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우라 개념 분석에 의한 클래식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서혜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발터벤야민은 비록 늦게 알려졌지만, 그의 역작들에는 현대성과 철학적 사고의 묘한 혼합으로 중요한 철학자로 인정된다. 그의 저작의 특징 중 하나로 보이는 양면성은 중복되는 주제가 되기도 하는데, 한편으로는 상실된 것들에 대한 극복할 수 없는 우울함과 슬픔을, 다른 한편으로는 진정으로 인간적인 사회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아방가르드의 힘에 대한 급진적이고 유토피아적인 믿음을 증언하는 것으로 말해진다고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모순적인 원리들이 발터벤야민의 ‘아우라(Aura)'개념을 중심으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현대사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공간디자인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벤야민이 주장하는 ‘경험’의 개념은 ‘체험(Erlebnis)’과 ‘경험(Erfahrung)'으로 구분한다. ‘체험(Erlebnis)’은 어떤 방식으로든 연관되지 아니하고 삶의 경험에 통합되지 않은 원자화되고 불연속적인 일련의 순간들로 환원되는 감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경험(Erfahrung)'은 삶의 경험을 의미하며 개인이 느낀 감정, 정보, 사건들의 경험적 축적에 관련된다. 그런 경험을 축적시키는 능력은 전통의 존재에 많이 빚지고 있다. 또한 개인적인 생활뿐만 아니라 집단적인 생활에서의 ‘전통’의 문제이며, 축적되고 무의식적으로 남아있는 산물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우라의 개념을 ‘시간성’과 ‘공간성’으로 분류하여 틀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공간적 표현요소들의 방법을 ‘클래식 브랜드’인 ‘루이비통(Louis vuitton)’ 플래그십 스토어에 적용시키고 설계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존재하는 수많은 브랜드들의 유일성과 진정성이 건축·인테리어라는 공간으로 하여금 그 자취가 확대되어 소비자들에게 느껴질 수 있으며 그 속에 항상 머물기를 기대한다. Though Walter Benjamin has become known late recently, he is regarded as a significant philosopher because of his masterpieces which are the special mixture of modernity and philosophical speculation. Double-sideness that is considered one of characteristics of Benjamin`s work could be overlapped theme, one side is insurmountable depression, sadness about losing things, the other side is the progressive and utopian testimony about the power of avant-garde which can facilitate the realization of humane society indeed. The researcher reinterprets these contradictory principles modernistically using Walter Benjamin`s concept 'aura' and suggests a brand identity of modern society and express method of space design. The concept what Benjamin claims is divided as Erlebnis and Erfahrung. Erlebnis is a returning feeling of the time that is not related of anything in any ways, not integrated, and atomized discontinuous moments. Erfahrung means the life related with experienced accumulation of personal feelings, informations, and events. This ability that accumulates these experiences is regarded as 'the result of tradition' remained in unconscious and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things not only personal life, but also social life. So, the researcher suggests the frame classifying this concept of 'aura', and put method of spatial expression factors into the classic brand 'Louis vuitton' flagship store in this study.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eaning of exclusiveness and truth of brands with a space of architecture · interior is extended to the consumers mind and remain for a long time.

      •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부모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 진로지도효능감,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서혜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on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and family empowerment in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4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Province of Gyeonggi-do. The participants' children wer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preparing for middle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12 par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fo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the other 12 parents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was composed of 5 content elements: Understanding of transitional childre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middle school and community social service, adaptation skills related to transition, sexual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n 10 sessions for 3 months at the researcher's school. To prove the effects of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The Parenting Stress Scale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ransitioning into middle school(Han, S. J. & Lee, J. Y, 2009),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for Youth Scale(Ryu, J. Y, 2009), Family Empowerment Scale: FES(Koren, Dechillo, & Friesen, 1992)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level. This means that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relation to stress in the relationship with peers and teachers, mother somatization symptom, and parental role stress which are factors of parenting stress in transition to middle school.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level. This means that the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of par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Also, among factors of the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active support on career development, acceptance and encouragemen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teaching children self-regulation and accountability.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family empowerment level. This means that the family empowerment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relation to the advocacy of the system, knowledge, ability and self efficacy, which are factors of family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ystematic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to middle school reflecting the needs of parents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parenting stress related to middle school transition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and improving parent efficacy of career guidance and family empowerment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focusing on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at the time of middle school transition, a systematic parent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on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upper elementary school, and informative and psychological support was provided through cooperative teaching with professional instructors in various fields. Also, through various group activities and discussions, the parents' participation was increased as well as their empowerment was strengthened. However, in Korea, studies related to the transition support are being carried out in a specific period, and there is little systematic support provided in the field of actual education compared with the high demand for the support of middle school transi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programs related