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양영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동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동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동극 활동이 유아의 개인적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동극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동극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적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D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1명을 실험집단으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A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1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42명이었다. 연구 기간은 2014년 3월 24일 ~ 2014년 7월 11일까지 16주간 이었다. 실험집단은 동화를 듣고 6회의 동극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누리과정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이경화와 유경훈(2010)이 개발한 ‘유아 창의적 리더십 측정도구’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모두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인 동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및 창의적 리더십의 3가지 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SPSS 18.0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에 있어서 동극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리더십의 요인별 하위영역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요인별 하위영역 중 개인적 리더십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개인적 리더십의 하위영역인 ‘자기 관리’와 ‘건설적 사고’ 모두에서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극 활동이 유아의 개인적 리더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없음을 보여준다. 둘째,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요인별 하위영역 중 사회적 리더십은 동극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리더십의 하위영역별 결과를 살펴보면 ‘타인 존중’과 ‘공동체 배려’ 모두에서도 동극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극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리더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요인별 하위영역 중 문제해결적 리더십은 동극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적 리더십의 하위영역별 결과를 살펴보면 ‘창의적 사고력’과 ‘창의적 성향’, ‘창의적 행동’ 모두에서도 동극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극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적 리더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동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동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에 적합하고 의미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양영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의 역할을 규명하고, 어떤 경로로 그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4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주관적 안녕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자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 자기자비는 정적관계를 나타냈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직접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자비를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이는 청소년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중 부모의 양육태도가 여전히 영향력이 있으며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녀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수용적이고 친절한 태도를 발달시킴으로써 부정정서가 감소되고 안녕감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통해 자기자비에 영향을 미쳤고 이것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이중매개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는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에 대한 교육적 고려, 상담 및 지도 개입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부모는 자신의 양육태도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상담을 통해 점검하고 자녀를 존중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학교는 청소년기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학생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이해하여 다양한 의견과 결과가 수용되는 학교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상담을 통해 부정적 사고에 개입하고, 자신에게 친절하게 대하도록 지도하며 자기자비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기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 중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자비의 영향을 확인하였고 어떤 구조적 관계를 가지고 작동하는지 밝혀 학생 상담과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12 5th and 6th grad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ere analy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attitude was meaningful correlation wi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elf-compa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Parental attitude,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compass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Second, parenting attitude had direct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athway that indirectly affect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elf-compassion were also significant. Bu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is means that parenting attitudes are still influential among social factors affecting adolescence, and that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reduce negative emotions and increase well-being by developing their children's receptive and friendly attitudes toward themselves. Third,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self-compassion throug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identified a dual-mediated pathway that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is indicates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need for educational consideration, counseling, and guidance intervention on self-compassion in order to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subjective well-being perceived by early adolescents. Parents should check their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impact on their children through counseling and make efforts to respect their children. Schools should create a school atmosphere in which various opinions and results are accepted by understanding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f students that can occur frequently in adolesce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to intervene in negative thinking through counseling, guide them to be kind to them, and increase self-compa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effects of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negative evaluations, and self-compassion among the various variables affe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s, and provided evidence for student counseling and guidanc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the follow-up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 ‘우리말 꾸러미’ 분석 : 초등 1~4학년을 중심으로

