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건중심성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

        박소윤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aimed to find out whether centrality of event interpreting a traumatic experience as a part of an individual's identity was important to posttraumatic growth(hereafter PTG). For this purpose, the study identified several differences among PTG and related variables depending on centrality of event levels. Then it was conducted to make it sure to show the correlations among the PTG variables when the level of centrality was high. Lastly, it was examined whether centrality of event still had an influence to posttraumatic growth after controlling for the PTG variables. In this study, 460 adults over 20 years old were participated in completing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raumatic Experience Schedule, Event-related Rumination Inventory, Centrality of Event Scale, Korea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Distress Disclosure Index,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Positive Reinterpretation Coping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resting on centrality of event levels. Every level of PTG,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meaning in life, and positive reinterpretation the group of high centrality of event showed was higher. Second, the high centrality group demonstrated more distinctive correlations among the PTG variables. In the group, the correlations among PTG, social support, deliberate rumination, meaning in life, and positive reinterpretation were much higher, and intrusive rumination didn'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PTG.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self-disclosure in the group was lower than the total group. Finally, centrality of event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PTG after controlling for the related variables including social support, self-disclosure, meaning in life,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itive reinterpretation. These results suggests that centrality of event which organizes and symbolizes trauma experiences as personally meaningful things woul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TG.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경험을 개인의 정체성의 부분으로 해석하는 사건중심성이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사건중심성 수준에 따라 외상후 성장 및 관련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고, 2) 사건중심성이 높은 경우 외상후 성장 관련 변인들의 상관관계가 더욱 확실하게 나타나는지 조사하며, 3) 외상후 성장관련 변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사건중심성이 외상후 성장에 영향력 있는 변인인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성인 460명(남자 113명, 여자 34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외상 경험 질문지, 사건관련 반추 척도, 사건중심성 척도,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척도, 자기개방 척도, 삶의 의미 척도, 긍정적 재해석 척도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건중심성 수준에 따른 외상후 성장 및 관련 변인들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사건중심성이 높은 집단이 외상후 성장,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삶의 의미, 긍정적 재해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건중심성이 높은 집단의 외상후 성장 관련 변인들의 상관관계가 더 확실하게 나타났다. 사건중심성이 높은 집단에서 외상후 성장과 사회적지지, 의도적 반추, 삶의 의미, 긍정적 재해석의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침습적 반추는 외상후 성장과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건중심성과 자기개방은 외상후 성장과의 상관관계가 전체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사건중심성이 외상후 성장에 영향력 있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사건중심성이 사회적지지, 자기개방, 의도적 반추, 삶의 의미, 긍정적 재해석을 통제하고도 외상후 성장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상 사건을 개인적으로 중요하고 의미있게 조직화, 상징화 하는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한국 여성국극과 일본 다카라즈카의 분장에 관한 연구

        박소윤 성신여자대학교 융합디자인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Make-Up of the Korean Female Gukgeuk and Japanese Takarazuka PARK, SO YOON Make-up and Special effect make-up Major The Graduate School Convergence Design and Arts Sungshin University Modern people are exposed to a variety of culture driven by the rising standard of living and increase their desire for culture and interest in art, which has activated performance culture across many different genres. Needs for performance culture have made rapid growth both domestically and globally,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fields of performance.