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경관의 계획·관리를 위한 문화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김세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rural landscape cultural ecosystem service and to plan and manage rural landscape to promote cultural ecosystem services for the Gochang-gun Biosphere Reservation. Gochang-gun has been designated as a UNESCO Biosphere Reservation in 2013 and has been striving to become a global natural eco-culture city. Based on this background, cultural ecosystem services that are founded on cultural tourism are becoming more important, however research on cultural ecosystem services have not yet been made. The rural landscape sites that represent Gochang-gun are Gongyeonmyeon Cheongbori, Asanmyeon Ungok wetlands, and Gochangeupseong.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rural landscape and the importance and economic value of rural landscape cultural ecosystem services were estimat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visitors and the local residents regarding the rural landscape, the value of the local residents was higher than the visitor. In particular, visitors and local residents a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of government policy, the necessity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However, they have a low perception about the feasibility of the burden of national cost for rural landscape management.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ecosystem service by type of rural landscape, cultural service was cited as the most important among ecosystem services in Cheongbori, Ungok wetlands, and Gochangeupseong. Cultural tourism valu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cultural service importance.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rural landscape cultural ecosystem service by CVM, the monthly payment per household was 2,818 Won for visitors and 2,517 Won for local residents. Also, the amount of monthly payment per household by the selective CE was 6,879 Won for visitors and 5,039 Won for local residents. The total economic value of rural landscape cultural ecosystem services according to the CVM was estimated to be 626.5 billion Won per year, and the total value according to the selective experiment method was estimated to be about 1,327 billion won per year. As the level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 attributes increased, visitors and local residents showed a preference difference. In the case of cultural tourism value, visitors showed a high preference with the increasing level. While local residents showed a high preference with threspect to one level increase, while the two level increase showed a relatively low preference. The value of the respondents' rural landscape and the demographic -social factors affecting the value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ecessity for rural landscap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the necessity for government policy, and the appropriateness of cost burden were positive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as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plan thorough network planning, ecological landscape,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 resident participation promotion and increased governance.

      • 제7차 교육과정의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음악형식 분석 연구

        김세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고등학교 1학년 음악과 교과서에 제시된 제재곡들의 음악형식 분석에 관한 연구로써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의 올바른 분석을 통해 실제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학습 지도방안을 다룬 것이다. 악곡 형식의 분석적인 탐구과정의 지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참고 자료로서 교과서의 형식에 관한 사항들을 분석하였다. 우선, 교과서에서 다뤄지고 있는 제재곡의 형식을 분류하여 각 교과서마다 담고 있는 음악형식의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두도막, 세도막 형식과 소나타 형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곡의 음악형식을 분석하여 각 음악형식별로 제재곡들의 빈도수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음악형식의 이해를 위해 교과서에 어떠한 제재곡을 수록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형식에 관한 지도내용과 이해과정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형식의 이해를 위해 다양한 지도내용을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사항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음악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음악형식 분석의 지도방안은 음악형식의 이론적 내용만을 일괄적 제시하기보다, 음악형식을 이해하는 필요한 여러 가지 음악 요소들을 이해시킨 후 학생 스스로 전체적인 음악형식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와 같이 스스로 음악의 형식을 파악하도록 하는 과정을 제공하는 지도 방안은 음악 형식에 대한 막연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학습자들에게 자신감을 길러주고, 이를 통해 음악을 바르게 이해하고 음악의 가치를 내면화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교과서의 제재곡을 중심으로 한 음악형식 분석에 관한 수업방안이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하나의 예가 되어 음악 학습자들이 악곡의 의미를 바르게 파악하고 음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아울러 학습 초기 단계에 있는 학생들이 음악을 말이나 개념, 정서 등으로 바꿔서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음악을 그 자체로 이해하고 보다 폭넓은 음악 체험을 통해 음악성을 신장시킬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form analysis of music piece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 of 1st grade high school. Teaching and learning schemes that could be practically used in actual lessons are handled through rightful analysis of theme pieces listed in the textbook. Matters on forms mentioned in the textbook were analyzed for reference to seek teaching schemes of analytic investigation courses of composition forms (identical with music form).