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유아의 이중언어 사용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박아름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다문화유아의 이중언어 사용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박아름 지도교수 : 황상심 언어치료청각학과 남부대학교 본 연구는 다문화유아의 이중언어 사용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인 5문항, 다문화 교육 경험 2문항, 이중언어의 인식 10문항, 지도실태 3문항, 방해요인 2문항, 총 22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의 타당도를 위해서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201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전반적인 응답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와 유아의 이중언어 관련 교육 필요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의 다문화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일원변량분석 후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온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 그 세부적인 차이를 살펴보았다.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경험에 따른 교사와 유아의 이중언어 관련 교육 필요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다문화 지도방해요인 인식에 따른 교사와 유아의 이중언어 관련 교육 필요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연령, 근무경력,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이중언어 교육의 필요성이 대체적으로 높았다. 둘째, 다문화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이중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다문화 지도경험이 적은 유아교사들은 다문화유아의 언어발달지연을 우려하며 이중언어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지도방해요인 인식에서 정서적인 요인에 응답한 교사는 교사의 이중언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심리적인 어려움 이외의 다른 문항에 응답한 교사는 다문화 유아의 이중언어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즉 유아교사는 이중언어 사용이 다문화유아에게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교사에게는 이중언어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이중언어 사용으로 인해 다문화유아의 언어발달을 우려하고 있으며, 다문화유아에게는 이중언어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다문화 경험이 많을수록 이중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유아의 이중언어 사용 및 교육에 대한 관심유도를 위해 다양한 교육과 지속적인 관심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이 COVID-19로 인한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아름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첫째, 대학생들의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생활스트레스의 차이 를 비교하고, 둘째,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아 긍정적인 요인을 규명하여, 셋째, 코로나-19 이후 대학 생들의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일상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를 통해 규명된 긍정적 요인을 상담 장면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은유 이해능력 분석

        박아름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개념영역(지각적 은유, 심리적 은유), 구문구조(서술적 은유, 비례적 은유)에 따른 은유 이해능력과 오류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언어연령이 9~12세에 해당하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 15명, 이들과 선별검사로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개념영역과 구문구조에 따른 은유 문장이 들어간 대화 문맥을 제시하고, 은유 문장의 은유적 해석을 보기에서 선택하도록 하였다. 보기 문항은 은유적 해석, 문자적 해석, 문맥적 해석, 관련 없는 해석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영역에 따른 은유 이해 수행력에서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은 일반 학생 집단보다 지각적 은유와 심리적 은유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또한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은 지각적 은유가 심리적 은유의 수행력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 학생 집단은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에 비해 지각적 은유와 심리적 은유 간 수행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구문구조에 따른 은유 이해 수행력에서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은 일반 학생 집단보다 서술적 은유와 비례적 은유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또한 경도 지적장애 성인과 일반 학생 집단은 모두 서술적 은유와 비례적 은유에서 수행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별 오류유형 특성을 살펴보면, 경도 지적장애 성인 집단은 오류유형에서 문자적 해석을 가장 높게 선택했으며, 그다음으로 문맥적 해석, 관련 없는 해석 순으로 선택했다. 일반 학생 집단은 오류유형에서 문맥적 해석을 가장 높게 선택했으며, 그다음으로 관련 없는 해석, 문자적 해석 순으로 선택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볼 때, 경도 지적장애 성인들은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학생들 보다 은유 이해능력이 유의미하게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도 지적장애 성인들은 개념영역에 따른 은유에서 지각적 은유 수행력이 심리적 은유 수행력보다 높으며, 구문구조에 따른 은유에서 서술적 은유와 비례적 은유의 수행력이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은유 이해 오류유형에 있어서 경도 지적장애 성인들은 일반 학생들이 문맥적 해석을 선호한 것과 달리 문자적 해석을 가장 선호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도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은유와 같은 비유 언어 중재 시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하여 교육 및 치료적 접근에 활용한다면, 이들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켜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taphor understanding ability and err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ncept domain (perceptual metaphor, psychological metaphor) and syntactic structure (predicative metaphor, proportional metaphor)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For the study, 15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hose language age ranged from 9 to 12 years, and 15 Typically Developing students(TD) who matched language age by screening test were selected.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dialogue context with metaphor sentences according to the concept domain and the syntactic structure, and the participants selected the metaphorical interpretation of the metaphorical sentence in the interpretations. The interpretations consisted of metaphorical, literal, contextual, and irrelevant interpret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both perceptual metaphor and psychological metaphor than TD group in the metaphor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concept domain. In addition, the perceptual metaphor of the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sychological metaphor, but the TD group showed littl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perceptual metaphor and the psychological metaphor than the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both predicative metaphor and proportional metaphor than TD group in the metaphorical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syntactic structure.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and TD group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predicative metaphor and proportional metaphor. Third, as for the error characteristics, the adul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elected ‘literal interpretations’ the most in the error type, followed by ‘contextual interpretation’ and ‘irrelevant interpretation’, The TD group selected ‘contextual interpretation’ the most in the error type, followed by ‘unrelated interpretation’ and ‘literal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have significantly lower metaphor comprehension ability than students with language age matched. Also,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higher perceptual metaphorical performance in metaphor according to concept domain than psychological metaphorical performa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predicative metaphor and proportional metaphor in metaphor according to syntactic structure. In the metaphorical error type,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more likely to prefer the literal interpretation than the TD students preferred the contextual interpretation. Therefore, when educating metaphor for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educating them in considera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by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skills.

