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City 개발정책의 지역경제파급효과 비교연구 : 동탄 U-City 및 흥덕 U-City 사례를 중심으로

        송영현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는 첨단 기술에 의한 도시의 네트워크화를 특징으로 하는 후기산업사회에 살고 있다. 이러한 도시 네트워크화는 우수한 도시서비스 제공을 통한 복지 향상이라는 역할과 더불어 지역의 지식정보 산업 활성화를 통한 도시경제발전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첨단산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는 것이 바로 U-City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U-City 개발정책의 성공적인 사례인 동탄 U-City와 흥덕 U-City의 산업연관도와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U-City 추진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지역 산업들의 상호연관성을 설명해주는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는 용인시가 화성시보다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화성시 수송장비 부문의 감응도 계수는 1.746으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생산유발승수의 전기전자부문이나 건설부문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용인시가 화성시에 비해 높은 승수를 보였다. 이를 통해 더욱 높은 지역경제 효과가 용인시에서 예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성시의 경우 수송장비의 생산유발승수가 2.990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용인시의 경우 교육서비스의 고용승수가 0.053, 소득승수가1.456로 높게 나타났다. 즉, 이 부문들이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지닌 산업부문인 것이다. 셋째, U-City의 지역경제파급효과는 흥덕 U-City가 동탄 U-City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나 더욱 효율적인 개발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동탄 U-City 개발은 750억 9,200만원의 생산액, 220억 99만원의 소득액, 847명의 고용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흥덕 U-City의 개발은 228억 6,900만원의 생산액, 71억 8,400만원의 소득액, 316명의 고용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즉, 흥덕 U-City의 개발은 동탄 U-City 개발보다 더 높은 경제적인 효율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각종 유발액과 총 예산액을 비교함으로써 도출되었다. 종합하면, U-City개발은 대상지역에 긍정적인 경제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나타났으며, 연구의 대상지역 중 흥덕 U-City가 동탄 U-City에 비해 높은 경제적 효율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 째, 정부는 지역 산업구조 분석을 통해 적절한 U-City 대상지를 선정해야 한다. 둘 째, U-City 지역 및 서비스의 선정에 있어서 지역의 고유한 산업적 특성을 잘 반영해야 한다. 셋 째, 정부는 U-City에 관련된 투자재원 및 운영재원을 다각화하여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정책 참여자들의 협조와 명확한 역할분담으로 일원화된 U-City 추진체계를 구성하여야 한다. 한편, 본 연구는 정확한 통계자료의 확보가 쉽지 않았다는 문제점과 실제 개발에 투입된 금액 대신 예산액을 통하여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정확한 효과 산출과는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 투입 예산액을 통한 지역경제파급효과만을 분석하여 U-City 개발의 다양한 측면을 통한 지역경제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한계로 가지고 있다. We are living in the post industrial society which has unique feature such as urban networking heavi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urban network plays two important roles on giving upgrading public services to the citizen and revitalizing urban economy with IT industry developmen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degrees of industrial relations and regional economic impacts on two U-Cities, the Dong-tan U-City and the Heung-deok U-City in the Gyeong-gi Province, which are mentioned as two successful U-City model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we figured out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U-C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st influence coefficients and sensitivity coefficients of the Yong-in C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wa-seong City. And the sensitivity coefficient of the Hwa-seong City was the highest in transportation equipment industry by 1.746. It means that of this industry has a great economic potential. Second, The multipliers related to the U-City were found out as the following ways. The multipliers of Yong-yin City were normally higher than those of Hwa-seong City except some industries such as electronic equipment and construction industries. In other words, we can expect more regional economic impacts in Yong-yin City than in Hwa-seong City. And the production multiplier of transportation equipment industry in Hwa-seong city recorded high figure by 2.990, while the employment and income multipliers of education service industry in Yong-yin City marked high figure by 0.053 and 1.456, respectively. They were found as the industries which have relatively high economic potential. Third, the regional economic impacts of constructing the two U-Cities are as follows. The Dong-tan U-City’s construction would result in increasing output by 75,092 hundred million won, income by 22,299 hundred million won, and employment by 847 persons. In the meanwhile, the Heung-deok U-City’s construction would result in increasing output by 22,869 hundred million won, income by 7,184 hundred million won, and employment by 316 persons. In conclusion, as the study shows, building U-City has positive influences on the regional economy,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Heung-deok U-C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ong-tan U-City. We can find out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ly, government has to select the prospective region for building U-City via analyzing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Secondly, we must consider the industrial features of the region when we select a region of U-City. Thirdly, we need to raise financial resources for U-City from various parts. Last, we must construct the unified promotion system for U-City via assistance of the U-City's participant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irst, we need more correct statistical data to make a reliable regional input-output table. Second, the input amounts of this study is not a real one but an estimated budget. Last, this study only analyzed the economic impacts on the budget of U-City. So, it is necessary to study U-City more specifically via analyzing various financial factors related to U-City.