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 forms of music pieces handled in textbooks were classified and the frequency of music forms in each textbook was analyzed. Three part form and sonata form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Second, the forms of theme pieces presented in textbooks were analyzed and the frequency of music pieces were classified by each form. We were able to grasp which theme piece is mainly listed for understanding a form. Third, contents on how form teaching contents and comprehension courses are composed were arranged from the 8 kinds of textbooks. They were made by various activities such as creation and appreciation for understanding forms, but there were not any specific, systematic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presented. Based on the matters above, the teaching scheme of form analysis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actual music lessons were presented, focused on the following contents. High school lessons on music forms perceives and discriminates (meaning to distinguishing differences) musical elements, based on those which are learned through levels of common education courses, and they must be understood as a complete form. The teaching method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a motive being repeated, modified, and form a contrast. It also centered on understanding forms by investigating the overall structure. This teaching scheme that provides courses for understanding music forms oneself can nurture confidence in students who have vague difficulty in music forms. It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music properly and internalize the value of music. It is expected for the lesson plans of form analysis focused on theme pieces of textbooks to be an example of practical use in actual lessons, in order to help music learners prope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omposition and music. In addition, we hope students can improve their musical insight and musicality through more extended music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essence of music, not just only understanding music by changing it into words, concepts, or emotions.

      • As_(2)Se_(3)의 3차 비선형 광학 효과를 이용한 초해상막에 관한 연구

        김세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디스크의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한 매체 재료개발을 위해 thermal evaporation 방법으로 As_2Se_3 박막을 제조하고 선형, 비선형적 광학 특성을 조사하여, 기존의 초해상막보다 빠른 응답속도로 큰 CNR값을 갖는 초해상막 개발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DVD용 650nm 파장에서 As_(2)Se_(3) 박막의 선형광학 특성을 볼 때 광 소멸계수는 0.18, 광 흡수계수가 1.12×10^(2) (1/cm) 으로 낮아 광의 손실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As_(2)Se_(3) 박막의 비선형성을 z-scan으로 측정한 결과 비선형 감수율은 각각 X^((3))_(I)=6.69×10^(-9)㎡/w, X^((3))_(R)=7.42×10^(-7)㎡/w이었고, 비선형 흡수계수와 굴절계수는 각각 1.59×10^(-8)㎡/w, 1.268×10^(-)5㎡/w 이었다. 따라서 As_(2)Se_(3)박막에 입사된 레이저빔은 그 강도에 따라 굴절률이 n=3.17+(1.268×10^(-5)I로 증가하며 self-focusing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self-focusing의 threshold power는 0.1587mW으로 낮은 power의 레이저에서도 초해상 효과가 일어나므로 기존의 초해상막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CNR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elf-focusing효과에 의한 집속빔 면적의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해 laser beam profiler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300nm,350nm두께의 As_(2)Se_(3) 박막의 경우 기준의 빔 면적을 1로 볼 때 각각 0.44, 0.43으로 감소하였으므로 약2.3배의 단면 광디스크 기록밀도 증가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s_(2)Se_(3) 비선형 박막의 self-focusing효과를 이용하여 빠른 응답속도로 빔 집속 영역을 줄일 수 있고, 레이저 빔의 손실이 적고 큰 CNR을 갖는 초해상막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work As_(2)Se_(3) chalcogenide thin film deposited by thermal evaporation method was proposed as new super-RENS material for high density optical storage. Optical properties at the wavelength of 650nm in As_(2)Se_(3) chalcogenide thin film were investigated. Extinction coefficient of the film was nearly zero and optical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film was very low. Therefore laser beam loss would be of small quantity. From z-scan experiment, third order nonlinear susceptibility χ^((3))_(I) and nonlinear refractive coefficient β were 6.69×10^(-9)㎡/w and 1.59×10^(-8)㎡/w respectively in imaginary part. Third order nonlinear susceptibility χ^((3))_(R) and nonlinear absorption coefficient γ were 7.42×10^(-7)㎡/w and 1.268×10^(-5)㎡/w respectively in real part. These indicate that the As_(2)Se_(3) thin film shows positive nonlinear absorption and positive nonlinear refraction. According to change of refraction n= 3.17+(1.268×10^(-5))I, self-focusing effect would be occur. Threshold power of self-focusing effect in nonlinear medium was 0.1587mW. Super resolution effects of thin films were measured by using the laser beam profiler. Laser beam diameter can be reduced by 56∼57% when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the 300nm,350nm deposited As_(2)Se_(3) thin films. Consequently, recording density can be enhanced by 2.3 times in case of 300nm,350nm deposited As_(2)Se_(3) thin film is adapted to phase change disk as super-RENS.

