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존재의 집'을 찾아가는 미술치료사의 자전적 탐구

        문명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탐구는 연구자의 자전적 경험이 담긴 존재론적 탐구이다. 생의 전환기에 고택 ‘고원재’를 만나게 되었고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다시 봄의 시간을 통과하면서 그 공간을 완성해가는 과정을 거친 연구자는 그 과정이 ‘존재의 집’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탐구했다. 탐구는 세상에 순응하며 사회가 요구하는 기대 수준에 맞추어 충실하게 삶을 살아온 연구자가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존재 물음을 던지고 이를 해명하기 위해 존재론적 탐구 방법론으로 진행되었다. 이 탐구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고원재’에서 집을 수리하고 마당을 정리해가는 과정에서 생겨난 사건과 감정을 메모하고, 사진으로 기록해서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아울러, 2019년 3월부터 12월까지 학교 미술치료 현장의 기록 중 일부와 2018년 5월부터 2020년 5월까지 U시의 ○○센터 미술치료사 워크숍에서 작업한 연구자의 미술 작품 중 일부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자의 삶과 존재 양상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도록 연구자가 대학원에 진학하기 전에 작업한 작품과 사진, 개인 저널 등에서도 자료를 수집하였다. 존재의 집을 찾아가는 여정은 두 개의 장면으로 구성했다. 첫 장면인 ‘고원재의 사계’에서는 계절을 관통하며 생성된, 집과 자연과 일상 속에서의 체험을 탐구를 위해 전개하였다. 두 번째 장면인 ‘내 마음의 고원재’는 외면의 삶과 내면의 삶 사이의 연결고리로서의 그림들과 탐구의 이론적 배경이 된 분석심리학에 관한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그 결과로 고원재에서의 일상이 삶에 대한 시각을 바꾸고 의식을 변화시켜 저항을 멈추고 세상 밖으로 시선을 돌리게 했다. 자연을 몸으로 체험하고 마음의 눈으로 바라봄으로써 자연이 사람을 치유하고 안정시키며 마침내 정화시킨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내면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그림과의 대화를 통하여 자신을 온전히 만날 수 있었다. 연구자는 탐구를 통해, 존재의 집을 찾아가는 여정이 모성의 품속과 같이 포근하고 따뜻한 공간으로 들어가서 삶의 새로운 의미를 찾아가는 모성 회귀의 체험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아울러, 본 탐구의 종착은 내적인 성장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도전이나 고통스러운 요구들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여정이라는 점도 깨닫게 된다. 이로써 연구자가 스스로 치유되는 경험을 통해 삶의 존재론적인 함의를 밝힌다. ‘존재의 집’을 찾아가는 여정은 자신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존재와 조화를 이루며 삶을 온전히 사는 것이다.

      • 책임감 있는 환경 행동의 향상을 위한 학교 환경 감사 활동의 평가

        문명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ltimate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shaping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REB). By Hines model(1986, 1987), REB is promoted by 'an intention to act' in combination with six predictors, e.g., cognitive knowledge, cognitive skills, and personality factors.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promotion in three predictor variables that contributed to REB after School Environmental Auditing. Three predictor variables are as follows; Skill in using environmental action strategies, Attitudes toward taking environmental action, Individual Locus of Control. Also, School Environmental Auditing was based on EPS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models, especially Robottom model. Robottom claimed that environmental problem was idiosyncratic and one could not predict how to solve the problem before practical activity. In that case, teacher collaborated with students on the process and situation.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proposed as follows; (a) To what degree does School Environmental Auditing promote 'Skill in using environmental action strategies'? (b) To what degree does School Environmental Auditing promote 'Attitudes toward taking environmental action'? (c) To what degree does School Environmental Auditing promote 'Individual Locus of Control'? Sample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and surveyed as follows; 32 students selected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had experienced School Environmental Auditing for 8 weeks. And then, they responded the survey consisting of 32 items. Data analysis was used SAS program such as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 The improvement of Skill in using environmental action strateg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1. But, all of high/low knowledge group, male/female group and between-group differ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5. (b) The improvement of Attitudes toward taking environmental 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1. But, all of high/low knowledge group, male/female group and between-group differ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5. (c)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Locus of 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1. But, all of high/low knowledge group, male/female group and between-group differ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5. And, four-category measures of ILOC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5. But, by Duncan-test, Economic Action in Group III(mean score 2.06) was promoted more than other categories[Physical action(mean score 1.12), Educational action(mean score 1.12), Persuasion action(mean score 1.25)].