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rt has enhanced the diversity of the stage types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s, demanding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in each field of stage performance. Performance art is a total combination of diverse fields. It offers something to see to the audience and improves the completeness of drama by maximizing the visual effects of all the areas related to the stage including make-up, hairdos, costumes, stage, and lighting. Stage make-up is a means of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among the audience by externally altering and highlighting the personality of a character that the actor cannot express. It has recently been promoted as an area of visual art. There is thus a need for multifaceted researches on stage make-up to systematically expand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required for make-up, promote its understanding, and broaden its scop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ake-up of traditional performance by revisiting the female Gukgeuk, a type of traditional performance art in performance culture in crisis of disappearance, and incorporating it into make-up, compare and examine it with Japanese Takarazuka, and search for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female Gukgeuk. As for the methodology and scope,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 and video materials, photographs, and other written materials home and abroa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tage make-up, examine its expressive methods, and identify the related areas to consider for make-up. The study also traced the backgrounds and changing processes of th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to understand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selected their representative works to figure out the application of make-up through character and work analysis around the characters. The study also looked into differences in make-up between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 th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to understand make-up in traditional performance. The make-up of th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was analyz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male and female character make-up and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m to figure out the stage make-up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Japanese opera compani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age make-up varied in thicknes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ctors and the audience, was capable of changing shapes through an optical illusion according to the expressive methods, and expressed the intended characters by incorporating itself into phrenology, chromatology, lighting, and costume related to make-up. The female Gukgeuk was created as the female Gukak organization was founded by the female Gukak performers that resisted the poor treatment resulting from the male-dominated Changgeuk community that maintained the line of great singers. Takarazuka was created as a girls' singing company was set up to promote the tourist products during the modernization of Japan.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ation of a traditional genre would be difficult without the support for its development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thre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works each show that there were no broad changes to make-up, hairdos, and costumes in the female Gukgeuk because the characters had no big changes due to the flat materials and limitation to the content of classical novel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same Takarazuka works according to direction. Make-up, hairdos, and costumes went through various changes in a variety of works including the Japanese ones, period ones, Western ones and revues, thus contributing to the maintenance of the broad spectrum of the audience. Third, the representative way to express a male character through stage make-up in the female Gukgeuk was to use a darker skin tone than a female character and create big eyebrows, thick nose shadow, and dark eyes. The unique make-up to the female Gukgeuk has continued throughout its history. There were two patterns of the make-up of female characters in the female Gukgeuk; one was to create a strong nose shadow and hairline to highlight stereopsis, and the other was a natural look influenced by the natural make-up. Fourth, the male characters in Takarazuka were expressed with a light skin tone, various colors of eye shadow, round lines on the lips, and long wavy hair, which is an original male expression in Takarazuka different from the old ones. In Takarazuka, the female characters were expressed with a lighter skin tone, addition of pink, and colors of high chroma for feminine expressions compared with the actresses of male characters. Fift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in the make-up of male characters between th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reveal that they used many shape changes in the dark