to the transition support for middle school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는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각 생애주기별로 새롭게 주어지는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한 생애주기에서 다른 생애주기로 넘어가는 ‘전환 시기’에 장애아동의 부모는 자녀가 낯선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과 걱정으로 인하여 심리적 부담이 가중되곤 한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 시기는 교육환경 및 체계의 변화와 더불어 사춘기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행동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수반되는 시기로, 이 시기 장애아동의 부모들은 중학교 진학 및 장애아동의 양육과 관련된 정보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처럼 중학교로의 전환 시기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전환지원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환과 고등 이후의 전환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중학교 전환 시기 장애아동과 부모를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진학을 앞두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장애아동 부모들을 대상으로 중학교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부모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와 진로지도효능감,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S시 관내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부모 24명으로, 본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한 12명의 부모를 실험집단에 우선적으로 배치한 후 장애자녀의 학년, 장애유형, 성별의 변수를 고려한 짝짓기 방법을 통해 일대일 대응시킨 부모 12명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집단 부모는 약 3개월 간 총 10회기로 구성된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 부모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전환기 자녀 이해, 상급학교 및 지역사회서비스 정보, 전환관련 적응기술, 성교육, 진로지도의 다섯 가지 영역을 바탕으로 하여 구성되었으며 주제별 전문 강사에 의한 정보지원, 조별 활동을 통한 부모 네트워크 강화와 선배부모와의 만남을 통한 정서적 지원, 가정연계지원과 네이버 밴드(BAND) 커뮤니티지원 등의 기타지원이 제공되었다. 종속변인 측정 도구로는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 척도(한수진, 이지연, 2009)와 진로지도효능감 척도(유정이, 2009), 가족역량강화 척도(전혜인, 2006)를 사용하였으며,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부모들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 변화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 부모들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또래와의 관계 스트레스, 교사와의 관계 스트레스, 어머니 신체화 증상, 부모역할 스트레스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둘째,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부모들의 진로지도효능감 변화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 부모들의 진로지도효능감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진로지도효능감의 하위영역 중 적극적인 진로지원, 자녀에 대한 수용과 격려, 진로교육 경험, 자녀에게 자율과 책임을 부여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셋째,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부모들의 가족역량강화 변화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 부모들의 가족역량강화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가족역량강화의 하위영역인 체계에 대한 옹호, 지식, 능력, 자기효능감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비추어볼 때, 중학교 전환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장애아동 부모의 중등전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진로지도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전환 시기 부모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에 초점을 맞추어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였으며 다양한 영역의 전문 강사와의 협력교수를 통하여 정보적 지원과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였고, 기존의 강의중심 부모교육에서 벗어난 참여활동 중심의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부모의 참여를 높이고 역량을 강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전환지원과 관련된 연구가 시기별로 편중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교육현장에서도 장애아동 부모들의 중학교 전환지원에 대한 높은 지원요구에 비해 체계적인 지원이 제공되고 있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하여 중학교로의 전환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

      • Treponema denticola와 Treponema lecithinolyticum의 분쇄액이 치은섬유아세포의 Cytokine 분비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서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치주질환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 구강내 spirochetes 균중 Treponema denticola 분쇄액 (TDC)과 가장 최근에 분리 배양된 Treponema lecithinolyticum. 분쇄액 (TLC)이 치은섬유아세포의 cytokine 분비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균의 분쇄액을 치은섬유아세포에 처치한 후 Interleukin-6 (IL-6)와 Interleukin-1β (IL-1β)의 분비 증가 여부를 ELISA를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또한 gelatin zymography와 gelatin 분해능 측정을 통하여 교원질 분해 효소의 하나인 proMMP-2(progelatinase A)의 활성화 여부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DC와 TLC로 치은섬유아세포를 처치한 군에서 세균 분쇄액이 없는 비처치군에 비해 IL-6 분비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p<0.05) 2. TDC와 TLC로 처리한 치은섬유아세포에서의 IL-1β 분비는 측정 가능치 (1pg/ml) 이하의 분비량만이 관찰되었다. 3. 치은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분자량 72 kDa의 proMMP-2가 TDC와 TLC에 의해 활성형으로 발현되어 zymography 상에서 62 kDa의 위치에 clear band로 나타났다. 4. 치은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MMP-2의 gelatin 분해능은, TDC와 TLC 처치군에서 비처치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p<0.05) 5. TDC 처치군에서는 gelatin 분해능에 있어서 세균 자체의 serine protease의 영향이 있었으나 TLC 처치군에서는 치은섬유아세포가 분비하는 MMP에 의해서만 gelatin이 분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TDC와 TLC는 치은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IL-6의 분비는 증가시킬 수 있으나 IL-1β의 분비에는 거의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치은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proMMP-2를 활성형으로 발현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TDC와 TLC는 치주질환 병소에서 결합조직의 파괴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observe the effect of Treponema denticola cell sonicates (TDC) and Treponema lecithinolyticum cell sonicates (TLC) on cytokine secretion and matix metalloproteinase-2 (MMP-2) activation of cultured human gingival fibroblast. IL-1β, IL-6 ELISA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DC and TLC on the IL-1β, IL-6 secretion by human gingival fibroblast. Also gelatin zymography and gelatin dissolubility test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DC and TLC on the activation of proMMP-2 secreted by gingival fibrobla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ffect of TDC and TLC on IL-6 secretion by human gingival fibrobla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non treated group. ( p<0.05 ) 2. The amount of IL-1β secretion was below the detection limit (1pg/ml) in both TDC and TLC group 3. The proMMP-2 with 72 kDa molecular weight was activated in both TDC and TLC-treated group and clear band was appeared at 62 kDa site on the zymography. 4. Gelatin dissolubility of MMP-2 secreted by gingival fibroblast was higher in TDC and TLC-treated group compared to non treated group. ( p<0.05 ) 5. In the TDC-treated group, serine protease of T. denticola affect gelatin dissolubility. But in the TLC-treated group, gelatin was degraded by only MMP secreted by gingival fibrobla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DC and TLC have an effect on the significant increase of IL-6 secretion by human gingival fibroblast and appears to activate proMMP-2 to MMP-2 which degrades collagen.

