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 영재아의 수학 문제해결력 발달 유형 분석

        김효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는 우수한 인재의 발굴, 육성 및 개인의 자아실현, 우수한 인력양성을 통한 국가 사회의 발전을 위해 영재학교, 영재학급, 영재교육원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A 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 소속된 수학심화과정 15명의 선발시험과 집중교육 후 치른 평가시험을 자료로 삼아 이 학생들에게서 학습 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선발시험과 1년의 교육기간 동안 치른 평가시험을 통해 4차례의 성적의 변화를 살펴보고, 선발된 후 수학영재아의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여러 학자들이 정의한 수학영재아의 행동특성을 학생 개개인에게서 찾아보고 선발시험 때와 학습 후의 변화를 분석해 보고 또 어떻게 발달되고 있는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 GaN계 광소자의 etch-induced damage의 제거 및 특성분석

        김효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자동차, 항공공학, 환경, 간접조명, 일반조명등에 응용할 수 있는 고온, 고출력을 위한 GaN계 전자기기의 개발에 많은 흥미를 보이고 있다. 특히, 3-5족 질화물계 반도체의 경우 넓은 band Gap과 높은 열전도도 등의 특별한 특성 때문에 Light Emitting Diode(LED)나 Laser Diode(LD)같은 광소자에 매우 매력적인 물질이다. 이런 광소자의 dry etching기술은 GaN의 화학적인 안정성 때문에 소자 제작 시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dry etching 특성상 공정 중에 소자의 특성을 감소시키는 etch-induced damage가 생성된다. damage가 형성되고 나면 이는 소자에서 저항을 증가시키는 결함으로 존재할 것이므로 소자의 특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GaN계 광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etch-induced damage의 제거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etching공정 진행 후의 GaN의 etch-induced damage에 대한 구조분석과 성분분석, 그리고 Blue LED소자를 이용하여 etch-induced damage의 형성 전, 후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Transmission Line Measurement (TLM)를 이용하여 etch-induced damage 형성 전, 후의 contact특성, 그리고 etch-induced damage를 wet cleaning 공정을 이용하여 damage제거 후 소자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GaN에 etch-induced damage를 형성하여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damage구조를 분석하였으며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를 이용하여 damage의 성분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damage가 layer로 10nm정도로 비정질 상태로 존재하며 에칭가스에 의해 Cl이 40~50%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Blue LED용 에피를 이용하여 damage가 존재하는 샘플과 damage가 존재하지 않는 LED를 형성하고 V-I 및 광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contact resistance도 측정하였다. 결과 damage는 소자에서 저항을 증가시키는 결함으로 존재함으로써 소자의 전기적 특성뿐만 아니라 광학적 특성 또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래서 NaOH계 용액을 이용하여 damage layer 제거공정을 진행하였으며 damage의 제거 후 소자의 전기적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자연미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중학생을 중심으로

        김효정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자연미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중학생을 중심으로 - 김효정 교육학 미술교육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도교수 서동석) 자연을 이루는 환경은 18세기 산업화와 20세기 전쟁과 혁명의 영향으로 오염이 심화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레이첼 카슨(R. L. Carson)은 근대 문명의 귀결로 위기에선 환경문제가 자연의 다양성을 고갈시켜 봄이 와도 자연은 침묵하고 있다는 내용의 책을 쓴다. 기술만능주의로 우리의 삶이 파괴되고 인간의 존립까지 위협받고 있음에 경종을 울리며 1962년 출판된 봄의 침묵은 인류 환경사를 새롭게 씀으로써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자연은, 미래를 바라보는 세계관의 변화를 가져왔다.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전 지구적 규모로 확대되면서, 이성 중심의 담론 대신 위기를 가져온 요소로써 자연감성이 더욱 중시되었다. 이처럼 20세기를 마감하며 인류는 환경의 종말을 고한 것이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자연에 대한 새로운 지평이 열리게 되었다. 근대의 모더니즘 세계관으로부터 이어진 현대 미술과 교육은, 기본적으로 시대 배경과 개인 능력에 따른 방법론에 의해 인간 성장을 목적으로 전개되어왔다. 그러나 자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교육은 창의성과 인성을 바탕으로 하는 인재 양성을, 미술교육은 시각표현을 통한 이성과 감성의 균형 있는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가교육에서 인간과 환경을 아우르는 자연에 관한 새로운 논의가 필요하였다. 자연의 중요 가치를 미술과 교육으로 연관 지어 고찰한 결과, 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예술과 교육이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파생된 환경예술과 환경교육은, 차별화를 목적으로 하는 예술과 특화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의 일부로 한정되어 나타났다. 이처럼 자연관점의 미술과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함에도 아직 특정에만 국한된 느낌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자연은 어렵다는 선입견과 객관적 전공 지식인 자연학으로 간주하려는 경향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현대 문명의 출현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은 자연이다. 따라서 적용범위가 줄어들면 그 한계가 드러나듯이, 현실에서의 미술과 교육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자연은 더없이 중요한 요소이다. 21세기의 예술과 교육은 순수 자연성이 요구되며, 부분과 전체를 아울러 변화와 흐름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단일 분야에 국한된 것이 아닌, 서로 다른 분야와 영역으로 탐구해도 자연형상으로 드러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가치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하는 자연에 대한 해석은, 새로운 시대의 요구를 따르며 미래의 잠재성을 포괄한다. 연구자는 조화로운 미술교육을 위해,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자연은 무엇이고 어떻게 미술로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의 기초를 이루는 학문과 학문의 바탕을 이루는 지식은 16세기 환원주의를 기점으로 깊고 넓어졌다. 이러한 진리의 다원화 과정에서, 미술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자연을 인식하는 것이 자연미술이며 교육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자연을 인식하는 것이 자연교육이다. 