      • 한국부모와 중국거주 한국 및 일본부모의 다문화교육과 양육실제에 대한 인식

        문명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양육실제를 알아 볼 뿐만 아니라 실제 중국거주 한국 부모와 일본부모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양육실제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의 한국부모와 중국 광저우의 한국부모 및 일본부모 각각 207명, 116명, 67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양육실제를 측정하기 위해 정선희(1997), 하숙현(2000), 이미혜(2004)가 사용한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Two-way ANOVA(이원분산분석)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거주 부모와 중국거주 한국부모 및 일본부모는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한국거주 부모와 중국거주 일본부모는 ‘인간은 인종이나 성,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두 평등함을 알게 해 주므로’, 중국거주 한국부모는 ‘국제화시대에 필요한 융통성과 개방성 있는 유능한 인재 양성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한국어머니의 한국거주와 중국거주, 취업유무, 학력에 따라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문항의 ‘성역할’, 문화적 차이와 유사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한국거주, 취업모, 4년대학 이상일수록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인식에 비하여 실제에서는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중국거주 한국어머니와 일본어머니는 다문화 교육 목표에서는 하위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양육실제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위영역인 ‘성역할’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력에 따른 부모의 생각에서 4년대학 이상에서 한국어머니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실제에서 하위문항인 ‘성역할’과 ‘문화적 차이와 유사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바람직한 양육실제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로는 다문화 교육의 지도시 어려운 점으로 지적했던 ‘사회 전반적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나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몰라서’, ‘가정 내의 자료가 부족하여’ 가 그 이유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arenting among Korean Parents in Korea, Korean and Japanese Parents in Chin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7 kindergarten parents in Seoul, 116 kidergarten Korean parents and 67 kindergarten Japanese parents in Guangzhou, China. In this research, Chung Sun Hee(1997)'s, Ha Sook Hyun(2000)'s, and Lee MI Hye(2004)'s questionare, which is modified and improved after preliminary research was used to measure parents' perception and practic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2.0 program.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in order to compare their views and educational practic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test, and Two-way ANOVA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Korean parents, Korean and Japanese parents living in China indicated the necessity of multinational education. Korean parents and Japanese parents in China responded that it would be helpful for children to know equalitarianism regardless of sex, nation, race, and social status. Meanwhile, Korean parents living in China thought that it would give children many benefits for them to be trained as an open-mind and flexible person responding to globaliz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bout Korean parents, there manifest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Korean parents in Korea and Korean parents in China, employed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childcare practice, but in sub-items 'gender',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represented meaningful differences. It seems that Korean parents in Korea, office workers, better educated were more likely to recognize it, but practice did not appear enough. Third, Korean and Japanese Parents in China in the obj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item.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rea of practice, there were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roles. In addition, from the view of the parents leveled with various academic degree, there was of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high-leveled korean parents. In sub-items 'gender',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manifested remarkable differences. Fourth, the reasons that desirable practice doesn't come to reality are like this: 'less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or 'no idea of how to teach efficiently ', 'the lack of reference material at home' These were also indicated as difficult points while teaching multicultural education.

      •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율성과 발표불안에 미치는 효과

        문명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율성과 발표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실요법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아동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율성 수준이 신장될 것이며 현실요법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아동은 통제집단에 비해 발표불안 수준이 감소할 것이라는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전후검사 통제군 설계(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이다. 연구의 대상은 전주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아동 30명으로 하였으며 각각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초등학생의 언어적, 정서적, 인지적 수준에 맞게 다시 재구성한 것이다. 자율성 검사는 여러 이론을 바탕으로 추출한 자율적 행동의 평가요인과 이성태(1991)가 개발한 자율성 검사에 기초해서 초등학교 아동들의 자율적 행동을 측정할 목적으로 겸경희(2002)가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고, 발표불안 검사는 이경아(2000)의 연구에서 사용한 한국판 불안 척도를 김영희(2003)가 초등학생들의 어휘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1주일에 2회씩 총 10회기를 매회당 50분씩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게는 사전·사후검사이외에 어떠한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사전검사에 의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사후검사의 결과를 SPSS WIN(12.0)에 의해 자료를 처리, 분석하여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투입한 실험 집단의 자주적인 의사결정과 주장적인 자기표현, 자조적인 행동이행, 성찰적인 자기평가 영역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고, 전체 자율성 점수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투입한 실험집단의 발표불안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낮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율성을 신장시키고, 발표불안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율성과 발표불안은 학교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자율성을 신장시키고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applied the reality therapy on the autonomy and the public speaking anxiety of children. The experimental design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30 fifth-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Jeonju.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N=15) and the control group(N=15). This program was reformed based on the established experiments for children's linguistic, emotional and cognitive level. The whole children group were divided up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pre-test. Then I applied the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over total 10 times ; twice a week and 50 minutes at a time. The control group was give on treatment except a series of tests such as pre-post test. Manipulation and analysis of data was used by computer, using SPSS WIN(12.0), and the F-test was applied to the test of each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 ;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Reality Therapy had higher autonomy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Reality Therapy had lower public speaking anxiety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Applied the Reality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the autonomy of children and the decrease of the public speaking anxiety. The autonomy and the public speaking anxiety of children are able to change positively by intended training and education.