        양영옥 濟州大學校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s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Bundle’ and analyze its contents to know how to use and make improvements in the future. ‘The Korean Language Bundle’ was newly added to the revised Korean textbook in 2009. It tried to make a textbook that shows ‘how to study 'writing' and 'pronunciation’ sections that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units. The revised version put these sections together with other beneficial learning factors at the end of the books. This composition was originally intended to teach students with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tools, but there has been no study on its propriety, appropriate use and improvement. Chapter Ⅱ-Ⅲ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Bundle.’ Here, I examined the concept and function of the normal textboo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revised 2007 textbooks. This study was based on these analyses. Chapter Ⅳ focuses 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Bundle’ in 22 revised Korean textbooks for elementary 1stto 4thgraders and ChapterⅤ tries to show how to improve the text book based on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bove all, I put the educational practices of ‘The Korean Language Bundle’ into larger categories: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distribution of each textbook according to its volume and learning required for each grade; and how to state the text book and how different and connected the textbooks are. As a result, I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the amount of learning required, the older the students after 4th grade, the less the amount they study, especially in listening and speaking. This shows that ‘The Korean Language Bundle’ is mainly studied by younger students and it is difficult to reach an agreement on teaching factors for 'The Korean Language Bundle.’ Therefore, it needs to make in-depth discussion about what contents ‘The Korean Language Bundle’ should include. Second, as to how to state the textbook, the revised textbooks show lots of differences among different kinds of textbooks, for example how to display categories and symbols of medicines, but it doesn't seem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xtbook are reflected. Accordingly, I suggest that there be consistency and connection among different grades, the teaching contents and activities rather than how to state. Lastly, in terms of the difference and consistency among textbooks, ‘The Korean Language Bundle’ has to have both the difference and consistency considering each textbook's characteristics: each Korean language textbook also has both the difference and consistency. Especially during 'The Pronunciation Drill' part, it is necessary to connect 'Pronunciation practice of the Korean Language' with 'Listening & Speaking book,' 'Reading Aloud' of 'Reading book' and 'Korean Alphabets' of 'Writing book.' to raise efficiency. Next, I analyzed the categories of each textbook to put them into larger frame works. Based on that, I analyzed relat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units. According to the results, I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Korean Language Bundle’ is important because it gathers learning elements that are essential and beneficial to study units. So it has to have connection with the school’s curriculum and units. For example, the achievement goal and related contents of grammar in the school curriculum are in the 'Listening & Speaking' textbook and the related contents are dealt with in the ‘The Korean Language Bundle’ of 'Reading book.’ Also, I could see some cases that the achievement goal for a certain grade is applied to the textbook for another grade. As ‘The Korean Language Bundle’ plays a role to help the related units, it should be considered connected to the related textbook. Second, there should be differentiation among textbook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but ‘The Korean Language Bundle’ serves as a common ground and therefore requires consistency. Take an example: Is it good to put in a factor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Korean textbook but is necessary for the unit? Or are there different positions about selecting related units in writing and pronunciation practice. They should be well coordinated through discussion. This study, however, has a limitation as it is a study based on textbooks, and does not fully reflect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use 'The Korean Language Bundle, ‘ So I hope that there will be better studies to make up for these limitation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과서에 새롭게 신설된 ‘우리말 꾸러미’의 설정의 취지와 특징을 살펴보고, 우리말 꾸러미의 내용구성을 분석하여 우리말 꾸러미의 활용 방안 및 개선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말 꾸러미’는 ‘학습 방법을 안내하는 교과서’를 지향하면서 2007 개정 교과서에 새롭게 신설되었다. 