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스탤지어 자극을 통한 캠핑활동 참여자의 감정반응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아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Compared to the past when tent was essential for most of tourism activities due to a lack of accommodations, a variety of camping activitie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such as glamping and caravan. The new types of camping activities would remind those who enjoyed camping using the tent in the past of their past camping experiences. It would be a very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f the marketers in the camping industry find out what people would miss for their past camping activities that differ individually.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s of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on the emotional re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camping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reaction and behavior. To fulfill the goals of the study, the population for empirical analysis were those who have done camping at least once and the sampling was condu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the camping sites around Seoul and Gyeonggi area. The analysis of frequenc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samples from empirical survey to find out demographic properti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camping activiti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surement items. The facto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see if the measured variables are abridged into the components conceptualized in the documentary research.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stimuli factors of nostalgia(remembrance, event, environment, sensual experience) on the emotional reaction(sensible emotional reaction, pleasant emotional reaction) drawn from the factor analysis, and the parameter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ether the emotional reaction played a role as parameter between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and behavior.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s in general properties of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and participants in the camping activities by dividing the stimulation of nostalgia into 3 categories and conducting the cluster-tabulation.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two elements of stimuli factors of nostalgia, environment and sensual experience, affected the emotional reaction of people in the camping site, and remembrance factor only affected pleasant emotional rea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reaction of camp participants and their behavior, the study revealed that both of the two factors in the emotional reaction affected the behavior.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stimuli factor of nostalgia applicable to tourism activities by establishing concrete concepts of the variables, and the stimuli factors of nostalgia are expected to provide various marketing implications if the marketers in the camping industry find out and apply the stimuli factors of nostalgia that can draw positive reactions from the camping participants.