      • 신경망기법을 이용한 도시홍수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송영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damage by abnormal climate, rainfall concentrated locally and typhoon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in the country.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s that had constructed in early 1990s is based on rainfall estimate by experience and flood routing by nonlinear storage function but they don't reflect rainfall phenomenon that change rapidly in both time and space.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new accessing method to rainfall-runoff analysis is developed and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s that is operated currently is supplemented. UFFNN(Urban Flood Forecasting Neural Network) is applied to sebyeong station in oncheon river, a representative urban river of busan, and is used in an estimate of runoff for it. Among three model that is compared with observed data at sebyeong station and is analysed, UFFNN-III works the best of them in forecasting runoff. In all the models applied, a correlation of estimates for antecedent time of 30 and 60 minutes is less tight than that for antecedent time of 10 minutes and 20 minutes and this means that an estimate in a short term is more suitable in Oncheon river that hydrological phenomena change rapidly than it in a long term. Three models that is introduced in this study should be applied to the other watershed and analysed and also an effort for complementing the study method through the problems and results that is produced is required.

      • 국내 수출기업의 FTA 활용성과에 미치는 결정요인 연구 : 한-RCEP 체결국간 기체결된 FTA 활용을 중심으로

        송영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국제통상환경은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의 확산을 통해 국제 무역의 시장 접근성을 확대해가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 2004년 한-칠레 FTA를 시작으로 2022년 현재 총 58개국과 18개의 FTA가 체결되었다. 이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입장에서 FTA 체결은 선택이 아닌 경제적 영토를 넓히기 위한 필수적인 방법일 것이다. 이러한 기류에 맞추어 한국을 포함한 중국, 일본 등 15개국은 기존의 양자간 FTA를 넘어 다수의 국가가 참여하는 최초의 Mega FTA인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Regional Compr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이 한국에서 금년 2월에 발효되었다. RCEP의 발효로 우리 기업들은 향후 새로운 형태의 공급체계 재편을 통해 보호무역주의의 대두에 따른 난관을 헤쳐 나가는 좋은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 바, 본 연구에서는 한국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기존에 RCEP 체약국과 한국 간에 기체결된 FTA의 활용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기업 내·외부적으로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 수출기업의 원활한 RCEP 활용방안을 모색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독립변수인 FTA 활용 요인은 관련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 등을 통하여 도출하였으며 기업 외부적 요인은 무역장벽 철폐, FTA 원산지 규정 이해, 정부지원 제도 활용, 협력업체 파트너십 역량으로 구성하고, 기업의 내부적 요인으로는 최고 경영자 지원, FTA 원산지관리 역량, FTA 원산지 관리 시스템 활용, FTA 활용비용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FTA 활용요인에 따른 종속변수인 FTA 활용성과는 재무적 성과, 비재무적 성과로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설문지 207부를 수거하였으며, 응답값에 대해서는 SPSS 28.0을 이용하여 기초 통계,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을 때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원산지 규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경우 FTA 활용에 따른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기업의 FTA 관련 정부지원 제도는 FTA 활용에 따른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기업의 FTA 원산지 관리 역량 및 협력업체의 파트너십 역량 강화는 FTA 활용에 따른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아울러, 기업의 FTA 원산지 관리 시스템 활용 또한 FTA 활용에 따른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넷째, 기업내 최고경영자의 지원은 FTA 활용에 따른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FTA 활용비용은 FTA 활용에 따른 비재무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Recently, the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has been expanding the market accessibility of international trade through the spread of FTAs, and in Korea, 18 FTAs have been signed with 58 countries as of 2022. For Korea,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exports, signing an FTA would be an essential way to expand economic territory, not an option. Accordingly, The RCEP, the first Mega FTA in 15 countries including Korea, took effect in February this year in Korea. With the entry into force of RCEP, it is expected that Korean companies will be able to use it as a good opportunit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 rise of protectionism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a new type of supply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utilization performance of FTAs concluded between Korea and RCEP Contracting States, focusing on Korean exporters,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to find ways to use RCEP smoothly. The factors using the FTA,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derived through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external