단원에 분산 되어 있던 ‘글씨 쓰기’와 ‘우리말 발음 지도’의 내용과 함께 그 외에 단원 학습에 도움이 되는 학습 요소를 모아서 교과서의 뒷부분에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것이라 여겨지나 구성 내용의 적정성이나 활용 방안 및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를 찾기 힘들다. Ⅱ장에서는 일반적인 교과서의 개념과 기능 및 2007 개정 국어 교과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2007 개정 국어 교과서에서 우리말 꾸러미를 신설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2007 개정 교과서에서 신설된 우리말 꾸러미의 개설 취지와 내용 구성을 살피고 이를 통해 우리말 꾸러미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1~4학년 국어 교과서 22권을 대상으로 우리말 꾸러미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Ⅴ장에서는 Ⅳ장에서의 분석을 토대로 현행 우리말꾸러미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에 제시된 우리말 꾸러미의 교육 실천 내용을 범주 별로 정리하고 각각의 교과서별 범주의 분포 현황을 교과서별 범주의 양적 측면, 학년별 학습량의 측면, 교과서별 우리말 꾸러미 진술 방식의 측면에서, 교과서별 차별화와 연계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학습량의 측면에서 볼 때, 대체적으로 4학년으로 갈수록 학습량이 줄고 있으며 『듣기․말하기』 우리말 꾸러미의 경우 변화의 정도가 더욱 심하였다. 이는 ‘우리말 발음 익히기’ 범주에 대한 학습이 상대적으로 저학년에 편중되고 있는 점과 우리말 꾸러미에 포함되어야 할 학습 요소에 대한 합의가 어려운 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때문에 우리말 꾸러미의 포함 내용의 범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볼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별 진술 방식의 측면에서 볼 때, 범주의 제시 형태 및 약물 기호의 사용에 있어 세 교과서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그 차이가 교과서별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고 보기에는 힘들었다. 때문에 진술 방식에서 보다 학습 내용 및 활동 내용과의 연관성, 학년간의 연계성 및 통일성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교과서별 차별화와 연계성 측면에서 볼 때, 국어의 각 교과서가 영역별 차별성을 지니는 것과 같이 우리말 꾸러미도 해당 교과서의 특성을 반영한 차별성을 지님과 동시에 연계지도의 필요성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 발음지도의 측면은 『듣기․말하기』에서의 ‘우리말 발음 지도’ 범주와 『읽기』의 ‘음독’ 범주, 그리고 『쓰기』의 ‘한글 맞춤법’ 범주를 연계하여 지도할 때 그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각각의 교과서별로 범주 현황을 분석하여 대범주의 틀로 정리하고, 이를 기초로 교과서 구성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관련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우리말 꾸러미도 교과서의 일부이며 단원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생들이 꼭 익혀야 할 학습요소를 모은 것이라는 점에서 교육과정, 교과 단원과 연결되는 구성이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육과정에서 문법 영역의 성취기준과 관련한 내용의 경우 단원은 『듣기․말하기』 교과서에 편성되어 있고 『읽기』 우리말 꾸러미에서 관련 내용을 다루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제시 학년 보다 다른 학년의 교육과정 성취 기준과 관련을 맺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우리말 꾸러미가 단원 학습을 돕는 위치에 있음을 고려하여 관련 교과서를 고려함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교과서간 영역의 차이로 인한 차별화가 있어야함은 당연하나 ‘우리말 꾸러미’라는 공통의 영역이 있으므로 교과서별 우리말 꾸러미 간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국어 교과와 직접 관련은 없으나 단원 학습에 필요한 요소를 우리말 꾸러미에 넣을 것인지의 입장, ‘글씨 쓰기’, ‘발음 익히기’의 경우 관련 단원 선정의 입장에 있어 학년 간, 교과서 간에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논의를 통한 조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과서에 신설된 ‘우리말 꾸러미’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말 꾸러미’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말 꾸러미의 활용 방안 및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우리말 꾸러미’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반면 이 연구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연구에 그쳐 ‘우리말 꾸러미’를 활용하고 있는 교사나 학생의 의견은 수렴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어 앞으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 시공단계를 고려한 고층건물 기둥의 부등축소량에 관한 연구

        양영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evaluate structural effect caused by column's differential shortening, select analysis model, calculate column shortening, compare with construction course and evaluate it. The process to carry out the study above is as follows: Theory-style organization on column shortening calculation based on existing research on high-rise steel-concrete buildings column shortening phenomenon. Consider condition of several stress of the entire structure, applying elastic shortening calculated by theory-style to analyzed model. Consider condition of several stress of the entire structure, applying elastic shortening calculated by theory-style to analyzed model considering construction course. Compare and analyze the structure analysis results of then compare analyze and evaluate general construction of column's differential shortening and results considering construction steps. According to all of the contents, the slopping of inequality would take the more than a half by inflexible transformation that it will comes up in a large way since the high-rise building has been constructed with the passage of time. Furthermore, the minus moment of the girder on top floor has appeared on construction stages in difference, which has no regard for construction stepping itself,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inflexibility and flexibility for consideration. In general, the slopping of inequality on vertical materials has been overestimated, and there is not enough of a difference to the end moment of the columns and walls in lower parts, however it will becomes increasing for walls in upper parts, also the less for columns. In fact, those situations has perpendicularly subjected to the primary moment in lower part as well as the elements on vertical materials made incensement by second moment. Moreover, there will be making an error in terms of planning, unless the considering the sectional girder in full flourish, and it has being without the slopping of inequality. In the next research, I believe that the alternative features must be concerned for construction process when it comes up with wind pressure.