      • Blue color와 그 象徵性 硏究 : 西洋 服飾의 色彩를 中心으로

        김아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서양 복식에 나타난 blue의 역사와 복식 색채를 알아보고 blue의 상징성과 외연의 확대를 시도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blue에 대한 복식관련 문헌자료와 신문, 잡지, 인터넷 등의 기사 및 시각자료를 가지고 blue의 서양 복식의 역사의 사례를 들고 그 상징성과 외연의 확대를 논하고자 한다. Blue는 자연에 근원을 둔 색으로, 고대인들은 모래와 잿물을 섞은 구리가루를 주원료로 하는 인위적인 blue 안료를 만들었다. 중세에는 구리 탄산염을 이용한 blue가 발견되었다. 근대 이후에는 과학의 발달로 blue의 종류가 다양해졌으며, 인디고 염료가 발명되어 현재에 가까운 다양한 blue 염색이 가능해졌다. Blue는 시각적으로 불안한 마음을 안정시켜 주는 색이며, 또한 편안한 분위기에 휩싸여 있는 색으로서 일상생활로부터 도피시켜 주는 색으로 작용한다. 의무적 행동이나 지시 등 강제행동표지(mandatory action signs)의 색으로 이용된다. Blue는 그리스 시대와 로마시대에 몇 가지 종류의 복식에서 나타났지만, 전반적인 유행은 없었다. 반면 고대 이집트에서는 장신구와 화장 문화에서 청녹색이 유행하기도 했다. 중세에는 blue가 기독교 안에서 의미가 부여되고 색체계가 변화함에 따라 blue 의복이 남녀 모두의 복식에서 신분에 관계없이 유행하였고, blue의 상징성이 성립되기 시작하였다. 르네상스시기와 근대에는 과학의 발달로 blue의 종류가 다양해 졌으며, blue는 계속 의상의 선호색 중 하나로써 되었다. 현대패션에서 blue는 시대적 분위기나 디자이너의 개인적 생각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표현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blue 이미지가 패션의 기본 키워드로 지속되면서 도시적이며 모더니즘 느낌의 색들이 아름답게 여겨지며, blue는 이제 현대의 시대색으로 떠올랐다. 서양문화에서 blue의 상징성은 첫째, 하늘의 이미지, 둘째, 우울의 이미지, 셋째, 블루진의 이미지로 크게 구분된다. 하늘의 이미지는 다시 신성, 꿈, 미래, 희망, 자유, 스포츠 웨어로 외연이 확대 되었다. 첫째, 하늘은 중세시대의 스테인드글라스에서 보여 지는 지속되기를 바라고, 영원의 바람의 신성이라는 상징성을 성립시켰으며, 신성의 이미지는 다시 기독교와 왕의 상징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또한 하늘의 광대함과 무한함은 꿈, 미래, 희망의 이미지를 가지고 그 이미지는 평화와 낭만의 상징으로 외연의 확대가 되었다. 하늘의 blue는 먼 곳에 대한 동경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자립, 해방감을 가지고 자유와 혁명의 외연의 확대가 되었다. 하늘의 밝고 경쾌하며 활동적인 이미지는 스포츠 웨어와 유니폼의 외연의 확대가 되었다. 둘째, blue에서 우울의 상징성은 더 나아가 암울, 체념, 비극, 불행의 이미지로 확대되어 죽음으로 외연의 확대가 되었다. 셋째, 블루진의 blue는 노동자의 작업복 색으로 기분상징을 일으키며 노동자의 색으로 외연의 확대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점차 이미지가 산업화 되어가는 현대 사회에서, 시각적인 상징효과가 크게 작용하는 색채를 통해, 이것이 가지는 정보 표현과 전달력, 그리고 상징에 기여하는 바를 인식하고, 복식 색채 상징성에서 보여 지는 blue의 다양한 상징성을 연구하며 색채상징으로부터 외연의 확대를 연구하였다. This study inquires the history and the imagery of blue color in Western costumes from ancient to present times and experimenting extended image of Blue. Using documentary records and newspaper, magazine, or internet articles and visual materials, imagery of blue in the Western culture is studied focusing on colored costumes. Therefore, this study will discuss imageries of blue and extension of denotation showing some examples in history of Western costume. Blue is the color that was originated from the nature. Ancient people made artificial dyes from sand, lye and powdered copper compounds. In middle age, blue color using copper was discovered. In modern days, different types of blue emerged as a result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Moreover, the invention of Indigo dye lead to further diversification of blue color dyeing. Blue relieves the anxiety and represents peaceful atmosphere. It acts as an escape from stressful everyday life. It is also used for indicating duties and instructions, and mandatory action signs. In the history of the costume, blue originated from ancient times. The color appeared on several styles of costumes but there was no prevailing style in the period of Greek and Rome. However, blue-green spread abroad in accessories and make-ups in ancient Egypt. During the middle age, blue gained its meaning and place in the Christianity and became a constituent member in the Christian symbol. Consequently, blue became popular in both men and women’s costumes regardless of social status and the symbolism of blue color started to form. During Renaissance and modern days, blue color has been diversified and people wore blue as one of their preferred colors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modern science. In today’s fashion, blue expresses contemporary trends or the individual ideas of designers. In twenty first century, imagery of ‘futurism’has been regarded as basic keyword of fashion and color of future feeling has been considered as beautiful. As a result, blue became representative color of today’s generation. Blue’s imagery can be divided mainly into an ‘imagery of sky’, an ‘imagery of depression’ and an ‘imagery of blue jean’. The ‘imagery of sky’ was extended againinto deity, dream, future, hope, freedom, and sports wear. The image of sky brought imagery of deity as wish for continuation and eternity. The image of deity was extended to imagery of Christianity and a king again. Vast and infinite sky symbolizes a dream, future, and a hope. The images have been expanded to include peace and romance. The blue color of sky has image of longing for a distant place so that the image stands for independence and a sense of freedom. It has been extended to liberty and revolution. Cheerful and active image of sky has extended into sports wear and uniform. Depression imagery of blue has extended into gloominess, abandonment, tragedy and misfortune and death again. The blue color in blue jean has been symbolized as color of working clothes so that it has extended into color of laborer. As discussed above, the diverse imagery of blue color can be applied into today’s fashion design. It will provide a momentum for enlarging the range of the use of fashion colo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brings awareness of imagery of costume and color and discusses extension of denotation.

      • Reconstructing the ‘Domestic’ : The Rise of Evangelical Female Virtue in Mansfield Park