factors of the company consisted of eliminating trade barriers, understanding the rules of origin of the FTA, using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and partner partnership capabilities. In addition, the internal factors of the company were set as chief executive support, FTA origin management capabilities, FTA origin management system utilization, and FTA utilization costs. The performance of using the FTA,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for these independent variables, was composed of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domestic export compani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207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basic statistic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8.0. The implications of synthesizing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a company's high understanding of the rules of origin has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Second, it i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related to the FTA of companies has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rd, it is confirmed that a company's ability to manage the origin of the FTA and strengthen the partnership capabilities of its partn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FTA origin management system by companies has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ourth, it is confirmed that the support of CEO within a company has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Fin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cost of using the FTA by a company has a negative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 사회복지 기관모금과정에서의 클라이언트 신상공개에 대한 인권적 접근

        송영현 翰林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제목은 '사회복지 기관모금과정에서의 클라이언트 신상공개에 대한 인권적 접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금에서의 효과성과 클라이언트의 인권이라는 측면에서 딜레마(dilemma)를 겪고 있는 모금과정에서의 클라이언트 신상공개라는 관행에 대해 원인과 현황을 알아보고, 인권주의적 시각에서의 비판을 통해서 대안을 찾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비관여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원인은 기존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연구하였고, 현황은 방문을 통한 면접과 인터넷 서핑(surfing)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인권적 시각에서의 비판의 근거가 되는 분석틀은 현장실무지침들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부분에서 발췌하여 채택 하였다. 본 연구자는 신상공개의 배경에는 기관의 민간자원동원에 대한 압박과 사회복지내부에 불어온 마케팅 믹스의 바람, 동정심에 호소해서 모금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인 저급한 한국의 자선문화가 있음을 밝혀 냈다. 클라이언트의 신상공개에 대한 국내의 현황을 살펴보았을 때 대중매체를 이용한 모금, 국내 결연사업, 장애인단체의 모금사업, 대북지원 사업등이 후원자 개발중심의 체계(System)를 가지고 있으며 그 전략으로 클라이언트를 동정의 대상으로 만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신상공개에 대한 동의에 관한 조항이 대중매체에 전면공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현장에서는 거의 전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권적 시각에서의 비판에서는 인격을 침해하는 것과 인간관계의 연대성을 파괴하는 것을 인권침해라고 보는 기준을 정한 후 사회사업적 적용에 대해 구체적 지침을 알아 보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클라이언트를 동정의 대상으로 만들지 않는다. 둘째는 주는 자와 받는 자 사이의 권력관계를 형성하지 않는다. 세째는 클라이언트가 신상공개에 대해 자발적으로 동의해야 한다. 첫째의 동정의 대상이 되지 않게 한다는 부분에 대해 보건복지부와 한국복지재단의 소년소녀가정의 욕구와 현황조사에서 사생활 침해 주의의 동정심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등이 절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 클라이언트들이 동정의 대상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는 주는 자와 받는 자 사이에 권력관계를 형성하면 안 된다라는 규정에 있어서 많은 단체에서 클라이언트는 후원자를 선택할 수 없으나 후원자는 클라이언트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권력관계가 이미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는 자발적 동의에 관한 규정이다. 본 연구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현장에서는 대중매체의 노출에 한해 동의의 규정이 있을 뿐 그 외의 경우에는 동의서가 작성되지 않고 있었다.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구두로 동의를 받고 있고, 반대 할 경우 설득을 하는 등 클라이언트의 자발적 동의에 대한 배려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이 세 가지 기준에 입각해 보았을 때 한국 기관모금과정에서의 클라이언트신상공개는 인권침해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 외에 특정계층(소년소녀가정)에 대한 자금의 편중이나 성폭력의 발생, 사회적 낙인으로 인한 문제 등의 실증적인 사례들을 살펴보았을 때도 역시 인격을 무시하고 인간관계를 파괴하는 인권침해 해당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본 연구자는 기관모금과정의 클라이언트 공개에 대한 실천적인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동정심을 유발하는 '대상화'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 공개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을 국내에도 엄격히 적용 할 것을, 주는 자와 받는 자 사이의 권력 관계 형성에 대해서는 후원자들이 클라이언트에게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후원자체의 기쁨이 되도록 하기 위해 현재에 적용 가능한 후원자의 혜택을 더 많이 홍보 할 것을, 신상공개를 하는 클라이언트 중 자기결정이 가능한 모든 대상자들에 자기결정에 의한 서면동의에 대한 규정을 둘 것을 제언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말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점차로 클라이언트 공개를 줄여나가는 것이며 모금과 배분에 있어서 후원자가 아니라 기관이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기관은 부족한 정부지원의 확대와 사회복지기관의 신뢰성 확보 방안을 활발하게 연구하여야 한다. The title of this thesis is "Humane Approach on Profile Opening of