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aron Copland의 "Old American Songs"에 관한 분석연구

        백미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론 코플란드(Aaron Copland 1900∼1990)는 현대 미국음악의 아버지로 20세기에 등장한 새로운 시도와 실험들을 그의 음악 전반에 사용했던 가장 미국적이고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한 20세기의 대표적인 작곡가 이다. 그는 성악곡 및 기악곡 발레곡, 극장음악 등 거의 모든 분야에 폭넓은 창작 활동을 하였으며 민요와 극장음악를 통해 대중과의 거리를 좁히고 음율기법을 도입해 음악의 깊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작곡자였다. 그의 작품은 시기별로 다양한 작품의 경향을 시도 했으며 보수적인 미국정서 아래 낭만적이고 서정적인 음악 기질을 날카로우면서도 지적이며 기계적인 화성을 사용해 현대적인 감각을 그의 작품에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많은 작품 중 성악곡인 Old American Songs 의 1집을 중점적으로 분석 연구하고 그에 따른 20세기의 음악의 일반적인 양상과 미국 음악과 민요, 그의 생애와 시기별로 나눈 그의 음악과 음악의 특징들을 고찰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코플란드의 성악곡이 대중성과 인간미를 가지는 민요선율을 바탕으로 작곡되어 미국음악만이 가지는 독특한 정서를 가지는 점, 리듬에 있어서는 당김음 이나 변박자 리듬의 분할 등으로 변화를 준 점, 피아노 반주는 전주와 후주가 길지 않게 하고 가사의 중요성이나 의미를 내포하게 했다는 점, 화성에 있어서는 기본화성의 틀을 두고 장,단 3화음을 동시에 배열하던가 음열의 제10,11,12음 사이의 음정패턴의 강조 11화음, 완전4화음 등 근대적 화음과 여러 가지 변화를 두어 곡의 단순성을 피하려 했던 점, 조성에 있어서는 새로운 조성을 쓰기도 했지만 모방이나 캐논 등의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등 전통적인 방법을 고수 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코플란드는 미국 음악이 국민주의 나 신고전주의 등 여러 가지 양식과 기법이 공존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형식과 아이디어를 그의 작품에 유지 시킬 수 있었던 미국의 역사적인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한 작곡가였다. Aaron Copland (1900∼1990),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20th century American composers, composed various kinds of music. American folk song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American spirit, and its culture is affected by elements of the folk song. Based on this fact, this thesis analyzed Aaron Copland's five representative songs from his Old American Songs. He adopted folk melodies and jazz while keeping traditional technique. His Old American Songs showed a sort of simple composing method similar to folk songs. What I comprehended through them was that his Old American Songs includes of a melody of folk song, and dealts with particular emotion and a conservative spirit, in terms of song words. On playing piano there are not too many introductions and postludes. Harmony is concerned, he used a successive progression 7th, 9th, 11th chord without solution. Rhythm takes on an impression that is similar to jazz, mainly due to the changing meter and syncopation as well as a clear contrast between the sections. Finally, I can conclude that the composer tries to express the property of songs with simple melody, rhythm, harmony and beat change.