skin, broad forehead, and high nose and also thick and angular lines to highlight masculinity in the female Gukgeuk. In Takarazuka, they used a light skin tone, colorful make-up, beak-shaped eye lines for bigger eyes, and long eyelashes to express male characters. Finall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in the make-up of female characters between the female Gukgeuk and Takarazuka indicate that both of them used a light skin tone, added pink, and applied red of high chroma for the lips. While the dark eyebrows and nose shadow displayed the remnants of the time when make-up was first introduced in the female Gukgeuk, Takarazuka created an optical illusion of bigger eyes with bigger eye holes and beak-shaped eye lines. The study on make-up expressions identified the stage make-up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Japanese female opera companies, understood common people's perceptions of the female Gukgeuk, and searched for its developmental directions by analyzing the characters and make-up of Takarazuka performance. The study will hopefully trigger more researches on the female Gukgeuk across various areas. 논문개요 현대인들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다양한 문화를 접하면서 문화적 욕구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었고 이는 여러 장르의 공연문화를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공연문화에 대한 수요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급증하면서 공연에 따른 전문분야 역시 발전하고 있다. 공연예술의 발달은 무대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공연이 많아지면서 무대공연 각 분야의 전문화를 요하게 되었고 세분화되어 발전되고 있다. 공연예술은 다양한 분야가 종합적으로 결합된 것이며 분장, 헤어, 의상, 무대, 조명등 무대에 관련된 전 분야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켜 관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극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무대분장은 배우가 나타내지 못하는 배역의 성격을 외적으로 변화시키고 부각시켜 관객의 이해를 돕는 수단으로 최근에는 시각예술의 한분야로 발전 되고 있다. 따라서, 분장에 요구되는 지식과 경험이 체계적으로 확립되어 분장의 이해를 돕고 분장의 폭넓은 확대를 위해 다각도의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연문화 중 전통공연예술로 소실의 위기에 처해 있는 여성국극(女性國劇)을 새로이 인식하고 분장에 접목해 전통공연의 분장에 대해 알아보고 일본의 다카라즈카와 비교 고찰하여 여성국극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국내외 문헌자료와 영상자료, 사진자료, 기타 서면자료를 통해 무대분장의 개념을 확립하고 표현방법을 고찰해 보고 분장 시 고려하여야할 관련분야에 대해 조사해 본다.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생성된 배경과 변천과정을 통해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며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택하여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인물분석 및 작품분석을 통한 분장의 적용에 대해 고찰해 본다. 여성국극의 남녀역할분장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다카라즈카의 남녀역할분장에 차이점에 대해 각각 구분하여 전통공연의 분장에 대해 알아본다.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분장 실제의 분석을 통한 남성역할분장과 여성역할분장을 각각 비교분석하여 차이점을 통해 한국과 일본 여성가극단의 무대분장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대분장은 배우와 관객과의 거리에 따라 분장의 농도가 달라지며 표현방법에 따른 착시현상으로 형태변형이 가능하며 분장과 관련된 골상학, 색채학, 조명, 의상에 접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캐릭터를 나타낼 수 있었다. 여성국극은 창극계의 남성중심사상으로 명창의 맥을 이어온 탓에 처우가 좋지 않았던 여성국악인들의 반발로 여성국악단체가 만들어지는 생성배경을 갖고 있는 반면 다카라즈카는 일본의 근대화에 맞물려 관광 상품의 홍보차원에서 소녀창가단이 만들어지는 생성배경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발전이 뒷받침 될 수 없다면 전통장르의 보존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성국극과 타카라즈카를 각 세 작품씩 분석한 결과 여성국극은 단조로운 소재와 고전소설의 내용에 국한되어 캐릭터의 변화가 많이 없어 분장, 헤어, 의상도 변화의 폭이 넓지 않은 반면 다카라즈카는 같은 작품도 연출력에 따라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일본물, 시대물, 서양물, 레뷰 등 여러 작품 속에서 분장, 헤어, 의상의 다양한 변화로 폭넓은 관객층을 유지하고 있다. 셋째, 여성국극의 무대분장은 남성을 표현하기위한 대표적 방법으로 여성역할의 배우보다 어두운 피부 톤을 나타내며 굵은 눈썹과 진한 노즈 샤도우와 검은 눈매표현으로 여성국극만의 독특한 분장으로 처음부터 지금까지 보여 지고 있다. 여성국극의 여성역할 분장은 두 가지 패턴이 보이는데 노즈 샤도우와 헤어라인을 강하게 넣어 입체감을 강조하는 분장과 내츄럴 메이크업의 영향으로 자연스러운 무대분장의 표현방법이 나타난다. 넷째, 다카라즈카의 남성역할 분장은 피부 톤을 밝게 하며 아이 샤도우의 다양한 컬러의 사용과 둥근 라인의 입술표현과 더불어 긴 웨이브형태의 헤어는 기존의 남성표현이 아닌 다카라즈카의 독창적인 남성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다카라즈카의 여성역할 분장은 남성역할의 배우에 배해 여성적 표현을 부가 하기위해 피부표현을 더 밝게 하며 핑크 톤이 더해지고 채도가 높은 컬러로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남성역할분장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여성국극은 어두운 피부와 넓은 이마, 높은 코의 표현으로 형태변형이 많았고 두껍고 각진 라인으로 남성성을 부각시킨 반면 다카라즈카는 여성역할 배우와 차이가 없는 밝은 피부 톤과 컬러풀한 분장, 새부리 모양의 아이라인으로 큰 눈매를 표현하고 남성역할임에도 긴속눈썹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여섯째,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의 여성역할분장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밝은 피부 톤의 사용과 핑크 톤이 더해지는 공통점과 입술표현 시 채도가 높은 붉은 톤을 주로 사용하는 공통점이 있었으며 여성국극은 진한 눈썹과 노즈 샤도우의 표현이 처음분장을 시작하던 시기의 잔재를 보여 주고 있고 다카라즈카는 아이 홀을 크게 표현하며 새부리 모양의 아이라인으로 큰 눈으로 보이는 착시현상을 주고 있었다. 위와 같이 분장표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한국과 일본의 여성가극단 무대분장 특징에 대해 알 수 있었고 여성국극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더불어 발전방향의 모색도 다카라즈카 공연 캐릭터와 분장의 분석에서 그 요인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여성국극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부분에서 계속되기를 바래본다.

