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브리엘 포레 <바이올린 소나타 제1번 A장조, Op. 13>에 대한 연주법 연구

        서민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요 약 가브리엘 포레 <바이올린 소나타 제1번 A장조, Op. 13>에 대한 연주법 연구 본 논문은 19세기 프랑스에서 활동한 가브리엘 포레(Gabriel Fauré, 1845-1924)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Violin Sonata No. 1 in A Major, Op. 13)에 대한 바이올린의 연주법적 제언을 한 논문이다. 포레는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로서 프랑스 음악의 전통적인 틀 안에서도 선법과 화성을 통한 본인만의 작곡기법을 나타내었다. 특히 가곡 부분에 서는 대가라고 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당시 프랑스에서는 적은 비중을 차지한 실내악과 기악음악을 발전시켰다. <바이올린 소나타 1번>은 그가 작곡한 두 개의 바이올린 소나타 중 31세의 나이에 작곡한 곡으로 이 곡을 통하여 많은 찬사를 받았으며 본격적인 실내악 작곡의 계기가 되었 다. 이 곡에서 도드라지는 특징인 포레의 오르가니스트 시절의 경험을 바탕 으로 한 선법성, 잦은 전조, 해결되지 않은 불협화음, 분산화음의 이용 등 은 음악적으로 포레 작품만의 개성을 표현해 주었다. 또한 당김음을 이용 한 독특한 리듬은 바이올린 선율에 더욱 활력을 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포레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만이 가지는 특징 을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바이올린의 주법이 어떻게 쓰여야 할지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활의 속도, 압력 등을 이용하여 프레이징을 위한 활쓰기 등을 전 악장에 걸쳐 분석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Performance of Gabriel Faure's Violin Sonata No. 1 in A major, Op. 13 Seo, Min Ji Major in, Instrumental Music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This paper is providing performance suggestions for <Violin Sonata No.1 in A Major, Op. 13> by Gabriel Fauré (1845-1924), who was an active composer in France in the 19th century. Faure, as a late Romantic composer, showed off his own compositional technique through using of modes and unique harmonies within the traditional framework of French music. In particular, he was appraised as a master in his song compositions, and furthermore, he developed chamber and instrumental music, which accounted for a small proportion in France at the time. <Violin Sonata No. 1>, which was one of the two violin sonatas he has composed at age of 31, was highly valued and became an opportunity for him to compose full-scale chamber music. Faure's Violin Sonata No. 1 is still beloved by listeners and musicians - 69 - as song contains prominent features such as Modality, Frequent modulations, dissonance, Distributed chord and others. Especially his use of syncopations is creating unique rhythm which offers full vitality and also allows violin to produce both beautiful and rich sound. In this study,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Faure's <Violin Sonata No. 1>, the entire movement i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arts to be careful when playing this song using the speed and pressure of the bow and the connection of the phrasing.