      •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백미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아동들을대상으로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도덕판단력을 측정하는 도덕판단력 점수와 도덕민감성에 포함되는 공감능력 점수에 미친 영향을 입증해 보고자 한다.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은 선행연구에서 긍정적 자아정체감을 기르고학습자의 정서적 안정과 집중력 및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덕 발달이나 공감능력과 관련된 연구는 입증되지 않았다.연구 문제에 관한 결과와 논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은 뇌의 긍정적 정보처리능력과 정서적 체험의기회를 제공하는 체험프로그램으로써 연구자가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도덕성 향상을 목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공감 형성에 있어 중요한 친구관계를 만들어가는 시기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뇌교육인성프로그램을 담임 재량활동시간과 특별활동 시간을 통하여 지도하였다. 충북 소재의 초등학교 4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 49명, 통제집단 49명으로 총인원 98명이었다.실험집단을 대상으로 8주 동안 1회당 40분간, 매주 2회씩 총 16회에 걸쳐 뇌교육인성프로그램을 지도하였다. 뇌교육인성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도덕판단력 검사와 공감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도덕판단력 검사지는 문용린(2004)이 개발한 한국판 초등용 DIT(KDIT-P)와 EQ검사의 구성요소 중 도덕민감성을 기르는 주요능력인 공감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 초등학교 사회교과서 화보에 나타난 성역할 변천과정 분석

        백미화 영남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의 화보(illustrations)에 나타난 성역할의 변천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의 초등학교 3학년~6학년 56개 사회교과서의 화보를 경제활동, 가정활동, 사회활동의 세 영역으로 구분한 후, 희소성, 성역할 고정관념, 특정영역에서의 성 불균형성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성역할 의식이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화보에서의 성별 출현비가 어떻게 변해 왔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에서 제7차까지 교육과정기별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에 제시하고 있는 화보 수 및 등장인물의 성별 출현비, 성별 화보의 구성비, 생활영역별 화보 수 및 등장인물의 성별 출현비를 분석하였다. 둘째, 생활영역별 화보에서의 성별 출현비가 어떻게 변해 왔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에서 제7차까지 교육과정기별 초등학교 사회교과서 화보를 직업 및 소비활동과 관련한 경제생활, 육아 및 양육과 관련한 가정생활, 경제활동과 가정생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생활영역에서의 장면(지역 구성원들간의 협력 및 봉사활동, 여가활동, 종교활동 및 기타 행사활동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성역할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에서 제7차까지 교육과정기별 초등학교 사회교과서 화보에서 생활영역 별로 남녀 성역할을 암시하는 장면이나 성역할 고정관념이 반영된 장면 등 아동들의 성역할 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기가 거듭될수록 여성과 남성의 출현 비율의 차이가 줄어들고, 여성이 주된 역할을 하는 화보의 등장 비율이 점차로 증가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교과서 화보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이 더 자주 등장하며, 여성 화보보다는 남성 화보가 더 많이 등장한다는 점 등에서는 개선의 여지도 남아 있었다. 둘째, 경제활동과 관련하여 제1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간이 경과 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이 재생산 될 가능성이 있다. 직업활동 장면에서 남성의 역할을 여성에 비해 비중 있게 다루는 등 여성을 열등하게 평가하는 남성 우월주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남성=생산자’, ‘여성=소비자’라는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을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가정생활과 관련한 성역할 변천 과정을 분석한 결과, 제1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기에 걸쳐 가정생활, 특히 가사활동이나 육아 및 자녀교육에서의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런 모습들은 가정생활의 변화를 다루는 단원에만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는 여전히 한계를 지닌다. 넷째, 사회생활과 관련한 성역할 변천 과정을 분석한 결과,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발전의 주체는 남성임을 은연중에 강조하는 동시에 여성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가치를 소흘히 다룸으로써, 사회생활 영역에서의 의식이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 Studies on the advanced oxidation and adsorption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hazardous dyes in wastewater

        백미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extile dye wastewater generally contains a substantial amount of dye and as such make its coloration unattractive and its discharge to streams degrades water ecosystem leading to inhibition of microorganisms self-cleansing protocol. Due to increasing stringent restrictions on the organic content of industrial effluents,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dyes from wastewater before it is discharged to natural waters. Therefore, this work investigated the effective treatment of dye in wastewater using ozone oxidation process. And evaluation of treatment by adsorption process was performed to find relatively cheaper adsorbents to replace activated carbon by using coffee beans and chicken feathers as alternative adsorbents for removal of dye in aqueous solution. Also, photocatalyst with a high activity under visible-light irradiation prepared, and degradation of dye by nitrogen-doped TiO2 photocatalyst under solar and visible light was investigated. The kinetics of the decolorization of Acid Red 27 by ozone oxidation was studied. Batch kinetic 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ozone dosage, reaction temperature