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묶음을 반영한 한국어 의존구조 분석

        남궁영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자연언어처리에서 구문분석은 문장 구성 성분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을 말한다. 구문분석을 통해 문장의 구조를 결정함으로써 의미적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 한국어 구문분석은 구문분석기의 입력이 되는 문장의 성분 수가 많아 이로 인해 분석의 복잡도가 높고 정확도가 낮은 현상을 보인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구묶음을 반영한 한국어 구문분석을 제안한다. 구묶음은 형태소분석된 문장에 대해 문법적, 의미적으로 하나의 역할을 하는 연속된 형태소들을 하나의 말덩이로 묶는 작업을 말한다. 구묶음을 수행하면 구문분석의 입력이 되는 문장 성분의 수가 줄어들며, 문장 내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들이 하나의 말덩이로 묶이므로 말덩이 내의 중심어에 대해서만 의존 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 구문분석의 효율성이 증진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묶음을 반영한 구문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한국어에 대해 구묶음과 말덩이를 정의하고 이에 기반하여 구묶음을 수행한다. 또한, 구묶음 수행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한국어 의존구조 말뭉치로부터 구묶음을 반영한 의존구조 말뭉치를 구축한다. 이러한 작업을 기반으로 하여 궁극적으로 구묶음을 반영한 구문분석과 기존의 구문분석을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처리에 있어 구묶음의 유효성과 필요성을 보이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실험 결과 어절 단위로 정확도를 측정했을 때, 구묶음을 반영한 경우는 UAS 기준 86.48%, LAS 기준 84.56% 였으며, 기존 방식의 경우 UAS 기준 82.98%, LAS 기준 80.45%로, 구묶음을 반영한 경우가 각각 3.5%p, 4.11%p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구묶음을 반영한 구문분석은 정확도나 효율성 면에서 기존의 방법보다 나은 결과를 보였으며, 구문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의미적인 요소도 함께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한국어처리에서도 지속적으로 구묶음을 반영한 구문분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구묶음 자체에 대한 오류 분석과 구묶음을 반영한 말뭉치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도 다각도에서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내용어와 기능어의 비중이 구문분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도 흥미 있는 주제로 남아있다.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yntactic parsing i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sentence components. The parsing can resolve semantic as well as syntactic ambiguity by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in Korean parsing, usually there are a lot of components (or morphemes) in an input sentence, and these can cause high complexity and low accuracy in parsing. To alleviate this problem, we propose Korean parsing reflected chunking. Chunking is to identify constituents called chunks which are a sequence of words (or morphemes) playing a syntactic and semantic role in a given sentence. We can decrease the number of the input components of the parser by chunking. Moreover, chunking groups morphemes with auxiliary meaning like functional or grammatical meaning, so we can just focus on the head word in chun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refore threefold. The first is to define Korean chunks. The second is to build Korean dependency corpus reflected chunking, which is for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chunk definition. The corpus can be automatically converted from the existing Korean dependency corpus. The third is to develop a Korean dependency parser reflected chunking. The parser has been experimentally evaluated in parsing Korean text, achieving UAS and LAS of 86.48% and 84.56% respectively. The parser outperforms the Korean parser which is not reflected chunking by 3.5%p and 4.11%p, and has been shown to be better than the existing one in performance. The parser can also analyze semantic as well as syntactic structure. In the future, the study on chunking in Korean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for establishing linguistic concepts. An error analysis on the chunking and parsing is requir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vector re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ratio between content chunks and function chunks in a sentence still remains as an interesting subject.