      • w부모학교 온라인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검증 :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을 중심으로

        김세영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온라인부모학교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진행시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온라인부모교육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온라인부모교육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을 때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 연구 목적을 위하여 w교회에서 운영하는 w부모학교의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신청자 중 참가자 91명을 실험집단으로, 대기자 63명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실험집단은 7주간의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부모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신숙재가 수정, 번한하여 제작한 PSOC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두 번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이원영이 수정 번안한 것을 최혜경이 재수정한 MBRI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2021년 3월 16일에서 4월 27일까지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어머니들은 7주 동안 1주일에 1회씩 온라인부모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실험 처치 후 온라인부모교육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수집된 자료들은 SPSSWIN23.0 로 처리하였으며 각 변인들이 참여 여부 및 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 및 통제 집 단의 각 종속측정치에 대해 집단(실험/통제)와 시기(사전/사후)효과를 독 립변인으로 하는 2X2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Repeated mesured MANOVA) 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부모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양 육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어머니들이 양육현장에서 부모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자신감을 올바르게 가지는데 긍정적 변화와 효과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온라인부모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양 육태도 즉 거부적, 자율적, 통제적 양육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부모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양육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셋째, 부모교육을 온라인으로 실시하는 것이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으로 대면교육이 불가능한 상황에 부모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 하였고 이를 통해 기존에 교육이 어려웠던 부모들에게 교육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의 와 시사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벨리댄스 교육 발전방안 연구 :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김세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은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게 국제화, 지식화, 가치관 함양 등 사회 제반의 영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천되어왔다. 특히 다양한 교육 변화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은 삶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사람들의 학습 수요를 증가시켰다. 이로 인해 건강 및 신체와 관련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무용 분야의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실용무용의 한 분야인 벨리댄스가 변화하는 교육의 확대 분야로써 크게 주목받을 수 있다. 사회적 요구에 의한 교육적 가치가 커짐에 따라 여러 형태의 교육현장으로 확산되었고 현재는 전문성을 지닌 예술로서의 무용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그 영향력은 공교육까지 확대되어 대학 및 평생교육원을 통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 갖추게 된 바 더 깊이 있는 연구의 확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생교육원의 벨리댄스 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 자료를 통해 벨리댄스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고찰하고 벨리댄스가 실시되고 있는 교육기관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타 장르와의 연계, 지도자 전문성 확립으로 제시하였으며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적 정립, 교과과목 구성, 움직임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주로 실기에 편중된 교육방식을 이론의 정립과 함께 개선하고 움직임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융합 교육과 융복합 공연을 통한 타 장르와의 연계이다. 순수무용의 교육에 적극 참여하여 예술성을 습득하고 타 장르와의 협업과 지역 간의 융합된 공연은 특색 있는 문화적 요소가 부합되어 공연예술로 확대될 수 있다. 셋째, 학문적 연구 확대와 기능적 역량 강화를 통한 지도자 전문성 확립이다. 전문서적 발행과 다방면의 학술연구는 학문 정립에 기초가 되며 기능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전문적인 지도자로서의 체계적이고 각 특성에 맞는 무용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실용무용의 한 축을 형성한 벨리댄스는 전문성을 갖춘 예술무용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히 있다.