      • 벽식 아파트의 리모델링 구조설계

        박아름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remodeling of the reinforce concrete apartment became hot issue of the housing policy in Korea. In Korea, the seismic design regulation has been established since 1988 in order minimize the economic losses. The main structure modeling executed seismic performance to apartment since remodeling about existing apartment of the 1980's. When seismic performance, analyzed lateral displacement change of modeling according to application availability of Effective Beam Width Method. As a result, lateral displacment of existing apartment did not satisfy internal examination standard regardless of application of Effective Beam Width Method, but lateral displacement that treat since remodeling satisfied internal examination standard. Also, lateral displacement of remodeling analysis that apply Effective Beam Width Method was analyzed in more safe side.

      • 발음중심 교수법이 문어 저성취 유아의 읽기와 쓰기에 미치는 효과

        박아름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발음중심 교수법이 문어 저성취 유아의 단어재인, 읽기 유창성, 쓰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시 Y구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6세 유아 4명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 A-B-A 설계를 하였으나 1명이 중도 탈락되어 3명으로 진행되었다. 대상 유아는 지능검사 결과 IQ 70 이상, KINSE - BATT 음독 및 BASA 읽기Ⅰ 검사 결과 하위 20% 미만, KNISE - BATT 쓰기 영역에서 하위 20% 미만인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전 · 사후 검사 및 중재 검사, 유지 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검사를 시행하였다. 단어재인 및 쓰기 검사는 기초학력검사(KNISE-BATT)로 측정하였고, 읽기 유창성 검사는 읽기 수행 평가 체제 검사(BASA)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 기간은 2015년 1월 2일부터 2월 28일까지 8주간으로 총 24회기였으며, 매회 40분이 소요되었다. 발음중심 교수법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 6회기마다 단어재인, 읽기 유창성, 쓰기 검사를 시행하였다. 발음중심 교수법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발음중심 교수법 결과 문어 저성취 유아의 단어재인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발음중심 교수법 결과 문어 저성취 유아의 읽기 유창성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발음중심 교수법 결과 문어 저성취 유아의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음중심 교수법을 통해 문어 저성취 유아의 단어재인, 읽기 유창성, 쓰기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즉, 발음중심 교수법을 통해 세 유아의 읽기 및 쓰기 점수가 모두 크게 향상되었는데, 특히 학습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이 있는 유아에게 더욱 효과적이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입학 전 조기중재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문어 저성취 상태의 유아에게 되도록 이른 시기에 적절한 중재를 할 경우 기초학력과 관련하여 따라잡기식의 발달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읽기와 쓰기에 대한 교수법을 계획할 때 자모지식과 쓰기 선수기술을 반드시 포함시켜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경험 탐색