      • 고객 지향적 웹사이트 운영을 위한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유용성 평가 모형 설계

        남궁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인터넷은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매력적인 전략적 대상이 되었고,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은 현재 외식고객의 욕구에 가장 잘 부합해가는 외식업태로 최근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인터넷의 주된 사용자와 패밀리 레스토랑의 주 고객층은 동일한 집단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고객에 의한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의 유용성 평가 작업 시도와 심층 면접을 통해 인터넷을 통한 레스토랑 관련 정보 획득 행동에 대한 이해를 종합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유용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핵심 요인 및 장애 요인을 규명하여 고객과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웹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병행하여 연구 방법론의 다각화를 통해 연구 결과의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인터넷 사용률이 높으며, 패밀리 레스토랑의 주이용객인 20대 학생에서부터 30대 초반의 회사원들 191명을 대상으로 2003년 4월부터 8월까지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에 대한 평가 및 고객들의 외식행동, 인터넷 이용 패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론적 표집방법(theoretical sampling)에 의해 본 연구가 이해하고자 하는 중심현상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대상자를 선정하여 2003년 7월부터 10월까지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37명의 면접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수행 결과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의 유용성 평가 차원으로 정보 요인, 기술적 요인, 디자인 요인, 상호작용성 요인이 도출되었고,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방문은 일회적 사건(incident)이라기보다는 순환적 과정(process)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분석 결과 업체간 컨텐츠 내용에 대한 차별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인터넷 마케팅의 주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어, 독특한 차별성을 가질 수 있는 매력적인 컨텐츠를 개발하고 웹사이트를 기업과 고객간에 활발한 대화의 통로(channel)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외식빈도와 인터넷 사용빈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빈도는 한달에 1~2회 방문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53.4%),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방문 빈도는 조사 대상자에 따라 양분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패밀리 레스토랑을 한달에 1회 이상 이용하는 '고이용군(58.1%)'은 남자보다는 여자가 많았으며(p<.001), 외식빈도(p<.05) 및 웹사이트 방문빈도(p<.001) 또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유용성 평가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10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판매촉진정보(85.6점)', '기술적 성능(84.6점)', '구조적 간결성(83.4점)', '메뉴정보(79.8점)', '커뮤니케이션(77.6점)', '정보의 타당성(77.0점)', '디자인 심미성(74.0점)', '개인화기능(73.2점)', '탐색의 용이성(71.4점)', '업체정보 및 부가서비스(54.8점)' 요인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패밀리 레스토랑 고객의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이용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응답자에 대한 군집화를 시도하여 의미 분석한 결과 '관계지향형', '흥미추구형', '다기능추구형', '실속추구형', '정보탐색형'의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여섯째,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에 대한 고객의 평가 결과를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IPA)을 통해 분석한 결과 웹사이트를 통한 고객과 관리자, 고객과 고객간의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근거 이론 접근법(Grounded Theory Approach)에 따른 심층 면접 결과, 연구의 핵심 주제인 '레스토랑 웹사이트 방문'의 발생을 유도하는 인과적 조건으로 '정보의 원천', '방문 동기', '접근 과정'이 상위범주로 나타났으며, 패러다임의 중심현상은 '레스토랑 관련 웹사이트'와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로 구분되었고, 각 중심현상의 상위범주는 '웹사이트 방문경험'과 '고객이 인지하는 웹사이트 유용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중재조건으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사회심리학적 특성', '인터넷 사용 특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호작용 전략인 '인터넷 사용자 유인', '웹사이트를 통한 고객과의 관계형성'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심층면접 결과 웹사이트 방문 경험 및 관계 형성은 '레스토랑 관련 웹사이트'와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의 두 가지 중심현상에 따라 구별되는 일련의 유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양적조사와 질적 조사를 비교, 분석하여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유용성 평가를 위한 특화된 평가 모형을 설계해 본 결과, 정보 요인, 기술적 요인, 디자인 요인, 상호작용성 요인이 주된 평가 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유용성 측면들의 균형잡힌 개선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아홉째, 레스토랑 관련 정보를 찾기 위한 인터넷 활용의 장점은 '편리함', '레스토랑 선택시 참조 가능성'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상 정보의 신빙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어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어야만 고객들의 레스토랑 관련 정보 검색을 위한 인터넷 활용도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근거 이론 패러다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에 대한 평가는 방문 시점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방문 전, 방문 과정, 방문 후의 상황 속에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개발된 레스토랑 웹사이트 유용성 평가 도구는 각 단계별로 고객의 만족, 불만족 요인을 분석하고 핵심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웹사이트에 대한 고객 만족도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가는 지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효율적인 외식정보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도 웹사이트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unning in parallel with the Internet innovation has been the greater use of web-based marketing in the hospitality industries and intense competition in family restaurant industry mandates the need for assessment of customer-perceived website usability for attracting custom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 (a)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ng family restaurant websites, (b) understand the patterns of restaurant customers' visiting websites, (c) develop grounded theory paradigm of experiences on restaurant websites through in-depth interview, (d) develop family restaurant websites usability estimating dimensions based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riangulation, and (e) provide a guideline for practical use of family restaurant website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 A total of 191 family restaurant customers were participated in quantitative survey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11.5) for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additional data to explore customers' behavior while visiting restaurant websites and identify critical website usability features were collected from 37 customers through in-depth interview applying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Developing unique contents and fortifying website interactivity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 were requir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website investigation. 2. The features of heavy family restaurant users, which visit family restaurant over one time in a month, were female(p<.001) and their eating out frequency(p<.05) as well as visiting family restaurant website frequency(p<.001) were relatively high. 3. Among respondents with online family restaurant website experience, five segments were identified: 'relationship pursuers', 'fun lovers', 'multi function pursuers', 'practical users' and 'information learners.' 4. Ten factors for assessing the usefulness of family restaurant websites were extracted by varimax-rotated PCA, and these identified factor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rank were 'promotion information', 'technical function', 'organized structure', 'menu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 relevancy', 'aesthetic design', 'customization', 'easy to navigate', and 'firm related information & additional services.' 