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벨리댄스 교육에 대한 다방면의 방법론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의 축적은 학문적인 체계 구축에 밑거름이 되어 교육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스토리텔링을 통해 벨리댄스가 하나의 문화콘텐츠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 기부금 지출의 지속성이 기부금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김세영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Social responsibility emerging as the keyword for corporate management in recent days, companies are gradually taking an interest in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s well as making economic profit as the times change. Among the various types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e donation expenditure is reported in the firm's financial statements as numerical data, therefore it can be investigated immediately without complex process of quantifi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examine not only the effect the firm's donation expenditure on the value of the firm, but also the impact of the persistence of the donation expenditure on the value of the firm.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rsistence of donation expenditure on the value relevance of the donation, financial data and stock data of listed companies in KOSPI were extracted from the Kis-Value database from 2012 to 2017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persistence coefficient was estimated by using 10years/15years time series of data which is on the basis of financial data from 2003 to 2017 for estimating the persistence of donation expenditure. Through this process, a total of 2,907 business-year samples were used that met the sampling process. Moreov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rsistence of donation expenditure and the value relevance of the donation, a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a compound of Ohlson valuation model and the persistence-related coefficients of donation expenditure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ersistence of donation expenditure indicated a positive(+) relevance to firm. According to the prior research, Won-wook Choi et al.(2009) has identified that corporation spending alone has a positive effect on value of corporation. Furtherm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how persistence of donation affects firm’s value. Therefore, from that analysis, the fact that the more the firm performed its social responsibilities consistently, the better effect of donation on the value of the firm can be acquire was draw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sense that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re interpreted by the method of numerical interpretation of donations which is used as surrogat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litative assessment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t also suggests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enhance value of corpora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ongoing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rather than temporary ones.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 경영의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기업과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기업, 소비자 그리고 투자자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기부금 지출액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기부금 지출액의 지속성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개별기업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기부금 지출의 지속계수를 추정한 후, Ohlson(1995) 모형을 이용하여 기부금의 지속성 차이에 따라 기부금과 기업가치의 관련성이 차별적으로 달라지는지 검증한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만, 개별 기업의 지속계수를 매 연도마다 추정하기 위해 과거 10년간의 기부금자료가 2003년부터 축차적으로 이용된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부금은 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부금 지출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분석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기부금의 지속성은 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즉, 기부금 지출의 지속계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기업가치가 더 높았다. 셋째, 기부금의 지속성 차이가 기부금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부금의 지속계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기부금과 기업가치의 양(+)의 관련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차별성을 지닌다. 첫째, 기부금 지출과 그 지속성을 추정하여 CSR 활동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광범위한 표본을 이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장기적 관점에서 기부금 지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부금의 지속계수를 추정하여 사용하였다. 셋째, 기존 연구들이 제시한 기업특성변수들뿐만 아니라 기부금 자체의 운영 방식에 따라 기부금의 가치관련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혔다.