and catalysts on azo dye Acid Red 27 decolorization. The decolorization rate constant of Acid Red 27 followed the first-order reaction with occurrence of complete decoloration in 20 min. Acid Red 27 decay rate increases as ozone dosage increases and at reaction temperature range of 0.1–37 ºC, the rate of reaction decreases with time but vice-versa as from 43–65 ºC. With Mn, Zn and Ni used as transition metal catalysts during the ozone oxidation process, Mn displayed the greatest catalytic effect with significant increase in rate of reaction. The solution pH was observed to decrease during oxidation reaction, which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generation of several organic and inorganic acids as the result of the decomposition of azo compound. Also, the structural change of Acid Red 27 by oxidation with ozone was investigated using FT-IR and 1H-NMR. The FT-IR analysis showed that changes in specific absorption bands of Acid Red 27 were observed after ozonation. When azo dye was oxidized by ozone, several new peaks were shown to appear by 1H-NMR analysis and the peaks were generally shifted up field. This was presumably due to the broken of the benzene ring contained in the molecular structure of Acid Red 27 by ozone oxidation and the shape of the peaks were shown to change according to the reaction time. Employing the ozone oxidation process, the decomposition behavior of Malachite Green - a dye mostly used in textile industries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complete decolorization,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initial dye concentration, color removal, reaction temperature and COD reduction were studied. Complete removal of the initial green color of the dye was achieved within 10 min of reaction with ozone. The decolorization rate constant of Malachite Green followed the first-order reaction. The oxidation reaction time increased as concentration of Malachite Green increases, inferring, there would be increase in dye removal as concentration decreases. COD (25%) reduction was observed after 5 min of aqueous Malachite Green oxidation with ozone and the rate of reaction monotonically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s from 0–46 ºC, which was different to the reaction of Acid Red 27 with ozone. From the spectroscopic analysis of the intermediates and the by-products of Malachite Green reaction with ozone, a tentative mechanistic approach of Malachite Green degradation was postulated based on results from UV-vis, FT-IR and 1H-NMR. The applicability of the coffee beans and chicken feathers as alternative adsorbent for activated carbon in treatment of dye in wastewater was investigated.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 of Malachite Green onto coffee beans and chicken feathers as adsorbents was compared with activated carbon. With increase in degreased coffee beans used as adsorbent amount, adsorption increased. The adsorption features of Malachite Green on activated carbon, coffee beans and chicken feathers was investigated with adsorbent dosage, initial concentration of adsorbate, temperature and pH as experimental variables. Adsorption of dye on coffee bean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surface modification. With regard to the pre-treatment of chicken feathers with ethanol, the adsorbability of Malachite Green increased. The adsorbed amount of Malachite Green increased as initial Malachite Green concentration increase. Degreased coffee beans and chicken feather have lower adsorption efficiency than activated carbon in the range of Malachite Green concentration studied. Kinetic studies indicated that the sorption tends to follow pseudo second-order kinetics for the range of concentrations studied for the entire sorption period. Freundlich isotherm gave a better fit than Langmuir isotherm for adsorption Malachite Green onto activated carbon, but Malachite Green adsorption onto degreased coffee beans and chicken feather followed Freundlich and Langmuir models, respectively. Thermodynamic studies showed that the adsorption processes were spontaneous and endothermic since ∆G° value was negative and ∆H° value was positive. Increase in Malachite Green color removal was observed with corresponding increase in the pH of the dye wastewater. Nitrogen-doped TiO2 particles have been successfully prepared using titanium tetraisopropoxide as the Ti source and urea as the nitrogen source. As-prepared nitrogen-doped TiO2 was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Brunauer-Emmett-Teller method (BET) and ultraviolet-visible light (UV-vis) absorption spectra techniques.