      • 일부 만성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 및 행태

        서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는 일반인에 비해 나쁜 편이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나, 국내 보고된 연구는 희소하다. 또한 국내 정신질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행태를 파악하여, 앞으로 구강보건교육과 구강건강증진사업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1. 정신보건센터 주간 프로그램 참여환자(이하 센터 환자) 23명과 정신병원 입원환자(이하 병원 환자) 69명, 전체 92명을 편의집락추출하여 사정(Assessment)한 조사연구이다. 성별은 전체 남(46.7%), 여(53.3%) 비슷한 비율로 분포하였고, 평균연령은 센터 환자 남 39.85±10.67, 여 41.30±11.20, 병원 환자 남 49.37±8.08, 여 48.00±8.99로 병원의 연령이 더 높았다(p<0.05). 학력은 센터 환자의 최저학력이 중졸(17.4%)인데 반해, 병원 환자는 무학(20.9%)이였으며, 센터 환자는 건강보험 가입자(57.9%)가 많았으나, 병원 환자는 모두 의료급여 대상자 이었다(p<0.001). 정신병명(ICD-10)은 정신분열증(F20, 85.9%)이 가장 많았으며 장기간 입원한 환자의 비율이 높았다. 2. 치아건강 상태에서 MT는 병원 환자(6.42±7.47)가 센터 환자(1.83±2.25)보다 더 높았으나 FT는 센터 환자(4.78±4.39)가 병원 환자(2.52±3.72)보다 높았다(p<0.05). DMFT index는 정신질환자(12.80±7.12)가 전국표본(6.22±0.09)에 비해 더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의료급여 대상자인 사람의 구강건강 상태가 더 나빴다(p<0.05). 3. 구강위생 상태는 3.41±0.61(5점 만점)로 나쁜 편이며, 특히 인접면 부위가 불량하였다. 칫솔질 횟수와 구강위생 상태는 유의한 음의관계(-0.027)가 있었다(p<0.05). 4. 치주건강 상태는 병원 환자(81.7%)가 센터 환자(47.6%)에 비해 치주요양필요자율이 더 높았으며, 특히 40대와 60대, 학력이 낮을수록, 가족이 없을수록 더 나빴다(p<0.05). 치주요양불필요자율(CPITN0)은 병원 환자(18.3%)가 전국표본(27.4%)에 비해 낮았으며, 치주조기병치료필요자율(CPITN3)은 병원 환자(13.3%)가 전국표본(5.7%) 보다 더 높았다. 5. 타액분비부전인 사람은 병원 환자(68.9%)가 센터 환자(33.3%)보다 높았고, 복용하는 약물의 수가 많을수록 자극성 타액분비율은 낮았다(-0.324)(p<0.05). 그리고 음식 먹을 때 건조하고 입안이 말라서 음식 씹기가 어려움을 느끼며, 건조한 음식을 삼키기 위해서 물이나 음료를 조금씩 마시고 있는 사람이 실제 분비하는 타액분비율도 낮았다(p<0.05). 6. 구강건강 지식과 자가 관리는 센터 환자와 병원 환자 두 집단의 차이는 없었고 일부 구강건강 태도에서 두 집단의 차이가 있었다(p<0.05). 구강건강 행동에서 치석제거수진은 정신질환자(17.2%)가 전국표본(28.7%)보다 낮았다. 치과진료필요는 정신질환자(56.0%)가 전국표본(41.2%)에 비해 그 비율이 높았고, 정신질환자의 치과진료 미수진 이유는 경제적인 부담(31.9%), 거동불편(9.9%), 치과병의원이 멀기 때문(7.7%)이었다. 7. 정신질환자와 정신병원 근무자의 구강건강 지식?태도?자가 관리는 일부 차이가 있었다(p<0.05). 그리고 정신병원 근무자는 ‘정신질환자가 복용하는 약물이 비정상적인 구강 상태와 관련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87.5%로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정신질환자 집단 안에서 인구사회구조와 같이 취약 계층이 존재한다. 따라서 연령, 학력, 건강보험가입형태, 가족유무 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신질환자에게 항정신 약물의 복용, 부정확하고 비정기적인 칫솔질 수행, 경제적인 어려움과 거동불편으로 인한 치과치료 미충족, 본인이 인지하는 구강과 관련한 지식?태도?자가 관리를 실제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점 등이 치아건강과 치주건강을 나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치과위생사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정신질환자를 위한 개별 및 집단별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고안하고 동기유발을 일으키는 다양한 교육매체를 개발하며 이를 검증해야 한다. 그리고 단순히 일회성 방문이 아닌 정기적이고, 장기적인 구강건강관리와 구강보건교육을 제안하고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정신병원 근무자에게 약물복용에 기인한 구강건조증 유발에 관한 지식전달이 필요하다.