        김아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concept of Evangelical female virtue manifested in the heroine of Jane Austen’s novel, Mansfield Park (1814), and examines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model of domestic ideal presented by this novel. Chapter one examines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virtue” and “religion,” the main themes of the moral theory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explores the epochal tendency of “privatization” based on the devolution of authority from the public to the private. The process of privatization gave rise to the production of modern individual or modern self as a private, free citizen. In this context, this chapter focuses on the position of female individual in domesticity and outlines the concept of Evangelical Female Virtue, which is further presented in the traditional female virtue. Chapter two suggests the two aspects of modern corruption which contributed to the destruction of stable countryside in England. Austen indicates the potential dangers of traditional paternalism that could be transformed into patriarchalism by creating a tyrannical and misguided father figure. She further portrays a skirmish of conflicting values due to the inflow of worldly values from metropolis. Chapter three reveals that Fanny embodies a new ideal of the incorruptible moral agent who cultivates Evangelical conscience and moral principles in her mind as the innermost sanctum of the human. In the process of inventing the archetype of female ideal, Austen politicizes Evangelical female virtu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Fanny as the female authority in the private household as well as the whole society of Mansfield Park. Austen further establishes the model of domesticity through the triumph of the transition from the patriarchal household to the feminocentric household. Chapter four concludes that Austen empowers female authority by locating the greatest virtue in the figure of Fanny Price to appreciate women's roles both in home and society by expanding the scope of domesticity as women's private domain. In this vein, Austen seeks to reflect contemporary desire to establish British empire as the moral empire through Christianization. 본 논문은 제인 오스틴(Jane Austen)의 소설 『맨스필드 파크(Mansfield Park)』(1814)에서 드러나는 복음주의적 여성 미덕(Evangelical female virtue)의 개념을 분석하고, 가정의 영역에 속해 있는 복음주의적 인물들의 자애로운(benevolent) 영향력이 가정의 영역을 넘어 사회의 영역까지 행사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본 소설이 새롭게 제시하는 복음주의적 가정의 이상향의 가능성을 고찰한다. 제 1장에서는 18세기의 도덕 이론의 주요 논제였던 “미덕(virtue)”과 “종교(religion)”가 사유화(privatize)되는 역사적 궤적을 살펴본다. 더불어 공적인 것들이 사적인 것이 되는 “사유화(privatization)”의 시대적인 경향을 밝히면서 개인적이고 자유로운 시민으로서의 근대 개인(modern individual)의 탄생을 탐구한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가정에서의 여성 개인의 위치를 통해 전통적인 여성 미덕을 넘어 새롭게 제시되는 복음주의적 여성 미덕(Evangelical female virtue)의 개념을 정의한다. 제 2장에서는 영국 시골의 안정성을 파괴하는 데 기여했던 근대적 부패의 두 가지 측면을 제시한다. 오스틴은 아버지의 독재적인 양육과 잘못된 가계 관리로 인해 온정주의(paternalism)가 가부장주의(patriarchy)로 변질될 수 있는 위험성을 제시한다. 또한 그녀는 대도시의 세속적 가치의 유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반된 가치관의 충돌을 묘사한다. 제 3장은 패니가 부패하지 않는 청렴한 도덕 행위자(agent)로서 자신의 복음주의적인 양심과 도덕적 원칙을 통해 인간의 가장 깊은 내면을 하나의 성지(sanctum)로서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담고 있음을 시사한다. 오스틴은 패니에게 가정 내에서뿐만 아니라 맨스필드 파크 사회에서의 여성적 권위(female authority)를 부여함으로써 복음주의적 여성 미덕을 정치화한다. 이를 통해 오스틴은 가부장적 가정에서 여성 중심적(feminocentric) 가정으로의 이행의 승리를 통해 가정의 이상적인 모습을 확립한다. 마지막 4장에서는 오스틴이 여성의 사적 영역으로서 가정(domesticity)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가정과 사회 모두에서 여성의 권위와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스틴은 여성을 중심으로 기독교화(Christianization)를 통해 대영제국을 도덕적 제국(moral empire)으로 만들고자 했던 동시대적 욕망을 소설에 반영한다.