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has been carried out in both solar light (UV-vis) and the visible region (λ = 420 nm). Nitrogen-doped TiO2 exhibits higher activity than the commercial TiO2 photocalyst, particularly under visible-light irradiation because band gap of nitrogen-doped TiO2 becomes remarkably decreased. 염색폐수는 일반적으로 탈색이 잘 되지 않는 염료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수중에 아주 소량의 염료가 존재하여도 육안으로 보여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하천에 방류될 경우 수중에서 햇볕을 차단함으로 수중식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며 미생물에 의한 자연정화작용을 방해하여 하천의 오염도를 증가시키므로 이에 대한 처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존산화공정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염색폐수 처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활성탄의 대체흡착제로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커피콩과 닭깃털을 이용하여 수중 염료의 흡착특성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가시광 활성 광촉매를 개발하고자 질소 도핑 TiO2를 준비하여 이를 수중 염료 분해에 적용하였다. 상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아조염료 중 Acid Red 27을 선택하여 오존주입량, 온도, 촉매 등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여 수용액에서 오존산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모든 반응은 반응시작 후 20분 이내에 완결되었으며 1차 반응 속도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존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Acid Red 27의 제거 속도는 증가하였고, 반응온도 0.1~37 ℃에서는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가 감소하였으나 반응온도 43~65 ℃에서는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가 증가함을 보였다. 전이금속 촉매로는 Mn, Zn, Ni을 이용하였으며 이 금속들 중 Mn을 이용하는 경우 가장 큰 촉매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존 산화 반응 동안 반응물의 pH가 감소함을 보였으며 이는 오존 산화 반응 중 발생한 유기산과 무기산의 영향으로 사료되었다. 오존산화반응 후 Acid Red 27의 구조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FT-IR과 1H-NMR을 이용하여 분해산물을 분석하였다. FT-IR 스펙트럼을 보면 오존 산화 반응 후 특정 band에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1H-NMR을 측정한 결과 산화반응시간에 따라 새로운 peak의 생성이 관찰되었으며 peak가 전체적으로 upfield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Acid Red 27 구조내의 benzene ring의 일부가 오존 산화 반응에 의해 분해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되었다. 양식 및 직물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Malachite Green을 오존 산화 공정을 적용하여 분해 양상을 살펴보았다. Malachite Green 분해의 최적 조건을 찾고자 염료의 초기농도와 반응온도 등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염료의 색도는 반응 개시 후 10분 이내에 완전히 제거되었다. 오존산화에 의한 Malachite Green의 분해는 1차 반응 속도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Malachite Gree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화반응시간은 증가하였으며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염료 제거는 증가하였다. 5분 오존 산화 반응 후 25%의 COD 감소를 보였으며, Acid Red 27과는 달리 0~46 ℃ 구간에서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UV-vis, FT-IR 그리고 1H-NMR을 이용한 분광학적 분석을 통하여 Malachite Green의 가능한 분해 경로를 제안하였다. 폐기물을 수중 염료 제거를 위한 활성탄의 대체 흡착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커피콩 그리고 닭깃털에 대한 Malachite Green의 흡착특성을 활성탄을 흡착제로 이용했을 때의 흡착특성과 비교하여 보았다. 활성탄, 커피콩 그리고 닭깃털에 대한 Malachite Green의 흡착 거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흡착제의 양, 흡착질의 초기농도, 반응온도 그리고 pH를 변화시켜가며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커피콩의 표면개질 후 Malachite Green의 흡착은 향상되었으며, 에탄올로 닭깃털을 전처리 한 결과 전처리 전에 비해 닭깃털에 대한 Malachite Green의 흡착이 역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착제로 사용한 degreased 커피콩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은 증가하였다. Malachite Green의 초기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제에 흡착된 Malachite Green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degreased 커피콩과 닭깃털에 대한 Malachite Green의 흡착은 활성탄보다 낮은 흡착 효율을 보였다. 또한 Malachite Green의 흡착반응은 유사이차반응속도를 잘 따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흡착평형을 표현하는데 널리 이용되는 Freundlich와 Langmuir 흡착 모델에 평형흡착 결과를 적용한 결과, 활성탄에 대한 Malachite Green의 흡착은 Freundlich isotherm 모델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피콩과 닭깃털에 대한 Malachite Green의 흡착은 Freundlich와 Langmuir isotherm을 동시에 잘 따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열역학 변수를 도출 한 결과 △Go는 음의 값을 △Ho는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본 흡착반응은 자발적 경향을 나타내며 흡열반응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pH가 증가함에 따라 Malachite Green의 색도 제거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콩과 닭깃털에 대한 Malachite Green의 흡착은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했을 때에 비해 크게 좋지 않았지만 커피콩과 닭깃털은 수중 Malachite Green을 제거하기 위한 저렴한 흡착제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i source로 titanium tetraisopropoxide를 N source로 urea를 사용하여 질소가 도핑된 TiO2를 제조한 후, XRD, SEM, BET, DR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준비된 질소 도핑 TiO2를 태양광과 자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하여 Methylene Blue의 광촉매 분해에 적용한 결과, 질소 도핑된 TiO2는 일반 광촉매보다 특히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활성을 띄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질소가 도핑된 TiO2의 밴드갭이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자수기법을 활용한 퀼트 패션디자인 :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백미화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퀼트는 오래 전 여인들의 손끝에서 시작된 조각보에서부터 오늘날 다양한 소재와 화려한 기법의 아트적인 작품에 이르기까지 무궁무진한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생활에 필요한 소품은 물론 의상 디자인이나 텍스타일 디자인 등에도 퀼트 기법을 응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생활의 여유가 생기고 좋은 천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지금은 단지 절약정신만이 아닌 예술적 가치를 지닌 작품으로 손색이 없는 분야이다. 