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아스파라거스 두부의 최적 제조조건에 관한 연구

        양우석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전 세계적으로 기온이 점점 상승하고 있고 한국의 기온 또한 지난 10년간 약 0.27℃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승추이는 1980년대 이후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기후변화는 사회 전반적으로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무엇보다 1차 산업인 농작물 재배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온대기후에 속해 있던 과거 한국이 현재 점점 아열대기후로 접어들면서 재배작물 또한 아열대작물의 재배 및 섭취가 자연스레 증가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아열대 작물의 식품개발 또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양질의 삶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고 맛과 영양이 충족되는 기능성 건강식품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가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열대작물인 아스파라거스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건강식품인 두부에 접목시켜 아스파라거스가 첨가된 두부의 연구개발을 진행하였다. 독립변인으로 아스파라거스 퓨레의 양과 두부 간수로 사용된 염화나트륨의 양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으로는 아스파라거스 두부의 맛, 색, 굳기, 향, 전체적인 선호도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중심계획법(Central Composit)으로 관능검사를 설계 및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분석하고 Design Expert 9 (State-Easy Co., Minneapolis, MIN, USA) Program을 사용하여 독립변인에 대한 각 각의 종속변인들을 평가하였다. 그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적 최적화(graphical optimization)와 수치적 최적화(numerical optimization)을 각 각 구하고 지점예측(point prediction)을 통하여 아스파라거스 두부의 최적 레시피를 선정 하였다. 도출된 최적값은 아스파라거스 퓨레 164.62ml, 염화나트륨 39.58ml 백태 300g, 물 1200ml 이었고, 이 레시피로 아스파라거스 두부를 만들었을 때 종속변수는 7점 척도 중 맛이 5.44, 색은 5.51, 굳기는 4, 향은 5.08, 전체적인 선호도는 5.83 의 값이 도출되었다. 아스파라거스 함량 증가에 따른 DPPH free radical 소거능에서 항산화 활성 측정 실험도 병행하였는데 아스파라거스 함량이 최소일때와 최대일때를 비교해본 결과 항산화 활성치가 약 28% 가량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스파라거스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반응 또한 증가함을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아스파라거스 두부 제조의 최적값과 건강식품으로서의 기능적인 부분들을 알아보았다. 한국의 아열대화 속에서 대표적 아열대작물인 아스파라거스를 이용한 식품개발은 암 또는 성인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나 건강을 중요시 여기는 일반인들에게 기능적인 측면이나 기호적인 측면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국내 기온 상승으로 인한 아열대채소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 속에서 아열대 작물을 활용한 제품개발과 최적화 연구는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 포괄적 정의의 특수화를 지원하는 GJ 언어의 확장에 관한 연구

        양우석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proposes a way of extending semantics in order to append efficient programs incrementally for specific type by programmers as a way to overcome the incomplete semantics of GJ. Further more, I have implemented a prototype in Haskell to verify the proposed way. The GJ is an extension to Java programming language that supports types with parameters. This function enables not only static type checking but also datatype-independent generic programming. The genericity of GJ can improve reusability but it is suitable only for specific types. But it has the drawback that cannot append efficient programs, and cannot use types for value semantics as type parameters. In this paper, we proposes generic definition specialization that can append gradually definitions, which are different from generic definitions to define already and supports specific types with parameters. We verified proposed semantic prototype can append gradually codes about specific types and support types for value semantics with parameters correctly by the examples using our prototype.

      • 河川 流量 變化에 따른 水質 汚染度 分析 : 안성천 유역을 중심으로

        양우석 水原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8639

        Generall, as the fliud volume increases, the degree of contamunation should decrease. However in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which invalves An Sung River, as the fluid volume increases from the draught vol, the degree of contamination has increased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been found as the fallowing. 1)As the fluid vol, increases from low flow vol, average flow vol, self-purificatin capacity of the river increases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shald decrease. But, as the fluid vol. increases, we see that the degree of contamintion increases prapartionately and this is assumed to be due to NPS and the phenomenon of flatation of contamination sediments on the bottom of the river. 2)We were able to determine the flow in propotion to qualty of load quantity through an anniversary of analysis revealed linear relationship. 3)Using an anniversary of analysis, we were able to pdict seasanal amout of floating contaminants per fluid vol. 4)Using this result, we determined the amount of diluting agent (based on the 2nd. degree water accarding to Environment presevation directive)to be increasing in linear relation to the fluid vol. of the river and seasonal changes would be expected to have a similar effect.