        박아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 놀이를 통해 유아의 놀이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C시의 S유치원 만 5세 단일연령 H학급의 유아 17명과 담임교사가 참여하였다. 연구자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나는 유아의 자유놀이를 관찰하기 위해 유아의 놀이상황을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는 오전 자유놀이시간을 관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놀이경험을 참여관찰하였으며 놀이과정에서 유아와 교사의 생각이나 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7월 6일부터 2020년 10월 0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참여관찰, 동영상 및 사진 촬영, 녹음, 면담, 연구자 저널 등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읽고 정리하며 자료를 범주화하고 의미부여 및 재해석하는 반복적이고 순환적인 자료분석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하여 자유롭고 재미있는 놀이과정에서 유아는 자연스럽게 경험하고 배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경험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에서 유아는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하며 끊임없이 의미를 재창조하였다. 유아의 자유놀이에서 비구조적 놀잇감과 공간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었다. 비구조적 놀잇감의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놀이의 종류가 달라지기도 하고 놀이의 공간과 상황에 따라 비구조적 놀잇감의 형태를 변형하여 놀이를 실감나게 하였다. 이처럼 유아는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놀이상황에 맞게 공간을 나누고 재구성해나가며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에서 충분한 놀이시간의 기준은 유아마다 달랐으며 질적으로 다른 의미를 가졌다. 같은 시간이 주어졌을 때 그 시간에 대한 만족감은 주관적으로 결정되었다. 어떤 유아는 30분으로 충분하게 생각하지만, 어떤 유아는 1시간 이상의 놀이시간도 부족하게 느꼈다. 놀이의 몰입과 흥미를 위해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하지만, 무한정 놀이시간을 제공하는 것은 오히려 유아의 놀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지속하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에서 유아는 기존 사고에서 벗어난새로운 생각과 놀이를 가능하게 하였다. 새로운 생각과 시도는 기존의 사고에서 벗어난 다른 유아와는 변별되는 새롭고 독창적인 놀이를 실행하는 영향을 주었다. 유아들은 교실에 존재하는 기존의 질서를 깨고 놀이하기도 했지만, 그 과정에서 유아들은 자신들이 지켜야 할 새로운 놀이 규칙과 약속을 만들었다. 새로운 놀이 규칙과 약속은 유아에게 또 다른 몰입과 즐거움을 제공하였다. 넷째, 자신의 놀이 목적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형이 가능한 비구조적 놀잇감은 유아의 놀이를 즐겁게 하였다. 유아가 흥미를 보이고 인위적으로 가공하지 않은 종이, 테이프, 끈, 콩, 두부, 면 등 비구조적 놀잇감을 주로 제공하였다. 유아들은 자신들의 놀이 아이디어에 기초하여 주관적이고 융통성있게 놀잇감을 변형시켰다. 비구조적 놀잇감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새로운 놀잇감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놀이를 적극적으로 즐겼으며 놀이에 대한 만족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는 유아가 놀잇감을 탐색하고 놀이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유아는 다양한 종류의 비구조적 놀잇감을 놀이에 충분한 양만큼 제공했을 때 놀잇감을 다양한 방법으로 탐색하고, 자신의 놀이에 여러 가지 놀이 아이디어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유아가 원하는 만큼의 놀잇감을 제공하되, 어려울 때는 무조건 더 많은 양의 놀잇감을 지원하기보다는 유아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 유아는 스스로 필요한 놀잇감의 종류와 양을 파악하고 필요한 부분을 또래와 서로 교환하거나 양보함으로써 스스로 놀잇감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었다. 여섯째,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는 유아의 내적 동기를 자극하고다양한 놀이 경험을 제공하며 대화와 소통의 기회를 주었다. 유아가 관심을 보이는 비구조적 놀잇감의 놀이 활용은 유아의 내적동기를 자극하였다. 비구조적 놀잇감을 탐색하거나 놀이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아와 유아 또는 유아와 교사 간에 대화, 타협, 협상 등을 통해 소통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일곱째, 유아는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에서 유아는 마음껏 상상하고 그 상상을 놀이에 적용하였다. 비구조적 놀잇감은 유아가 놀이 안에서 상상력을 발휘하고 그 상상력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거리낌 없이 상상하고 상상하는 것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유아는 새로운 놀이 가능성을 탐색하기도 하였다. 유아는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 과정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상력을 활용하여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도 하였다. 이는 유아가 더 많이 상상하고 더 다양하게 상상할 수 있게 하였다.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에서 유아는 공간, 시간, 규칙, 놀잇감의 경계를 허물고 선택권을 갖고 놀이를 주도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비구조적 놀잇감을 탐색하고 놀이에 활용하는 과정에서 유아는 변형하고 표현하며 상상하는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사회정서적 소통, 문제 해결, 상상 등과 같은 또다른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를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유아가 놀이의 선택권을 갖고 놀이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긍정적인 자유놀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일본 요괴 문화원형 활용 사례 연구