자수는 자연형태를 바탕으로 하여 자수의 다양한 기법으로 섬세하고 우아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독특한 예술이다. 이러한 자수의 장점을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많은 섬유 패션 중 하나인 퀼트 패션에 접목을 시도해 봄으로써 패션문화산업에 있어서 활용도를 높이고 지금까지의 퀼트 작품과는 차별화 되고 전통의 미가 내재된 현대적 감각의 개성적인 퀼트 패션디자인이 되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퀼트의 역사와 종류, 자수의 기법을 문헌을 통해 알아보고 현대 패션에 나타난 퀼트 의상을 동아 TV의 2007 s/s Paris Milan New York Collection과 제1회 퀼트 콘테스트 작품집, 제2회 퀼트 페스티벌 콘테스트 출품작,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퀼트 기법과 자수 기법을 활용한 의상 2점 및 벽걸이 2점, 러너와 쿠션 2점, 가방 2점을 제작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퀼팅에서 홈질 대신 자수기법인 선수와 마디수를 수놓음으로써 현대적인 이미지와 함께 누빔 효과와 장식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었다. 둘째, 퀼트의 수공예적이고 기하학적인 이미지에 지금껏 서양자수의 스티치로 약간의 부수적인 용도로만 쓰여 졌던 자수디자인을 기계자수와 수자수의 여러 가지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에 좀 더 깊이 있게 들어감으로써 고급스러우면서 부드럽고 아름다운 이미지의 퀼트 작품을 재구성 할 수 있었다. 셋째, 의상 작품에 기계자수를 수직으로 수놓아 길이가 길어 보이는 효과를 가져다주었으며, 면을 소재로 한 단순하고 소박한 분위기를 보완해주면서 고급스러움과 화사함, 세련된 이미지의 퀼트 작품을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수자수의 기법을 활용한 수를 놓은 액세서리를 만들어 조끼와 백에 부착시켜 작품을 완성하는 등 퀼트의 기존 방식에 여러 가지 색상과 표현이 가능한 자수를 응용 접목시킴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독특한 입체감과 질감표현을 나타낼 수 있었으며 .다양한 디자인 창출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본 연구로 패션산업에서의 자수 활용 범위 확대의 기대와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요구하는 현대인들의 기호에 발맞추어 발전적이고 독창적인 퀼트 패션디자인을 구사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본다. Quilts have evolved a long way from patchwork wrapping cloths handmade by women in old days to today's artistic works involving diverse materials and gorgeous techniques. Their infinite potential for growth has well manifested itself in the process. Quilting techniques are currently applied to clothes and textile designs as well as everyday props. With more wealth, people now can afford to purchase high quality fabrics easily. Therefore, quilts are no longer made to save some money but proudly deserve a title of artistic works. Embroidery is a unique form of art to express sophisticated and elegant beauty in various techniques based on the shapes found in nature. Intending to introduce the advantages of embroidery into the fashion and culture industry and to combine it with quilt fashion that's one of the fabrics fashion areas with huge growth potential, the investigator set out to create distinctive quilt fashion designs that w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s and possess both traditional beauty and contemporary senses. The study started with a review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ing the history and kinds of quilts and the embroidery techniqu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quilt dresses in modern fashion were examined through collections an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Using the quilting and embroidery technique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investigator made two pieces of clothing, two tapestries, two runners, and two bag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wo embroidery techniques, were employed instead of broad stitching for quilting and created modern images and quilting and decorative effects at the same time. Second, the embroidery designs, which had played a small auxiliary role as a stitching technique in the Western embroidery, made their way more strongly into the handcraft and geometric images of quilts based on the many different machine- and hand-embroidered techniques. As a result, designs of high class, refined, soft, and beautiful images were reconstructed. Third, the integration between the various quilting techniques and embroidery resulted in a unique sense of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exture expressions in new formats. And fourth, incorporating embroidery capable of diverse colors and expressions into the existing quilting methods worked to supplement rather a simple and plain atmosphere and open the window to more diverse design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embroidery's application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suggest some directions in creating evolving and original quilt fashion designs that can reflect the taste of today's consumers who constantly require something new.