      • 趙在三의 『松南雜識』 硏究

        양영옥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趙在三(1808~1866)이 편찬한 『松南雜識』의 백과전서적 類書로서의 성격에 주목하여, 이 저서의 서술방식과 구성내용을 통해 19세기 지식사에서 『송남잡지』의 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재삼은 학계에 거의 알려진 바가 없는 인물로 벼슬에 나간 적이 없는 재야의 학자이다. 『林川趙氏世譜』와 『송남잡지』의 내용을 통해 추적해 본 결과, 임천 조씨 가문은 대대로 명망 높은 인물들을 배출하였고, 조재삼의 학문은 이러한 가학의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집안의 혼인 관계를 통해 형성된 학풍은 조재삼에게 이어져 小論·小北계 지식인 그룹과의 영향 관계가 확인된다. 『송남잡지』는 조선조 유서의 전통과 발달 과정 속에서 성립되었다. 중국에서 기원한 유서는 송대 이후 대규모의 간행과 보급이 가능해지면서 본격적으로 편찬되었고, 조선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유서가 편찬되었다. 유서는 경사자집의 각종 서적에서 자료를 채록하여 역사 사실, 시문 전고, 박물지리 등 다양한 자료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대에 실전된 서적들의 자료를 집록할 수 있어 전대 유서의 다양한 내용과 형식을 계승하며 발전을 거듭해왔다. 『송남잡지』는 전대의 다양한 저술에서 선별한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새롭게 구성된 지식을 생성해내고 있다. 특히, 중국 문헌을 인용한 양상을 통해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전대의 유서와 총집을 통해 방대한 문헌을 집록하여 문학 공구서의 역할에 충실할 뿐만 아니라 문헌의 집대성을 이루고 있다. 둘째, 언어·문자와 관련된 소학류의 사전에 해당하는 서적들을 활용하여 물명류 저술들에서 보이는 어휘사전적인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잡가류와 소설가류에 해당하는 서적들을 선별하여 견문학과 박물지리학을 두루 담아내고 있는 필기적 특성을 보여준다. 『송남잡지』에서는 유서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箚記의 방식으로 지식을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탄생시켰다. 즉, 여러 서적들에서 해당 항목과 관련된 사항들을 뽑아 저자가 서술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순서대로 배치하여 하나의 항목을 완성하는 것이다. 또한, 문학 작품을 제시하여 문학적 효용을 추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조재삼은 詩料, 즉 시의 재료에 관심을 가지고 시 작품을 정보 제공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였다. 아울러 조선 후기 창작 시화에 보이는 풍속시나 사물시 등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어 이를 통해 사물현상과 생활문화를 이해하려는 태도를 볼 수 있다. 『송남잡지』는 전체를 아우르는 내용이 名物度數를 포괄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항들에 대해 유래를 설명하고 그 기원과 변화 양상을 살피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조재삼이 어원을 추정하는 방식은 문헌자료를 근거로 내세우는 경우와 함께 민간에서 전해들은 이야기를 통해 추정하는 경우도 빈번히 등장하는데, 이는 다른 유서와 변별되는 『송남잡지』만의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우리나라 고유의 어휘와 전래 문헌의 기록을 중심으로 엮음으로써 유서로서의 가치를 증대시키고 있고, 각 항목별로 고금의 사적과 물명에 대한 해설을 낱낱이 밝혀 오늘날의 전문용어 해설집과 같은 典故事典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조재삼은 새로운 문물과 기술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보이고 있고, 중국 외의 여러 나라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전시기의 지식정보로부터 당대까지 축적된 정보를 총망라하여 정리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왕의 축적된 지식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적재적소에 기록하여 저술의식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를 통해 저자의 시대 인식뿐만 아니라 당대 현실과 생활상을 바라보는 저간의 사유의 단초까지 엿볼 수 있다. 조재삼은 지방의 재야 지식인으로써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방편으로 『송남잡지』를 편찬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와 견문지식을 두루 활용하여 폭넓고 유연한 지식을 수용함으로써 기존의 유서와 다른 민간 재야의 문인이 만든 유서의 특징을 보여준다. 특히, 당시의 사회상과 풍속을 이해할 수 있는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보여주고, 당대의 생활상을 드러내고 있어 19세기적인 현상을 잘 나타내주는 유서로 평가할 수 있다. 『송남잡지』는 근대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전시기의 다양한 지식을 통합하여 전근대 지식의 총화를 보여줌으로써 19세기의 학술사, 지식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저술임을 입증하고 있다.