      • 한국 산지(山地)의 선(線)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터크 기법을 중심으로

        서혜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연은 그 속에서 사는 사람들의 성격과 미의식에 영향을 준다. 예술 사회학(Sociology of Art)의 창시자인 19세기의 테이느(H. Taine)가 예술의 성격을 인종, 지리적 환경, 시대 등 세 가지 사회적 조건이 결정짓는다고 주장한 바 있듯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지리적 환경, 즉 자연은 인간의 미의식 형성에 영향을 준다. 생태적(生態的) 환경으로서 자연은 그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이 심리적인 지향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인간의 사유와 행동 양식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자연에서 오는 특성이 우리의 의식이나 삶, 예술 등 모든 부분에 걸쳐 영향을 주어왔다. 육당 최남선은 조선의 국토는 그대로 조선의 역사이고 철학이며, 시이고, 정신이라고 예술과 철학의 환경 인자설을 이야기하였다. 김원룡도 <한국 고미술의 이해>에서 한국의 자연은 산은 둥글고 물은 잔잔하며 평화롭고 너그러운 생활환경이며 자연 환경이 그 속에서 자라나는 사람의 성격에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특히 과거 우리나라와 같이 자연 그 자체가 물질적 토대가 되는 농경 사회에서는 더욱더 자연과의 긴밀한 연계 의식을 가지게 됨은 물론이다. 아름답고 친근한 한국의 자연환경은 한국인의 자연에 대한 애호, 순응성을 기르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쳐, 한국인의 자연주의적 미의식을 형성시켰을 것이다. 그래서 자연의 순리에 따르며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인간의 가치관을 정립하였다. 이것이 곧 한국적 자연주의 정신이며 자연에 대한 태도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예술표현에 있어서 자연을 배경으로 하는 것은 거의 본능적인 것이었고 자연의 현상에 몰입하고자 하는 낙천성도 동시에 지니고 있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한국의 자연은 산천의 흐름은 끊임없는 선의 흐름으로 이어져 있다. 자연을 모티프로 하여 느껴지는 한국미의 미적 쾌감은 부드러운 산세, 지세 등에서 나온 부드러운 선이라 할 수 있다. 그 선은 직선이 아닌 곡선, 따스하며 온화하여 정이 통하는 사랑스러운 것, 그리고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균형감과 조화를 느끼게 한다. 이러한 선은 부드럽게 흐르는 한국의 노년기성 지형적 특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 낮은 듯 산세의 선과 굽이굽이 흐르는 강은 선의 사계절마다 변화를 달리하며 자연의 흐름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우리의 자연은 우리 무의식 세계 속에 축척되어 의식세계에 영향을 주고 조형의식을 형성하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 시대에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한국의 미의식 형성의 원류라고 볼 수 있는 우리만이 가진 한국적 자연에 근거한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은 우리에게 당면한 과제이며, 이러한 환경에서 디자인은 우리의 독특한 문화를 담아낼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수단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우리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것이 배어 있는 전통문화를 형상화시키는 한국적 디자인의 개발은 국제사회 속에서 중요한 경쟁력을 지닐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의식 형성의 바탕이 되어 온 한국의 자연과 한국인의 미의식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한다. 이러한 한국의 자연 가운데에 인간의 무의식에 영향을 미쳐온 거시적 자연환경으로서 국토의 80%를 차지하는 한국의 산지(山地)특징을 살펴보고, 한국 산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노년기성 산지에서 나타난 선(線)의 조형적인 요소를 분석해 의상 디자인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선의 표현에 있어 산지의 자연스런 선을 부조적 기법인 터크 기법을 응용함으로 선의 2차원적인 표현보다 표면 장식이라는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더 나아가 현대 사회의 의상디자인에 있어서 한국의 자연을 응용한 독창적인 디자인으로서, 한국적인 미의식의 표출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전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이 인간의 의식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학자들의 여러 견해를 근거로, 한국의 자연 또한 한국인의 미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지 한국인의 미의식과 관련지어 한국의 자연과 미의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둘째,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한국의 조형예술을 살펴 한국의 자연과의 연관성을 논증하였고, 이러한 한국의 자연의 미를 엿볼 수 있는 의상 디자인에서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셋째, 위의 분석과 지형의 선을 특징적 모티브로 한 여러 작품 사례 분석을 통하여 의상 디자인으로의 적용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넷째, 한국의 자연 중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산지의 특징을 W.M 데이비스의 침식윤회설에 따른 분류법을 적용해 전반적으로 살펴보았고, 이러한 한국의 산지에서 오는 지형적 특징에서 나타나는 선(線)의 유형을 본 연구자가 수집한 120점의 사진을 통해 조형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유동적인 곡선, 중첩되는 곡선, 비대칭적인 곡선, 불규칙적인 곡선, 기타 등으로 유출해 내, 본인의 디자인 모티프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다섯째, 의상디자인에의 적용가능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터크(Tuck)기법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한국의 산지에서 오는 선(線)을 터크기법을 중심으로 제작함으로써 형상화시켜 소재개발의 가능성과 의상디자인의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작품은 이와 같은 내용은 통해 총 8벌을 제작하였으며 원피스, 드레스, 수트, 코트로 분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한국 미의식의 바탕이 되는 자연과 미의식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해 한국의 자연적 특징과 한국인의 자연주의적 미의식과의 관련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미의식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자연환경으로서 한국의 산지의 지형적 특징을 분석해, 그 산지에서 지각되는 선의 조형적 특징을 유출해 냄으로써 한국 산지에서 나타난 선의 특징을 디자인에 반영하여 한국의 자연적 미감이 느껴지는 의상디자인으로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넷째, 거칠고 소박한 자연주의적 미적 특징을 지닌 삼베를 접어서 박아, 다리미의 압력에 따른 우연한 선의 표현으로 분석을 통해 유출된 선의 특징 중 유동적이고 비대칭적인 곡선을 표현할 수 있었고, 이러한 불규칙한 터크를 겹쳐지게 표현함으로써 중첩되는 산지의 선을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실크를 사용해 셔링을 불규칙적으로 잡아줌으로써 한국 산지에 나타난 불규칙하고, 우연적인 선의 흐름을 적절히 표현해 낼 수 있었다. 