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직업기술대학 플랜트엔지니어링 교과과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CAD 교과목을 중심으로
강경하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Auto CAD의 보급으로 인하여 Auto CAD의 교육 또한 현실에 적합하도록 이루어지고 있지만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에서의 요구하는 기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교육생들의 수준은 확연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내 직업기술대학 내의 D캠퍼스에서 산업설비자동화과 교육을 이수중인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산업체가 요구하는 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 인력의 수준과 교육생들이 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 인력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받아야 하는 교육과정 및 교육수준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플랜트 엔지니어링 산업에서의 기본직무인 도면 작성 및 도면 해석에서 사용되고 있는 Auto CAD의 쓰임에 대해서 그 범위를 한정하였다.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현재 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 인력이 갖추어야 할 기본직무인 기초도면작성에 대한 교육으로는 Auto CAD를 이용한 2차원 도면작업이 대부분의 교육시간으로 할애가 되고 있어 실제적인 기업체에서의 요구하는 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 인력의 수준과는 많은 차이가 나타나면서 기술 인력 수급 후에도 기업체에서는 따로 직무교육을 해야 하는 현실로 고충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교육을 받는 현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적으로 가장 기초적인 설계도구인 Auto CAD 프로그램의 교육기간의 짧음으로 인해서 실무로 투입되는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시킬 수 있었다. 3) 교육생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교육생들에게 필요로 하는 교육이 어떠한 부분인지를 알고 있지만 이를 충족해 주지 못하는 교육과정으로 인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바 이를 개선한다면 교육생들의 보다 나은 전문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4) 또한 산·학계의 더 많은 교류로 배움의 길에 서있는 교육생들에게 자신들이 택한 길의 행보에 대한 이해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육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임동진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최근 제조업의 이슈 중 하나인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기술을 기반으로 제조 전 과정을 자동화•지능화하여, 최소의 비용 및 시간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미래형 공장이다. 공장 내 설비와 기계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수집•분석되어 공장 내 모든 상황들이 일목요연하게 보여지고, 이를 분석해 목적된 바에 따라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공장이다. 프로세스 산업군에 속하는 압출 산업에서도 이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프로세스 산업군의 제품 특징은 대체적으로 대형화, 비정형화, 연속화된 생산공정을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압출회사인 K사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례를 살펴본다. 먼저 스마트팩토리의 전체 구조와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제품코드체계 설계 및 구현, NFC를 통한 생산 실적자료 입력 방법 설계 및 구현, 외부 서버데이터를 활용한 EXCEL 프로그램을 통한 분석 방법 구현 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스마트팩토리 구현을 통하여 사례기업은 업무처리 시간단축이라는 유의한 결과를 얻었고 결론적으로 업무 편리성이 증가되는 결론을 얻었다.
문철환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dustrial structure of Korean textile and apparel industries, and is to seek the plan to innovate the their structure. Korean textile industry, which served as the engine for our country's economic miracle in the 1960s, propelled Korea from a very undeveloped state to the upper echelon of the world's economic powers. Despite sluggish growth in recent years, the domestic textile industry remains a potent force. The companies in upstream textile industry are large as well as capital and technology intensive. Middle stream textile industries are small and medium as well as labor intensive depending on old equipments. In order to be more competitive, textile industry needs to develop more value-added and high quality product, responds quickly to the changes of demand patterns, enhances the capabilities if technological development, trains and educates human resources,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o increase export. Small-medium firms in middle stream should specialize in specific process like Italian firms so that firms networking whole process generate synergy effect of specialization. Upstream industries play a major role in innovation like Japanese firms utilizing economies of scale and or scope through vertical integration among development ? production ? marketing as well as horizontal differentiation of product in order to respond to market demand. This activity takes place along a variety of supply chains, including clothing, transportation, building construction, health care, home textiles, sports & leisure, military & defence amongst others.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was characterized by great scientific developments in microelectronics, computer science and biotechnology and these had a tremendous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of textile processing. At the present time,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forecast the future, it is fundamental to endeavor to have a vision of the things to come in a particular area such as textiles. It is certain that the future of textiles will be shaped by trends in science, trade, business, art, culture, communications, politics and so on. Based upon this, the following trends in textile development seem quite to be apparent: ● The textile business is becoming global. ● Textile product development is multidisciplinary and so it should be the subject of team work. ● New and innovative applications of textiles are being sought all the time.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Korean firms' status in terms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dex among international textile industry and prospects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textile industry.
지형인자를 이용한 산사태 발생위험지역의 사방댐 설치 적정성 분석
이호준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산업화와 도시화 등으로 각종 환경오염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인해 호우에 의한 자연재해의 빈도와 규모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2차적인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지난 2011년 7월 우리나라의 중심부를 강타한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인해 우면산 산사태의 발생으로 인적 및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고, 2012년 9월 또한 집중호우로 인해 창원시 해안지역일대가 침수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자연재해의 빈도나 규모가 증가하는 것보다 이에 대비하지 못한 2차적인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의 발생은 공공 및 사유재산에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우면산 산사태로 16명 사망, 2명 실종이라는 인명피해와 351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같은 시간대 경기도 일대에서는 3일간 170여건의 크고 작은 산사태가 발생하여 16명 사망, 298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였다. 또한 2012년 한해에만 492ha의 피해물량 발생으로 970억원 가량의 복구비용이 투입되는 등 재정적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더 이상 자연재해는 단순한 재해로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문제로 자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산지재해의 2차 피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사방댐을 설치되는데, 설치지역의 결정은 과거 산사태 발생지역과 설계자의 주관적 견해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추후 사방댐 설치지역의 객관적 선정을 통한 자연훼손 및 경제적 손실 방지를 목적으로 산사태를 유발하는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 후, 특성 간 GIS 분석기법 및 통계값을 비교·분석하여 사방댐 설치지역의 적정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행 목조건축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이수자와 수요자의 평가에 관한 연구
김가영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wooden building program for graduates and consumer surveys, The goal is to learn to the necessary trai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industrial analysis. Program status through the web site and visit survey was conducted, Each institution's graduates sent questionnaires to more than 250 193 people responded to the General Information for the Curriculum, satisfaction surveys were examined, the wooden building construction and industrial companies sent questionnaires to 250 companies in, Hanok Contractors (35 companies), received a wooden houses Contractors (52 companies), construction companies (22 companies) 109 Companies survey. Analysis for the survey is as follows. (1) Participate in the educational reasons for In order to acquire qualifications for employment or establishment, much higher. (2) Appeared to be the most preferred 5-6 months training period. In addition, was important when selecting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and instructor expertise. (3) Company, the manpower required, human nature education, construction education, Theory of education, curriculum requirements in order. Appeared at the conclusion of the various requirement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 inclu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educational program created progress has been. Of course, the training programs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may vary depending on market conditions and industry conditions.