5. Among the respondents from 191 family restaurant customers, there was a consensus on the needs of 'providing quick feedback on customers' inquires' and 'offering shares for customers' complaints & suggestions.' 6. This study evolved coding paradigm for the process of visiting restaurant websites. As causal conditions, the source of information, the aim of visiting website and the process of assessing websites were found to be core categories. As main context, experiences on visiting websites and website usability in customer's perspective emerged as core categories. Visiting time and the main reason for visiting websites were emerged as sub categories of visiting websites. Information, technology, design and interactivity were found to be sub categories of website usability in customer's perspective. There exist some differences in the point of web usability between visiting restaurant related websites, which give restaurant information to help finding appealing restaurant and family restaurant website, which is now generally accepting the use of World Wide Web (WWW) as competitive marketing instrument to attract customers. Therefore, the main context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Us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ternet usage behavior appeared as intervening conditions to cause experiences on visiting websites and website usability in customers' perspective. Attracting Internet users and building relationship with them were evolved a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the positive effect of building solid relationship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on websites were emerged as consequences. 7. Information, technology, design and interactivity were found to be critical dimensions of website usability in customers' perspective. As main categories of information dimensions were 'accuracy and specificity of menu information', 'attractiveness of promotion information', 'diversity of firm related information & additional services' and newest and reliability were important to all kinds of information. As main assessment categories of technical function were 'system stability' and 'quick linking' and design dimensions were composed of 'easy to navigate', 'organized structure', and 'aesthetic design.' Interactivity dimension could be made up for 'communication' and 'customization.' This study found critical web usability factors in family restaurant website based on customers' view by quantitative survey and in-depth qualitative interview. An effort to improve communication system to meet customers' needs, which is proposed as the most crucial factor for successful restaurant websites, appears highly warranted to enhance competitive superiority. It provided restauran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sights for examining the important features of restaurant websites based on their type as a competitive marketing strategy.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basic guideline to improve and refine its website because these core categories were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ed a customer's website behavior and even actual visit to restaurants.

      • 저사양 기반의 하드웨어를 이용한 Linux 라우터 서버 구현

        남궁영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수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웹의 출현으로 인터넷은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해 사용할 수 있는 대중적인 매체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 사용 인구와 웹 서버의 증가에 따라 기존의 일반적인 컴퓨터에 보편적인 플랫폼상의 단순한 프로그램만으로는 예상되는 막대한 동시 접속 트래픽을 수용하는데 한계를 보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웹서버의 접속용량 및 작업처리 속도가 인터넷 기반 사업에서 큰 병목요인 중의 하나로서 여겨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웹서버의 안정성 및 가용성 문제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가의 고성능 컴퓨터에 기초한 웹서버가 하나의 솔루션이 될 수 있지만, 이러한 고가의 장비는 고비용 및 관리의 어려움과 함께 확장성 및 호환성의 문제로 인해 보편화/대중화의 한계를 갖게된다.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Linux 서버는 가격대비 성능비가 뛰어나다는 강점이 있다. 또한, 단일 대용량 서버로는 사용자의 접속요구를 감당하기 어렵지만 Linux 기반의 서버부하분산을 통해 서비스 개선을 위한 클러스터링 기술과 이를 이용한 제품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상의 서버 안정화 요구에 부응하는 한편 클러스터링 개발까지 예견할 수 있다. 클러스터링 가상서버는 일반적으로 여러 대의 리얼서버를 통합해 하나의 서버 시스템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무정지 서비스를 통해 시스템의 가용성을 보장하며, 사용자의 증가에 따른 뛰어난 확장성을 지닌다. 이러한 클러스터링 가상서버를 GNU를 따르는 Linux를 이용해 일반 PC에 설치함으로써 저비용, 고성능을 보장하는 서버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여기에 여러 가지 보조 기법들이 추가되면,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기존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가용성(HA : High Availability)을 보장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Linux 기반의 클러스터링 가상서버 구축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QoS 보장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이러한 기법들을 실제 여러대의 Linux를 이용해 구축한 클러스터링 가상서버에 적용한 결과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The number of computer on Internet has been increased dramatically. Now Internet is public media like TV & news article what people can enjoy via Network. Because of the huge number of Internet users & web-servers, it has been already reached the limit of capacity to cover whole traffic with normal computer systems based on general platform. Accordinglg the, capacity and performance of web-server is regarded as one of the critical bottleneck for internet based business. In addition stability and availability of web-server is also critical factor. Even though high performance hardware platform could be one of the solutions for solving this issue, however it would be very difficult because of it's high cost, difficult management, scalability and compatibility. As the next generation platform, Linux server has strong advantage in terns of price & performance. Even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cover the huge access request from internet users with single Linux server, this problem could be using solved by clustering technology what could do traffic load balancing. Through this kind of trend, we can expect that clustering technology could be developed for stability of servers what are used for internet business. Generally virtualization-clustering server means consolidation of several servers to perform high performance like as single big machine. This technology would guarantee availability of system through non-stop service and also show excellent scalability by increasing number of users. If we installed the virtualization-clustering server on general PC with Linux based on GNU, we could set up high performance server system and also guarantee HA(High Availability) to do continuous service with several other technologies. In this thesis, we studied the system implementation for virtualized clustering server based on low-cost Linux Router Server. We also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consalidated system with several Linux system to set up virtualized cluster server, Finally we proposed various methodelogies to garrantee QoS of the system.