넷째, 이러한 소재를 감염색과 오배자염의 천연염의 색감을 샘플작업해서 얻어낸 색을 토대로, 실용성을 감안해 화학염색함으로써, 보다 은은한 자연적 색감을 유도해 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한국인의 미의식을 형성시킨 토대가 된 한국의 자연이 한국적 디자인의 독창적인 디자인 모티프로 충분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한국적인 자연의 이미지를 활용한 작품들을 통해, 국가적 정체성과 현대성의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하는 한국 자연미가 느껴지는 현대적 디자인으로서의 가능성을 재발견함으로써 단순한 옛것의 답습이 아닌, 시대감각에 부응하는 한국적 패션 디자인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oday, countries over the world have distinctly showed a tendency to cultural pluralism i.e., escaping from control of the trend of thought with world wide unifying culture and life, reinterpreting original culture or tradition, and developing it modernistically. Therefore, effects to reaffirm cultural values of native land, use them actively, and develop into original culture are strengthened. Keeping pace with this tendency, efforts to find our own cultural origin also emerge actively in each field in Korea. Nature affects personality and aesthetic sense of people. As suggested by H. Taine in the 19th century - the founder of Sociology of Art - that characters of art are decided by 3 social conditions including human race, geographic environment, and period decide, topographic environment surrounding us i.e., nature ha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human's aesthetic sense. Similarly, in Korea, features from nature have an impact on all parts such as our spirit or life, and art. Korean natural environment with beautiful and friendly aspect affected formation of conformity of Korean people to nature greatly, and formed a naturalistic aesthetic sense of Korean people. Human's sense of value was established under the harmony with nature, conforming nature's reasonableness. This was just a Korean naturalistic spirit and an attitude toward nature. In the Korean nature, mountains and streams consist of the flowing of persistent lines. An aesthetic feeling of pleasure in Korean beauty when nature becomes a motive is originated from smooth lines from smoothly physical aspects of mountains and topography. These lines can be easily found in physical aspects of Korean old-aging topography like smoothly flowing. Today, to ga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in the infor-mationalization period, developing the design based on Korean nature as an origin of formation of the Korean aesthetic sense is an our confronting issue and design has a valuable benefit as a highly value-added means containing our unique culture under these situat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Korean design embodying beauty of Korean nature and traditional culture including the beauty of Korean nature will bring us to the significant competitive power in the globalized society. This study was progressed as follows. First, to express Korean nature considered as an origin of a Korean aesthetic sense into linear beauty, natural features of comprehensive Korean topography were examined. Then, on the basis of researchers' various opinions that nature affects formation of human senses, how Korean nature has affected the Korean aesthetic sense was analyzed in relation to an aesthetic sense of Korean people. Second, with these analyzing b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formative arts and Korean nature were demonstrated and examples in design containing the beauty of Korean nature were analyzed. Third, topographic features of Korean nature were examined by applying a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W.M Davis's Cycle of Erosion, and features of line among formative aspects from these topographic features were analyzed. Fourth, to test its applicability on fashion design, the Tuck technique was comprehensively understood, lines from Korea topography were produced and implemented focusing on the Tuck technique, and possibilities of material development and new methods for fashion design were found. Total 8 pieces were produced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one-piece, dress, suit, and coa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uthor could understand interrelation between Korean nature and an aesthetic sense of Korean people by reviewing features of Korea nature as a base of the aesthetic sense, and implement the fashion design with a Korean sense of beauty by analyzing features of Korean geography affecting formation of the aesthetic sense greatly and reflecting beauty of smoothly flowing-like lines from the topography on design. In this study, the author attempted to propose that Korean nature as a base forming an aesthetic sense of Korean people has sufficient possibilities as a motive of original design in Korean design and to suggest a direction to develop modern Korean fashion design with international features suitable for periodic sense as well as traditionalism instead of following the old things by reaffirming that works using Korean images have possibilities of modern design with beauty of Korean nature which should be considered with elements of traditionalism and modernity.