      • 몰입, 진지한여가, 재미, 감성지능의 문화예술 활동지속성과 문화예술교육 학습지속성에 대한 영향력 연구

        서민지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몰입, 진지한여가, 재미, 감성지능의 요인이 문화예술 활동지속성과 문화예술교육 학습지속성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단순한 향유에서만 그치지 않고, 활동과 학습으로 지속되고 있는지에 대해 종합적인 탐색을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 실시 후 양적연구 결과에 대해 심화된 정보를 확보하고자 질적연구 방법 중 심층인터뷰 방식을 활용해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광주·전남지역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2021년 7월 5일부터 8월 2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응답이 불충분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38부를 제외한 308부의 표본을 본 연구의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심층인터뷰 대상자는 양적설문에 참여한 학습자 중 본 연구주제에 대해 심화된 설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10명을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심층인터뷰 일정은 2021년 10월 18일 부터 202년 10월 2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참여자 별로 1~2회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심층인터뷰 자료에 대한 분석은 참여자의 진술문을 여러번 읽으며 의미를 가진 잠재적인 코드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배경 특성 중 지속기간, 참여시간이 길수록 문화예술 활동지속성이 높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개인배경 특성 중 참여빈도가 많고, 참여시간이 길수록 문화예술교육 학습지속성이 높음을 나타내었다. 셋째, 몰입, 진지한여가, 재미, 감성지능은 문화예술 활동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 나타났으며, 진지한여가의 영향력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의 기본기 연습을 통해 만난 성취감’, ‘예술활동이 주는 재미와 몰입으로 얻은 힐링’, ‘가족의 관심과 지지가 주는 예술활동의 안정감’, ‘예술활동이 주는 소통과 공감이라는 또 다른 선물’ 등 심층인터뷰 내용을 4개의 범주로 도출하여 양적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넷째, 진지한여가, 재미, 감성지능은 문화예술교육 학습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 나타났으며, 진지한여가, 감성지능의 영향력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더 나은 예술활동을 위한 배움에 대한 열망’, ‘나만의 예술작품을 위한 성장욕구’, ‘내 자신을 내려놓을 수 있는 자유로움 경험’ 등 심층인터뷰 내용을 3개의 범주로 도출하여 양적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진지한여가, 재미, 감성지능을 경험할수록 문화예술 활동지속성과 문화예술교육 학습지속성이 높아짐을 의미하며, 특히 진지한여가는 문화예술 활동과 학습을 지속시킬 수 있는 강력한 요인으로 작용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기량과 신체적 효과성을 경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간, 즉 한학기 이상의 활동 기간이 확보, 강사의 전문성과 역량 확보, 몰입, 진지한여가, 재미, 감성지능을 경험할 수 있는 전략적 노력, 진지한여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 진지한여가로써 다양한 예술분야의 연구 등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활동의 지속성을 활동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단순한 향유에서만 그치지 않고, 활동과 학습으로 지속되고 있는지에 대해 종합적인 탐색을 하였다. 또한, 몰입, 진지한여가, 재미, 감성지능의 영향요인이 문화예술 활동지속성과 문화예술교육 학습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양적연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규명하였다. 이는 문화예술 활동이 단순한 참여에서만 끝나는 게 아니라 활동이 학습으로 지속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사제 독신제 논의에 관한 교회법적 고찰

        서민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Clerical celibacy is the result of giving oneself over to a dedicated life. This is because, as a token of paradoxical love dedicated to the kingdom of God, celibacy leads priests to commit themselves to the “life of the eunu ch” (Mt.19:12). Thus, celibacy was practiced voluntarily as a “dedication to the kingdom of God.” However, in the Middle Ages, it was codified by corrupt priests as well as the consequent church crises and has continued to this day. Today, the Roman Catholic Church requires priests and aspirin g priests to live a life of celibacy and expresses a firm will to adhere to celibacy legally. However, in response to the pastoral call to address the church crisis by altering the celibacy requirement to match the circumstances of the local church today, it is difficult to impose institutional obligations unconditionally because celibacy is appropriate for the priesthood. This is not to denigrate celibacy outright and disparage the life of purity as a kind of deficiency. A more fundamental reason is the increase in local churches suffering from a shortage of priests, which hinders God’s plan for the salvation of mankind and leaves believers to sometimes face miserable situations like not being able to spread the Gospel of Jesus Christ and begin the Eucharist, the apogee of the church.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elibacy laws and legal norms based o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clerical celibacy and proposes a plan, from a “practical aspect,” for the church’s discussion on the demand for revising the priest celibacy requirement and its actual revision. In addition to reinforcing the importance and value of clerical celibacy, which is the church’s holy tradition, examining the church’s discussion of clerical celibacy and ways to revise church law will also present a “living path” to discover a possibility of progress for the celibacy requirement based on the signs of the times. This is because the debate over revising the clerical celibacy requirement is the church’s attempt to show mercy to overcome the crisis. It is expected that this discussion will result in concrete practices across various cultures and traditions, especially amid the crisis of a shortage of priests in the local church.