      • L.V. Beethoven의 <Ah! perfido, spergiuro op. 65>의 작품 연구

        김아라 목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루트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Concerto Aria <Ah! Perfido, spergiuro Op.65>에 대한 작품 연구이다. 먼저 <Ah! Perfido, spergiuro Op.65>를 작곡한 베토벤이 활동했던 고전시대의 시대적 변화와 고전주의 음악이 생겨나게 된 배경, 당시 음악계의 수요층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베토벤의 유년시절부터 노년기까지의 삶을 요약하였다. 또한 베토벤이 작곡한 성악음악 작품의 특징들을 세 부분의 창작 시기로 나누어 대표작과 함께 정리했으며 <Ah! Perfido, spergiuro Op.65>의 장르인 Concerto Aria의 정의에 대해 서술하고 장르의 유래, Concerto Aria의 용도, 17세기 Concerto Aria 대표작 등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Ah! Perfido, spergiuro Op.65>에 나타나는 분위기의 변화요소들을 이론적인 악곡 분석과 가사 해석을 바탕으로 실제 연주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연주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곡 전체의 조성 및 박자의 변화를 표로 제시하였고 노래 속 화자의 감정 변화에 따른 빠르기와 화성의 변화를 서술함으로써 더욱 자세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베토벤이 활동하던 고전시대는 계몽주의와 산업혁명으로 인해 중산층의 세력이 커지며 수직적 계층구조가 수평적 계층구조로 바뀌기 시작했다. 음악의 주 수요층이 귀족에서 중산층으로 변화하며 그들은 보다 쉽고 재밌는 음악을 원했고 이로 인해 고전주의 음악이 시작되었다. 베토벤의 작품은 작곡 시기별로 초기, 중기, 말기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 작품은 당시 사사했던 하이든, 살리에리 등이 추구하던 고전주의 양식을 따라 이해하기 쉽고 간결한 음악을 작곡하였다. 중기로 넘어가며 다른 작곡가들에 비해 불협화음의 해결을 늦게 하는 그만의 독특한 작곡 방법으로 대중의 전폭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한다. 베토벤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이 시기에 쓰였으며 창작활동이 가장 활발했다. 이후 말기로 넘어가며 그의 청력은 거의 상실한 상태였지만 외부와의 완벽한 단절로 인해 완벽한 자신의 독창적인 음악을 구축해나가며 낭만음악과의 연결고리가 되었다. Concerto Aria란 18세기 칸타타(Cantata)등 종교음악에서 유래된 한 장르로써 오케스트라 반주와 독창으로 이루어져있다. 이탈리아어 ‘concertare (동의하다, 함께하다)에서 유래되었다. <Ah! Perfido, spergiuro Op.65>는 베토벤의 초기 작곡 시기의 작품 중 하나이며 당시 유행하던 이탈리아 아리아적 요소를 담고 있다. 가사는 당시 저명한 극작가였던 피에트로 메스타시오의 작품을 사용했으며, 내용은 사랑하는 이에게 배신당한 한 여자의 좌절과 그에 대한 증오, 그에 대한 회유의 마음이 표현되어 있다. 곡은 크게 Scena와 Aria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인공의 심리적 변화에 따라 조성과 템포, 반주가 자주 바뀌는 것이 특징이다. Allegro con brio의 빠른 템포로 시작하는 Scena는 Aria 전 레치타티보적인 역할을 하며 Aria에 대한 화자의 심적 배경을 나타내고 있다. 이 Scena의 가사는 당시 유명한 극작가였던 피에트로 메스타시오의 시를 이용하였다. 총 7번의 템포 변화와 18번의 잦은 조성 변화마다 가사 속 화자의 혼란스러운 심경을 매우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혼란한 마음이 해결되지 않은 채로 Adagio의 Aria가 시작된다. 매우 여유 있는 템포의 Aria는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화자의 회유가 시작된다. 5번의 템포변화 후 다시 Tempo Ⅰ으로 돌아가 ‘non son degna di pieta(이 괴로움은 결국 자비를 허락하지 않군요)’라는 한탄과 함께 빠른 템포로 마무리된다. 베토벤은 피에트로 메스타시오의 시와 당시 유행하던 이탈리아 아리아적 음악요소를 그 만의 방법으로 결합함으로써 자신만의 유일무이한 음악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베토벤의 <Ah! Perfido, spergiuro Op.65>을 잘 연주하기 위해서는 Scena의 격정적인 감정적 변화를 대비시키며 강렬한 소리와 가사전달에 중점을 두고 연주해야한다. Aria는 악상의 뚜렷한 대비와 도약의 반복과 순차하행진행과 같은 성악적 기교가 전체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두성에 의한 폭 넓은 소리로 간절한 화자의 마음을 표현해야 한다.

      • COVID-19 방역수칙 실천과 관련된 요인 :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김아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배경 및 목적] 2020년 초 본격적인 COVID-19 확산이 시작된 이후 2년 이상 경과한 현재까지도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팬데믹(Pandemic)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인명피해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였다. 효과적인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던 COVID-19 발생 초기,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방역수칙 실천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나 이를 제대로 준수하지 않아 지역사회 집단 감염 사례가 빈번히 일어났다. 방역수칙 실천은 감염으로부터 개인의 방어와 더불어 타인에게 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중요한 행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COVID-19 방역수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질병관리청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 179,751명으로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행태 요인, 심리적 요인으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이러한 요인에 따라 COVID-19 방역수칙(주기적 환기, 실내 및 실외 마스크 착용, 건강거리 유지, 외출․모임․행사 자제) 실천 여부에 차이가 있는지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개별 방역수칙과 전체 방역수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중 COVID-19 방역수칙 5개 항목을 모두 실천한 비율은 91.40%이다. 전체 방역수칙 실천과 관련된 요인의 결과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 여성의 OR 1.14(95% CI 1.10-1.19)이며 학력이 높아질수록 방역수칙을 실천할 오즈가 증가하였다. 건강행태 요인에서는 흡연자인 경우 OR 0.89(95% CI 0.85-0.93)이고 고위험 음주를 하는 경우는 OR 0.66(95% CI 0.62-0.69)이다. 심리적 요인에서는 감염 및 죽음에 대한 염려를 하는 경우 각각 OR 1.36(95% CI 1.28-1.44), OR 1.54 (95% CI 1.47-1.61)이고, 정부 대응능력에 대해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경우의 결과는 OR 1.38(95% CI 1.30-1.46)이다. 이 외에도 연령, 혼인상태, 주관적 스트레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여부 등이 방역수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감염의 피해는 의료, 경제,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회구성원 모두 협조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보건당국과 각 지자체에서는 대중의 방역수칙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화된 정책 수립과 전략적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 COVID-19 방역수칙 준수가 강조되던 시기에 조사된 전국단위 통합자료를 활용하여 방역수칙 실천과 관련된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향후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전략 및 방역조치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More than two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ull-fledged spread of COVID-19 in early 2020, the pandemic situation of infectious diseases has continued, and not only human casualties but also social and economic damage has occurred. In the early days of the COVID-19 outbreak, the importance of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NPIs) was emphasized to suppress the spread of the virus, but group infections occurred frequently in the local community due to poor compliance. NPIs is an important act that can minimize damage by preventing transmission and social spread to others along with personal defense from infe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whether to practice of NPI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of NPI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9,751 adults aged 19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by dividing them into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behavior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Depending on these factors, it was confirmed using the chi-square test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actice of NPIs (periodic ventilation, wearing indoor and outdoor masks, maintaining physical distance, and refraining from going out, gathering, and events). In addition,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of individual NPIs and overall NPIs were analyzed and their influence was verified. Result The rate of practicing all 5 items of NPIs was 91.40%. Factors influencing the overall practice of NPIs were OR 1.14 (95% CI 1.10-1.19) for women i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odds to practice NPIs. In terms of health behavior factors, it was OR 0.89 (95% CI 0.85-0.93) for smokers and OR 0.66 (95% CI 0.62-0.69) for high-risk drinking. Psychological factors were found to be OR 1.36 (95% CI 1.28-1.44) and 1.54 (95% CI 1.47-1.61) for concerns about infection and death, and OR 1.38 (95% CI 1.30-1.46) for recogni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Government's response. In addition, age, marital status, subjective stress, and influenza vaccin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actice of NPIs. Conclusion Since the damage of infection will have a wide range of effects on medical, economic, and society as a whole, it is important to preemptively prevent it, and all members of society should be cooperative and continuous. In this regard, health authorities and each local government are require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policies and strategically intervene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e of the public's NP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factors related to the practice of NPIs were analyzed in various ways using the nationwide integrated data surveyed at a time when compliance with COVID-19 NPIs was emphasized in Korea.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effective infectious disease response strategies and quarantine measures in the future.