      • 고객경험관점에서 의미적 놀이를 통한 아트마케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혜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rt marke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s experi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proposing potential art marketing methodologie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actual marketing practice. First, this study clarifies the types of art marketing by differentiating levels of consumer experience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related research studies. Most existing empirical research on art marketing focuses on the replication and incorporation of famous artworks into a product packaging or design. These replicative art marketing practices typically use fine art paintings despite the diverse genres that exist in contemporary arts. In today’s marketing practice, there has been significant growth in experiential marketing, with various cases of disruptive art marketing collaboration. However, academic research does not reflect these current trends. This study is therefore a vital contribution to both academic literature as well as the real-world marketing practice. This study classifies art marketing into 3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onsumer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level: replicative art marketing, quasi-participatory / interactive art marketing, and full participatory / open source art marketing. For the full participatory / open source art marketing category, this study proposes a concept of “meaningful play” as a key way to induce consumer’s active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Meaningful play is a cognitive and emotional experience that is experienced through play, and is distinct from the fun which is universally experienced via certain stimuli. In other words, meaningful play is a unique personal experience that an individual has during the process of immersion into a play scenario via cognitive and emotional interaction. These meaningful experiences are not repetitive or ordinary, but rather continuous and memorable. The meaningful play concept draws from four forms of experience: Agency, Transformation, Empathy and Immersion/Flow. In other words, if a consumer experiences components of meaningful play through art marketing, they will be more engraved with brand awareness. Compared with typical replicative art marketing, a special personal experience plays a bigger role in building brand awareness. This means that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passed after the initial exposure to art market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brand will remain when the consumer encounters the brand again. This positive inclination will continuously stick with the consumer, eventually leading to purchase intention towards the product. This study provides an extension of the initial research on art marketing beyond limited replicative methods and proposes applying meaningful play into art marketing from the viewpoint of customer experience. In addition, the study provides applicable marketing tools and insights for companies interested in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In particular, in spite of the various genres of art that exist today,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usage of fine art, especially in painting, which only validates the temporary attraction of customers at the time of purchase and has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rt marketing.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artists, as they use art marketing cases as a channel for their creative communication to further explore the interaction with the broader public and to increase brand awareness of the artists themselves. 본 연구는 고객경험 관점에서 아트 마케팅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고객 경험 차원에서 경험의 유형을 연구하여 기존의 아트마케팅 유형을 새롭게 분류하고, 관련 선행 연구 및 사례를 통해 아트마케팅이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과거 아트 마케팅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명화를 패키지에 입히거나 하나의 모티브로 이용하는 수준의 단순 재현에 그치는 등 아트의 다양한 장르를 다루지 않고 단순히 명화에 초점을 맞추어 아트 마케팅의 효과를 일반화 한 한계점이 있었다. 특히 실무에서는 이미 경험중심의 마케팅에 관심을 갖고 아트 마케팅 역시 고객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앞서가지 못하고 있었다는 점도 발견되어 본 연구는 학문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측면에서도 의미를 가지도록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우선 참여의 관점에서 참여의 정도에 따라 아트 마케팅의 유형을 재현아트마케팅, 준참여/인터랙티브 아트 마케팅, 참여/오픈소스 아트 마케팅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참여/오픈소스 아트 마케팅은 고객 참여를 전제로 하며, 보다 적극적인 고객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미적 놀이(meaningful play)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의미적 놀이란, 놀이를 통해 경험하게 되는 인지적/감정적인 경험으로, 어떤 자극에 대해 보편적으로 동일하게 경험하게 되는 재미와 구분된다. 의미적 놀이는 개인과 놀이 사이에 인지 및 감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이 놀이에 몰입하는 경험을 하게 되면서 개인화된 새로운 창조물을 만들어내는 특별한 경험이다. 이러한 특별한 경험은 반복적으로 나타나거나 일상적인 경험이 아니기 때문에 그 인지적/감정적 경험이 오랫동안 기억에 남게 되는 지속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의미적 놀이는 구체적으로 네 가지 유형의 경험을 이끌어 내는데, 행위주체성(agency), 변형(transformation), 감정이입(empathy), 몰입(immersion, flow)’으로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두 번의 실험을 통해 기존 아트 마케팅의 효과에 대한 재검증 및 의미적 놀이가 포함된 참여/아트마케팅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우선 예술이 가지고 있는 감정적 속성과 제품이 가지고 있는 쾌락적 감정 속성간의 일관성으로 인해, 예술이 불러일으키는 각성 효과가 쾌락적 제품이 가지는 속성에 더해져 더 높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미적 놀이가 포함된 참여/오픈소스 아트 마케팅은 관람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전시물과 감각적, 의미적으로 보다 깊이 있는 상호작용을 하며, 이를 통해 완결적 경험의 단계에 이르면 보다 고차원적인 예술 경험이 개인적 경험에 투영되어 보다 특별한 의미 부여가 가능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의미적 놀이가 포함된 아트마케팅을 접하게 되면, 의미적 놀이가 없는 아트마케팅과는 달리 보다 특별하고 개인화된 경험이 기억에 각인되며, 이는 아트마케팅의 노출이 사라진 후 제품 혹은 브랜드를 접했을 때에도 당시의 경험이 다시 상기되어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유지되고 제품의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여주는 등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의미적 놀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고객들을 마케팅에 참여시키는 방식을 찾아 이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순수 예술을 대상으로 한 아트마케팅 연구에서는 아트가 가지고 있는 고급스러움이라는 긍정적 이미지의 전이를 강조하였다면, 본 연구는 이미 아트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의 영향이 아닌 고객과의 상호작용 경험에 의해 새롭게 창출되는 가치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공헌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실무적인 관점에서 최근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는 고객경험 관리에 아트가 갖고 있는 강점을 활용하여 이를 마케팅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가족건강성과 삶의 질