      • Effects of technology-enhanced instruction on Korean EFL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in four different genres of business letters

        백미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growing need for developing communicative skills in English poses a challenge to Korean college students who require training in writing skills for business contexts in professional careers. Although genres are useful for learning and teaching composition to develop concrete production skills, identifying the conventions in English and obtaining language skills cause a difficulty for Korean EFL learners. Considering the dual educational needs of EFL learners, employing technology in teaching and writing is benefici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on the instruction of business letter writing in a Korean university by comparing technology-enhanced lessons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and their perception toward the technology-enhanced writing instruction (TEWI). Twenty-nine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a traditional writing instruction course (T-mode) and 40 students in a technology- based instruction course (C-mode). Writing performance for both the T-mode and C-mode groups was analyzed for four types of business letters: hotel reservation letters, complaint letters, cover letters, and sales promotion letters. These were evaluated based on overall impression, ideas and argument, accuracy, fluency, and appropriacy. To examine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instruction environm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by two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in each group.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web-based instruction improved more than participants who underwent traditional classroom training for the hotel reservation letters and complaint letter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impression', and 'ideas and argument' for hotel reservation letters; in 'overall impression' and 'fluency' for complaint letters; and 'appropriacy' for cover letters. The low-level participants in the C-mode environment improved their writing scores more than those in the T-mode group on hotel reservation and complaint letter writing tasks. To explore the effects of TEWI on business letter writing performance, the rhetorical and linguistic features of the pre- and the post-test writing scripts for the C-mode group were analyzed according to low and high proficiency levels. The analysis showed clear improvement in terms of rhetorical patterns and linguistic features for hotel reservation and complaint letters. Although the high-level participants showed great improvement on writing job application and sales promotion letters, the low-level participants revealed that writing these two longer genres were difficult for them to include all move patterns and use appropriate expressions. However, TEWI enhanced awareness of rhetorical patterns and strengthened application of relevant vocabulary especially the formulaic expressions for politenes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toward TEWI and how these perceptions changed during the experiment,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22 close-ended items and 9 open-ended items was administered. The analysis of the close-ended item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thought the TEWI was generally effective and that the activities were useful and valuable. The mean scores of the participants' perception generally increased during the experiment. The responses to the open-ended questions showed that the material was helpful and content was useful and interesting. The course contributed to learning a new part of English. They also liked the comprehensive organization of the web-site. The drawbacks and difficulties also gave insight into future web designs and studies. From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from the T-mode group,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 business letter writing course was the most practical and useful. The interviewees preferred the paper-and-pencil class because they felt that studying with physical materials increased more concentration as opposed to studying with computers. They provided noteworthy opinions regarding further classroom manage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stud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evaluations of TEWI on business letter writing tasks and writing performance, the mean scores were slightly higher for the low-level learn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is research provides a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appropriate teaching tools thereby enhancing L2 learners' business genre writing competenc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in English. 