      • 초등학교 미술 현장학습과 연계한 경북대학교 박물관 셀프가이드 연구

        김아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A museum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hous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a field of history and culture class to awaken a viewer's intelligence and emotion and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hibition, a collection of art works and relics. Recently,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ends to get bigger and the museum gets its function emphasized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institution for all walks of people, and especially becomes a place of field stud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The strongest merit of museum field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see the works directly instead of seeing them only through subject illustrations, and the museum presents the environment of appreciation to understand the arts in a big context through ‥exhibition…. Therefore, the museum needs to grope for positive and diverse methods to reflect students' tastes and dispositions and induce their interest in developing the appreci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useum is to prepare and use the educational materials to induce an active participation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Hence the museum requires 'a Self-guide' fitted for the students' eye level as an educational means placed in the museum for the service. The Self-guide plays the role to help the students themselves to become the study subjects, learn to be fitted for their own level and necessity and make a meaningful view in their field trips. The field trips using a Self-guide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useum themselves and also make out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is student's problem awareness starts from here. Usually schools make field trips of the museum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school classrooms, but the museum and the schools have neglected the efforts for the systematic appreciative education. This student hereby intended to personally develop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son of their favorite works through a field study and approach them closely. The Self-guid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museum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widely and draw students' originative and creative ideas, and focus on their diverse activities with an active attitude to express ?E appreciate the works fully and evaluate themselves together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elf-guide aimed at analyzing the self-guide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rt gallery and the museum at diverse angles, com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insufficient parts in the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first of all, developing an integrating class to induce a creative idea and thinking as well as history study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e necessity of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to heighten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field trips and the appreciation effects thereon, design ?E develop the Self-guide of the museum of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gh educational value as a district museum and find out a method of the use of the Self-guide. In addition, it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elf-guide of the existing art gallery and museum and seek for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self-guide to be developed in future. It also attempted to contribute to arousing viewers' interest and lifting the efficiency of the appreciative education of the museum through a fresh self-guide development needed in inducing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museum field trips.