      • 편마비 환자의 손목 관절 고유수용감각 훈련에 있어 '결과 지식' 피드백의 효과

        남궁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결과 지식(knowledge of results)' 피드백을 이용하였을 때 손목 관절 고유수용감각이 향상되는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가 있으면서 MVPT(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기능 검사(MMSE-K)에서 정상으로 판정된 3인이었다. 이 연구를 위한 실험 설계로는 실험 대상자간 다중 기초선을 이용한 연구 설계(multiple baseline across individuals design)를 사용하였다. 매일 10-15분씩 시행된 손목 관절 고유수용감각 훈련 시에는 연구자가 대상자의 수행 결과를 구두로 설명하거나, 대상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결과 지식' 피드백을 사용하였다. 마비측 손목 관절 고유수용감각의 측정은 연구자가 설계한 검사와 훈련 도구 및 SoloSystem을 사용하여 기초선 시기와 훈련 직후, 훈련 30분 경과 후의 총 3회 시행하였다. 고유수용감각은 정반응 횟수로 측정하였고, 결과의 분석을 위해 정반응 횟수를 백분율과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초선 시기의 마비측 손목 관절의 고유수용감각 평가에서 대상자 1, 2, 3의 평균 정반응 횟수는 각각 7.20회(36.00%), 7.25회(36.25%), 10.58회(52.90%) 였다. 2. 훈련 직후, 마비측 손목 관절의 고유수용감각 평가에서 대상자 1, 2, 3의 평균 정반응 횟수는 각각 14.07회(70.35%), 12.83회(64.15%), 15.63회(78.15%) 로 대상자 모두 기초선 시기보다 훈련 직후의 마비측 손목관절 고유수용 감각의 정반응 비율이 증가하였다. 3. 훈련 30분 경과 후, 마비측 손목 관절의 고유수용감각 평가에서 대상자 1, 2, 3의 평균 정반응 횟수는 각각 15.53회(77.65%), 14.25회(71.25%), 16.38회 (81.90%)로 대상자 모두 기초선 시기와 훈련 직후 보다 큰 값을 획득하였다. 4. 손목 관절의 굴곡 각도에 따른 고유수용감각의 정반응 비율은 기초선 시기와 훈련 시기에서 대상자 1, 2, 3 모두 굴곡 60°와 신전 60°에서 높았다. 또한 모든 대상자는 굴곡 0°에서 손목관절 고유수용감각 정반응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로 볼 때 편마비 환자의 손목 관절 고유수용감각 훈련에 있어 '결과 지식' 피드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는 손목 관절 고유수용감각 훈련 후 마비측의 고유수용감각 향상이 훈련받은 손의 실제적 사용 능력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nowledge of results' on wrist proprioceptive training in three persons with poststroke hemiplegia who had no unilateral spatial neglect on MVPT and had adequate cognition on MMSE-K. A single subject design with multiple baseline across individuals was employed. Each subject participated daily in the 10-15 minutes' wrist proprioceptive training for the affected wrist with 'knowledge of results' which informed the subjects of their wrist position verbally or visually as feedback. The proprioception was measured as averag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correct responses on the wrist proprioceptive test in the affected side using apparatus of researcher's own design and SoloSystem.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baseline, immediately, and 30 minutes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During the baseline period, the number of average correct responses in three subjects were: S1 7.20(36.00%), S2 7.25(36.25%), and S3 10.58(52.92%) respectively. 2.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the number of average correct responses in three subjects were: S1 14.07(69.67%), S2 12.83(64.17%), and S3 15.63(78.13%) respectively. 3. Thirty minutes after the training, the number of average correct responses in three subjects were: S1 15.53(77.67%), S2 14.25(71.25%), S3 16.38(81.88%) respectively. 4. All the three subjects showed more correct responses in wrist proprioceptive tests at wrist flexion 60°and extension 60°during both the baseline and the training period. They also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 of correct response at neutral wrist posi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knowledge of result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and maintaining the wrist proprioception of affected wrists in persons with poststroke hemiplegia. Effect of such improvement on the functional aspect of stroke-affected upper extremity remains to be evaluated in the later study.

