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燐酸鹽이 쌀 澱粉의 리올로지에 미치는 영향

        김일환 단국대학교 1984 국내박사

        RANK : 247647

        燐酸鹽이 멥쌀(아끼바레 및 밀양30호) 및 찹쌀 澱粉의 糊化度와 리올로지(rheology)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산염은 sodium polyphosphate 80%, sodium hexametaphosphate 7% 및 potassium polyphosphate 8%로 이루어진 縮合燐酸鹽(67%, P_(2)O_(5))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농도는 전분 또는 쌀의 무게비로 0.3 %이였다. 전분의 호화에 필요한 최저 수분은 아끼바레가 43%, 밀양30호 및 찹쌀이 45%이었다. 인산염의 첨가시에는 멥쌀 전분의 호화에 필요한 수분함량은 40%로 감소되었으며, 찹쌀 전분의 경우에는 변화가 없었다. 전분의 호화에 필요한 최저온도는 멥쌀 전분의 70℃, 찹쌀 전분이 65℃이었다. 인산염은 쌀 전분의 호화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동일한 가열온도에서 인산염의 첨가시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찹쌀 전분의 경우 인산염의 효과는 볼 수 없었다. 멥쌀 전분 현탁액(5%)은 65℃에서, 찹쌀 전분현탁액(5%)은 60℃에서 의가소성 유체(pseudoplastic fluid) 의 거동을 보였다. 인산염의 첨가시 멥쌀 전분은 의가소성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 반면, 찹쌀 전분의 경우에는 뚜렷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인산염은 전분현탁액의 유동의 활성화 에너지(activation energy)값을 약 2 배 증가시켰다. 쌀 전분 호화액(5%)은 항복응력(yield stress)을 갖는 의가소성 유체(즉, 빙햄 의가소성유체)의 거동을 보였다. 인산염의 첨가시 쌀 전분 호화액의 항복응력 값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분 호화액을 90℃에서 1시간 유지한 경우 멥쌀전분 호화액의 항복응력 값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찹쌀 전분 호화액은 10배 정도 감소하였다. 밥의 노화 시간상수(속도상수의 역수)는 아끼바레가 6.80, 밀양30호가 6.72, 찹쌀이 28.17일(日)이었다. 아끼바레 및 밀양 30호의 경우 시간상수는 인산염의 첨가시 각각 1.22 및 1.53배 증가하여 현저한 노화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찹쌀밥의 경우에는 변화가 없었다. 인산염은 아끼 바레 및 밀양30호 쌀밥의 노화속도를 각각 14.0 및 27.0% 감소시켰다. The effect of phosphate on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rice starch and firming rate of cooked rice has been investigated. Nonwaxy varieties of a Japonica type(Akibare) and an Indica type (Milyang 30) and a waxy variety of rice have been dehulled and abrasively polished 8% by weight. 'Phosphate (67%P_(2)O_(5)) is composed of sodium Polyphosphate (85%), sodium hexametaphosphate (7%) and potassium polyphosphate (8%). The concentration of phosphate employed is 0.3% based on the weight of starch or rice. 1. The gelatinization of rice starch has been deteimined by X-ray diffractometry. When the decrease in peak height of component of the native starch (0% gelatinization) as the built-in internal standard is related to the original peak of this component, a linear relationship has been obtained between the decrease in crystallinity and the degree of gelatinization(R^(2)=99.80%). The minimun moisture content for the gelatinization of Akibare starch is 43%, and that for Milyang 30 and waxy starch being 45%. Phosphate has lowered the minimum moisture content for the gelatinization of nonwaxy rice starches to 40%. The minimun temperature for the gelatinization of 5% non-waxy and waxy starches are 70 and 65℃, respectively. Phosphate has exerted no effect on waxy rice starch. However,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of rice starches at the same temperature has been found higher in the presence of phosphate, except waxy rice starch. 2. Rheological properties of 5% starch suspension has been investigated using a tube viscometer. Nonwaxy and waxy rice starch suspensions at 30-60℃ and 30-55℃, respectively, has had no yield stress and showed dilatant flow behavior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phosphate. However, nonwaxy starhes at 65℃ and waxy starch at 60℃ have been found to be pseudoplastic flows Flow activation energies for rice starch suspensions are 0.88-1.45 ㎉/㏖e at 30-50℃ and about 45-73 ㎉/㏖e at 60-65℃. Flow activation energy in the presence of phosphate is 90-182 ㎉/㏖e at 60-65℃. Akibare starch has the highest activation energy, and waxy starch the Lowest. 3. Rheological properties of gelatinized rice starch solutions (5%) have been examined with a Brookfield viscometer. Gelatinized rice starch solutions have showed pseudoplastic flow having yield stress, i. e., Binghamplastic flow behavior. The yield stress of gelatinized rice strarch solutions has been reduced by the phosphate. Phosphate has increased the pseudo-plasticity of gelatinized nonwaxy rice starch solutions, but decreased that of gelatinized waxy rice starch solution. The yield stress of gelatinized nonwaxy rice starch solutions held for one hour at 90℃ has been slightly decreased, but that of waxy starch solution has been reduced by 10-fold. Phosphate has reduced the yield stress for both gelatinized nonwaxy and waxy rice starch solutions. Phosphate has decreased the consistency index, but has not affected the flow behavior index of the gelatinized rice starch solutions. 4. The time constants (reciprocal rate constant) for the staling of cooked Akibare, Milyang 30 and waxy rice are 6.80, 6.72 and 28.17 days. The time constants for Akibare and Milyang 30 have increased by 1.22 and 1.53-fold,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phosphate. Phosphate has had no effect on the firming rate of cooked waxy rice. Kinetic studies indicate that the primary effect of phosphate decreasing the firming rate of cooked nonwaxy rice is to reduce the amount of starch components available for crystallization. Of the total amount of starch components available for crystallization of cooked nonwaxy rice, about 52% have been crystallized during storage of cooked rice at 2l℃ for 5 days. Phosphate has reduced the firming rate of cooked Akibare and Milyand 30 rice by 14.0 and 27.0%, respectively.