      • 松泉筆譚 硏究

        양영옥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15

        '松泉筆譚'은 심재(1722~1784)에 의해 편찬된 조선 후기의 필기이다. 이 책은 심재가 일생동안 보고 들었던 이야기나 많은 독서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들을 기록한 것이다. 그 유형을 살펴보면 견문 잡기의 형태를 띤 기록물에서부터 인물의 일화나 야담과 같은 서사의 형태를 띤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송천필담'에는 저자의 폭넓은 독서 체험을 통한 다양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고, 풍부한 식견을 바탕으로 한 비평적 글쓰기가 선보여 이전 시기의 필기와는 다른 면모를 보여 준다. '송천필담'은 기록과 내용의 두 가지 측면에서 특징적인 면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기록화 방식에서 보여지는 특징으로는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다양한 文獻의 受容이다. '송천필담'에는 총 200여 종이 넘는 다양한 문헌들이 활용되고 있다. 전대의 필기·패설류 작품집에서부터 조선 중·후기 문신·학자들의 시문집에 이르기까지 국내의 다양한 문헌들을 차용하고 있다. 아울러 기왕의 저서들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玉照新志'나 '淸署筆談'과 같은 중국의 筆記類 저서와 淸言小品서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또한 문헌 수용을 통한 작품의 구현뿐만 아니라 구연의 기록화 과정에서도 見聞 지식을 문학적으로 재구성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단순히 기록하는 차원에 머물러 객관적인 입장만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評을 통해 편자의 견해를 작품에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에서 더러는 이를 보조해 줄 수 있는 문헌을 인용하여 考證적 태도를 견지한 비평적 글쓰기의 면모를 보여 주기도 한다. 다음으로, 내용상 특징을 살펴보면 조선 후기의 주된 사상적 흐름뿐만 아니라 문물과 학예에 대한 박학한 지식을 보여주고 있어 심재의 文藝 意識을 확인할 수 있다. 독서에 대한 특별한 애정이 있었던 심재는 문헌의 편집 내력이나 출판 동향에 대해서도 소상하게 파악하고 있고 그의 학예적 관심은 서체와 화법에까지 미쳐 書畵 批評에 탁월한 식견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문물과 제도에 대해서도 박학한 지식과 개방적 태도를 견지하고 있어 담배와 안경과 같은 문물에 대한 소개뿐만 아니라 신분 제도에 대한 관용적 태도를 보여 준다. 물론 사상적 측면에서는 이단에 대해서 변별적으로 수용하는 가운데 도학 사상의 주된 흐름을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조선 후기 필기 문학의 흐름속에서 '송천필담'이 갖는 위상을 규명해 볼 수 있다. '송천필담'은 기록화 과정에서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여 고증적 태도를 바탕으로 한 비평적 글쓰기를 보여 주고 있고 내용면에서도 학예와 문물을 아우르는 폭넓은 소재의 글을 담고 있다. 이는 이전 시기의 단순한 견문, 잡기의 필기 문학이 아니라 18, 19세기 箚記체 필기나 백과전서식 저서의 前史를 보여 주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체계를 갖추고 계통을 정리하지 못한 점이나 학술적 성격이 부족한 점등의 한계로 인해 조선 후기에 뚜렷하게 나타나는 차기체 필기로 거론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재의 '송천필담'은 조선 후기 필기 문학의 발전도상에서 과도기적 성격을 지닌 중요한 작품집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Songchunpildam' is pilgi litera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compiled by Shim jae. This book is a kind of literary work Shim jae wrote by seeing, hearing, and reading many materials and stories in his lifetime. If examined carefully, it has a lot of stories from the documentary featuring personal experiences to epics containing anecdotes and historical stories. In 'Songchunpildam', there is much information contained through his reading, on top of which it has criticism that shows different point of view with broad understanding compared with early one. We can see many kinds of characteristics both through record and through contents in 'Songchunpildam'. First of all, the most remarkable thing in the chracteristics shown with the recording is that it accepted a variety of contents of other books. Over 200 books were quoted in this book, which adopted from folktales and essay in former ages to poetry written by many scholars in late choseon dynasty, and even used chinese literary works which didn't draw the attention. Moreover we can make sure that this book was made up by accepting other literary works and restructured literally many experiences in the recording process. And not only with holding up the objective standpoint but also with criticizing in many ways does this book reveal the critical writing style that reflects the writer's point of view, in the course of which it uses many supplementing literary works. Next, in the charateristics of contents, this book shows both the current of major thought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and wide knowledge on the culture and arts and sciences, which makes us confirm his high-quality thoughts. With his love of reading, Shim jae grasped fully publication trend and editing history about the articles that he quoted and his concern with arts and sciences makes him excel in the criticism of paintings. In addition, since he holds up an openness and knowledge about the culture and system, he not only introduced stuff like tobacco and glassess but revealed generous attitude about a status system. In the aspect of thought, with accepting heresy partially, he accepted the major stream of moral philosophy. With the above argument, we can understand the position that 'Songchunpildam' has in the stream of pilgi literature in choseon dynasty. 'Songchunpildam' shows critical writing using various materials in the course of the recording on the basis of historical point of view. That means it isn't only simple pilgi literature but shows encyclopedic side or Chagiche essay in the18th century. Though it has a limit in establishing, arranging a system and manifesting academic characteristics, it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literary work having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of pilgi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