        서혜연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가족건강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D시와 G시에 거주하며 사회복지관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으로, 2016년 3월 29일부터 4월 16일까지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방법은 한국어, 중국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캄보디아어로 번역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총 1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1.5세이며, 배우자와의 나이차는 16-20살이 가장 많았다. 출신국은 베트남이 가장 많았고 학력은 고등학교가 가장 많았다. 혼인지속기간은 3년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경제수준은 ‘괜찮음’으로 인식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는 22.85명으로, 혈연집단이 9.07명, 지연집단이 13.79명이었다. 주요 관계망의 유형을 살펴보면 남편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관계망 유형에 따른 친숙도는 자녀가 가장 높았고, 한국의 친척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의할 점으로는 주요 관계망의 유형에서 남편을 가장 많이 선택했으나 친숙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 배우자의 연령, 배우자와의 연령차이, 가족형태, 혼인지속기간, 출신국, 학력, 한국어수준, 경제수준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삶의 질을 살펴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은 평균 3.81이며, 삶의 질은 평균 3.56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가족건강성과 삶의 질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와 삶의 질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의 경우 크기가 아니라 유형에 따라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와 삶의 질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사회에 건강하게 통합되려면 1차적 관계망인 다문화 가족의 가족건강성이 높아야 구성원들이 사회에 원만히 적응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족건강성의 하위 요인 중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의사소통과 가족원과의 유대가 나타났으므로 결혼이주여성을 지원할 정책을 마련할 때 이 점을 중점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특히 가족 내 한국어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문화적, 정서적 차이를 고려한 합의가 필요하며 가족 내 통합을 이끌 수 있는 적극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The main concerns of this study are to confirm the affect of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support network and affect of family health to quality of life. Data collecting period of this study is started from 29th of march to 16th of april in 2016.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lived in D and G and the subject, marriage migrant women, who receive benefit from social welfare center. I studied by a personal visi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ranslated questionnaire in korean, chinese, vietnamese, filipino, cambodian. I made an analysis of one hundred sixty three person's data. The average age of this study's subjects are 31.5 years old and marriage duration is most common lower than 3 years and the common age difference between couples is 16 to 20 and they realized their economic level as normal. Collected data calculat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accomplised by standard deviation.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 the number of social support network is 22.85 persons and the social support network is divided into 9.07 persons of kin-group and 13.79 persons of local group. The main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are husband. As follows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the familiarity are highest with children and familiarity with relative are lowest. It is a point that they choose their husband as main social support network but familiarity with their husband are lower than the others. Second, as follow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network when we compare the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group and they showed the difference in age, spouse age, age difference with spouse, family type, duration of marriage, country of origin, academic ability, korean ability, economic level. But examine quality of life and family health with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s no meaningful difference. Third, family health of marriage migrant women scores are 3.81 and quality of life's average is 3.56. Correlation result shows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liarity and quality of life. Fourth, there's no relation between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quality of life. In case of social support network we don't need to consider the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but need to analysis the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As a rusult of this study that there's no relation between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quality of life. To be incorporated in korean culture, they need high family health as primary social network to adapted korean culture comfortably. Among the sub factor of family health communication and bond between family are the factor that gives much affect to quality of life. When government prepare policy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ey have to consider about this point. Specially, not only communication with family in korean language but also need cultural, emotional agreement and need to make a program that we can lead out integration between family.