      • 색과 소리의 공감각을 활용한 통합미술교육 : 중학생을 중심으로

        서민지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가의 언어이며 감각과 지각을 연결하는 다리로서 예술적 아이디어의 다양한 모티브를 제공해주는 공감각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첨단과학기술의 발달로 뇌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천재라 일컬어지는 과학자, 음악가, 화가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성향이 공감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부터 더욱 커지고 있다. 또 다양한 매체의 발달이 가져온 예술간의 자연스러운 융합은 우리들에게 줄곧 공감각적 현상을 경험하게 한다. 공감각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그 중 색채와 관련된 공감각이 가장 많다고 한다. 이에, 필자는 미술과 음악이 상호작용해온 사례를 통해 그러한 것들이 색과 소리의 물리적 성질에 기인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시각과 청각의 공감각을 활용한 통합미술교육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연구의 진행과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서론에서는 연구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방법 및 내용에 대해 서술하고,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과학의 발달에 따른 교육의 변화와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통합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미술과 음악의 상호 연계성과 색과 소리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나아가, 색과 소리의 관계에 대해 과학이 명쾌한 해답을 주었지만 이러한 연구 발표가 교육에 적용되지 않음을 지적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색과 소리의 특성을 미술교육에 도입하여 통합적 감각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공감각에 대해 검토하고 Ⅳ장에서 공감각에 기초한 미술교육의 실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색과 소리의 공감각을 활용한 미술교육 지도방안을 제시하면서 앞으로 개편될 교과서에 색과 소리의 관계와 속성을 색채 단원에 포함할 것을 주장한다. 이는 더욱 다양한 미술-음악 교과의 연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더 나아가 물리·과학 교과와의 통합도 기대할 수 있어 보다 폭넓은 학습효과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 한편, 통신과 멀티미디어의 발달이 획기적인 교육의 변화를 가져왔지만 실제 교육 현장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전문가들의 미술교육 학습모형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러한 노력이 창의적이며 능동적인 미술교육활동으로 직결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These days interest is growing regarding synthesia, the artist's language, which acting as a link for the senses and perceptions provides motives for diverse artistic ideas. This interest has been producing a pioneering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ever since synthesia has been commonly found in so-called geniuses in science, music and painters. Also, the artist's natural fusion of arts brought about by advancements in media allows us to experience diverse phenomena of synthesia. The forms of synethesia appears in a variety of ways, among them which is through color synethesia. On this, the author takes examples of reciprocal actions to show that these originate from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sound and studies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by using the synethesia of sight and hearing. The research process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introduction describes the purpose and need of this research as well as the methodology. The second chapter portrays the changes in education through scientific developments the and its integrative education process.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reciprocal linkage of the fine arts and music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sound. Furthermore, the author mentions that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sound has clearly been proven, these results do not apply to education and attempts to find a resolution. Thus, the author incorporates the characterstics of color and sound into art education, observes the synthesia which allows for integrative expressions of feelings, while the fourth chapter examines the art education's reality based on synethsia. Lastly, suggests a guidance program that utilizes the synethsia of color and sound included as a unit of the relationship and characteristic of color and sound for the modifications of the textbook. This will allow for more diverse art-music curricula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physics-science curricula to produce a greater effect on learning. Developments in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have brought immense changes in education, but educational instutions have not been able to meet the demands these changes. For thi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professional art education training to meet the demands of the changing times and expect it to directly connect creative and energetic art educational activities.

      • 프로젝트 기반 초등 수학 수업의 효과 분석

        서민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측정영역에서 프로젝트기반 수학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 유도등 설치환경과 출입문 개폐방향에 따른 행동유도성 평가

        서민지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f there happens a disaster in a complicated building whose number is on the rise recently, it is hard for the people to find the exact exit due to the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signage is the guiding tool to show the people the location for the exit and guide people through the evacuation route. However, the fire survivors often said that the obstructing elements such as flame and smoke prevented them from recognizing the signage. Therefore, it looks like that if the signage functions well as planned such as guiding people to the exit and evacuation route, the evacuation efficiency would be enhanced. For the signage to play its role to the fullest,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behavioral affordance of the signage for the maximization of the efficiency in evacuation. In addition, domestic regulations only specify the place or location of installation and the illumination of signage depending on the type of signage. In addition, the people sometimes are confused by wrongly considering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running man marked on the evacuation exit signage indicates the actual left or right direction. However, the running man in the actual evacuation exit signage indicates the "existence of the location of the exit" only, but does not show the direction in which the evacuation exit is located. Therefore, the affordance of non-directional exit signage and directional signage routes in the hallway would be evaluated. In addition, the behavioral affordance of the instinctual characteristics to the direction of door opening would be also evaluated as it is a prerequisit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xit signage that informs people of the location of the exit. In this study, a full-scal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wayfinding depending on the opening direction of exit door, running man’s direction of exit signag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exit signage. Experimental results intend to provide the most optimized evacuation exit signage design condition to help agents to have better affordance to choose the exact exit route.