따라서 자연미술교육은, 미술교육을 위한 자연을 이론적으로 규정하는 일이다. 이러한 이해를 넘어, 예술과 교육을 비롯한 국가와 인간이 추구해야 할 지향점은 ‘자연을 위한 삶’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우리의 일차적 과제는, 자연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 있다. 현대에는 자연미의 원리를, 예술과 교육에서 찾고 삶을 구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이에 분리된 삶으로 나뉜 서로 다른 분야의 영역과 장르는,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루소(Jean Jacques Rousseau)를 지나 르네상스의 다 빈치(Leonardo Da Vinci)를 거쳐 다윈주의의 진화론과 종의 기원을 만날 때, 자연이 함께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고전과 실체로서의 재생과 부활을 통해 하나의 영속적인 생명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처럼 자연의 침묵으로부터 우리의 변화를 주시하면, 자연을 사랑하게 되어 보다 건강한 미래를 낳게 된다. 더불어 자연미술교육을 바탕으로 환경문제가 극복되길 바란다. Abstract Developing Programs for Nature Art Education -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 Kim, Hyo Jung Major in Fine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Seo, Dong Suk)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8th century, and war and revolution in the 20th century, environmental pollution has been exacerbated and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Rachel Carson wrote a book that argues that environmental issues caused by modern civilization depleted natural diversity and the nature is silent even during the spring. Warning that technology fervor destroyed our life and threatens human existence, Silent Spring, published in 1962, rewrote the history of human environment and received worldwide attention. Environmental issues and nature brought change to worldview. As the attention to worsening environment increases worldwide, natural sentiment became more important than rational discussion. Despite the end of environment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with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 new horizon opened up toward environment. Modern art and education that has been extended from modernist worldview has been developed based on methodology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individual capacity, aiming for human growth. However, at this time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ature, Korean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talent training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and art education on balanced development of reason and emotion through visual expression. Therefore, a new discussion on national education became necessary regarding nature that embraces human and nature. As a result of discussing important values of nature by linking art and education, it became apparent that art and education focused on environment arose. Environment art and education derived from this problem was shown limitedly as part of art that aims at differentiation and education for specializ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art and education from the naturalistic point of view, it still seems limited to certain areas because of the prejudice that nature is a difficult subject and limited to specialized knowledge. However, nature is still important even after modern civilization. So in reality, because art education is bound to be very limited nature absolutely important. Art and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pure naturalism and more effort will be made to understand the overall change and current. Research shows that exploration in different fields and areas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nature. Likewise, interpretation of nature based on important values follows demand of the new era and includes potential of the futur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art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author conducted a study on ‘nature and education of nature for students through art’. In conclusion, academy that forms basis of education and knowledge as foundation of academy, expanded from the 16th century reductionism. Nature art helps recognize nature in order to understand art better in the process of pluralism and nature education to understand education better. Therefore, nature art education defines nature for art education theoretically. Art, education, government, and human must focus on ‘life for nature’ rather than simply understanding it. Therefore, our primary task is to understand nature. In modern society, very few people seek principles of natural beauty in art and education. Nature can accompany life when we go back to Rousseau’s argument to return to nature, Da Vinci in renaissance, and the origin of species by Darwinism. Therefore,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nature, recreation and resurrection will lead to eternal life. Watching our change in silence of nature can bring more healthy future by loving nature. In addition, the author wishes that nature art education will help overcome environmental issues.

