 수단이었는데, 기독교 역사 속에서 어떻게 왜곡되었고 천시 받게 되었는지도 살펴보면서 꿈에 대한 시각을 회복했다. 또한 현대에 이르러 꿈 분석 전통의 회복에는 심리학의 공헌이 크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프로이트의 심리학이 대표적이다. 심리학은 프로이트에 대한 이해를 기본으로 한다. 왜냐하면 프로이트는 심리학의 창시자라 할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한 위치를 자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리학은 프로이트 이후로 급격히 성장했고, 이제는 프로이트를 넘어서서 인간 이해의 풍부함을 더해주고 있다. 프로이트 심리학의 꿈에 대한 이해와 꿈 분석에 아주실제적인 방법론을 제시한 게슈탈트 심리학에 대한 이해는 음의 분석 심리학을 이어서 전개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3장 융의 꿈 이해는 그의 분석 심리학의 기본 이해를 통해 가능하다. 융은 프로이트의 한정적이고 편파적인 인간이해, 종교이해, 꿈 이해를 넘어섰음을 알았다. 그의 인격의 구조와 기능은 인간을 기계론적으로 생각했던 당시의 교육관점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루었다. 인간을 하나의 전체로 파악하고,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 논 융의 이론을 통해 꿈을 통한 개성화와 초월기능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다. 또 꿈 분석의 원리와 방법을 살펴보면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데 도움을 얻었다. 마지막으로 기독교 영성과 영성교육의 이해를 융의 꿈 분석 이론과 함께 논하면서, 개성화 과정은 결국 영성의 단계와 그 성격이 같다는 것과, 꿈 분석을 통해 그 영성의 길을 가도록 돕는 것이 영성교육의 과제임을 말하였다.

      • 고등학생의 진로 미결정과 자아 정체감 및 인생목적과의 관계

        양은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둥학생의 진로미결정과 자아정체감 및 인생목적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즉,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에 따라 자아정체감과 인생목적이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간 또는 성별간의 진로미결정정도, 자아정체감, 인생목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전라남도 읍단위에 소재한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594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측정도구로써 진로미결정은 Osipow 등(1980)이 개발하고, 고향자(1992)가 우리나라 문화에 맞게 번안한 진로결정검사(Career Decision Scale; CDS) 자아정체감은 서봉연(1975)의 자아정체감 척도, 인생목적은 Crumbaugh와 Maholick(1969)이 만든 인생목적검사(Purpose in life test : PIL Test)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이 높을수록 자아정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미결정이 높을수록 인생목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미결정수준과 자아정체감의 하위척도와의 관계에서는 목표지향성, 자기수용, 자기주장, 자기존재의식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진로미결정수준과 인생목적의 하위척도와의 관계에서는 인생목적, 목표달성, 생활만족, 실존적 공허, 인생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생간에는 진로미결정, 자아정체감, 인생목적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남학생과 여학생간에는 진로미결정, 인생목적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아정체감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진로미결정과 자아정체감, 인생목적이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보다 성실한 학교 생활을 위해서는 진로미결정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자아정체감 진작, 인생목적의 확립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동시에 진로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정보, 진로교육 등을 제공함으로써 진로미결정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힘써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school students' career indecision, identity crisis and life purpose. That is, according to highschool students' course indecision, It tried to find out the some connection with identity crisis, between highschool students' career indecision and life purpose, an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urse indecision, identity crisis, and life purpose between academic highschool students and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and between the sexes.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were about 594 students in high schools and commercial high school at Hwa- Soon up in Chollanamdo. The Research tool for undecided course was used 'Career Decision Scale ; CDS (Had developed (Osipow, 1980)' and Adapted according to our culture(Hyang-ja Go,1992) and the tool for identity, 'An Index of Identity (Bong-yon Seo, 1975)' and the tool for Life Purpose, 'Purpose in Life test ; PIL Test (Crumbaugh & Maholick, 196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ighschool students' career indecision and identity crisis. That is, the high highschool students' career indecision was, the low their identity crisis wa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ighschool students' career indecision and their life purpose. That is, the high highschool students' career indecision, the low their life purpose wa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career indecision and identity crisis showed that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goal- oriented, self-acceptance, self-assertion and consciousness of one's self. Fourth,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career indecision, identity crisis, and life purpose between academic highschool students and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Fifth,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career indecision and life purpose, but there was in identity cri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Career Indecision, Identity Crisis and Life Purpose should be affected their relations each other. Therefore, special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identity. and the establishment of life purpose for trustful school life of students and raising the standard of career indecision. And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tudents should be given various informations and instruction which are useful for the course indecision to raise their career inde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