      • 하브루타 국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질문 생성 능력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소윤 대구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하브루타 국어수업이 학생들의 질문 생성 능력과 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 2개 학급 42명이다. 그 중 실험 집단 21명은 하브루타 국어수업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 집단 21명은 교사용 지도서를 바탕으로 한 교사 주도 설명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하브루타 국어수업 프로그램은 총 9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각 회기 수업은 일주일에 주 1~2회, 시간은 핵심 활동에 맞게 30~80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였다. 하브루타 국어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할 읽기 텍스트를 선정한 뒤 하브루타 국어수업 모형에 따라 수업을 적용하였다. 하브루타 국어수업의 기본적인 모형은 읽기 내용 확인, 질문 만들기, 짝 하브루타, 모둠 하브루타, 전체 하브루타, 정리하기 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의 질문 생성 능력의 변화를 보기 위해 사전-사후 질문 생성 능력 검사와 회기별 정리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읽기 능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사전-사후 읽기 이해 능력 검사, 읽기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브루타 국어수업 프로그램이 질문 생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질문 생성 능력 검사와 회기별 정리 활동지의 질문을 수집하여 그 양과 수준을 분석한 결과, 양에 있어 큰 차이는 없었으나 수준에 있어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실적 질문은 감소하고 수준 높은 사고를 필요로 하는 적용, 평가, 창의적 질문은 증가하였다. 이는 하브루타 국어수업이 학생들의 질문 생성 능력 수준의 향상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둘째, 하브루타 국어수업 프로그램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읽기 능력 결과가 읽기 이해 능력 요소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읽기 태도 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태도가 단기간의 향상이 어렵기 때문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좀 더 장기간의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정리하면, 하브루타 국어수업이 학생들의 읽기 능력 중 읽기 이해 능력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하브루타 국어수업은 초등학생의 질문 생성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고 읽기 능력 중 읽기 이해 요소의 향상을 돕는 효과적인 학습 전략임을 확인할 수 있다.

      • 그리기를 통한 내용 생성 전략이 쓰기 부진 학생의 글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소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리기를 통한 내용 생성 전략이 쓰기 부진 학생의 글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그리기를 통한 내용 생성 전략이 쓰기 부진 학생의 쓰기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그리기를 통한 내용 생성 전략이 쓰기 부진 학생의 쓰기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그리기를 통한 내용 생성 전략이 쓰기 부진 학생의 쓰기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구자 학급의 학생 중 쓰기 부진 학생 5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그리기를 통한 내용 생성 전략을 활용해 생활문 쓰기를 지도하였다. 전략 활용 전의 학습지에서는 내용 생성을 위한 몇 가지 물음을 제시하여 이에 답하도록 한 후 글을 쓰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략 활용 이후의 학습지에서는 떠오르는 생각을 몇 개의 장면으로 나누어 그릴 수 있도록 그림 칸을 제시하여 그림을 그린 후 글을 쓰도록 하였다. 전략 활용 전 5편의 글과 전략 활용 이후 6편의 글에 나타난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쓰기 결과에서의 변화를 살펴보면 그리기를 통한 내용 생성 전략은 글의 분량 증가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문단 나누기를 통한 글 조직의 발전에도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실감나는 표현이나 생각이나 느낌 표현의 증가를 통한 글 내용의 상세화에도 도움이 되었다. 쓰기 과정에서의 변화를 살펴보면 그리기를 통한 내용 생성 전략은 쓰기 부진 학생들의 쓰기 중 집중력과 사고 활동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쓰기 부진 학생들의 글 완성에 대한 의지 향상에도 도움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쓰기 태도에서의 변화를 살펴보면 그리기를 통한 내용 생성 전략은 쓰기 부진 학생의 쓰기에 대한 흥미도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쓰기 부진 학생의 자신감 변화에도 약간의 도움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정리해 보면, 쓰기 중 집중력 향상, 쓰기 중 사고 활동 향상, 글을 완성하고자 하는 의지 향상과 같은 쓰기 과정에서의 변화가 쓰기 결과의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쓰기 태도에서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미약하게 드러났는데 쓰기에 대한 흥미나 자신감과 같은 쓰기 태도는 몇 번의 전략 활용만으로 쉽게 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쓰기 부진 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태도 변화, 즉 흥미나 자신감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에게 적합한 방법과 전략을 구체적으로 설계해 장기간 지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는 그리기와 쓰기를 관련지음으로써 쓰기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고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쓰기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한 이후의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tent generating writing strategy assisted by drawing for writing underachiever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content generating writing strategy through drawing for the writing outcome of writing underachiever?