      • 교면포장 재료로서의 OPC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보고서

        김일환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bridge pavement is to protect the floor plate of the bridge from traffic and environmental loads and to secure the drivability and safety of vehicles. cement concrete bridge pavement means a bridge pavement whose surface layer consist s of a cement concrete layer.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me thod, it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an integral (exposed) brid ge paving method and an overlay type bridge paving method. In Korea, in the 1980s, integrated (exposed) bridge surfaces were mass-applied centered on the Jungbu Expressway, but in some bridges, the thickness of the exposed floor plate did not meet the design value, and if the curing of the material was inadequate, the durability deteriorated and cracks occurred. Due to damage to the floor plate due to corrosion of rebar, the exp anded application was stopped. Since the 2000s, modified concre te materials centered on visible LMC (latex modified concrete) have been successfully introduced into overlay bridges, and var ious types of modified concrete such as high performance concr ete (HPC) and E-LMC have been applied so far. to b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ptimal material for a ordiniry Portland cement-based bridge pavement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and research cases and commonality analysis, evaluate its applicability indoors and initial compatibility through test pavement, and finally We a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ordinary Portland cement-based bridge pavement construction manual', and the following conclu sions have been drawn. Although the quality of the concrete mixture showed some fluctuations, the overall workability was evaluated as good. In particular, by securing a certain viscosity, material separation did not occur at all, and excessive bleeding did not occur. Despite the slope of the bridge, the concrete maintained a constant sha pe without any flow after finishing. In some construction proce sses, there was a case where the mixture had to wait for a lo ng time. At this time, there were parts where the tinting was not properly installed, and both ends of the bridge without roller pavers were installed by manpower. existed. Nevertheless, the overall surface condition was evaluated as goo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was 44.0Mpa at the age of 28 days, which satisfies the standard sufficiently, and the adhesion strength fell short of the standard value at some points, but showed good overal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visual inspection, no cracks occurred at the end of March 2018, and the road surface condition was evaluated as good. In terms of economic feasibility, compared to bridge paving materials using existing modifiers, in terms of material cost, it is up to 25% higher than before, and it was evaluated that it can bring about 27% reduction in construction cost in terms of overall construction cost. Therefore, if its performance is clearly identified in terms of continuous pilot projects and long-term utility,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ordaniry Portland cement-based bridge paving materials in the existing modified concrete-centered bridge paving market is expected to increase.