문영준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흐름 존재시 수동역학적 조건에서 플랑크톤의 침전률 및 최적동수조건 산정과 관련한 연구 성과가 전무한 상황에서 플랑크톤과 같은 미세조류의 효율적인 대량 배양을 위하여, 미세조류의 침전을 최소화 하기위한 최적의 흐름조건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고 선구적으로 체계적인 연구방법 수립을 하기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건설현장 인식 및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유주열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25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으로 인한 중대중소건설사의 대응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설사의 인식과 대응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건설현장의 중대재해처벌법 방지를 위한 안전보건관리시스템의 구축과 관련된 관리 요인들을 문헌고찰을 통하여 정리하고 각각의 안전보건관리시스템의 구축 요인에 대한 현장 사례 조사를 통하여 건설현장의 중대재해방지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에서는 건설현장의 관리 및 안전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 51명을 대상으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식과 법률 주요 항목에 대한 중요도 평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대응 방안으로서 고려하고 있는 인적, 물적 시스템 등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기술 내용에 대한 키워드 분석과 주요 항목의 중요도 순위와 그룹 차이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대재해방지를 위한 안전관리시스템 개선방향에 대해서 경영진의 안전관리 비용투자 인식 개선, 작업장 안전감시인원 확충(불안전 행동 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산업재해 저감효과에 대해서는 대부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안전관리시스템구축과 관련된 핵심현장 업무로서는 중대재해처벌과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관리자 교육, 중대재해 관련 안전장비 및 시설 투자 등에 대해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도급 순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대재해방지를 위한 안전관리시스템 개선방향에 대한 인식에서는 도급순위가 높을수록 작업장 안전감시인원 확충(불안전 행동 관리)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영진의 안전관리 비용투자에 대해서는 도급순위가 낮을수록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대재해방지를 위한 안전관리 활동여부에 대해서는 도급 순위가 높을수록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도급순위가 낮을수록 중대재해 방지를 위한 안전관리 활동 여부에 대해서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도급순위가 높을수록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전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도급순위 1001위 미만 보다 101~1000위 사이의 기업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따른 업무 부담에 대해서는 도급순위가 높을수록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도급 순위가 중간정도인 그룹이 더 높게 나타났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산업재해저감 효과에 대해서는 매우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하는 그룹은 도급순위 100위 이상의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혀 효과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그룹도 100위 이상의 기업인 것으로 나타나 100위 이상의 상위 기업들의 인식이 양극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구성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안전관리시스템과 관련된 근로자 이해, 안전관리시스템의 적용범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기획 요인들 중에서는 안전관리시스템 리스크관리, 안전관리 목표 달성계획작성, 유해 위험요인 확인 및 개선업무 등이 높게 나타났다. 역량 관리 요인들 중에서는 근로자 필요역량 확보·유지조치의 내용 타당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기1회 안전 관리책임자 평가·관리, 근로자 필요역량 확보·유지조치 등의 요인들도 내용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용 능력 관련 요인들 중에서는 도급용역위탁 등 안전보건확보 의무, 중대 산업재해발생 위험대비 매뉴얼비치 등의 요인들의 내용 타당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 개선 관련 요인들 중에서는 재해 재발방지 대책수립 이행조치, 유해 위험작업 안전교육 실시 이행 지시, 안전관리시스템의 지속적개선 등의 요인들의 내용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용량 모터 드라이브 계통 연계 시스템에서의 입력전원 불평형 발생 및 보상방안
김희균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현재 산업현장에서 사용 중인 모터 드라이브용 인버터 시스템을 사용하면 역률제어 및 고품질의 DC 링크 전압 공급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 빈도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입력 전압에 불평형이 생기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 있다. 왜냐하면 불평형 입력전원은 DC 출력 측에는 우함수 고조파, AC 입력 측에는 기함수 고조파를 발생시켜 결국에는 대용량 입․출력 필터가 필요하게 되어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수용가 중 대용량 모터 드라이브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배전계통의 입력전원을 측정하여 전압 불평형율과 어떠한 상태로 전압 불평형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전압 불평형 보상 방안으로는 기존에 연구된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전압 불평형 상태에서 적용한 제어 알고리즘이 저차 고조파를 저감하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김재훈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전북특별자치도 정보소외지역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의 현재 상태를 조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적 확산 방안을 제안함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의 급속한 기술혁신과 산업 융합의 시대에 대도시와 멀리 떨어진 지역의 초중등생에 대한 소프트웨어 교육 확산과 그간의 지원노력을 소개함 전북SW미래채움센터 구축과 교육성과를 소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