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content generating writing strategy through drawing for the writing process of writing underachiever? Third, what is the effect of content generating writing strategy through drawing for the writing attitude of writing underachiever? For this study, five underachieving students were selected out of the researcher's writing class. They were instructed to write experiential essays through content generating writing strategy through drawing. Before applying this strategy,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by answering a few questions for content generating. While applying this strategy,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by drawing their ideas paragraph by paragraph. The results of five experiential essays from before applying this strategy and six essays from after applying this strategy were analyzed in three aspects. The changes in writing outcome were as follows. First,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writing has been observed after applying content generating writing strategy through drawing. Second, writing construction by paragraphing has been improved by content generating writing strategy through drawing. Third, details of writing content were improved by realistic expressions and increasing in expressions of their thoughts. The changes in writing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concentration span and thinking ability were improved by content generating writing strategy through drawing. Second, students' willingness to finish their writing was also improved. The changes in attitude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est of students for writing was improved, compared to before. Second, there were positiv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confidence towards writing.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writing ability and students' willingness to finish their writing influenced the positive changes of writing outcome.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change in attitude was observed because a few times applying of writing strategy did not work efficiently. Accordingly, customized methodology and strategy for the changes of writing underachievers' attitude should be applied in longer period setting. this study will go towards further research by suggesting the relation between writing and drawing to promote students' interests.

      • 무인패션점포 수용의도 :점포 속성 및 소비자 기술준비도를 중심으로

        박소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proliferation of the ‘Untact’ culture (non-face-to-face society)’, advanced technologies has accelerated the cashierless systems in the retail environment. Similar to rapid popularization of automated convenience stores, the growth of cashierless fashion stores such as Amazon Style or Lab 101 are expected. However, due to the relatively short history of cashierless store, there is a lack of relevant studies to investigate consumer behavior in the fashion retail contex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influences consumers’ acceptance of cashierless fashion stores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Theory (TAM2). First, i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cashierless fashion stores. Second, it examines the hypothesized model including two external factors (ie., store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technology readines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and intention to accept cashierless fashion stores. Third, it compare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store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technology readiness. This study employ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wo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y hiring a professional survey company. The subjects wer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experienced cashierless stores for the past year. A total of 203 data from the preliminary survey were used to purify survey measurements. In the main study, data of 423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to test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a principal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one-way ANOVA, and descriptive analysis by using SPSS 27.0. The result is as below. First, 10 attributes of cashierless fashion stores were identified: products, prices, services, promotion, atmosphere, accessibility, convenience, entertainment, reliability, and security. Second, three characteristics of store such as sales promotion, convenience, and reliabi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easiness to use the store, while service did a negative impact. Product, price, convenience, entertainment,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also positively influenced perceived usefulness of cashierless fashion store, whereas service did negativel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echnology readines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optimism, innovativeness, discomfort, and insecurity. Three of them (ie., optimism, innovativeness, and discomfort) had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ease, while insecurity had not a significant impact. Only optimism affected perceived ease. Forth, both perceived ease and useful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accept cashierless fashion store. Fifth, comparing the means of perceived store characteristics across three groups, ANOVA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ine attribute except product characteristic. Groups with higher technology