      • 궁중정재 오양선의 춤사위 변천 역사연구

        문명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dance motion's changing history of the Court Jeongjae Oyangsun Moon, myoung hee The department of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Sun, Choi The Court Jeongjae is songs and dances conducted by professional player in court. In other words, it means to render a service to royal family and is used by several broad meaning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was used comprehensively for all of several people of high talents. The Court dance was for plays of the royal family and used by meaning of 'some accomplishments are showed for a noble personage‘ Also, it also was used for the meanings of ‘devote to the King.’ ‘dedicate with artistic talent’, etc. After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which was started by royal authority politics with a dance confronted by folk dance, it was danced as a dance of celebration such as national festival, ceremony, court's rite, etc.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Jungjae was studied focusing on Oyangsun which is Dangak Jungjae passed down in historic change of Oyangsun, periodical history and Oyangsun of the court dance were sought to be understood easily and immanent aspect of historic background or dance motion's change were examined. - Dancing members : Dancing members are included by 1 main dancer and 4 cooperating dancers and it was not changed from Koryo Dynasty to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Except for dancing members, there were 18 people of Koryosaakji, 2 people of Akhakgwebeom and 2 people of Jeongjaemudoholgi and it was reduced in comparison with Koryosaakji. There was no change for dancing members but if dancing structure focusing on left/right cooperating dance was appeared newly and dance focusing on main dancer was started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it was changed to focus on cooperating dance and started. - Music : Music shows much bigger change than dance for Oyangsun. If comparing and analyzing Koryosaakji and Akhakgwebeom, both of them don't have a change as the music of Oungaeseo Joinja, for the part of introduction. But, only Manyubchidoryung in Koryosaakji of connecting part, Manyubchiyodoro Choijaryung in Akhakgwebeom for Choija and Jungkangryung in Akhakgwebeom were not used. And in Koryosaakji, the music of Jungkang and Jungkangryung was played more and Pajaryung was changed to Paja in Akhakgwebeom. In the closing section, Koryosaakji was finished with Jungkangryung but Akhakgwebeom was finished with Oungaesoejoinja and Oungaseojo. If examining the music of Jeongjaemudoholgi, it was much affected by Hyangak Jungjae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so the music of Hyangdangkyoju and Chungphyungakjigok were used so both Dangak Jungjae and Hyangak Jungjae were changed creatively without any classification between them. - Clothes : From late Koryo to early Joseon, clothes of Oyangsun was only red and if examining the clothes form of current Oyangsun, main dancer and cooperating dancers wear different colored clothes one another by seeing the picture of current Oyangsun. Those clothes can be estimated to be changed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as an expression of Korean dance's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Although there was no study in Muheon-bigo but we can know the expression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In addition, we also can know that they wore clothes of blue, red, navy, white and black and it showed five directions by blue for east, red for south, white for west, black for north and yellow for center. Therefore, we can estimate that Oyangsun gave each safeguard meanings similar to Cheoyongmu, people wore clothes of blue, red, navy, white and black and form of clothes and five colors were changed by their directions after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 Dance : Dance motions passed down from Koryo to late Joseon are Yomsujokdo and Jokdo. On the other hand, the motions created newly and disappeared in early Joseon Dynasty are Kaengryum, Geosoo, Kwangryum, Yomsoo, Moojak, Sasumu, Seosu, Oyangsunmu, Oiseo, Chumryum, Pajamu and Palsumu. And motions used newly in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are Bunsu, Susuimoo and Ilbuliljeonimu. - Changsa : Words or Changsa blessing the King were changed in periodical changing's process but content and meaning of Changsa were not changed. Byukyunlonghyosa of Koryosaakji was used by the names of Mijeonsa and Mihusa in Akhakgwebeom. And Pyomyosamsansa was changed to Pajasa. - Stage : There was a stage in『Akhakgwebeom』but 『Koryosaakji』『Jeongjaemudoholgi』were progressed without any stage. And the motion of 18 honor guards was disappeared. Finally, Oyangsun which is the Court Jungjae, our own cultural art, has to be studied continuously for developing to international culture. And we must to make an effort to reform Oyangsun of the Court Jungjae as a performing art and to popularize the Court Jungjae continuously, by revitalization of performing art.