영어 의사소통 능력 발달에 대한 요구와 미래의 직업세계에서 필수적인 비즈니스 영작교육에 대한 요구의 증가는 한국 대학생들에게 커다란 부담이 되어 왔다. 장르는 학생들의 작문 학습과 작문 능력 발달에 효율적임에도 불구하고 관습적인 영작문 형식과 언어 사용 기술을 동시에 습득해야 하는 한국 학습자들에 있어서는 장르 영작문 지도가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 학습자들의 영작문 학습 시 가해지는 이러한 이중 부담을 고려해볼 때 컴퓨터를 활용한 장르 영작문 교수법은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컴퓨터를 활용한 장르 쓰기 교수법이 비즈니스 영작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연구 질문으로 본 연구를 수행 하였다. 첫째, 컴퓨터를 활용한 영작 교수법은 전통적인 교수법에 비해 한국 대학생들의 비즈니스 영작 학습에 효과적이었나? 둘째, 컴퓨터를 활용한 영작 교수법은 한국 대학생들의 비즈니스 영작학습에서 영작문 형식과 언어 사용 기술 습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셋째, 컴퓨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영작문 교수법과 여기에서 사용된 새로 제작된 웹사이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는 무엇이며 학습과정동안 그 인식도에 대한 변화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29명의 전통 교수법 집단 학생들과 40명의 컴퓨터 활용 교수법 집단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전공과 연령 및 학년은 다양했다. 호텔 예약 서한문, 고객 불만 서한문, 취업 지원 서한문, 판촉 서한문 등 총 4개의 서한문 작성법을 학습하였으며 두 집단 학생들이 작성한 교수 전과 후의 서한문은 전반적인 인상 (overall impression), 의견과 논거 (ideas and argument), 정확성 (accuracy), 유창성 (fluency), 적절성 (appropriacy) 등의 평가 기준에 따라 세 명의 영어교육 전문가에 의해 채점되었다. 이 채점 결과는 참여자의 교수 전 서한문의 점수를 기준으로 각 집단 내에서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나뉘어 통계 전문가에 의해 분석되었다. 장르 영작문 교수를 받은 두 집단 학생들의 작문 점수는 교수 전과 후를 비교했을 때 네 가지 서한문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컴퓨터를 활용한 교수법을 받은 학생들 중 하위 집단 학생들의 호텔 예약 서한문 과 고객 불만 서한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취업 지원 서한문과 판촉 서한문에서는 두 교수법에 따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취업 지원 서한문과 판촉 서한문은 호텔 예약 서한문과 고객 불만 서한문에 비해 훨씬 많은 무브 (작문 구성요소) 가 포함되어야 하며 이 서한문들 작성 시 필요한 영어표현들도 이 실험의 참여자들에게는 어려운 과업이었다. 컴퓨터를 활용한 영작 교수법이 한국 대학생들의 비즈니스 영작학습에서 영작문 형식과 언어 사용 기술 습득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컴퓨터를 활용한 교수법을 받은 집단 내에서 각 서한문의 교수 전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집단과 하위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질적 분석을 위해 각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10명씩의 샘플이 무작위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교수전과 후의 서한문은 연구자에 의해 작문 형식(무브 구성) 및 언어 사용의 향상도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이 분석 결과, 이 교수법은 호텔 예약 서한문과 고객 불만 서한문 작성 학습에서는 작문 구성 형식과 언어 사용 학습에 기여하였다. 취업 지원 서한문 및 판촉 서한문 작성 학습에서는 상위 집단 학생들의 경우 향상을 보였으나 하위 집단 학생들의 서한문 학습에서는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컴퓨터를 활용한 교수법은 학생들의 작문 형식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시켰으며 비즈니스 서한문의 필수 요소인 정중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어휘에 대한 인지도도 향상시켰다. 컴퓨터 활용 교수법과 새로 제작된 웹사이트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각 서한문 학습이 끝난 후 참여자에게 설문지를 작성토록 하였다. 이 설문지는 22개의 객관식 문항과 9개의 주관식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객관식 문항들은 총 5개의 영역으로 묶어서 분석되었다. 객관식 문항의 분석결과 학습자들은 이 교수법에 대해 대체로 효과적이었고 이 웹사이트에서 제공되었던 활동들은 유용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유익한 경험이었다고 인식하였다. 이 학습자들의 인식 점수도 실험기간동안 대체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동료수정 평균 점수는 낮아졌으며 학습자들은 이 동료수정 과정이 유용하지 않았다고 인식했는데 그 이유는 자신들의 영어 능력 부족으로 상대방의 서한문에 대한 효과적인 수정을 할 수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주관식 설문지의 응답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이 교수 자료가 학습에 많은 도움을 주었고 그 활동들도 유익했다고 인식하였다. 웹사이트의 구성 및 디자인에 대해 높은 호감을 나타내었고 이 교수법을 통한 비즈니스 서한문 작성 학습은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영역의 학습 경험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 학습자들이 응답한 이 교수법의 단점 및 개선점, 제안점 등은 향후 이 교수법을 활용한 수업의 초석이 될 것이며 새로운 웹사이트를 구축할 경우나 학습자료 제작 시 반드시 고려해야할 사용자들의 귀중한 ‘소리’가 될 것이다. 개인 면담은 두 교수법 집단에서 각각 세 명의 지원자들에게 이루어졌으나 컴퓨터를 활용한 교수법을 받은 집단 학습자들의 응답은 이 전에 네 번이나 이루어진 주관식 설문에 대한 응답과 매우 유사하였으므로 전통적 교수법을 받은 집단의 학습자들의 면담 내용만 분석되었다. 이 학습자들은 비즈니스 서한문 작성 수업이 매우 실질적이고 유용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받은 전통적 학습법을 더 선호하였는데 그 이유는 교재와 손으로 직접 쓰면서 하는 학습이 더 오래 기억되고 집중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수업 시간을 더 연장하여 좀 더 여유있고 쫓기지 않는 환경에서의 학습이 더 효과적이었을 것이라는 아쉬움도 표현하였다. 인식도와 학습능력에 대한 관계 분석에서는 하위집단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교수법에 대한 인식점수가 상위집단 학생들의 점수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한국 대학생들의 비즈니스 서한문 작성학습에 있어서 컴퓨터의 활용과 방법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영어 교수에서 컴퓨터는 알맞은 학습자에게 적절하게 활용되었을 때 더 효율적으로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도구로서 교수자의 지도하에 보충자료로 활용되어야 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 한국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백미화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South Korea is showing signs of being more vulnerable to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ith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nd an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e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the explosion of suicidal mortality attest to the maximization of the need to enhance self-integration and reduce depression by meaningfully reflecting on past lives and accepting future lives positively.