      • 페인트로 은폐한 혈액을 증강할 때 페인트의 색상이 미치는 영향

        김아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페인트로 은폐한 혈액을 증강하여 관찰하는 방법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페인트의 색상과 화학 성분이 페인트별로 은폐한 혈액을 증강하여 관찰할 때 결과의 차이가 나는 원인이라 주장하지만, 이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페인트의 색상에 따른 명도, 흡광도, 원소의 비율을 측정하여 이러한 특성이 페인트로 은폐한 혈액을 증강할 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로 명도가 유사하지만, 색상이 다른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페인트와 서로 명도는 다르지만, 색상이 비슷한 빨간색, 다홍색, 주황색 페인트, 총 6가지 색상의 페인트를 선정하였다. 빨간색, 다홍색, 주황색은 본 실험에서 사용한 Bluestar®가 혈액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화학발광의 파장(420-440 nm)과 보색 관계에 있다. 이렇게 선정한 페인트의 명도, 흡광도, 원소의 비율을 측정하고 각 페인트가 칠해진 석고보드 위에 동일한 양의 혈액을 유류한 후 기존 색상과 같은 페인트를 최대 6회까지 도포한 뒤 Bluestar®를 적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발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페인트 색상의 명도가 낮을수록, 흡광도가 높을수록, 금속 원소의 비율이 높을수록 페인트를 도포한 횟수가 증가할 때마다 Bluestar®가 방출하는 화학발광의 세기가 낮아졌다.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how to enhance and observe blood concealed with paints, and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color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aints may be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ut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ve it ye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ightness, absorbance, and the atomic ratio of paints according to the paint colors were measured to find out how these characteristics affect the enhancement of blood concealed with paints. A total of six paints were selected: blue, green, and red paint with similar lightness but different colors, and red, scarlet, and orange paint with different lightness but similar colors. Red, scarlet, and orange are complementary colors to the wavelength (420-440 nm) of chemiluminescence emitted by the reaction of Bluestar® used in this study with blood. The lightness, absorbance, and the atomic ratio of the selected paint were measured, the same amount of blood was dropped on each piece of plasterboard coated with the paint, and the same paint was painted on the blooded plasterboard up to six layers. After that, Bluestar® was applied and took a picture and took a picture and the luminosity was measured. As a result, as the paints with lower lightness, higher absorbance, higher metal atom ratio, and the number of paint layers that conceal blood, the intensity of chemiluminescence emitted by Bluestar® decreases.

      • 오배자 추출물의 어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균활성 물질 분리

        김아라 동의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현재 우리나라의 양식 산업은 연안의 환경오염, 어류 양식장에서의 밀집양식으로 인한 질병 증가, 영양 상태 불균형 등과 같은 요인들로 인하여 어류의 성장 저하 및 폐사가 발생되는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어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비브리오병, 에드와드병, 연쇄구균증 등에 의한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의약품의 연구동향은 여러 가지 부작용이나 독성 및 내성이 심각해지고 있으므로 세계적으로 천연물로부터의 의약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천연물은 부작용이 거의 적으며 무독성이고 넓은 항균 spectrum을 가진다. 이로 인해 새로운 구조나 기작의 신약개발에 많이 이용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전통한약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한약재를 이용하여 내성을 가진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물질의 개발을 탐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종의 천연물을 선택하여 모든 세균에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중 오배자에서 뛰어난 항균활성을 보였다. 오배자 80% MeOH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분획 추출을 하여 항균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특히 어병세균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오배자 80% MeOH 추출물에 대한 V. ichthyoenteri와 E. tarda의 최소저해농도의 측정 결과 각각 32 ㎍/㎖, 64 ㎍/㎖의 활성을 보였다. 높은 활성을 보인 오배자 EtoAc 분획물을 Diaion HP-20, Toyoperal HW-40C, ODS AQ column chromatography 이용하여 HPLC와 NMR을 통해 methyl gallate, gallic acid 와 1,2,3,4,6-penta-O-galloyl-β-D-glucose을 구조 분석 하였다. 항균활성 측정 결과 methyl gallate 와 1,2,3,4,6-penta-O-galloyl-β-D-glucose 두 물질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methyl gallate는 어병세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1,2,3,4,6-penta-O-galloyl-β-D-glucose에서는 측정한 모든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Methyl gallate와 기존 항생제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및 ciprofloxacin과 병합하였을 때 효과를 checkerboard법으로 측정하여 FIC index를 구한 결과 V. ichthyoenteri와 E. tarda FP 5060에 대한 methyl gallate 단독 사용보다 각각 tetracycline와 ciprofloxacin과의 병용하여 사용하였을 때 시너지효과를 볼 수 있었다.

      •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이용한 개인의 정보 관리 행태 연구 : 개인 정보 관리 및 그룹 정보 관리 중심으로