readiness evaluated price, sales promotion, atmosphere, accessibility, convenience, entertainment, reliability, and security of cashierless fashion stores highly. But groups with lower technology readiness evaluated service of cashierless fashion stores highly. This study identified the attributes of cashierless fashion stores and confirmed the influences consumers' acceptance intentions using the concept of technology readiness. And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research on the cashierless fashion stores with a variety of advanced technologies. It also, it provides companies planning cashierless fashion stores with attributes to consider, and suggests that consumers’ technology readiness should be reflected whe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최근 새로운 첨단기술들의 등장과 언택트 문화 확산이 맞물려 무인 시스템의 도입이 빠른 속도로 소매환경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무인 점포의 수 또한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제는 쉽게 접할 수 있는 무인 편의점을 비롯하여 무인카페, 무인 전자기기 판매점, 무인 문구점과 같은 다양한 카테고리의 무인화가 대중화되었으며 이는 패션 업계에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성장세를 따라가기에는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변화하는 리테일 환경에 맞추어 무인패션점포의 특성을 이해하고 소비자가 첨단기술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무인패션점포의 특성을 알아보고 점포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향후 무인패션점포의 발전 방향을 찾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무인점포를 물리적 매장의 입장부터 결제까지 소비자와 직원의 대면접촉 없이 소비자 스스로 매장 내의 첨단기기와 시스템을 이용하는 점포로 정의하고, 첨단기술 수용을 설명하는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본 기술수용모델의 외부 영향요인을 선행요인으로 추가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온라인, 오프라인, 무인 점포 속성을 기초로 무인패션점포의 속성을 도출하고, 개인의 특성인 기술준비도의 수준을 나누어 이들이 지각하는 점포 속성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에 적용하여 연구가설과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증적 탐색을 위해 서베이 전문 기관을 통해 두 차례에 걸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자는 최근 1년간 무인점포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2-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시된 무인패션점포의 설명문을 읽고 5점 척도의 자기기입식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예비조사는 2022년 3월 15일부터 3월 17일까지 3일간 실시되어 총 203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무인패션점포 속성에 대한 문항을 축소하였다. 이를 통해 수정·보완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3월 25일부터 3월 29일까지 5일간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33부를 수집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2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 다중회귀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출된 무인패션점포 속성은 총 열 가지로 상품, 가격, 서비스, 판매촉진, 분위기, 접근성, 편리성, 오락성, 신뢰성, 보안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인패션점포 속성과 지각된 용이성 유용성에 대한 관계를 살펴본 결과 판매촉진, 편리성, 신뢰성 속성이 높을수록 점포를 이용하기에 쉽다고 지각했으며, 상품, 가격, 편리성, 오락성, 신뢰성 속성이 높을수록 점포가 소비자의 쇼핑에 도움이 된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비스 요인이 높을수록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준비도는 낙관성, 혁신성, 불편감, 불안감의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며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으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낙관성. 혁신성, 불편감은 지각된 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낙관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의 기술준비도 수준에 따른 무인패션점포 속성 지각에 대해 확인하기 위하여 소비자를 기술준비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소비자의 기술준비도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무인패션점포 속성에서 가격, 판매촉진, 분위기, 접근성, 편리성, 오락성, 신뢰성, 보안성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술준비도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서비스 속성이 유의적으로 낮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인패션점포의 속성을 밝혀내고 소비자의 특성인 기술준비도 개념을 이용하여 무인패션점포의 수용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므로, 향후 첨단기술이 다양하게 접목된 무인패션점포에 연구를 위해 본 연구가 기반을 제공하였다. 또한, 무인패션점포를 계획하고 있는 기업에게는 소비자가 경험할 무인패션점포의 환경,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단계부터 고려해야 할 속성이 무엇인지를 제공하였으며, 마케팅 전략 수립 시 소비자의 기술준비도를 반영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기술준비도 수준에 기초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차별화 전략을 시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피아노 프로그램 개발

        박소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피아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에 어떻게 음악교육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피아노 교육의 장점 및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적 능력 향상, 감수성, 창의성, 협동적 학습 능력 신장을 목적으로 피아노 교육에 적용해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적용될 수 있는 ‘The Piano’, ‘피아노, 이야기 음악 만들기’ 두 개의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프로젝트 접근법 수업모형의 1단계(주제결정 및 프로젝트 계획하기), 2단계(탐구 및 표현하기), 3단계(발표 및 평가하기)에 교사 준비 단계를 추가하여 구성되었다. 첫째, ‘The Piano’ 프로젝트 피아노 프로그램에서는 피아노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 피아노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활동을 통해 학습하도록 하였다. 피아노를 주요 수업 도구로 사용하여 학생들이 시대별 작곡가와 곡을 직접 조사하고 알아가는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 피아노와 음악에 대해 이론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해영역에 비중을 두었다. 