      • 초등학생의 놀이중심 체육수업 참여를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한국체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초등학생의 놀이중심 체육수업 참여를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생활체육전공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놀이중심 체육수업 참여를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최근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놀이중심 체육활동을 바탕으로 초등학생들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체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초등학교 정규 체육 교육과정의 체육활동에서 놀이중심 교육이 활성화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S.J.초등학교에서 정규교육과정의 체육수업에서 놀이중심의 체육수업을 경험해 본 초등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이후 비확률표본추출방법 가운데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27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SPSS Version 2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놀이중심 체육수업을 통한 집단 간 사회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년에서 6학년이 3학년보다 협동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중심 체육수업을 통한 집단 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신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년에서 6학년이 3학년보다 자신감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놀이중심 체육수업을 통한 사회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성의 협동성과 근면성이 자신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의 협동성, 책임성과 근면성이 자기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성의 협동성과 근면성은 과제난이도를 높게 선호하는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 Kim, Hyo Jeong Major in Life-Time Sport Graduate School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cent growing popularity of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play-based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regular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elected trainees who S. J.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ho had experienced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as a population, and 27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sampling convenience samples from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Based on th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bl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3.0,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sociality between groups through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was found that sixth graders in grade perceived higher cooperation than third graders,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mong groups through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male students in gender were significantly more confident and prefer task difficulty than female students, and sixth graders were significantly more confident than third graders. Secon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mpact of sociality on self-efficacy through play-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wed that sociality's cooperation and dilig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fident, and cooperation and diligenc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egulatory ability, and sociality's cooperation and dilig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endency to prefer task difficulty.

      •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김효정 아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공감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편의 표집 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통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중소도시에 재학 중 인 중,고등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각 변인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 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측정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집단 t검증을 실시, 부-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공감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간접효과를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회귀분석을 실시, 마지막으로 Sobel Test를 추가로 실시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공감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한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공감,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모-자녀 간 의사소통, 공감과 대인관계유능성의 하위 영역에서, 자기 노출, 정서적지지 및 조언, 대인갈등 다루기의 세 영역이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는 여자청소년이 관계 지향적이므로, 동성의 주 양육자인 모와 개방적인 관계를 맺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여학생들이 관계 중심적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생각과 느낌을 잘 알아차리고 표현 하여 공감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학교 급 에서는 중학생이, 부모- 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에서 처음 관계 맺기, 타인에 대한 불쾌감 주장, 자기노출이 유의하게 높았다. 대학입시가 중요한 한국의 사회분위기로 인하여 학업에 대한 성취 압력이 고등학생 자녀에게 더욱 가중되기 때문 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감은 유의미하게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공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공감이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청소년은 발달시기와 따라 성별에 따라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다르게 인식함을 밝혔다. 그러므로 청소년 자녀의 부모는 자녀의 발달과 특성을 인지한 상태에서 자녀의 생각과 감정 등을 잘 수용하고 공감하는 개방적인 대화를 함으로서 자녀가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여러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를 잘 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정책적으로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 할 때,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함을 강조 하고, 청소년들의 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 시기적절하게 조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 일-가정 양립 갈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와 모의 인식차이 비교