        박아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ultural Archetype of Japanese Youkai: Focused on Animation and Manga Characters Park, Areum Department of Global Culture and Contents Graduate Schoo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Unlike the pre-modern values of rational, instrumental reason or uniformity formed by enlightened discourse; the 21st century is a new paradigm of ‘cultural century’ infused by sensitivity, creativity and diversity. Furthermore, cultural industry contributes by raising national brand value, and is the source of ‘soft power.’ Thus, has made it inevitable but to create and discover new cultural contents that base one’s country’s core cultural values. Therefore, researching cultural identity in Korean contents, overcoming the limits of the Korean Wave, and forming cultural identity as a community focal point is meaningful to discover and inherit culture. Originating from contemporary context, ‘Cultural Archetype’ signifies as a stereotyped and standardized traditional cultural phenomenon deriving from tangible and intangible traces that were accumulated from the consciousness and actions originating from a group’s collective, psychological and physical actions of a group’s intrinsic archetyp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ase studies of Japanese cultural contents, specifically Japanese Youkai cultural archetype, which have achieved results, and will further explore the considered elements and implications to achieve cultural, industrial value through incorporating cultural archetype with different cultural contents from various media sources. After reviewing the cultural archtype development and cultural-content characterization of the most representative Japanese Youkai’s (the Tengu, Youko, and Kappa); the research led to show that ancient Japanese created “Youkai” based on their primal, religious nature and inevitable natural disasters. Their view of nature, culture and social aspects was reflected to the fables, folktales and literature, and these repetitive changes had later on characterized the Youkais. Based on the selected typical qualities, the Youkai character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its according cultural contents genre, and the social, cultural trend to be recreated into a new appearance, personality and status. These case studies show that reinterpretation or taking new approaches of Youkai cultural archetype is a prerequisite essential requirement for culture-industrialized cultural contents that aim for mass appeal and entertainment. The effort of maximizing the consensus and enjoyment of the public is to create industrial value such as economical profit and to develop expressing the continuity of the creative process as a succession of cultures of Youkai cultural archetype. Thus, the essence of each era is to recognize that cultural archetype, which is a result of shared cultural circle, is constantly changing, and when using as a cultural content, it should be thoroughly re-interpreted to establish a new phase. Thus, the past and future connected present is also creating tradition; it is an important task to research the cultural archetype which is shared among many Koreans lives, to find the essence, and to furthermore actively induct the enjoyment of the public to create industrial, cultural value of cultural archetype.

      • 글로벌 환경에서 중국진출에 성공한 기업가 역량에 관한연구 : 삼성전자, 이마트, 오리온,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박아름 단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글로별 경쟁시장에서 국내 대기업의 최고경영자 역량이 중국시장에 진출한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사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최고경영자의 역량요인은 리더십, 기업가정신으로 변수를 설정하였다. 최고경영자의 리더십과 기업가 정신이 글로벌경쟁시장에서도 성공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기업 중 중국에 진출한 삼성전자, 이마트, 오리온, 현대자동차는 성공적인 경영성과를 거두며 기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각 기업마다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요인으로 삼성전자는 카리스마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마트는 윤리적 리더십을 토대로 변혁적 리더십을 발전시켰다. 오리온은 정직과 신용에 기반을 둔 창업주의 윤리적 리더십과 사회적으로 공헌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늘 생각하고 사원들에게 목표와 비전을 분명히 인식하게 하여 역량을 높인 서번트 리더십을 실현하여 발전하였다. 현대자동차는 함께 움직이는 세상을 경영이념으로 구성원들로부터 능력과 잠재력을 높여 더욱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끊임없는 변화로 건설, 자동차, 조선, 제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의 주축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변혁적 리더십의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최고경영자의 기업가정신 요인으로 삼성전자는 강력한 제품경쟁력을 바탕으로 중국시장 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은 혁신성과 진취성 및 위험감수성이다. 이마트는 축적된 노하우, 저렴한 가격, 고급화된 매장분위기 등의 요인으로 혁신성과 진취성 및 위험감수성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오리온은 축적된 노하우, 효과적인 현지화 집중전략, 주된 원료의 직접제조 능력 등을 바탕으로 혁신성과 진취성 및 위험감수성을 추구하였다. 현대자동차는 노동 생산성 우위, 부품업체와 동반진출, 가격대비 높은 품질 경쟁력, 철저한 A/S관리, 현지화 전략은 현대자동차만의 혁신성과 진취성 및 위험감수성을 만족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기업의 최고경영자의 리더십과 기업가 정신 역량이 중국시장에서 매우 성공적인 발전을 거두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competence of Chief Executive Officers (CEO) of domestic large companies affects their business performance after the advancement in the Chinese market in the globally competitive environm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were set as competency factors of CEO. It was found that CEO's 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can serve as success factors in the globally competitive market. Samsung Electronics, E-Mart, Orion, and Hyundai Automobile, which already advanced into the Chinese market, achieved successful management performance, developing their businesses. First, when it came to CEO's leadership factors of each company, Samsung Electronics exerted charismatic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art develop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ased on ethical leadership; With its founder's ethical leadership based on honest and trust, Orion implemented and developed servant leadership through ceaseless efforts; Hyundai Motor Company has servant leadership based on the management philosophy 'Moving the World Together',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contributed to allowing the company to play a pivotal role in various areas, such as construction, automobile, shipbuilding, and steel making, through its ceaseless changes. Secondly, when it came to CEO's entrepreneurship factors, Samsung Electronics has innovation, progressive spirit and risk-taking propensity which contributed to allowing the company playing a leading role not only in the Chinese market, but in the global market, on the basis of its strong product competitiveness; E-Mart is equipped with innovation, progressive spirit, and risk-taking propensity on the basis of accumulated know-how, low prices, and high-end shopping atmosphere; Orion pursues innovation, progressive spirit, and risk-taking propensity on the basis of accumulated know-how, effective localiza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the independent ability of manufacturing main raw materials; Hyundai Motor Company develops innovation, progressive spirit, and risk-taking propensity on the basis of the competitive edge of labor productivity, joint advancement with part manufacturers, cost-effective quality competitiveness, thorough After-Sales service management, and localization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revealed that CEO's 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played a critical role in achieving great success in the Chinese market in the globally competitive environment.