      • 갑상선 수술 전·후 모음에 대한 음향학적 특성 및 설골운동의 변화

        양우석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Purpose This study seeks to quantitatively analyze changes in the voice of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 surgery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ith acoustic parameters such as fundamental frequency (f0), vowel formant, vowel space area and position variations of the hyoid bone, and to utilize the results in the evaluation of voice disorders. Subjects and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8 women who underwent Thyroidectomy and whose ages were 52(±13) years. f0 of seven vowels, and three formant (F1, F2, F3) vowels were analyzed using Praat voice analysis software (version 5.3.61), a voice analysis program. SPSS (20.0) was used as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s for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mixed linear model models were used, and non-parametric paired sample K test(Friedman test) was carried out. Results f0 valu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owels /a/, /i/, /u/, /e/, /o/, /ʌ/, /ɯ/. The post-hoc test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 in three day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ther vowels in both three days and two months after the operation. With respect to f0, the postoperative recovery was measur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in surgical effect values of three days and two months after the operation. The vowels /e/ and /i/ turned out to be the ones with the lowest recuperative power. As for vowel formant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F1 mean value of vowel /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ree months after the operation. In vowel /i/, F3 valu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ean and estimated value of standard deviation in three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result of measuring the vowel space area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fore the operation, 3 days after the operation and 2 months after the operation. Variations in the movement of hyoid bon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Y coordinates of the vowels /i/ and /e/ when compared in before the operation and three day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fundamental frequency (f0) of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 surgery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showed that the f0 values decreased in 7 vowels. Looking at the result on the f0 of vowels, the f0 value of vowel /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ree day after the operation when compared with the value before the operation, and the f0 values of the other vowels /i/, /u/, /e/, /o/, /ʌ/, /ɯ/ decreased in three days and two months after the operation. The result of comparing changes in the fixed-effects estimates for f0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eriod revealed that vowels /e/ and /i/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whereas vowel /ʌ/ showed the smallest difference. In the variation of vowel formant, F1 value of vowel /e/ decreased in two months after the operation when compared with preoperative value. This change in F1 value is estimat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change of opening width due to the surgery. And the question on whether the decrease in F3 value of vowel /i/ is attribu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is to be presented as a further research issue. The variations in the movement of hyoid bone can be assumed to be the effect of the wound located on the laryngeal region, which was caused by the thyroid surgery, on the range of hyoid bone vertical movement as the hyoid bone, thyroid cartilage and cricoid cartilage that make up the larynx are in close coordination with one another in case of vocalization of vowels.

      • 실용음악학과 커리큘럼의 비교 연구 : 음악산업으로의 가능성 모색 : In Search of the Paths to Music Industry

        양우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한국의 실용음악교육의 역사는 1988년부터 2017년 현재까지 30년이 되었다. 실용음악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학과 중의 하나가 되었으며 특히 보컬 전공은 602:1에 이르기도 한다. 그러나 음악산업과 소통하지 못하고 있는 현재 대학의 실용음악교육은 연주 중심적 교육의 한계에 와있다. 특히 이미 세계 10권에 진입한 한국 음악산업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새로운 커리큘럼을 전공으로 개설해야 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실용음악교육의 변천사는 편의상 생성기와 확장기 그리고 포화기의 세 시기이며 시기별 음악산업의 특징도 살펴보았다. 보다 객관적인 커리큘럼의 개발을 위해 위 분석의 결과를 캐나다, 미국 그리고 일본과 비교하였다. 생성기는 실용음악교육이 국내 대학에 도입된 1988년부터 1997년까지로 교육의 목적을 연주자 양성으로 한계 짓고 실기교육에 집중하였다. 1988년 서울예술대학은 국악과 2부에 미국에서 수학한 재즈 전공 교수들을 주축으로 실용음악과를 개설하고 국악과 재즈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1994년 부산예술학교가 실용음악과를 개설하고 수원여자대학이 생활음악과를, 1996년에 대구예술대학교가 실용음악 전공을 개설하였다. 같은 해에 명지대학교와 1997년에 숭실대학교는 사회교육원에 실용음악과를 설치하여 전문대 졸업생들에게 학점은행제를 통한 교육하기 시작했고, 한서대학교는 영상음악과에서 실용음악 과정을 이수케 하였다. 이 시기의 연주자 중심의 실기교육은 현재까지를 관통하는 한국 실용음악교육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 시기의 주목할 만한 음악산업으로는 1992년 부산 하단에서 출발한 노래방 사업을 들 수 있다. 그리고 1995년부터는 MP3가 1986년에 선보인 CD를 대체하기 시작했고 해외 메이저 음반사들이 직배 또는 합자사 등의 형태로 국내에 진입하며 음악소비의 패턴을 급격히 변화시켰다. 또한 한국의 10대들이 부모 세대의 경제적 여유에 힘입어 음악산업의 주소비자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확장기는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시기로, 실용음악이 2년제 41개, 4년제 30개의 대학에, 특히 경희대학교와 계명대학교, 동아대학교 등은 기존의 서양음악학과 안에 실용음악 전공을 개설하였다. 이 시기의 실용음악 열풍은 전국적으로 양적 성장을 이루며 12개의 대학원에까지도 실용음악교육의 길을 열게 하였다. 이 시기는 보다 재즈 중심의 커리큘럼이 특징적인데 주로 미국 버클리음악대학 출신 교수들에 의하여 주도되었다. 이 시기는 MP3의 발전에 의한 음원의 불법복제 및 불법유통의 문제가 음악산업계의 커다란 문제로 대두되었다. 법률적 분쟁을 거쳐 음악인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다수의 저작권 협회가 발족하였다. 포화기는 2008년부터 2017년 현재까지를 포괄한다. 2017년 현재 전국적으로 42개의 전문대학, 38개의 4년제 대학, 27개의 대학원, 그리고 30개의 콘서바토리에서 실용음악 관련학과를 개설하여 매년 음악산업에 필요한 인력보다는 보컬, 연주, 그리고 작곡 전공의 실용음악 전공자를 필요 이상으로 배출하고 있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는 2018년 수시입시에서 서경대학교의 보컬 전공 입시경쟁률이 602:1이라는 통계가 지적하듯이, 실용음악의 연주가 중심의 교육이 보컬 중심의 실기교육으로 전환된 사실을 꼽을 수 있다. 보컬 전공 지원자는 2006년부터 2016년 사이에 3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보컬의 절대적인 수요로 인해 전공 편중현상이 발생하게 된 것은 무엇보다 다양한 오디션 프로그램의 영향과 실용음악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변화가 가져온 결과이며 음악적 판단력을 상실시키므로 야기되는 국력의 낭비라 할 수 있다. 한편, 2008년에는 국내음악 저작물 통합메타데이터가 구축되어 오라인 음원불법거래에 대한 제재가 시작되었다. MP3 다운로드에서 스트리밍이라는 새로운 수용양식의 등장이 음원수입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국의 음악산업 관련 종사자도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한국 대학의 실용음악교육은 30년 전 초창기의 연주자 특히 보컬 중심의 실기 커리큘럼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는 연구의 결론으로 대학의 실용음악교육이 음악산업의 빠른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다양한 음악산업 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5개 전공을 제안하였다. 한국의 대학 실용음악교육은 뮤직 프로덕션, 레코딩 엔지니어링, MIDI 및 사운드 디자인, APP, 뮤직 비즈니스를 기준으로 특성화된 커리큘럼을 만들어서 음악산업 발전과 세계적 경쟁력 확보에 창조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초음파 센서와 Bluetooth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시스템 조명 구현