      • 돼지의 근육과 지방조직에서 발현하는 microRNA의 클로닝과 특성규명

        서혜연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MicroRNAs (miRNAs) are an abundant class of small regulatory RNAs that regulate the stability and translation of cognate mRNAs. Although an increasing number of porcine miRNAs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the full repertoire of miRNAs in pig remains to be elucidated. To identify porcine miRNAs involved in myogenesis and adipogenesis, we constructed small RNA cDNA libraries from skeletal muscle and adipose tissue and identified 89 distinct miRNAs that are conserved in pig, of which 15 were new. Expression analysis of all newly identified and selected known porcine miRNAs revealed that some miRNAs were enriched in a tissue-specific manner, whereas others were expressed ubiquitously in the porcine tissues examined. Our results expand the number of known porcine miRNA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urther investigating the biological functions of miRNAs associated with growth and development of skeletal muscle or adipose tissue in pig.

      • 근로 유형 변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서혜연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임금근로자-자영업·고용주-무급가족종사자·미취업자(근로능력있음) 간 근로 유형의 변화와 우울의 변화를 함께 추적하여 근로 유형 변화에 따른 우울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한국복지패널 2차 및 12차 조사에 모두 응답한 가구원 중 2007년 기준 18세 이상의 가구원, 2007년과 2017년의 근로 유형이 임금근로자, 자영업·고용주, 무급가족종사자·미취업자(근로능력 있음)였으며, 응답에 결측치가 없는 7,046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2차와 12차 간 근로 유형 변화가 12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분석하였으며, 2차와 12차 사이의 근로 유형 변화와 우울의 변화는 무시하였다. 결과 : 성별을 층화하여 근로 유형 변화에 따른 9개의 군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임금근로자를 유지하는 군의 비중이 높고, 여성은 무급가족종사자·미취업자(근로능력있음)를 유지하는 군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 유형 변화 집단별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자영업·고용주와 무급가족종사자·미취업자(근로능력있음)로 이동 및 유지한 군에서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혼인상태 중 사별의 비중과 우울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무급가족종사자·미취업자(근로능력있음)로 이동 및 유지한 군에서 65세 이상의 비중이 높았고, 임금근로자로 이동 및 유지한 군에 비해 우울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임금근로자, 자영업·고용주, 무급가족종사자·미취업자(근로능력있음) 간 근로 유형 변화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상태를 보정한 후에도 남녀 모두에게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남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 근로 유형의 변화와 우울이 연관성을 가진다는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에서 근로 유형의 변화가 개인의 우울 및 정서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65세 이상의 인구 집단과 남, 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합병증 환자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Vitamin C에 관한 연구

        서혜연 명지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합병증 환자에서의 혈장내 MDA농도를 측정하여 산화스트레스의 노출정도를 살펴보고, 또한 혈장내 vitamin C농도를 측정하고, 식이섭취조사를 통한 vitamin C섭취량도 조사하여 이들간의 상관성을 비교하고자실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MDA혈장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합병증 유무나 합병증 종류에 따라 MDA혈장 농도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항산화 비타민의 혈장 vitamin C농도는 당뇨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고, 당뇨 합병증군과 당뇨 비합병증군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vitamin C식이 섭취량 역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산화스트레스 노출정도를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높게 나타 났으며 혈장 vitamin C농도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서 항산화계에 이상이 생길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렇지만 낮은 혈장 vitamin C농도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합병증 유발과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Diabete mellitus represents a state of increased oxidative stress which is based on the evidence of increased peroxidation, glycoxylation, and reduced antioxidant system.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increased oxidative stress may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complications and the blood level of vitamin C in NIDDM patients may be used as an indicator for oxidative stress. However, there is only scanty evidence on the blood levels of vitamin C in NIDDM patients with complication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xtent of oxidative stres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of vitamin C and diabetic complications in NIDDM patients. The MDA concentration of NIDD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s (p<0.05). However no difference in the MDA concentration between NIDDM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was shown, and the species of complications in NIDDM patients were not related with the plasma MDA concentrations.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vitamin C was significantly lower in NIDDM patients than in controls (p<0.05). However the plasma concentration of vitamin C was similar in NIDDM with complications and in NIDDM without complications, and dietary intake of vitamin C between two group was not different. This study showed that the oxidative stress in N1DDM patients was highly increased and the vitamin C reserve was significantly depleted, as compared with normals. However the depleted reserve of vitamin C was no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in N1DDM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