        김효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개인의 삶과 일의 균형을 이루는 복지가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일-가정 간의 갈등을 줄이고 삶의 질을 증진 시키는 새로운 관점이 대두되고 있다. 오늘날 개인은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일과 가정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해야 하지만, 일과 가정의 역할은 서로 밀접하게 연계된 상호의존적인 특성으로 인해 상호간 끈임 없는 긴장과 갈등을 유발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유아기 자녀가 있는 부모의 경우 일과 가정에서 주어진 역할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간과 에너지가 요구되지만, 장시간 근로와 일 중심의 조직문화로 인하여 가사노동과 자녀 양육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 부족하고, 이는 일-가정 양립 갈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 문제는 가정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유아의 정서·행동 발달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사회·환경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일-가정 양립 갈등, 양육스트레스, 부정적 양육태도, 부모역할만족도 및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7세 유아를 양육하는 맞벌이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 521부를 구조방정식 모델 및 다중집단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일-가정 양립 갈등은 양육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부정적 양육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스트레스는 부정적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역할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모역할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유아 문제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역할만족도는 유아 문제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가정 갈등과 부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와 부모역할만족도,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와 모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유아의 정서·행동 발달에 있어 부모의 일과 삶의 균형과 이를 통한 부모역할만족도 제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일과 삶의 균형을 촉진하고, 나아가 유아의 바람직한 정서·행동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정책 수립 및 가족지원 복지서비스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Recently, as the welfare that balances personal life and work has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a new perspective to reduce work-family conflic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emerging. Today, individuals must properly perform the roles of work and family in order to lead a successful life, but the roles of work and family pose a problem of causing constant tension and conflicts due to the interdependent nature of work and family, which are closely link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 adequate time and energy are required to successfully perform the roles given to them at work and at home, but due to long hours of work and work-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the absolute time required for housework and child rearing is not satisfied and this causes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The problem of parents'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as such has negative effects o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behaviors at home, and negatively affects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empirically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parenting stres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order to identify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parents that affect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working parents raising children aged 3-7 years, and 521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o test the study hypothesis utili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parenting stress, but no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econd, parenting stress was shown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but no significant effect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ir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shown to have negative (-) effects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positive (+) effects 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Fourth, parental rol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negative (-) effects 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between father and mothe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s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parental work-life balance and enhancing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rough the foregoing for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by identify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of working parents affect problems behaviors of childre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vity to promote parents’ work-life balance, the establishment of family policies to promote children’s desirabl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welfare services to support families.

      • 국내 1인 미디어, MCN 콘텐츠 산업 현황과 진흥 및 규제 정책 연구

        김효정 동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성장한 1인 미디어 콘텐츠 산업과 MCN을 바탕으로 더 나은 창작 문화 발전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MCN은 창작자들에게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개인 창작자들은 기존의 플랫폼이 제공하는 시스템 안에서 광고 수익을 창출하거나 MCN을 통해 형성된 비즈니스 협상력을 바탕으로 광고주와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창작자들에게 성과와 재정 분석, 시장정보 제공, 광고주와 직접 연결, 창작자들 간의 교류 및 네트워크 형성, 콘텐츠 관리 시스템, 저작권 문제 해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콘텐츠에 맞추어 고유의 광고를 제작하는 등 광고주에게 콘텐츠 창작자들의 시장 영향력을 제공하여 인터넷 동영상 산업의 확고한 축으로서 자리매김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2013년 CJ E&M이 국내 최초로 설립하여 2017년 10월 현재 1134개의 유튜브 채널을 보유한 국내 최대 규모의 MCN인 다이아TV(DIA TV)와 아프리카BJ라고 하는 국내 시장 고유의 크리에이터 시스템을 통해 국내 MCN 산업의 기반을 이룬 것으로 평가되는 아프리카TV(afreecaTV), 스타트업으로서 대기업 주도의 형태를 벗어나 투자 유치 등을 통해 순수한 MCN 사업자로 크리에이터 중심의 사업 시스템을 구축한 트레져헌터(Treasure Hunter) 등이 MCN 산업을 선도하고 있었다. 