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as a part of social efforts to reduce the anxiety over the death of significant others and their upcoming death. The recent enactment of the「Hospice, Palliative Care and Medical Care Decision Making Law」has raised the concern about the dignity of death, but there is virtually not many opportunities to access to the environment or educational program to prepare for and confront the actual death. That is why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hich provides real understanding of death, pract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death,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elderly in Korea today. In order to explore the elements that must be included in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a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with current domestic and abroad death education programs was carried out. The proposed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its in-depth interviews with death education specialists to provide a new direction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Most death education experts hav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program to be included an understanding of death,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what to prepare and what to do in the process of death, mourning for bereavement and healing of loss. Suicide is also a must-have education that clearly defin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dignity of life and death. Therefore,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has been proposed that includes insufficient loss, grief, and mourning sessions for Korean elderly today. key word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elderly, self-integration, ability to cope with death, mourning, treatment of loss 대한민국은 급속한 고령화와 노인의 독거가구가 증가하면서 노인층의 정신적 건강에 적신호를 보이고 있다. 노인들의 높은 우울증과 자살 사망률 폭증은 지나온 삶을 의미 있게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삶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게 함으로써 자아통합감을 높여주고 우울감을 낮추어 줄 필요성이 극대화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또한 의미있는 주변인의 죽음과 자신의 다가오는 죽음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켜주는 사회적 노력의 일환으로 죽음준비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죽음을 준비하고 맞이할 수 있는 죽음대응 능력함양을 위한 환경이나 교육프로그램을 접할 기회가 사실상 부족한 실정이다.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삶과 죽음의 의미에 대한 성찰, 죽음과 임종, 사별에 관한 실질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주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이유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실제 죽음이 일어나는 현장에서 필요한 사항을 알고 현실적인 준비를 행할 수 있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요소를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탐색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죽음교육 프로그램과의 체계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의 노인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제안된 프로그램은 죽음교육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그 적합성을 평가받아 죽음준비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죽음교육 전문가들은 죽음에 대한 이해, 죽음이 일어나는 과정에서의 준비사항과 정리해야할 것들에 관한 다양한 정보, 사별에 대한 애도와 상실치유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자살 또한 생명의 존엄성에 포함시켜 품위 있는 죽음과의 차별성을 명확하게 정립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현재 복지관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죽음준비교육에는 미비한 상실ㆍ비탄ㆍ애도 교육이 포함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제안되었다.

      • Study on NMR-based metabolomics for monitoring of ethanol and methamphetamine abuser

        백미화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과도한 음주나 마약 복용으로 인한 여러 가지 범죄나 사고 등의 사회적 문제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음주•마약 복용자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시 여겨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음주의 경우, 에탄올의 비산화적 대사물질인 ethyl glucuronide (EtG)가 체내에 남아있는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음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널리 통용되고 있다. Methamphetamine의 경우에는 그 자체가 대사가 거의 일어나는 물질이므로 직접 이 성분을 검출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그리고 EtG나 methamphetamine을 확인하는 방법에는 주로 LC-MS나 GC-MS 같은 방법이 이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요구하고 샘플이 훼손될 뿐만 아니라, 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NMR-based metabolomics를 통해 음주•마약 복용 여부를 비교적 짧은 시간에 확인하는 과학적 방법을 개발하였다. 5명의 지원자에게 한 병의 소주를 복용하게 한 후 시간에 따라 채취한 urine을 NM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NMR 스펙트럼 상에서 최대 20~25시간까지 EtG signals이 나옴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5명의 필로폰 중독자로부터 얻은 urine 샘플과 control urine에 10, 20, 40 ppm의 methamphetamine을 임의로 넣은 spiked sample을 비교해 보았다. NMR spectrum 상으로는 methamphetamine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으나, 통계적 분석으로 확인해 본 결과, 본래 의도한 대로 세 그룹으로 구별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위 실험 결과를 통해, NMR과 통계적 방법을 함께 이용하여 법의학 분야에서도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