      • 웹로그분석을 통한 이러닝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남궁영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인터넷의 발전은 많은 부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은 대학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수업이 확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특성이나 패턴 분석이 되어 있지 않아 이러닝 수업에 대한 교수방법이나 학습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업적 측면에서 기업들의 충성 고객 확보를 위한 웹 사용자들의 특성들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분석되고 있지만, 교육적 측면에서의 웹 사용자들에 대한 특성에 대한 분석은 미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으며, 웹사용자들의 특성을 알기 위해 A대학의 웹로그파일을 분석하여 이러닝에 대한 효율적인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이러닝의 접근 요일이 특정 요일에 몰리는 것은 사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대학별, 또는 영역별 등 요일별로 분산을 시켜 사용자들의 불편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둘째, 사용자들이 많이 몰리는 저녁 시간보다 비교적 적게 이용하는 오전 시간대에 평균 처리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은 네트워크 등 다른 외부적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닝 전용 네트워크 라인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 기능의 파일을 불러들이는데 처리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과 특정파일 요청시 서버 에러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프로그램 수정 및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캠퍼스별, 학년별 사용자들의 웹방향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에 따른 교수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연관성 분석을 통해 사이트 절차의 수정 및 사이트를 방문하기 위한 절차상의 개편이 필요하다. The use of internet teaching has grown explosively and many e-Leaning web sites are giving information to their sites manager. Users tend to visit well-structured web site for conenient navigation, so it is needed to improve the structure of web sites. Web usage mining is the apllication of data mining techniques to discover usage patterns from web data, in order to understand and better serve the needs of web-based teaching systems. We use web access log data collected from the web page acces history to know visitor's interest and browsing patterns. Understanding user access patterns in a web site using various mining techniques not only helps improve web system design, but also leads to various web-based teaching. In this thesis, we classify e-Leaning web sites systems and apply web log mining to analyze the user pattern of the users. As sample data for each category, we have prepared web page log data of A University e-Leaning system. we cleaned the raw server logs to eliminate outliers and irreleant items. Then we apply web-minin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web site. In the case of university e-Leaning web site, the goal of web mining is to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web site structu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 some improvement after the siste modification.

      • 인문계 고등학생의 성격유형이 국어 수업 방식 선호에 미치는 영향 : MBTI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남궁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습자의 국어 수업 방식 선호에 학습자 개인의 성격유형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을 가정하고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국어 수업 방식의 선호를 살펴보았다. 먼저 학습자의 성격유형을 알기 위해 인천 지역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와 더불어 서술형 설문지를 통해 각 개인의 국어 수업 방식의 선호를 알아보았다. 검사 결과 인천 인문계 남녀학교 고등학생 190명 중, 외향(E)형의 비율 61.58%가 내향(I)형의 비율 38.42%보다 많고, 직관(N)형과 감각(S)형의 비율은 50%로 동일했다. 또한 판단(J)형 37.37%에 비해 인식(P)형 62.63%의 비율이 더 많았다. 즉 16개 성격 유형 가운데 외향(E)-인식(P)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성격유형별로는 외향-직관-감정-인식(ENFP)형이 17.9%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상반된 유형인 내향-감각-사고-판단(ISTJ)형이 10.5%로 그 뒤를 잇는다. 그 다음 외향-감각-사고-인식(ESTP), 외향-직관-사고-인식(ENTP)형이 각각 8.4%로 그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 학생의 국어 시간에 가장 많이 접한 활동은 ‘읽기 > 쓰기 > 듣기 > 말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학생들이 국어 시간에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활동으로는 ‘읽기 > 듣기 > 쓰기 >말하기’ 순으로 나타났는데, 듣기와 쓰기의 순서가 바뀌었지만 많이 접해 본 활동이기에 선호도 역시 비슷하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16가지 성격유형별로 선호도를 살펴보면 각 유형별로 편안함을 느끼는 활동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내향(I)형의 경우 읽기와 듣기처럼 이해 활동에 편안함을 느끼고 소리 내어 읽거나, 돌아가면서 읽는 활동보다도 눈으로 조용히 혼자 정독하는 읽기에 대해 강한 호감을 드러내었다. 듣기와 마찬가지로 읽기 활동을 통한 내용과 상황 이해에 대한 집중이 높게 나타나며 직관(N)형과 인식(P)형의 경우 문학 작품의 읽기 활동을 통한 내용 이해보다는 자유롭게 상상하는 활동에 대해 뚜렷한 선호를 나타냈다. 쓰기 활동에서는 인식(P)형의 경우는 자신의 생각을 떠오르는 대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글쓰기 활동에, 판단(J)형의 경우는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생각을 차분하게 정리하는 활동으로써의 글쓰기에 좀 더 편안함을 느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향(E)형은 내향(I)형과 달리 듣기 활동에서는 낭독하는 사람의 반언어적(半言語的) 표현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생동감 있는 듣기 활동에 대한 편안함을 느꼈고, 읽기의 경우도 혼자 읽는 것보다 다른 학생들과 번갈아가면서 읽는 활동이나, 말로 소리 내어 읽는 읽기 활동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외향(E)형에서 느껴지는 또 하나의 의미 있는 차이는 말하기 활동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활동에 만족감을 나타낸 것이다. 내향(I)형의 경우 말하기 활동 자체에 대한 부담감과 긴장도가 큰 것과 달리 외향(E)형의 경우는 오히려 약간의 긴장과 부담이 대중들 앞에 자신을 보이고 주목하게 하는 활동을 통해 에너지를 받고 즐거워 하였다. 대부분의 말하기 활동에 대한 경험이 긍정적인 기억으로 남아 있으며 앞으로 국어 시간에 더 이루어지길 바랐다. 또한 말하기와 더불어 쓰기 활동에 대한 편안함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판단(J)형의 경우 쓰기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구조화하는 활동에 편안함을 느낀다고 언급하였다. 