Clien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Collec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about causes and current situation of habitual practice of opening the profile of the client publicly in fund collection process, which is under the dilemma in the area of effectiveness of the funds and the human rights of the clients, and to find an alternative plan through criticisms within the point of view of humanism. For the study method, I have adopted non-participatory study method, and studied the causes mainly focusing on formal study thesis, and for current situation, I have presented by interviews done through visiting and internet surfing. The analysis frame within the point of view of humanism was extracted and selected from the area, commonly presented in practical affaires guidances on the site. I have found out that there is low-class Korean charity tradition, which is effective when collecting the fund by the pressure about civil voluntary activity of the organizations and the marketing mix driven from within the social welfare in the setting of opening the profile of clients. In the study of local current situation about profile opening of the client, funds using mass media, relationship business within the country, fundraising business of organizations for the handicapped people, business of supporting North Korea, and etc has the system with focus on developing supporters, and for the strategy, they were using the clients as the object of the sympathy. And also, the sections about agreement of profile opening lacked human rights in most of the sites, except for the cases where those sections are wholly broadcasted through the mass media. The criticism within the humanism point of view sets destroy of solidarity of human relationships as invading the human right as a standard, and investigated about concrete guidance on applying social business,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clients shall not be the object of sympathy. Second, authority relationship shall not be formed between the giver and the receiver. Third. clients shall voluntarily agree to profile opening. In the first content where the client shall not be the object of sympathy, in an aspiration and current investigation of boys and girls who are leader of the household of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and Korea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vasion of personal life and psychological burden of sympathy from the surrounding people was presented in a high figure, thus it was possible to learn that clients felt that they were the object of sympathy. Second, in the content of which there shall not be an authority relationship between the giver and the receiver, in many organizations, clients may not choose the supporter, but the supporter may choose the clients, thus it is evident that there exists an authority relationship. Third, it is about regulation about voluntary agreement. According to what I have found out, in the sites, upon the opening or broadcasting through mass media, there exists agreement regulation according to the exposure of mass media, but in other cases, the agreement was not completed in a document form. In most of organizations, the agreement is driven orally, and when objecting to the agreement, they persuade the clients. Thus it can be regarded as there was no concern in voluntary agreement of the clients. When studying about above three standards, profile opening of clients in Korean organization fundraising process falls under invasion of human rights. Other than that, when studying about cases such as preponderance of funds for a certain class (family with boys and girls as a leader) or occurrence of rape, and problems due from being socially denied and etc, the human right was invaded and also the result was proven to be the fact that they all fall under the invasion of human rights, which destroys the human interrelationships. I have provided the following applicable ideas about profile opening of clients in organization fundraising process. For 'subjectivity', which creates sympathy, international standard of presenting the clients should be applied in our country, sternly; for authority relationship formation between the giver and receiver, supporters should not be obsessed in the clients but should be more advertising the possible credits of the supporters, which can be applied to current situation; and for clients who are opening their profiles, documentary agreement due from self-decision must be regulated. However, as a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slowly reduce the profile opening of the clients and in fundraising and distribution, the organization should take the main role, not the supporter. In order to do so, organization must actively study the methods for expanding governmental support and ensuring the trus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