        양우석 원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조명 환경을 스스로 연출하고, 빛의 색온도와 조도를 변화시키며,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결합하여 실시간 조명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 조명이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LED시스템 조명과 소형화시킨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LED 디밍 시스템 2가지 종류의 시스템을 구현하고 측정 실험한다. 첫 번째,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LED 광원을 자동제어하고, 블루투스 무선통신과 스마트폰으로 사용자가 직접 수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초음파 센서, LED 광원,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 controller), LED 드라이버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계한다. 제작된 시작품으로 센서에 의한 LED의 자동 디밍과 Bluetooth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제어를 할 수 있음을 보인다. 두 번째, 블루투스 무선통신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디밍 및 색온도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 시스템을 구현한다. TI 社의 개발보드를 소형화 시켜 조명 제어가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을 제작하여 전체적인 LED 디밍 시스템의 부피를 축소한다. 제작된 블루투스 모듈과 20 W급 warm white와 cool white LED 칩이 내장 된 LED 다운라이트, 2채널 LED 드라이버로 구성된 하드웨어 및 디밍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여 시작품을 구현한다. 구현된 시작품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LED 광원의 밝기조절 및 색온도 조절을 제어한다. 위의 두 가지의 시작품의 설계 및 구현을 통해 초음파 센서와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소비전력이 낮은 LED 광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 또한 모듈의 소형화를 통해 조명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LED 시스템 조명의 기술 발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ystem illumination which spontaneously directs illumination environment, modifies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nce of light and is capable of minimizing unnecessarily used energy by connecting wire/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nd th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real-time illumination states is recently highlighted. First, LED light source is autonomously controlled depending on distance by using ultrasonic sensor, and users of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re allowed to directly control manually. Ultrasonic sensor, LED light source, micro controller and LED driver are designed into hardware and software. The trial product demonstrates that users are able to manually control by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utonomous dimming of LED by sensor. Second, the LED illumination system which is capable of controlling dimming and color temperature,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is implemented. The whole volume of LED dimming system is reduced by using the Bluetooth module which can control illumination, by minimizing TI Company's development board. The trial product is implement by designing dimming software and hardware consisting of two-channel LED driver and LED down light containing Bluetooth module produced, 20 W warm white and cool white LED chip. It controls luminosity and color temperature control of LED light source by using the application in smartphone. Throug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wo trial products above, convenience of users may be enhanced because luminosity of illumination can be control by using ultrasonic sensor and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lso there is saving effect of energy due to low power consumption of LED light source.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skill development of future LED system illumination, in that miniaturization of module make it possible to minimize installation space for illumination.