이렇듯 각 성격유형 요소에 따라 선호하는 국어 수업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국어 교사가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맞게 국어 수업에서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조화롭게 이끌어 낸다면 좀 더 많은 학생들이 만족하는 국어 수업이 이루어 질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ference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learners' personality types on the assumption that personality types of the individual learn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references of the Korean teaching style. First, this study administered the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on current male and female students at a general high school in Incheon area in order to know the learners' personality types. In addition, it conducted a descriptive survey in order to find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s a result, the 190 male and female students at the general high school in Incheon showed that the score of 61.58% in extraversion (E) was higher than that of 38.42% in introversion (I) and they were evenly divided between intuition (N) and sensing (S).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score of 62.63% in perception (P) was higher than that of 37.37% in judging (J). In other words, many of them showed extraversion (E) and perception (P) among the 16 personality types. By personality type, the ENFP (extraversion, intuition, feeling, percept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at 17.9%, followed by the opposite type, ISTJ (introversion, sensing, thinking, judging), at 10.5%. Then, ESTP (extraversion, sensing, thinking, perception) and ENTP (extraversion, intuition, thinking, perception) accounted for 8.4%, respectively.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activities to the whole student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es were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in descending order. It also showed that the most comfortable activities to them in the Korean language classes were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in descending order. Although the orders of listening switched places with writing, it is considered that their preferences were similarly shown because they were frequent activities. Looking at the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16 personality types,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ctivities they felt comfortable for each type. In the introversion (I), the students felt comfortable in understanding activities such as reading and listening and showed a stronger preference for careful reading by themselves than reading activities in turns. As in the reading activities, they showed an intense focus o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through the reading activities. In the intuition (N) and perception (P), the students showed a clearer preference for the free imaginative activities than the understanding by reading literary works. In the writing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in perception (P) felt more comfortable in the writing activities they could express their ideas freely and the students in judging (J) felt more comfortable in the writing activities they calmly organized what was on their minds. Unlike introversion (I), the students in extraversion (E) were sensitive to the reader's paralinguistic expressions and felt comfortable in dynamic listening activities. In the reading activities, they also showed more positive reactions to the reading activities in turns or aloud than careful reading by themselve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felt in extraversion (E) was that they showed the satisfaction as activity that they exposed themselves in the speaking activities. In introversion (I), they felt pressured and nervous about the speaking activities themselves. Unlike that, in extraversion (E), the students obtained energy and enjoyed the activities that they exposed themselves in front of the audience and attracted all the attention with a little nervousness and pressure. Furthermore, they chose the speaking as activities that they also hoped to continue in Korean language class, while most of the speaking activities remained a positive memory. In addition, some students show comfort in the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the students in judging (J) mentioned comfort as activities to organize and structuralize their thoughts by writing. Thus, if Korean language teachers recognize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Korean languag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each factor of personality type and they draw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harmony from their Korean language classes in accordance with learners' personality traits, it will be possible for them to create a Korean language class satisfactory to slightly more students.