      • 방사성 폐기물 처리과정과 참여자의 갈등구조 분석 : 서울시 노원구 사례를 중심으로

        문명희 세종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방사성 폐기물 처리과정과 참여자의 갈등구조 분석 - 서울시 노원구 사례를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가 행정업무를 처리하면서 겪을 수 있는 갈등은 그 갈등을 초래한 원인과 관여한 참여자들의 성격과 구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처리 목적은 같을 수 있지만 구체적인 해소 방안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온실가스배출권거래제’와 같은 환경정책의 도입이나 ‘노원·목동·강남 쓰레기소작장’ 같은 비선호시설의 입지에서 보여지는 갈등의 연구는 갈등의 이슈가 참여자가 미리 입장과 역할을 예측할 수 있고, 대처 전략이 경험적으로 수립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노원구에서 발생한 방사능 오염 아스팔트 사건은 환경정책의 도입이나 비선호시설의 입지와는 다른 문제임이며 정책도입이나 사업이 아닌 돌발 사건이므로, 이 사건 참여자간의 이해관계는 갈등 구조가 미리 예견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사건의 발생이 미치는 환경적, 재산상 피해에 대한 심각성 여부도 논란이 있었으며, 가시적인 피해규모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방사성 폐기물과 관련한 환경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참여자 모두 문제의 본질성(건강, 생명의 위협 등)을 공감하였을지라도, 폐기물의 처리과정은 비선호시설의 입지선정 과정과는 다른 갈등 양상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노원구방사성폐기물사건’은 2011년 3월 발생한 후꾸시마 원전사태로 우리나라에서도 방사능 위험성에 대한 문제가 국민적 관심사이던 시점에서 발생한 것으로, 여느 환경문제 보다 큰 이슈로 다가왔으며 이 사건에 관계된 참여자들의 갈등의 깊이가 깊고 기간도 길게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원구방사성폐기물’ 사건을 대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으로 참여자들의 ‘협력’과 ‘갈등’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적인 사건의 처리과정에 있어서, 원활한 사건해결에 이르기 위한 바람직한 갈등해소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사건에 관여한 주요 참여자를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중앙정부·기관, 지방정부, 정당, 정치인, 시민사회·환경단체, 지역주민, 언론 등 6개 그룹으로 선정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은 UCINET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사성 폐기물 발생이 ‘환경문제’로서의 관심도가 다양한 참여자에게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행정처리’ 과정에서의 관심도는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정치적 입장, 지역이기주의 입장에 따라 달랐다. 째, 발생자 처리원칙만 있는 입법부재에서 온 책임소재와 비용부담문제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갈등이 심하게 나타났다. 셋째, 방사성이라는 ‘환경문제’이며 돌발적 재난임에도 처리과정에서 지역정치인들의 정치논리가 작용해 심한 갈등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었다. 넷째, 지역주민 또한 기술적 합리적 판단에 입각한 관계라기보다는 지역이기주의에 입각한 갈등 네크워크를 구성하고 처리과정에 대응하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논문에서는 향후 이러한 유사사례 발생 시 시행착오를 줄이고 갈등을 해소 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갈등조정기구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매뉴얼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음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문명희 서울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어떠한가? 1-1.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적과 목표는 무 엇인가? 1-2.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1-3.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떠 한가? 연구문제 2.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어떠 한가? 2-1.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인성의 가치측면 과 덕목측면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반 응과 흥미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인 프로그램 구성은 문헌연구, 교사인터뷰, 장자우화 선정 및 재구성을 토대로 전문가 협의를 거쳐 시안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장자사상을 내면적 자기완성과 인간관계 자기완성으로 분석하고 비움과 기다림을 시사 하는 자유로운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구성하였다. 예비연구로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과 타당도를 검증한 후,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연구문제 2인 프로그램의 현장적용과 효과검증을 위해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유치원의 실험집단 만 5세반 유아 26명, 비교집단 20명이고 각 집단 담임교사이다. 연구절차는 예비 연구, 검사자 훈련, 교사 교육, 사전 검사, 실험 처치, 사후 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양적연구를 위한 검사 도구는 가치인성검사와 덕목인성검사이다. 프로그램 적용은 2019년 8월 26일부터 2019년 10월 4일까지 총 6주 동안 매주 1-3회씩 총 12회가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은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은 생활주제를 통한 일반적인 인성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서 인성검사는 SPSS 21.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신뢰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는 유아와 교사의 반응과 흥미도를 사례분석과 포스트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참여관찰, 현장 노트 기록과 교사와의 면담, 유아 반응, 녹화분석, 포트폴리오 등으로 교육활동 전, 교육전개과정, 교육활동 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프로그램을 구성한 결과, 프로그램의 목적은 장자사상의 핵심인 내면적 자기완성으로서의 도와 인간관계 자기완성으로서의 도를 중심으로 하는 자기중심적 이기주의를 극복하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사람으로 성장하고 비움과 기다림을 통해 자유로운 삶을 실현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①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존재로 느끼고 평가하는 능력 함양 ②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와 배려, 존중하는 능력 함양 ③ 개개인의 타고난 자연적 성향을 존중하고 자율적이고 융통성 있게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함양 ④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극복하고 다른 사람에 대한 관용과 포용성 함양 ⑤ 공평하고 평등한 공동체 의식 함양이다.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장자우화 ‘곤과 붕 이야기’와 ‘애태타 이야기’의 재구성 내용이며 관련 통합 활동이다. 교육내용 요소는 가치와 덕목이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의 교수전개방법은 ① 문학적 작품 소개 중심 ② 교수매체와 방법의 자율적 선택 ③ 다양한 표현활동 유도 ④ 유아 주도적 교육전개 ⑤ 놀이중심 전개 ⑥ 유아의 상상력 자극과 격려 ⑦ 비움과 기다림의 자유로운 방식 지향이다. 교수전략은 표현, 언어, 조작, 게임, 미술활동 등이고 교수자료는 곤과 붕이야기 그림자극, 애태타 이야기 박 바가지탈 전통 인형극, 테이블동화, 우화음원 등이다. 