      • 송광사 불조전 53佛과 華嚴·懺悔 사상

        김세영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선 17~18세기에 집중적으로 조성되었던 53불 도상圖像에 관한 연구로 삼신불과 53불이 결합된 송광사 불조전의 도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조선 17~18세기에 나타나는 53불 도상과 당시 유행했던 화엄華嚴·참회懺悔 사상思想 그리고 부휴문중浮休門中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현재까지 53불 도상 연구는 금강산 유점사에 관한 단독 존상尊像만 다루어졌고, 조선 후기에 주존主尊과 결합한 53불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조선 후기 53불 도상은 당시 그 지역을 활동한 승려문중과 관련이 깊어 보인다. 따라서 지역에서 활동한 조각승을 통하여 불상의 양식을 고찰하고, 승려문중의 성향으로 도상을 연구하여 조선 후기 불교미술을 다각적, 복합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순천 송광사는 신라 말에 창건되고 보조국사 지눌에 의하여 중창된 뒤, 15국사가 배출된 곳이다. 조선 후기 불교의 큰 맥脈인 부휴문중은 임제법통을 이으면서도 순천 송광사의 보조유풍普照遺風을 계승하며 독특한 문중 성향을 나타낸다. 부휴문중은 순천 송광사에 세거世居하며 화엄 교학을 중시했고 관련 경전을 간행했으며 순천 송광사를 화엄사상의 중심 사찰로 만들었다. 송광사 불조전에는 석조삼신불좌상石造三身佛坐像, 석조오십삼불좌상石造五十三佛坐像 그리고 삼신·오방불탱三身·五方佛幀과 오십삼불탱五十三佛幀이 봉안되어 있다. 송광사 불조전 53불상은 발원문을 통하여 과거 53불임을 알 수 있는데, 이에 관한 경전으로는 ??관약왕약상이보살경觀藥王藥上二菩薩經??이 있다. 참회적 성격의 이 경전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도 있으나 이 경전의 영향을 받은 ??자비도량참법慈悲道場懺法??, ??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陀道場懺法?? 등의 참법류懺法類 경전과 연관성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화엄 교학이 발달한 조선 17세기에 ??화엄경소華嚴經疏??나 ??화엄경소초華嚴經疏??? 등에서 설하고 있는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정토와 여러 염불 등은 조선 후기 염불문念佛門이 강화되는 시기와도 관련되며 도상의 연원을 추정하게 한다. 송광사 불조전 불상은 불석佛石으로 조성되었다. 일반적으로 불석제 불상은 경상도에서 먼저 조성되어 전라도로 전파되었다. 1684년명 송광사 불조전의 불석제 불상은 전라도에서 비교적 이른 예에 속한다. 이를 조성한 조각승은 ‘충옥?玉’으로 조각승 유파인 ‘색난파色難派’에 속한다. 충옥이 일찍부터 순천 송광사에서 대규모의 불상 조성을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벽암문중의 영향으로 보인다. 화엄사 각황전 석가모니불좌상의 발원문 기록에서 충옥은 조계산 사문沙門임이 확인되었으며, 벽암각성비碧巖覺性碑에도 충옥이 등장한다. 따라서 이것은 순천 송광사의 분위기를 가장 잘 이해하였던 문중의 일원이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조선 후기 53불은 의성 대곡사大谷寺를 제외하고 순천 송광사, 여수 흥국사興國寺, 순천 선암사仙巖寺, 순천 대흥사大興寺에 봉안되어 있는데 모두 옛 순천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당시 조계산과 그 주변 지역은 부휴문중의 중심 활동지로서 문중의 성향이 도상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계산과 그 주변지역이 아닌 경상북도 의성 대곡사에서 53불이 조성된 것 역시 벽암문중이 불사를 주도했기 때문이다. 송광사 불조전에서 삼신불과 53불이 결합한 것은 다른 사찰들의 과거 칠불과 53불이 결합하는 것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순천 송광사는 화엄 교학이 극대화되는 시기에 사역寺域 남측에 화엄 사상을 구현하는 공간을 조성하였다. 따라서 그 중심에 화엄의 삼신불을 봉안하였고 과거 53불을 통하여 부휴문중의 법맥을 강조하고 예참禮懺, 화엄의 법수法數 등의 복합적인 의미를 표현하였다. 또한 삼신불과 과거 53불을 조성하는 것은 장엄겁莊嚴劫·현겁賢劫·성수겁星宿劫의 과거, 현재, 미래의 각 천불을 조성하는 의미를 가지며 화엄의 연화장세계를 구현하고 시방삼세에 불타가 존재한다는 화엄 사상을 상相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iconography of 53 Buddha most of which were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in the 17th ~ 18th century with focus on the styles of the 53 Buddha statues combined with the Vairocana Buddha Triad kept at Buljojeon Hall(佛祖殿) of Songgwangsa Temple(松廣寺). Specifically, this paper review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53 Buddha statues that appeared in the 17th ~ 18th century, the Avatamsaka(華嚴)·Ksama(懺悔) thought, which was in vogue at that time, and the Buhyu Clan(浮休門中). So far, research on the iconography of 53 Buddha has been confined to the single statue composed of 53 Buddha statues kept at Yujeomsa Temple(楡岾寺) in Geumgangsan Mountain. Studies about 53 Buddha iconography combined with the main Buddha statue in the late Joseon Period have not been carried out, however. The 53 Buddha icons made in the late Joseon Period appear to be associated closely with the monk clans that carried out activities in the relevant area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tyle of Buddha statue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monk sculptors who carried out activities in the relevant areas and study statues based on the propensity of the relevant monk clans in an effort to interpret Buddhist art in the late Joseon Period in a multifaceted manner.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was founded toward the end of the Silla Period and renovated by National master Bojo. The temple produced 15 nationally renowned National masters. The Buhyu Clan(浮休門中),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Buddhism toward the late Joseon Period, displays a unique style of their own as those who inherited the religious tradition of Imje School of Buddhism and the principle developed by National master Bojo at Songgwangsa Temple. The clan made Songgwangsa Temple a central temple of the Avatamsaka thought by placing great importance on Avatamsaka-based teachings and publishing the Avatamsaka scriptures.