      • DEA와 MPI를 활용한 한국자산관리공사 지역본부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남궁영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조직 중 대국민접점에서 일하고 있는 12개 지역본부를 대상으로 가장 비중 있는 업무라고 할 수 있는 국유재산관리, 조세정리, 부실채권정리 등 3대 사업에 대하여 2017년부터 2019년간의 DEA분석 및 Malmquist 생산성지수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에 Ⅱ장에서 전국의 12개 지역본부를 포함한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조직과 인력예산 주요업무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정부의 공공기관경영평가와 이를 따른 한국자산관리공사 자체의 지역본부성과평가체계 및 내용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효율성분석을 위한 DEA분석모형으로서 CCR모형, BCC모형 및 Malmquist 생산성지수에 대하여 이론적 내용들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한편 총 19개 선행연구사례를 대상으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선정을 포함한 연구내용과 결과 등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선정을 포함한 분석방법과 과정을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업무영역별로 기술통계분석과 효율성 분석 및 Malmquist 생산성 지수변화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대하여 기술효율성 변화율, 기술 변화율, 순수기술 효율성 변화율, 규모 효율성 변화율 등을 분석하고 그 내용을 해석하였으며 그 해석의 내용을 토대로 벤치마킹정보를 제시하는 한편 실제 성과평가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3대 사업영역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국유재산관리사업 영역 먼저 2017년의 국유재산관리사업에 대한 DEA 효율성 분석에서 CCR모형의 평균효율성점수가 0.695로서 2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BCC모형의 평균점수는 0.753으로 5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규모효율성 평균점수는 0.93으로 2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이었으며 3개 지역본부가 비효율적으로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규모에 있는 것으로 보이고 7개 지역본부에서는 기술적 요소에서 비효율성이 지적되었다. 다음 2018년 사업성과에 대한 분석결과 CCR모형의 평균효율성점수는 0.720로서 2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이었으며 BCC모형의 평균 효율성점수는 0.744로서 3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이었다. 특히 2개 지역본부가 CCR과 BCC모형에서 모두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나서 가장 생산적 규모의 크기로 운영된다는 결론이었으며 9개 지역본부는 기술적 요소에 의한 비효율이 나타나서 투입되는 예산과 인력 및 성취한 사업량 간에 적절한 조정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2019년 분석에서는 CCR모형의 평균효율성 점수는 0.69로서 3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BCC모형의 평균 효율성 점수는 0.772로서 5개의 지역본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DMU1, DMU8, DMU12의 3개 지역본부는 가장 생산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판단이며 또 다른 3개 지역본부는 규모에 원인이 있는 비효율성이 지적되었다. 국유재산관리의 규모수익을 살펴볼 때 규모수익 체증이 3년 간 평균 6개 지역본부로서 투입의 과소투자로 인해 규모의 비효율이 나오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6개 본부는 투입요소가 과다투입 되고 있어 인력과 예산의 감축을 통한 효율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Malmquist 생산성 변화의 평균은 1.031로서 생산성은 3년 동안 년 평균 3.1% 증가하였는데 이는 기술변화 및 순수효율성변화(증가)보다는 기술효율성 및 규모효율성변화(감소)에 기인한 것이었다. DMU별 Malmquist 생산성지수에서는 9개 지역본부가 증가하였고 3개 지역본부가 감소하였는데 그 중 5개 지역본부가 기술적 효율성 변화율이 증가한 반면 또 다른 5개 지역본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효율성 측면에서는 5개 지역본부에서 변화율이 증가하였고 다른 5개 지역본부는 감소하였다. 2) 조세정리사업 영역 먼저 2017년의 조세정리사업에 대한 DEA 효율성 분석에서 CCR모형의 평균효율성 점수는 0.671로서 2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이었고 BCC모형의 평균효율성점수는 0.798로서 5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개 지역본부가 가장 생산적인 규모로 운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3개 지역본부는 규모에 원인이 있는 비효율을 보였고 6개 지역본부에서 투입량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8년의 경우에는 CCR모형의 평균효율성점수가 다소 높아져서 0.772이며 3개의 지역본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BCC모형의 평균점수는 0.851로서 7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으로 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개 지역본부가 규모가 원인인 비효율을 나타냈고 5개 지역본부가 기술적 측면의 비효율을 나타내고 있어서 투입과 산출의 비율이 조정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9년의 경우 CCR모형의 평균효율성점수가 0.699로서 2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이었으며 BCC모형의 점수는 0.771로서 5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이었다. 2개 지역본부가 가장 적합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3개 지역본부가 규모상의 문제점을, 5개 지역본부가 과소투자로 인해 규모의 비효율을 제공한 것으로 보이며 다른 5개 지역본부가 투입요소가 과다투입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인력과 예산의 절감 노력이 필요하다는 판단이었다. Malmquist 생산성 변화의 평균은 1.045로서 생산성은 3년 동안 년 평균 4.5% 증가하였는데 이는 순수효율성변화(감소) 보다는 기술 효율성 변화, 기술 변화, 규모 효율성 변화(증가)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DMU별 Malmquist 생산성 지수는 9개 지역본부가 증가하였고 3개 지역본부가 감소하였는데 가장 높은 증가율은 13.9%였으며 가장 높은 감소율은 1.8%였다. 기술적 효율성 변화율은 6개 지역본부에서 증가한 반면 3개 지역본부가 감소하였고 기술 변화율에서는 9개 지역본부가 기술적 진보를 보였으며 3개 지역본부가 퇴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 효율성 변화율은 5개 지역본부가 증가, 다른 5개 지역본부가 감소하였고 순수 기술 효율성은 6개 지역본부가 증가, 3개 지역본부가 감소하였다. 3) 부실채권정리사업 영역 먼저 2017년의 부실채권정리사업에 대한 DEA 효율성 분석에서 CCR모형의 평균효율성점수는 0.555이며 1개 지역본부만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왔고 BCC모형의 점수는 0.780으로 7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개 지역본부만이 가장 적정한 생산적 규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6개 지역본부는 규모상의 비효율이 나타나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가능하며, 3개 지역본부는 기술적 비효율이 나타나 투입과 산출 간의 비율상 조정이 필요하다는 판단이었다. 2018년의 경우 CCR모형에서 평균효율성점수가 0.508로서 2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이었으며 BCC모형에서의 점수는 0.677로서 5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이었다. 2개 지역본부가 가장 생산적인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4개 지역본부는 투입량을 증대시킴으로써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019년의 경우 CCR모형의 평균효율성 점수가 0.566으로 2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이었으며 BCC모형의 점수는 0.747로서 6개 지역본부가 효율적이었다. 2개 지역본부가 가장 생산적 규모로 운영되고 있으며 4개 지역본부가 규모에 있어서 개선의 필요성을 보였고 5개 지역본부가 기술적 측면의 개선과제가 제시되었다. 부실채권정리사업의 규모수익을 살펴보면 4개 지역본부가 투입요소의 과소로 인한 규모의 비효율을 보였고 7개 지역본부가 투입요소의 과대로 인한 규모수익의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어 예산과 인력의 감축을 통한 효율성 개선이 과제로 지적되었다. Malmquist 생산성 변화의 평균은 1.193로서 3년 동안 년 평균 19.3% 증가하였는데 2017-2018년에는 17% 감소하였다가 2018-2019년에 71.4%가 증가하였다. 