둘째, 연구문제 2의 프로그램이 유아 인성의 가치측면과 덕목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양적 분석한 결과,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인성의 가치와 덕목측면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적 연구 결과로서 유아와 교사의 반응과 흥미도를 살펴본 결과, 교육전개는 12차시 활동을 수행한 결과,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장애에 대한 이해로 나타났다. 다양성에 대한 존중은 스스로 변해가는 존재에 대한 강한 흥미, 몸의 훈련을 통한 자유로움 느끼기, 동식물에 대한 폭넓은 시각으로 바라보기, 자연과 사람간의 조화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고 장애에 대한 이해는 장애를 가진 친구에 관심가지기, 장애를 몸으로 체험하기, 장애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장애친구를 도와주는 방안 생각하기로 심화해 나갔다. 교육활동 후, 유아들은 새로운 우화나 극 활동에 대한 기대를 드러내었고 교실 전체에서 실천해나가는 방안들을 생각하는 것으로 확장해 나감으로서 유아에게 매우 흥미 있고 발달수준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반응과 흥미는 프로그램 초창기에 어려움을 나타냈으나, 점차 장자사상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혀졌으며 장자우화에 기초한 프로그램에 매우 관심을 보이고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에 의하면‘곤과 붕이야기’는 교실과 바깥에서 동식물을 소중히 아끼고 보호하는 인성교육의 지침으로 연계될 수 있고 ‘애태타 이야기’는 장애체험활동을 통해 불편함을 이해하고 이들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즉 교사와 유아의 반응을 종합해보면,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발달수준에도 적합하며 교사와 유아에게 매우 가치 있고 활용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장자우화에 기반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은 교실 전체에서 유아인성교육을 실천하기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Zhuang Zi Fable and verify its effect.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i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Zhuang Zi Fable based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1-1. What are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goals of the Zhuang Zi Fable based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1-2. What is the content of the Zhuang Zi Fable based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1-3. What i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he Zhuang Zi Fable based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2. What is the effect of applying the Zhuang Zi Fable based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Zhuang Zi Fable? 2-1. What are the effects of the Zhuang Zi Fable based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n the value and virtue aspects of early childhood personality? 2-2. What is the reactions and interest of the Zhuang Zi Fable based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research question 1, the program was organiz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teacher interview, sel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Zhuang Zi Fable. The program analyzes the idea of the Zhuang Zi as internal self-completion and relationship self-completion, and constructs it in terms of free education that suggests emptying and waiting. As a preliminary study, the final draft was composed after verifying the applic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ogram. For research question 2,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 infants in the kindergarten of the kindergarten in Seoul, 20 infants, and the classroom teachers in each group. The study proceeded in the order of preliminary study, examiner training, teacher education,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Test tools for quantitative research are value personality test and virtue personality test. In addition, case analysis and pos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applied to the reaction and interest of infants and teacher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12 times, one to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six weeks from August 26, 2019 to October 4, 2019.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Zhuang Zi Fable, and the comparative group carried out general character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living topics. In the data analysis, the personality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Windows Program to calculate the frequency, reliabilit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For qualitative research, case analysis and pos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applied to the reactions and interest of infants and teachers, and the pre-education and educational development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field note recording and interview with teacher, infant response, recording analysis, and portfolio. The process was analyzed before and after educa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structing the program of Research Question 1,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overcome the self-centered selfishness centered on the dao of inner self-completion and human relationship self-completion, which is the core of the Zhuang Zi idea, and growing up to live with others. It is to realize free life through emptying and waiting. The goal of the program is ① to develop the ability to feel and evaluate yourself as a positive being ② to develop understanding, consideration and respect for others ③ to respect individual natural inclinations and to solve problems autonomously and flexibly ④ overcoming the conflicts that arise in social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fostering tolerance and inclusiveness to others.