      • 선택적 에미터를 통한 대면적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김 일 환

        김일환 세종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xplosion of PV production across the globe in the past few years has shown the possibility for opening new renewable energy era, especially in solar as one of the promising energy sources. Though we are passing through the dimly lit tunnel of tough solar market, facing drop in prices and reorganization of solar market today, we can expect more bright future in the very near future for the increase in PV installation year by year and emerging new markets.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today’s solar cell research and manufacturing is to reduce cost per watt peak. This can be achieved not only 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cells but also by increasing the cell efficiency with only moderate raise of the cell production cost. Cell concepts such as the HIT cell of previous Sanyo or the IBC cell of Sunpower are concepts that generally achieve very high efficiencies, but suffer from increasing production costs. Currently, the standard cell process by applying screen printed front side electrode on top of a SiNx ARC and full area rear side metal contact dominates the PV market, and besides some companies are trying to increase cell efficiency with few additional processing steps. This work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the cell efficiency by adopting laser Doping and etch paste for fabrication of selective Emitter solar cells. These two methods allow selective emitter formation with low doping regions between fingers, enhancing blue response by lowering the surface recombinations. In this paper, we have carried out optimization of laser Doping and etch paste process. Laser Doping i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thermal annealing to form PN juctions in silicon solar cells. The laser processing has many advantages such as simple and low temperature process, high throughput, and low cost of ownership. For fabrication of selective low sheet resistance regions, we have used phosphosilicate glass layer as an dopant source, which was produced after furnace diffusion. Etch paste method also has advantages such as good uniformity, high efficiency compared to other methods. In this paper, I-V measurement, IQE measurment and lifetime mapping analysis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elel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several batches of selective Emitter solar cells. We have achieved the efficiency of 18.88% and 19.05% by using the laser Doping and etch paste process, respectively. Although the cell efficiency in selective Emitter solar cell fabricated by using etch paste is better than that of the cell by laser Doping, the laser Doping can be applied to conventional manufacturing systems directly because the laser Doping needs only single additional step. On the other hand, for the case of etch paste, three more additional process steps are needed to form selective Emitter when compared with the laser Doping process. By comparing two methods for fabrication of selective Emitter solar cells, we have shown the laser Doping is more useful method for applying industrial solar cell fabrication.

      • 한경직 목사의 신앙과 민족의식 연구

        김일환 성공회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경직 목사의 민족의식과 신앙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가지고 쓰여졌다. 그것은 한경직이라는 거대한 인물에 대한 통합적인 고찰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한경직이 민족의식을 형성하는데 있어서는 어린 시절 오산학교에서의 교육이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조선이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해갈 때 근대지향적 민족의식을 소유했던 기독교인들, 특히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태도를 가지고 자립적 중산층을 중심으로 해서 기독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민족의식을 가지게 된 서북지역의 기독교인들은 국권회복을 위한 애국계몽운동, 즉 자강운동의 형태로 민족운동에 참여하였다. 당시 자강운동을 펼친 대표적인 단체가 신민회였는데, 남강 이승훈은 신민회의 교육구국운동의 방침 아래 오산학교를 설립해서 신교육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한경직은 오산학교에서 남강 이승훈과 고당 조만식으로부터 교육과 개인적인 감화를 통해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는데, 한경직이 받은 교육은 한마디로 기독교적 민족주의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기독교 신앙과 민족의식이 괴리감 없이 결합되어 있어서 기독교 신앙이 민족운동의 내적 동력이 되고 그 신앙이 강하면 강할수록 민족의식 또한 강렬해지는 형태의 교육을 통해서 한경직의 민족의식은 형성되었다. 한경직의 기독교 신앙은 사회참여적 성격이 강한 기독교 민족주의자로 일컬어지는 홍기두, 우용진, 이승훈, 조만식 등의 영향 아래에서는 사회참여적 신앙을 지니게 되었지만 숭실대학 시기를 거치면서 선교사들의 직접적인 영향 아래에서 경건주의적, 청교도적, 복음주의적 신앙을 전수 받음으로 말미암아 이런 신앙 양태가 이전에 형성된 사회참여적 신앙과 민족의식을 제약하고 이후로 여러 형태의 사회 활동에 있어서 부조화와 모순적 양상을 초래하게 만들었다. 한경직의 경건주의적, 청교도적, 복음주의적 신앙은 해방 후 그로 하여금 사회활동에서 이론적으로는 정교분리의 원칙을 지향하면서도 실제로는 정교유착이라는 모순을 범하게 만들었다. 대표적으로 해방 직후 신의주에서 기독교 사회민주당을 조직했던 것과 이승만 정권과의 관계에서 보여준 밀착적 태도에서 그 모순점이 잘 드러나고 있다. 특히 한경직의 이승만 정권과의 밀착적 태도는 그 당시 한국기독교의 실절(失節)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그의 이런 신앙은 전투적 반공주의의 고착화에 기여했다. 한경직의 전투적 반공주의 입장은 역대 독재정권이 정권수호와 정권연장의 도구로 반공주의를 이용할 때 한국 기독교가 아무 비판없이 독재정권과 이데올로기적 결탁을 하는데 빌미를 제공하게 했으며, 또한 한국기독교가 분단 고착화에 아무런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오히려 분단 고착화의 주도적 세력이 되었다는 비판을 받을 때 한경직 또한 대표적인 기독교지도자로서 그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그리고 한경직이 1960년대와 70년대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전개했던 민족복음화 운동은 한국기독교의 급속한 양적 성장에 기여한바가 있지만 이 시기의 민족복음화 운동은 박정희 정권의 독재와 탄압에 대한 묵인 내지는 적극적 협조를 담보한 상황에서 전개한 운동이었다. 한경직을 비롯한 보수적 기독교 지도자들은 박정희 정권을 위해 하나님의 이름으로 축복하고 기도해주면서도 그 독재 정권 때문에 고난당하는 민족의 상황은 외면한 채 오히려 독재 정권에 항거하는 교회나 기독교인들에 대해서 하나님의 뜻에 어긋난 정치 활동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민족복음화 운동을 전개했던 것이다. 한경직에게 있어서 민족의식과 기독교 신앙이 모순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이유는 그에게 민족의식의 뼈대를 제공해준 이승훈, 조만식 등의 사회참여적 기독교 신앙을 계승하기 보다는 선교사들이 전수해준 경건주의적, 청교도적, 복음주의적 신앙을 자신의 주류신앙으로 선택한 것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 결과로 그의 민족의식은 제약을 받아 왜곡되거나 반쪽에 불과한 민족적 태도를 가지게 되었고 그것이 활동을 통해서 외부로 표출될때에는 부조화와 모순적 양상을 띠게 되었던 것이다.