이렇게 2019년에 급신장한 것은 정부 금융정책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정부가 서민보호정책으로 연체금리를 대폭 낮추면서 시중 보험사를 통해 회수되던 주택담보대출채권이 대거 한국자산관리공사로 몰리면서 비롯된 것이었다. DMU별 생산성은 9개 지역본부가 증가하였고 3개 지역본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적 효율성 변화율은 6개 지역본부 증가, 5개 지역본부가 감소하였고 기술 변화율에서는 12개 지역본부 전체가 기술적 진보를 보였으며 순수기술효율성의 변화율에서는 4개 지역본부 증가, 4개 지역본부가 감소하였고 규모효율성의 변화율은 6개 지역본부 증가, 5개 지역본부 감소로 나타났다. 특히 Ⅳ장의 각 절에서는 지역본부의 효율성 증대 방안으로서 3대 주요사업영역별로 DMU간의 벤치마킹 정보값을 제시하였는데 전체적으로 DMU12가 작고 강한 조직으로 평가되었고 한국자산관리공사가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대비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매년 실시하는 12개 지역본부에 대한 성과평가결과와 비교한 결과 대체로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DMU12는 DEA효율성 분석에서는 적절한 의사결정단위로 운영되면서 작고 강한 조직으로 평가된 반면 실제 평가에서는 중위권을 보였다. 이는 적은 인원과 예산으로 이론적 측면에서는 높은 효율성을 보였지만 실제 평가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으로 높이 평가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DMU5의 경우 넓은 업무영역 상 많은 인원, 예산이 투입되는 관계로 DEA효율성 분석에서는 비교적 낮은 효율성을 보였으나 실제 평가에서는 큰 업무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치를 보였다. In this study, the DEA analysis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12 regional headquarters of the Korea Asset Management Corporation from 2017 to 2019 on three major projects: National Property Management, Tax Settlement and Non-performing Loan Settlement. The analysis results are divided into three major business areas as follows. 1) The area of National Property Management Project The analysis of National Property Management Project in 2017 shows that the DEA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CCR model was 0.695 which was efficient for the two regional headquarters and the DEA average score of the BCC model was 0.753, showing the five regional headquarters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2018 analysis,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CCR model was 0.720, which was efficient for the two regional headquarters, and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BCC model was 0.744 which was efficient for the three regional headquarters. In the 2019 analysis,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CCR model was 0.69 which was efficient for the three regional headquarters.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BCC model was 0.772, indicating that the five regional headquarters were efficient. The average of changes in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was 1.031, with productivity rising 3.1% annually over the three-year period, due to changes in Technology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decrease) rather than changes in Technology and Net Efficiency (increase). In the DMU-specific analysis, nine regional headquarters were increased and three regional headquarters were reduced. 2) The area of Tax Settlement Project The analysis of Tax Settlement Project in 2017 shows that the DEA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CCR model was 0.671, which was efficient for the two regional headquarters and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BCC model was 0.798, indicating that the five regional headquarters were efficient. According to the 2018 analysis,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CCR model was 0.772 which was efficient for the three regional headquarters,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BCC model was 0.851, indicating that the seven regional headquarters worked efficiently. In 2019,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CCR model was 0.699, with two regional headquarters efficient, and the BCC model scored 0.771, with five regional headquarters efficient. The average of changes in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was 1.045. The productivity increased by an average of 4.5% annually over the three years, apparently due to changes in Technology Efficiency, Technology, and Scale Efficiency (increase) rather than changes in Net Efficiency (decrease). In the DMU-specific analysis, nine regional headquarters increased and three regional headquarters decreased. The highest rate of increase was 13.9%, and the highest rate of decrease was 1.8%. 3) The area of Non-performing Loan Settlement Project The analysis of Non-performing Loan Settlement Project in 2017 shows that the DEA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CCR model was 0.555 and only one regional headquarters was efficient. The BCC model was 0.780, indicating that seven regional headquarters were efficient. According to the 2018 analysis, two regional headquarters were efficient with an average efficiency score of 0.508 in the CCR model and five regional headquarters were efficient with a score of 0.677 in the BCC model. In 2019,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the CCR model was 0.566 with two regional headquarters efficient, and the BCC model scored 0.747, with six regional headquarters efficient. The average of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changes was 1.193, an increase of 19.3% per year over the three-year period, a decrease of 17% in 2017-2018 and a gain of 71.4% in 2018-2019. In the DMU-specific analysis, nine regional headquarters increased and three regional headquarters de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