      • 군 장병 창업프로그램이 개인의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민지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연 평균 약 22만 7천여 명의 청년이 군 입대를 한다(병무통계연보, 2021). 청년장병의 군 복무가 사회와의 단절된 기간이 아닌 인생의 꿈과 희망을 열어주는 기회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국방부에서는 2018년부터 ‘청년 Dream, 국군 드림’이라는 사업의 일환으로 청년장병의 취˙창업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군 장병 대상 창업 프로그램을 창업교육, 창업 멘토링, 창업 경진대회로 구분하여 각각의 프로그램 중 어떤 창업 프로그램이 군 장병의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군 창업 프로그램이 조직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군 장병 창업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장병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프로그램 중 창업경진대회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창업교육과 창업경진대회가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창업 멘토링과 창업경진대회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 프로그램 중 창업교육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멘토링과 창업경진대회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창업 프로그램 중 창업교육, 창업멘토링, 창업경진대회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은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군 장병 대상 창업 프로그램이 창업자에게 필요한 중요한 역량인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비재무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문제해결능력은 창업자에게 필요한 중요한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창업자의 역량의 다양한 역량 중 하나로써 연구 되었는데, 창업 프로그램 중 창업교육과 창업경진대회가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조직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군 장병 창업프로그램의 저변확대가 이루어지고 군장병을 대상으로하는 창업 프로그램의 운영방안과 실질적인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도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data from the Statistics Korea, an average of about 227,000 young people join the military annually (Military Statistical Yearbook, 2021).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as introduced and operated a job start-up program for young soldiers as part of a project called "Youth Dream, Armed Forces Dream" since 2018 so that military service of young soldier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open dreams and hopes of life, not a period of disconnection from society. This study divided start-up programs for military personnel into start-up education,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competitions, and examined which of them affects the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military personnel. In addition,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military start-up program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o this e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military soldier start-up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start-up programs, start-up competitions affect self-efficacy,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competitions affect problem-solving skills, and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competitions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among start-up programs, self-efficac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competition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Finally, among start-up programs, problem-solving skills all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education, start-up mentoring, start-up competition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se results confirmed the impact of start-up programs for military personnel on self-efficacy, problem-solving ability, and non-financial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ch are important competencies necessary for founders. In particular, problem-solving ability was studied as one of the various competencies of entrepreneurs' competencies, and among start-up programs,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compet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base of the military personnel start-up program should be expanded, and research on the operation and practical support of the start-up program for military personnel should also be expanded.

      • 녹차를 첨가한 청국장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민지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녹차를 첨가한 청국장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서 민 지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전공 지 도 교 수 장 정 옥 우리나라는 빠른 경제성장과 소득증대로 국민의 전반적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식생활 역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로인해 우리나라 전통식품 대신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가 증가되어 질병 양상도 전염성이 강한 질병에서 당뇨병, 고혈압과 같은 잘못된 생활습관과 관련된 질병으로 변화하고 있다. 현대인에게 우수한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청국장에 녹차가루를 첨가하여 생체내 산화로 야기되는 여러 질병의 발생이나 노화를 늦추거나 막아주는 청국장의 기능을 개선하고 섭취를 증가시킬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인 청국장에 녹차가루를 각각 0%, 0.3%, 0.5%, 1%, 3%를 첨가하여 녹차가 청국장의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수분, 조단백질, 조섬유, 조회분 등의 일반성분과 pH, 색도, 환원당, 항산화 활성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실험하였으며 그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녹차 첨가량에 따른 청국장의 수분함량은 0.3%의 녹차 첨가군의 수분함량이 65%로서 가장 높았으나 0.5%, 1%, 3%의 녹차 첨가군의 수분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 녹차 첨가량에 따른 청국장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녹차 첨가군이 모두 낮게 나타났으나 녹차 첨가량에 따른 조단백질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녹차 첨가량에 따른 청국장의 조섬유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녹차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으나 녹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 녹차 첨가량에 따른 청국장의 조회분 함량은 0.5% 녹차 첨가군이 36.8%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의 첨가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녹차 첨가량에 따른 청국장의 pH는 녹차 첨가군의 pH가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0.5% 녹차 첨가군이 6.1%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6. 청국장의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청국장의 밝기가 어두워졌으며 3% 녹차 첨가군이 59.3%로서 가장 어두웠다. 붉은색을 나타내는 a값은 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붉은색이 감소하였으며 3%의 녹차 첨가군이 1.1%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나타내는 b값은 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황색도가 감소하였으며 3%의 녹차 청국장이 26.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7. 녹차 첨가량에 따른 청국장의 환원당은 대조군에 비해 녹차 첨가군의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3%의 녹차 첨가군의 환원당 함량이 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녹차 첨가량에 따른 항산화 능력은 녹차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3% 녹차 첨가군의 항산화 능력이 7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