      • 국어 명사형 어미의 계량적 연구

        김일환 고려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어에는 ‘-음’과 ‘-기’라는 두 가지 형태의 명사형 어미가 있다. 이들은 형태, 통사적으로 그 분포가 다양하고, 그에 따른 의미도 달라서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개 상위문 술어와의 관련 양상을 통해 ‘-음’, ‘-기’의 양상을 통사적으로 구명하려 하거나, ‘-음’, ‘-기’가 보이는 의미의 차이에 주목하여 그 기저의미를 탐구하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로 ‘-음’은 기정(旣定), 완료성, 시제성, +대상성 등의 의미를, ‘-기’는 미정(未定), 미완료성, 비시제성, -대상성 등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주장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음’, ‘-기’의 연구가 양적으로는 풍부하다 할지라도 몇 가지 점에서 미저 해결되지 못한 점이 있다. 먼저 ‘-음’, ‘-기’의 의미가 학자에 따라 지나치게 다양하게 설정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명사형 어미의 기저 의미를 어느 하나로 파악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제한된 자료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연구자의 직관에 따라 임의로 예문을 설정한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제한된 분포를 보이거나 예외적인 현상에 대해서는 거의 주목을 하지 못해 왔는데, 이는 직관적인 언어 연구가 가지는 한계이기도 하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명사형 어미가 보이는 다양한 양상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특히 주어적 속격의 허가 양상이나 계사와의 결합 양상, 보조사와의 결합 양상 등에서 보이는 중요한 특성들이 기존의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거나 미처 기술되지 못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음’, ‘-기’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말뭉치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대상으로 삼은 말뭉치는 현대국어의 모든 양상을 충분히 포착하기 위해 최근의 현대국어 문어 말뭉치와 구어 말뭉치, 그리고 초기 현대국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역사자료 말뭉치로 구성되었다. 먼저 말뭉치에서 명사형 어미가 보이는 분포를 외적 통합 양상과 내적 결합 양상으로 나누어 추출하였다. 외적 통합 양상에서는 상위문 술어와의 통합 관계, 주어적 속격의 허가 양상, 연어 표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고, 내적 결합 양상에서는 어기, 선어말어미, 보조사, 계사 그리고 문장 종결형으로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결과들을 귀납함으로써 명사형 어미 ‘-음’은 [존재성]을, ‘-기’는 [비존재성]을 의미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의미가 말뭉치에서 나타난 명사형 어미의 다양한 분포를 적절히 설명해 줄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