        김아라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개인의 정보 데이터를 저장소나 물리적 공간이라는 제약을 벗어나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등장하며, 개인의 디지털 정보 관리 행태들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에 로컬에서의 관리로 대변되던 파일 형태의 개인 정보 관리는, 로컬을 넘어 클라우드 스토리지 내에서의 정보 관리 형태로 점차 다양화 되었고, 이것은 하나의 기기가 아닌 여러 기기를 넘나들며 개인 정보뿐만 아니라 공유 정보의 관리까지로 새로운 형태의 파일 관리 행태를 나오게 하였다. 파일 동기화를 제공하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웹 기반의 대표적 파일 공유 서비스인 드랍박스(Dropbox)는 2008년부터 시작하여 현재 이용자가 3억 명을 돌파하였고(2014. 5), 최근 6개월 동안 1억 명의 이용자 증가 폭을 보이며 굉장히 빠른 속도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음악이나 사진, 동영상뿐만 아니라 문서 편집 등 이용자들의 다양한 콘텐츠를 여러 디바이스에서 이용하게끔 해주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점차 개인 작업 환경에서의 도입기를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는 파일을 공유하거나 동기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의 근간이 되고 있고, 드랍박스나 구글 드라이브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람들이 다수의 컴퓨팅 기기들에 걸쳐서, 그리고 또는 서버의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편집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한다(Marshall & Tang, 2012). 이렇게 안전하고 접근이 쉬운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도입은 특히 개인과 협업이 섞인 상태에서, 개인은 개인 폴더와 로컬 폴더의 정보 관리에 있어 여러 가지 전략을 사용하거나, 우회 전략을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정보 관리 현상들이 벌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클라우드를 이용한 개인 정보 관리가, 최종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그리고 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는 가정하에, 개인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 행태에 대해 개인정보 관리와 공유 정보 관리의 활용에 있어 혼합된 사용상을 파악하고자 정성적 인터뷰와 정량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인 정보와 개인 정보 관리 프레임워크, 클라우드 컴퓨팅과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실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정보를 관리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목적에 따른 이용 행태적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이용에 대한 연구 방법과 문제를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의 구체적 맥락을 풍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성적 인터뷰 방법과 최근 1달간의 실제 사용 이벤트를 받아 로그를 분석하는 방법과 추가 인터뷰를 진행하는 정량적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사람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다섯 가지 행태로 나누어질 수 있었다. 1) 다른 기기로 파일을 옮기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 옮기기”, 2) 파일 아카이빙을 위해 의지적으로 사용하는 “파일 아카이빙”, 3) 파일의 자동 백업을 위해 사용하는 “자동 백업”, 4) 다수의 기기 간 싱크를 위해 사용하는 “기기 간 싱크”, 5) 다른 사람과 공유를 위해 사용하는 “공유” 등의 다섯 가지 사용 요인을 밝힐 수 있었다. 사용 로그 기반의 분석과 추가 인터뷰에서는 로컬 형태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개인이 개인 정보와 공유 정보에 있어 개인 정보 관리 전략인 추가, 조직화 삭제를 어떻게 실제로 사용하는지에 대해 로그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개인 폴더와 공유 폴더에 파일 추가하는 것에 관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추가하는 주체적 추가와 시스템 등이 자동으로 클라우드 내의 폴더로 파일을 추가하는 자동 추가의 두 가지 전략이 있었다. 두 폴더 모두 극소수의 액션을 제외하고는 모두 업무 목적 파일에 관한 액션이었고, 개인 폴더와 공유 폴더 모두 문서와 이미지 파일이 추가되는 파일 대다수를 차지했다. 또한, 용량이 큰 파일을 올리기 위한 심리적인 제약이 존재하였고, 공유 폴더에서는 용량이 큰 동영상을 올리는 대신 URL로 올리는 우회 전략이 발생하였다. 또한 모바일 사진 자동 동기화, 논문 프로그램 서비스 연동, 워크스페이스로 사용 등 자동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내에 파일이 추가되는 다양한 전략이 있었다. 조직화에서는 사용자들이 개인 폴더는 개인만의 규칙을 가지고 관리를 한다면, 공유 폴더에는 공유 폴더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암묵적인 전략과 명시적인 전략이 나타났다. 암묵적인 전략으로는 이해도 높은 폴더명을 프로젝트 매니저격의 사람이 대표로 과업과 파일 타입을 중심으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있었고, 공유 폴더 내에서 다른 사람 혹은 지난 과거의 파일 및 폴더의 이름 짓기 전략에서 학습된 암묵적 규칙을 따르는 형태로 파일을 추가하는 전략이 있었다. 명시적인 전략으로는 폴더를 만든 다음 폴더를 사용하는 규칙을 사전에 공유하는 것, 폴더나 파일명에 이름과 같은 표식을 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파일명에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구어체로 작성하는 것, 그리고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과 같은 다른 추가적 커뮤니케이션을 생성하여 공유 폴더와 함께 사용하는 전략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모든 전략이 공유 폴더에서의 이해도를 위해 벌어지는 일들이었다. 개인 폴더와 공유 폴더의 삭제 전략에서는 개인 폴더와 공유 폴더 모두 삭제에 비적극적인 특징이 있었다. 특히 공유 폴더에서의 삭제는 모두 자신이 올린 것만을 삭제하였는데, 만약 다른 사람의 파일을 지우게 될 때는 미리 공유 폴더를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과 합의되어 있는 상태일 때 삭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피실험자 전체의 공유 폴더 45개 중 공유 프로젝트 자체가 끝났으나 계속해서 공유하고 있는 것이 49%에 달했다. 공유 프로젝트가 끝나더라도 바로 공유를 끊거나 폴더를 정리하지 않고, 대체로 꽤 오랜 시간 동안 그대로 두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정리하는 경향을 인터뷰를 통해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에 있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사용자들이 클라우드를 어떻게 인식하고 유용하게 느끼는지를 기술수용모델을 통해 규명하는 식의 초기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어떻게 클라우드를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그것을 사용하게 되는 구체적 선택 동기와 함께 어떤 식으로 자신의 개인정보와 그룹정보를 관리하며 정보를 공유하는가를 정성적, 정량적 분석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정보 관리와 그룹정보관리, 그리고 여러 디바이스를 통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에 대한 가이드 및 잠재적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 의의가 있다. A Cloud Storage that can manage personal information data away from the constraints of storage and physical space has been introduced and the method of managing personal digital information is changing.