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program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Zhuang Zi Fable's ‘Gon and Boong's Story’ and ‘Ataeta Story’ and related integration activities. The content element of education is value and virtue. The teaching and development method of the program'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s based on the ① introduction of literary works. ② Autonomous choice of teaching media and methods. ③ Induction of various expressive activities. ④ Infant-led educational development. ⑤ Play-centered development. ⑥ Stimulation and encouragement of imagination. Free way oriented. Teaching strategies include expression, language, manipulation, games, and art activities. Teaching materials include Gon and Boong's shadow drama, Ataeta story's traditional puppetry, table fairy tales, and fable sound. Second, as a result of statistically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of Research Question 2 on the value personality and virtue personality of infant personality, it was found that the early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Zhuang Zi Fabl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alue personality and virtue personality of infant personality. As a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actions and interests of the children and teachers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showed that respect for diversity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were the result of 12th class activity. Respect for diversity is manifested by a strong interest in self-changing beings, feeling free through physical training, a broad perspective on animals and plants, and an interest in harmony between nature and people. Interested in having a friend, experiencing disability physically, thinking positively about disability, and thinking about how to help a disability friend. After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e children showed expectations for new fables and drama activities, and expanded their thinking into plans for action throughout the classroom, indicating that they were very interesting and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development. Teachers' reactions and interests showed difficulties in the early stages of the program, but gradually they expand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dea of the Zhuang Zi.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acher, ‘Gon and Boong Story’ can be linked to the guidance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cherishes and protects animals and plants both in the classroom and outside, and ‘Ataeta story’ can understand various inconveniences and help them through disability experience activities. It's positive that it has given me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 method. In other words, the teachers' and infants' responses showed that the program i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children and is very valuable and highly available to the teachers and the children. In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chil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Zhuang Zi Fab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suitable for practicing child character education in the whole classroom.

      • 인지행동치료적용 집단정신간호중재가 알코올의존환자의 자존감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문명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psychiatric nursing intervention appli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on self-esteem and hostility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 experimental research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mental health clinic of a general hospital in D cit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6th and March 7th, 2017. To test the effects of group psychiatric nursing intervention applied CBT,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24) and a control group (27).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60 minutes/session twice a week during 4.5 weeks. Data was analyzed using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χ2-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ith SPSS/WIN 12.0 program. Results: After attending group psychiatric nursing intervention applied CBT, the first hypothesis was verified as the score for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t=4.49 p<.001). The second hypothesis was verified as the score for hostility score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t=-3.59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oup psychiatric nursing intervention applied CBT enhances self-esteem and reduces hostility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Now, Nurses specialized in mental health, psychiatry, and addiction are actively involved in clinical and community work. Therefore, this nursing intervention contributes to specialization and area expansion of psychiatric nursing at this point by verifying the effects on self-esteem improvement for rehabilitation and hostility reduction among alcoholics finished acute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