또한 감상, 악곡 창작, 연주 수업 등 통합적인 음악 활동을 통해 피아노를 즐길 수 있고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피아노, 이야기 음악 만들기’ 프로젝트 피아노 프로그램에서는 피아노가 넓은 음역과 다양한 음색 등을 구현하는 완전한 악기로 음악적 표현의 폭이 넓다는 장점을 활용하였다. 이야기를 하나의 곡으로 창작하여 피아노와 타악기로 연주함으로써 창작과 연주 활동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프로젝트 피아노 프로그램 개발을 함으로써 기존의 실기 능력 향상만을 위한 획일화된 실기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피아노 교육을 비롯해 폭넓은 ‘음악 하기’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과 학생들의 음악성과 감수성, 창의성, 협동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국 문 요 약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피아노 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피아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에 어떻게 음악교육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피아노 교육의 장점 및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적 능력 향상, 감수성, 창의성, 협동적 학습 능력 신장을 목적으로 피아노 교육에 적용해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적용될 수 있는 ‘The Piano’, ‘피아노, 이야기 음악 만들기’ 두 개의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프로젝트 접근법 수업모형의 1단계(주제결정 및 프로젝트 계획하기), 2단계(탐구 및 표현하기), 3단계(발표 및 평가하기)에 교사 준비 단계를 추가하여 구성되었다. 첫째, ‘The Piano’ 프로젝트 피아노 프로그램에서는 피아노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 피아노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활동을 통해 학습하도록 하였다. 피아노를 주요 수업 도구로 사용하여 학생들이 시대별 작곡가와 곡을 직접 조사하고 알아가는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 피아노와 음악에 대해 이론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해영역에 비중을 두었다. 또한 감상, 악곡 창작, 연주 수업 등 통합적인 음악 활동을 통해 피아노를 즐길 수 있고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피아노, 이야기 음악 만들기’ 프로젝트 피아노 프로그램에서는 피아노가 넓은 음역과 다양한 음색 등을 구현하는 완전한 악기로 음악적 표현의 폭이 넓다는 장점을 활용하였다. 이야기를 하나의 곡으로 창작하여 피아노와 타악기로 연주함으로써 창작과 연주 활동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프로젝트 피아노 프로그램 개발을 함으로써 기존의 실기 능력 향상만을 위한 획일화된 실기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피아노 교육을 비롯해 폭넓은 ‘음악 하기’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과 학생들의 음악성과 감수성, 창의성, 협동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국 문 요 약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피아노 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피아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적 체험활동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에 어떻게 음악교육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피아노 교육의 장점 및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적 능력 향상, 감수성, 창의성, 협동적 학습 능력 신장을 목적으로 피아노 교육에 적용해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적용될 수 있는 ‘The Piano’, ‘피아노, 이야기 음악 만들기’ 두 개의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젝트 프로그램은 프로젝트 접근법 수업모형의 1단계(주제결정 및 프로젝트 계획하기), 2단계(탐구 및 표현하기), 3단계(발표 및 평가하기)에 교사 준비 단계를 추가하여 구성되었다. 첫째, ‘The Piano’ 프로젝트 피아노 프로그램에서는 피아노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 피아노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활동을 통해 학습하도록 하였다. 피아노를 주요 수업 도구로 사용하여 학생들이 시대별 작곡가와 곡을 직접 조사하고 알아가는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 피아노와 음악에 대해 이론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해영역에 비중을 두었다. 또한 감상, 악곡 창작, 연주 수업 등 통합적인 음악 활동을 통해 피아노를 즐길 수 있고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피아노, 이야기 음악 만들기’ 프로젝트 피아노 프로그램에서는 피아노가 넓은 음역과 다양한 음색 등을 구현하는 완전한 악기로 음악적 표현의 폭이 넓다는 장점을 활용하였다. 이야기를 하나의 곡으로 창작하여 피아노와 타악기로 연주함으로써 창작과 연주 활동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프로젝트 피아노 프로그램 개발을 함으로써 기존의 실기 능력 향상만을 위한 획일화된 실기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피아노 교육을 비롯해 폭넓은 ‘음악 하기’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과 학생들의 음악성과 감수성, 창의성, 협동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 댄스스포츠파티 참가자의 자극추구성향과 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박소윤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파티 참여자의 자극 추구 성향 요인과 몰입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댄스스포츠 파티의 가치를 이해하고 댄스파티문화 조성을 위한 댄스스포츠 파티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2년 서울·경기지역의 댄스스포츠 파티 참가자를 모집단으로 비확률표집법 중 편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파티 참가자들에게 협조를 구한 다음 조사목적 및 응답 시 유의사항을 설명한 후 자기 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210부 였으나, 자료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10부의 자료를 제외한 200부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ver.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문항에 대한 타당도 검정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Cronbach's ? 계수를 구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 실행에 있어 주성분분석법을 이용하여 직각회전방법 중 varimax방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설검정은 변수들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다중비교를 위하여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관계분석을 위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극추구성향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 참여시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에서는 참여시간에 따라서, 행복감은 연령과 교육정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극추구성향은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몰입은 만족감, 자기수용, 긍정적 행복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행복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미술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수업 실태 조사 연구