      • 공시지가 분석을 통한 서울시 중심지 변화에 관한 연구

        양우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1990년 최초로 법정 계획이 수립된 이래 서울시는 다층적 위계를 가지는 다핵 구조의 도시기본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개발과 관련해서도 도시철도망을 이와 발맞추어 정비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개발을 통해 지원되어 온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의 다핵구조가 실제로 도시 공간상에 구현되었는지를 도시철도 역세권의 표준지 공시지가 변화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2000년~2022년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서울시 전체의 표준지 공시지가를 분석하고, 도시철도역에서 반경 500m 버퍼를 역세권으로 분할하고 개별 역세권의 평균 지가를 추출하여 평균지가와 표준편차를 산정하여 최종적으로 Z-score를 계산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지하철역별 Z-score와 중심지 체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도시철도 노선을 따른 역세권 지가 분석을 통해 위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심지 분석에 매우 유용하며, 특히 시계열 분석을 통해 중심지 이동의 변화 양상을 추적할 수 있었다. 둘째, 표준지 공시지가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중심지가 유효하게 파악되어, 표준지 공시지가가 중심지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시기본계획상에서 부도심으로 선정된 왕십리, 영등포, 상암 권역과, 지역중심으로 선정된 미아, 상계, 대림지역의 중심성이 실질적으로는 약화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의 중심지 체계가 도시기본계획의 목표와는 다르게 진행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시도하지 못했던 2000~2022년까지 총 23개년의 표준지 공시지가 시계열 분석을 통해 중심지 이동을 식별하였으며 그 특성을 파악하여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도시기본계획에 의해서나 정책적으로 선정되는 중심지 체계는 위계에 따라 설정방법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책적으로 부도심과 지역중심, 지구중심을 선정한 이후 이에 부합하는 개발 정책이 뒤따라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후 서울시 중심지 체계는 서울이라는 대도시권 차원에서 도심 부도심의 역할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고, 2000년 이후에 종로구 및 중구의 도심기능이 영동지역의 부도심 기능에 오히려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영동 부도심의 위계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2014년 계획된 2030 도시기본계획에서 3도심으로 지정한 것은 이러한 면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어 향후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시공간 특징이 더욱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고무적이라 하겠다. 그리고 계획 및 정책에 의해 중심지를 선정하였다고 해도 경제상황이나 주변 여건 등에 따라 계획과는 다르게 중심지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1년 단위 또는 주기적으로 중심기능에 대한 분석과 지표를 통해 중심지역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the first statutory plan was established in 1990, the city of Seoul has continuously promoted a multi-nuclear urban master plan with a multi-layered hierarchy, and has been aligning the urban railway network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to support it. In this study, we used changes in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of the standard lot in the urban railway station area to analyze whether the multinuclear structure of the urban master plan of Seoul, which was supported by urban railway development, was actually implemented. For this research, a vast amount of standard lot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s in Seoul from 2000 to 2022 was analyzed. Each station district was defined by a 500m radius buffer from each urban railway station. The average land pric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station district were extracted. Finally, Z-score was calculated.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s the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Z-score for each subway station and the central system. First, identifying the hierarchy through station district land price analysis along the urban railway line is useful for not only central analysis, but also for tracing the changing aspects regarding the relocation of central areas. Second, results showed that centrality of the Wangsimni area, which was selected as a sub-center, and the Mia, Sanggye, and Daerim areas, which were selected as regional centers, was actually weakening. This indicates that the central system of Seoul was progressing differently from the goal of the urban master plan. Third, the official land price of the standard lot analysis was found to be useful for effectively identifying most central areas. Thus, using the official land price of the standard lot could be useful for central area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identify the movement of the central area through time-series analysis of the official prices of standard land lots for a total of 23 years from 1990 to 2022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regarding central area movement.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enter system selected by the urban master plan or policy needs to diversify th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hierarchy. Also, after selecting sub-centers, regional centers, and district centers in terms of policy, corresponding developmental policies need to be followed. In addition, the future central system of Seoul is highly likely to be made in the direction of giving the role of a downtown sub-center at the level of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Modification of the hierarchy for Yeongdong area seems necessary since the sub-central function of Yeongdong area has exceeded the central function of Jongno-gu and Jung-gu after 2000. The designation of 3 downtowns in the 2030 urban master plan can be seen as reflecting this aspect, and it is encouraging to se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can be further reflected in establishing future plans. Finally, even if the central area has been selected according to plans and policies, it may move differently from the plan affected by economic and surrounding conditions.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annually or periodically manage the central area through analysis and indicators of the central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