국내 1인 미디어, MCN 산업의 성장 과정에서 작용한 진흥 정책에 대하여 국내의 콘텐츠 진흥 정책은 집행 조직과 정부 재정, 관련 법률, 기본계획 4가지를 축으로 운영되며, 위에서 서술한 국내 MCN 산업의 성장 배경에서 특히 1993년 이후 지속되어온 콘텐츠 진흥 기본계획에서 일관되게 문화콘텐츠 진흥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책적 관심이 결국 문화콘텐츠 관련 예산의 증가로 귀결되어 문화 콘텐츠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1인 미디어 창작자들의 출현, MCN 사업자의 등장이 콘텐츠 진흥 정책의 흐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국내 1인 미디어, MCN 산업에 적용되는 규제 정책을 살펴보면, 이처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1인 미디어 콘텐츠와 MCN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와 관련된 규제체계 마련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단계로 볼 수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자율 심의기구 또는 자율규제기구에 의한 규제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자율 심의기구 또는 자율규제기구에 의한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 활동 및 MCN 산업에 대한 규제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질것인지에 대한 관심과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propose policies for a better development of the creation culture based on the framework and current conditions of MCN(Multi Channel Network) industries. As an explorative research on the promotion and regulation policy related to MCN and independent media contents industry (which developed through internet), it organizes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MCN industries and studies the promotion and regulation policies related to it. MCN builds up the network by providing different values to the creators. Individual creators make advertisement profit within the system which provides the existing platform or they connect directly with the advertiser by following the business negotiation plan formed by MCN. MCN also provides analysis on outcome and finance, information on markets, direct connection with the advertiser, exchange and network between creators, system to manage contents, services to solve issues regarding copyright, creating advertisements attuned withthe contents and delivers to the advertiser the effect of contents market on the creators. This then helps the Internet video industry to have a firm basis. CJ E&M being the first in the country to have established MCN business in 2013, has become the biggest MCN, with DIA TV which at present contains 1134 Youtube channels. Through domestic market characteristic creator system called ‘Afreeca BJ’, Afreeca TV (assessed to have become a domestic MCN business), as a start-up, it has deviated from leadership of large conglomerate businesses and through investments it is pioneering into Treasure Hunter kind of MCN, a business system focused on the creator. The promotion policy which resulted in the growth of MCN industry was due to the 4 factors i.e. the executing organization, finance from government, pertaining laws and basic plan. After 1993, with the growth of MCN industry in the background, there has been continuity in the basic contents promotion plan and it has consistently showed policy related interest in cultural contents. This kind of interest resulted in the increase of budget for cultural contents which therefore resulted in government showing policy related interest on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refor the emergence of independent media creators and MCN businesses has helped in the flow of contents promotion policy. On examining the regulations that apply on domestic independent media and MCN industry, the media contents and MCN industry based on internet has shown rapid growth. This has led to the debate on framing a regulatory system for Internet video system. Along with this, regulation on autonomous consulting organization or autonomous regulatory organization can be achieved. Therefore, there needs to be a continuous discussion on the direction that will be taken by the regulation of independent media content creation and MCN industry which is based on autonomous consulting organization and autonomous regulatory organization.

      • 의료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를 매개하여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D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김효정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number of subjects who conducted a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of inpatients at D General Hospital.It was intended to find out how the quality factors of medical services affect the intention to reuse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by type of oriental medical use,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The data was collected over the course of 14 days from July 1, 2020, to July 14. 371 inpatients excluding insufficient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by receiving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by D General Hospital, and 28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statistical analysis data, excluding missing and inconsistent peop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18.0 program through a coding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each variable, the average score for each medical service quality factor item was 8.344±1.275, followed by kindness 8.304±1.199, medical expertise 8.182±1.250, hospital procedures 7.908±1.382, and hospit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7.729±1.426. Customer satisfaction, a parameter, was 8.082±1.275 points, and reuse intention, an independent variable, was 8.383±1.320 points. Second, the quality factor of medical services is positive.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by type of oriental medicine medical use, and as a result, Western hospitals significantly affected hospit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ß=0.191, p=0.005), hospital procedures (ß=0.236, p=0.005), medical expertise(ß=0.220,p=0.021)and customer satisfaction. Third, the quality factor of medical services is positive.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each type of oriental medical use on reuse intention, and as a result, Western hospitals showed that hospital procedures (ß=0.286, p=0.003) and kindness (ß=0.228, p=0.038)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use(ß=0.550, p=0.67) and interest and explanation. Fourth, customer satisfaction is positive.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each type of oriental medical use on reuse intention,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ustomer satisfaction (ß=0.807, p<0.