        박소윤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미술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수업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을 밝히고, 효율적인 미술과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제1장 서론에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문제 및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위해 1997년부터 2003년 10월까지 발표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회 논문집에 실린 논문을 수집하여 미술교과 교육에 관한 연구분포도를 파악하고 연구 주제별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태 조사를 위하여 서울지역 7개 초등학교의 초등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가용 설문지 200부를 연구 자료로 분석하였고 결과는 백분율로 산출하여 도표와 서술로 제시하였다. 제5장 결론에서 연구의 전반적인 결과를 요약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은 학습의 내용, 순서, 비중, 방법 등이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 학교, 학년, 학급 등의 특성과 실정에 맞추어 학교와 교사의 재구성이 요구된다. 둘째, 1997년부터 2003년까지 발표된 논문들이 미술 지도 방법과 미술 교육론에 치중되어 있으며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미비함을 미루어 보아,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인식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셋째, 학습 내용의 계획과 현장 학습의 계획 등 교육과정 운영 계획의 수립 시에는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넷째,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미적 체험·표현·감상 활동의 유기적인 학습을 강조하고 있지만, 교사의 인식 정도가 낮기 때문에 미적 체험과 감상 활동의 필수 학습 요소의 지도가 부실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업 운영 전반적인 계획이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다섯째, 교과서는 수업 지도자료로써 도판의 수준과 내용에 만족하고 있으며 활용도도 높은 편이나 자료의 양이 부족하다. 여섯째, 학교 환경과 수업 환경이 대체적으로 열악하며 효과적인 미술 수업을 위한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사의 자질 향상을 위하여 미술과 연수 기회의 확대와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다양한 형태의 2종 교과서 개발 체제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실화와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다섯째, 미술과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미술과 교과 전담 교사 제도가 법제화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교 관리자와 교사의 미적 안목을 향상시키는 개인적 노력과 미술 교육적인 마인드를 가지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normalization of curriculum from researching and analyzing of recognition and teaching lessons actual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the 7th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In Chapter 1 Introduction, it introduced the necessity and the objective of study, research subject and the method of research. In Chapter 2, it considered the literature related to understand the 7th Art Curricula. In Chapter 3, it collected and analyzed master degree dissertations, doctorate dissertations, dissertations announced in the journal of academy and society from 1997 till 2003 to inquire into preceding research. In Chapter 4, it carried out and analyzed the question investigation to 2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Seoul area to research into recognition and teaching lessons actual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the 7th Art Curricula. And it presents the result of percentage. In Chapter 5, it summarized general result of this study and made proposal. As a result of this study is: First, in dissertations announced from 1997 to 2003, special emphasis is attached to the method of art guidance and art education. And these dissertations are insufficient for research into the 7th Art Curricula. From this point of view, interest and recognition of new curricula is in low level. Second, In setting up the plan of curricula operation like studying contents and field study, the 7th Art Curricula is substantially reflected. Third, the 7th Art Curricula puts stress on the organic study of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But due to the low level of teachers' recognition, the general plan of teaching lessons operation is centered into expression action, and guidance in essential studying elements of a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action gets incomplete. Fourth, practical use of textbook is substantial, and the level and contents of illustration is satisfactory but amount of data is insufficient. Fifth, environment of schools and lessons is inferior and environment improvement is needed for effective teaching lessons of art.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t suggests followings: First, for the advancement of teacher's quality, increase in opportunities of study and training for art and diversification of programs of study and training should be attained. Second, the change to development system of various forms of the second-class text book is needed. Thir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chool should be improved to enrich art curricula and enlarge efficiency. Fifth, the system of teacher of exclusive responsibility for art should be legislated to qualitatively improve teaching lessons of art Sixth, individual efforts to elevate aesthetic eye of school manager and teacher and efforts to have a mind of art education shall be persistently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