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keeps a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石造三身佛坐像), 53 stone seated Buddha statues(石造五十三佛坐像), a Buddhist painting of Vairocana Buddha Triad·Buddha Five-Direction(三身·五方佛圖), and a Buddhist painting of 53 Buddhas(五十三佛圖). The letter of prayer left there tells us that those kept at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were the past 53 Buddha icon. One of the relevant sutras with this icon is Gwan yakwang yaksang yi bosalgyung(觀藥王藥上二菩薩經, Bhai?a jyar?jabhai?ajyasamudgata Bodhisattva-S?tra). This sutra with repentant content probably wielded a direct influence on the making of the 53 Buddha statues, but the statues are also thought to be associated closely with other sutras with repentant content, influenced by said sutra like Jabi doryang chambeop(慈悲道場懺法, Repentance Ritual of Great Compassion) and Yenyeom mita doryang chambeop(禮念彌陀道場懺法, Contrition in the Name of Amitabha Buddha). During the Joseon Period in the 17th century when Avatamsaka-based teachings were developed, the Pure Land of Lotus Flower of Vairocana Buddha(蓮華藏世界) and many Buddha-name Recitations(念佛) were taught by Hwaumgyung-so(華嚴經疏, Commentary on the Avatamsaka Sutra) or Hwaumgyung-so-cho (華嚴經疏?, Avatamsaka Sutra with Commentaries by Chengguan). They are associated with the late Joseon Period when the importance of yeombulmun(念佛門, Path of reciting the name of Buddha to be reborn in the Realm of Utmost Bliss) came to be stressed. One comes to presume the origin of the statues from this. Buddha statues kept at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are made with zeolite. Such zeolite Buddha statues were first made in Gyeongsang-do and subsequently disseminated to Jeolla-do. Those in Songgwangsa Temple, containing the inscription of 1684, were those made earlier than the others in Jeolla-do. The monk sculptor Chungok(?玉), who made the statues, belonged to the Saengnan School(色難派). He is presumed to have been able to make a large number of statues in Songgwangsa Temple at such an early period with the support of his cla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written prayer found inside of the Seated Sakyamuni Buddha at Gakhwa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tells us that Chungok belonged to the monk of Jogyesan Mountain.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for Monk ‘Byeogam-Gakseong’ also mentions his name. We can surmise that he was a member of the clan that was well-versed on the overall atmosphere of Songgwangsa Temple as the backstory of how he came to make the statues. The 53 Buddha statues made in the late Joseon Period are all kept at temples in an area called Suncheon (i.e., present-day Songgwangsa Temple, Seonamsa Temple(仙巖寺), Daeheungsa Temple(大興寺) in Suncheon, and Heungguksa Temple(興國寺) in Yeosu) except those kept at Daegoksa Temple(大谷寺) in Uiseong, Gyeongsangbuk-do. At that time, Jogyesan Mountain and areas adjacent to it were the central areas of activities of the Buhyu Clan. The propensity of the clan is presumed to have been reflected directly on the styles of the statues. The making of the 53 Buddha statues at Daegoksa Temple in Uiseong was associated with the leading role played by the Byeogam Clan. The iconography of Thousand Buddhas(千佛) is another example of the thought in multi-Buddhas(多佛), which emerg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y are kept either as a single statue composed of Buddha statues or jointly with the main Buddha, showing similar features with those of the 53 Buddha icon. The way the 53 Buddha statues combined with the Vairocana Buddha Triad at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is different from the way the 53 Buddha statues combined with the past 7 Buddha statues at other temples. Songgwangsa Temple allotted a space for realizing the Avatamsaka thought in the south of the temple during the period when Avatamsaka-based teachings reached their pr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