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in Western hospitals, and customer satisfaction (ß=0.815, p<0.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Fifth,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ervice quality factors and reuse intention, Western medicine hospital conducted a Sobel te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reuse inten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procedures and reuse intention of medical service quality was conducted as Z=9.918 (p<0.001) Since the absolute value of Z is 1.96 or higher,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s Z=10.122 (p<0.001) Since the absolutevalueof Zis1.96 or higher.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ervice quality factors and reuse intention, Oriental medicine hospital conducted the Sobel t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medical service quality and reuse intention,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Z was significant as Z=2.487 (p=0.012), and the absolut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was1.640(p=0.98). Sixth, as a result of compar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was 8.11±527 points in their 30s, 8.34±1.363 points in their 40s, 7.80±1.090 points in their 50s, 7.94±1.339 points in their60s,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32).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esent suggestions for competitive and sustainable hospital management while actively responding to the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positive (+) effect of medical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management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D 종합병원에서 입원환자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연구 대상자로 양.한방 의료이용형태별로 의료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를 통해 재이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고객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입원환자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연구대상자의 의료 서비스 품질를 독립변수로 규정하고, 고객만족도을 매개변수, 재이용의도을 종속변수로 하였다. 독립변수인 의료서비스 품질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병 원시설 및 환경, 병원절차, 진료전문성, 친절성, 환자에 대한 관심과 설명의 5개요인을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7월 1일부터 2020년 7월 14일까지14일간이었다. D 종합병원이 수집한 자료를 이차적으로 활용하여 수집된 설문지자료를 받아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입원환자 371부를 최종 취합하였으며, 이렇 게 얻어진 데이터 중 결측 및 불성실한 설문지 87부를 제외하여 입원 284부의 유효설문지를 통계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코딩과정을 거쳐 IBM SPSS statistics version 18.0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서비스 품질 구성항목들의 통계 분석 결과 항목별 평균점수는 관심과 설명이 8.344±1.27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친절성 8.304±1.199점, 진료전문성 8.182±1.250점, 병원절차 7.908±1.382점, 병원시설과 환경 7.729±1.426점 순으 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고객만족도는 8.082±1.275점, 독립변수 인재이용의도는8.383±1.320점이었다. 둘째, 의료서비스 품질이 양.한방 의료이용형태별로 고객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양방병원은 병원시설과 환경(ß=0.191, p=0.005)과 병원절차(ß=0.236, p=0.005) 와 진료전문성(ß=0.198, p=0.049)과 친절성(ß=0.220, p=0.021)이 고객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방병원은 병원시설 과 환경(ß=0.287, p=0.027)과 진료전문성(ß=0.495, p=0.001) 고객만족도에 통 계적으로유의하게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의료서비스 품질이 양.한방 의료이용형태별로 재이용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양방병원은 병원절차(ß=0.286, p=0.003)와 친절성(ß=0.228, p=0.038)이 재이 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방병원은 병원시설과 환경(ß=0.550, p=0.007)과 관심과 설명(ß=0.661, p=0.006)가 재이 용의도에통계적으로유의하게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넷째, 고객만족도가 양.한방 의료이용형태별로 재이용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양방병원 은 고객만족도(ß=0.807, p<0.001)이 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방병원은 고객만족도(ß=0.815, p<0.001)이 재 이용의도에통계적으로유의하게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다. 다섯째, 의료서비스 품질와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도의 매개효 과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결과, 양방병원은 의료서비스 품질의 병원시설 및 환경와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도의 매개효과가 Sobel test를 실시 한 결과, Z=10.440(p<0.001)로 Z의 절대값이 1.96이상이므로 고객만족도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의료서비스 품질의 병원절차와 재이용의 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도의 매개효과가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9.918 (p<0.001)로 Z의 절대값이 1.96이상이므로 고객만족도의 부분매개효과가 유 의하였고, 진료전문성과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도의 매개효과가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10.122(p<0.001)로 Z의 절대값이 1.96이상이므로 고객만족도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친절성과 재이용의도의 관계 에서 고객만족도의 매개효과가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9.984(p<0.001) 로Z의절대값이1.96이상이므로고객만족도의부분매개효과가유의하였다. 한방병원은 의료서비스 품질의 병원시설 및 환경와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도의 매개효과가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2.487(p=0.012)로 Z의 절대값이 1.96이상이므로 고객만족도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진료전 문성과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도의 매개효과가 Sobel test를 실시 한 결과, Z=2.640(p=0.008)로 Z의 절대값이 1.96이상이므로 고객만족도의 완 전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관심 및 설명과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 도의 매개효과가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2.993(p=0.002)로 Z의 절대값 이1.96이상이므로고객만족도의부분매개효과가유의하였다. 여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객만족도, 재이용의도 비교한 결과, 연령에 따른 고객만족도의 차이는 30대 8.11±.527점, 40대 8.34±1.363점, 50대 7.80±1.090점, 60대 7.94±1.339점, 70대 이상 8.36±1.275점으로 나타났고, 통계 적으로유의한차이가있는것으로나타났다(p=0.032).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의료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 경영성 과에 미치는 정(+)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병원들이 급변하는 의료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면서 경쟁력 있고 지속가능한 병원 경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