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which used to be a file form managed in the existing local, is gradually diversifying into an information management form inside local computers as well as the Cloud Storage. Furthermore, this encompasses multiple equipment rather just one, producing a new method of file management that manages not only private information but also shared information. Dropbox, which provides file synchronization and is the representative web-based file sharing service that uses cloud computing, launched in 2008 and currently has over 3 hundred million users (2014.5). In the last 6 months, the number of users has increased by one hundred million, substantiating an exponentially fast as well as constant pace of growth. Thus cloud service, which allows the usage on multiple devices of music, photos, videos and document editing, is gradually passing over the introductory stage of the private work environment. Cloud-based storage is becoming the foundation of diverse services for file storage, sharing and synchronization, whilst cloud services such as Dropbox and Google Drive allow people to edit or share files through multiple computing equipment and/or server networks(Marshall & Tang, 2012). Such safe and easy to reach cloud storage introduction, especially at the state where the private and collaborate is fused, produces a diverse information management phenomenon such as the individual using various strategie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the private local folder as well as a workaround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and qualitatively interview the fused usage regarding an individual’s cloud storage usage behavior of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shared information management. It is based on the condition that there is a need to more closely examine the interaction of cloud users and to provide more and better services to final users. In order to verify this problem, we started with the preceding research verification concern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ramework along with the cloud computing and cloud storage. A research method and problem regarding usage was planned in order to examine usage behaviora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purpose, which has for its target people who genuinely use cloud storage to manage information. Finally, a qualitative interview method that can surely grasp the precise context at which the cloud storage is being used and analyze the log of the actual usage event for the past 1 month, was used with the quantitative method of an additional interview. The interview was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are using cloud storage for diverse reasons and this can be divided into five reasons: 1) ‘Transferring files’ to other devices 2) ‘File archiving’ to depend on file archiving 3) ‘Automatic backup’ for a file’s automatic backup 4) ‘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for synchroniza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5) ‘Sharing’ to share with others. In the analysis based on usage log and additional interview, how an individual using cloud storage in the local form, regarding private information and shared information actually use the private information management strategy of additional and systematic deletion, can be grasped through the log. Both folders, apart from very little action, were actions to do with work-related file and on both the private and shared folders, documents and images were predominantly added. Moreover, there was a psychological constraint concerning the uploading of a big capacity file and in the shared folder, instead of uploading a high capacity video, detour of uploading the URLs had to take place. Furthermore, there are diverse strategies to automatically add a file to cloud storage such as automatic mobile photo synchronization, dissertation program service interlock and usage as work space. If in systemization users manage private folders with their own rules, there have arisen tacit and explicit strategies in the shared folders in order to increase its degree of understanding. For a tacit strategy, a folder name with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is used. A project manager carries this out, using it around the file type. There was a strategy of adding files with tacit rules, which were learnt from the strategy of creating names of someone else’s folder or past folder within the shared folder. As for the explicit strategy, it involves sharing the rules of using the next folder after creating a folder, creating a sign such as a name on the folder or the file name, writing on the file name what one wants to convey using colloquial language and creating additional communications such as the mobile messenger ‘kakaotalk’ and using it with the shared folder. All such strategies happen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hared folders. Regarding the delete strategy of the private and shared folder, both weren’t enthusiastic about deleting.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shared folder, only those that one uploaded was deleted, yet when having to delete another person’s file, they showed a tendency to delete when it was agreed with the person sharing the folder. In addition, out of the whole 45 shared folders of the test group, 49% were those that were still being shared even though the shared project had finished. It was further found through the interview that although the shared project had finished, the sharing was not immediately disconnected nor the folder deleted and in general, they were left for a long time before being deleted at once. The existing research regarding cloud storage usually involved preliminary research using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how users viewed cloud and whether they found it useful. Yet this research examined not only how users found cloud, but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why they specifically decided to use it and how they managed and shared private and group informat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guide and potential insight regarding private and group information management as well as what direction the service of cloud storage that involves multiple devices would go to, was discov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