      • 상업가로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임대료 영향요인 분석 : 경리단길을 사례로

        박아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 동안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소외되었던 구(舊)도심 지역이 새로운 주거지와 핵심 상권으로 변화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세계 도시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국내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은 이미 10년 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서울 홍대 앞을 비롯해 2000년대 이후 핫 플레이스로 등극한 가로수길, 삼청동, 서촌, 경리단길 등 상업가로의 많은 장소들이 젠트리피케이션을 대변한다. 이 중 경리단길은 서울시에서도 주목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으로, 기존 상권과는 다른 소규모의 개성 있는 상점들이 모여 주목받기 시작했으나 매스컴을 타고 입소문이 나면서 유동인구가 증가하여 입점경쟁이 일어나면서 대기업과 외지인의 투자자본이 유입되고 있다. 이는 지가와 임대료의 상승을 가져오며 기존 지역 구성원들의 탈각현상을 야기하고 지역의 고유한 분위기를 파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와 자치구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각종 방지대책을 내놓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부정적 결과를 야기하는 임대료 상승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리단길의 젠트리피케이션에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에 따른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의 핵심 요소인 임대료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여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대책에 관한 정책수립의 근거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분석은 경리단길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분석과 경리단길의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경리단길에서 발생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3가지 특징으로 구분하여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상업가로의 젠트리피케이션 단계모델’을 정립하였다. 1단계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의 초기단계로서 경리단길에 이태원으로부터 개성 있는 소규모 상점들의 유입이 이루어지며 그들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독특한 분위기는 본래 근린주거지역이었던 경리단길에 카페, 펍(pub)등의 유사업종의 유입을 이끌며 방문객을 증가시켰다. 2단계에서는 경리단길 메인도로변에 식음시설이 확대되면서 그들만의 거리가 형성되었고 상업화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급격한 상업화로 입점경쟁이 심화되고 지대 및 임대료가 상승하여 경리단길은 거주민을 위한 편의시설보다는 방문객을 위한 업종으로 변화했다. 3단계에는 경리단길의 상업적 가치를 인식한 대기업 및 외지인의 투자자본이 유입되며, 임대료를 감당하기 어려운 기존 거주민 및 소규모 상인들의 탈각현상이 일어났다. 둘째,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정적 외부효과를 야기하는 경리단길의 임대료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경리단길의 임대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임대료는 초입에 가까울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주변에 식음시설이 위치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건물의 외관 상태나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변수를 추출한 후 경리단길의 임대료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지가(+), 식음시설(+), 업종변화(+), 연면적(-), 지하철과의거리(-), 경사도(-)가 임대료과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가, 지하철과의 거리, 경사도 순이었다. 따라서 임대료는 건물의 물리적 환경보다는 지가와 입지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경리단길의 임대료 형성과정에서 어떤 요인들이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파악하였다. 경리단길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지역의 경제적 활성화를 불러오기도 하지만 동시에 상업화로 인한 지대 및 임대료의 상승으로 부정적 결과가 초래되고 있다. 따라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심화를 방지하고 개성 있는 상권 유지를 위한 도시계획적 해법 고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임대료 적정기준 마련, 임대인과 임차인의 상생을 위한 제도적 기반, 거주민과 상인들이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활동 지원 정책 등의 정부차원에서의 정책적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