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 감상 관련 성취기준 구현의 비판적 고찰 -2015 초등『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서정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implem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poetry appreciation in textbooks among the 2015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Poetry topic’ and ‘activities’ within the textbook unit reflec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the main subjects of the study. In this thesis, the concept of appreci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was examin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ppreciation are ①affective, ②constructivist, ③individual/creative, ④variable, ⑤persistent, and ⑥transitive. Appreciation was defined as ‘the process of figurative signification and affective response of individual readers in aesthetic reading’.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learning readers,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examined as factor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Based on this,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six poetry appreciation were selected in the 2015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topic and activities of textbooks that reflected them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erms of topics, similar themes and clichéd expressions were frequently used, and consequently, diversification of topics could not be pursued. Above all, the aspects of life faced by children in today's complex and differentiated society will also vary, but the topics only reflected the rather uniform and narrow life of children, so improvement seemed necessary. In addition, in terms of activities, the personalizing of the text was not achieved, because appreciation as an aesthetic reading was not achieved in the goal-oriented unit system.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mprove on the lack of time to savor poetr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textbook and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experience the utility of appreciation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because appreciation activities centered on learning goals rather than texts dominate.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added as follows. In terms of topic, the various aspects of life faced by elementary learning readers in terms of subject, expression, and form should be reflected, and in terms of activities, the unit system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and a text-oriented uni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extbooks are very important in that they mediate the ideal and realization of education as a material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learners face. The problems with current textbooks must be overcome through self-cleaning action, apart from the curriculum revision.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problems with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current textbook will be improved in the following textbooks, so that the meaning of poetry appreciation is put into practice, and literary education in which poetry is read as poetry is realized as soon as possible. 본 연구는 2015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가운데 시 감상 관련 성취기준이 교과서에 구현된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수용이론의 관점에서 시 제재와 교과서 활동이 학습독자로 하여금 주체적인 감상을 이끌어 내는지에 관하여 논의할 것이다. 7차 교육과정부터 수용 활동은 초등문학교육의 골자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감상의 성격이 오인되고, 그 가치가 도외시되면서 제대로 된 감상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요컨대 이해 활동과의 혼용으로 감상의 성격이 인지적으로 편향되었고, 목표 중심의 단원 편성으로 작품 읽기가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이 되어 감상의 목적과 본질이 위축되었다. 그러나 문학교육의 목표가 문학능력의 함양에 있고, 문학능력이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창작하는 능력이라 할 때, 교육 현장에서 올바른 수용 활동을 실천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 근자에 와 인간 중심 교육관과 기능 중심 문학교육이 대두됨에 따라 감상 관련 성취기준 및 감상 활동이 확대된 것을 고려하면 위 문제는 신속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까닭으로 본고에서는 먼저 감상의 의미와 성격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수용이론 및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문학 작품의 수용과정이 갖는 특징과 우리나라 현대문학교육 연구에서 논의해 온 감상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를 종합하여 문학교육에서 감상의 성격이 ①정의적(情意的), ②구성주의적, ③개별적/창조적, ④가변적, ⑤지속적, ⑥전이적(轉移的)인 것임을 밝히고, 감상을 ‘심미적 독서에서 나타나는 개별독자의 형상적 의미화 과정과 정의적 반응’이라고 정의하였다. 아울러 초등『국어』교과서의 시 감상교육 구현에 관련하는 요인으로 학습독자, 교육과정, 교과서의 특징 및 관계를 논의하였다. 초등 시 감상 교육의 학습자는 배움과 감상의 주체로서 학습자, 독자, 초등학생의 특성을 동시에 지니는바 이들의 특성을 모두 고려한 제재 선정이 필요함을 밝혔다. 아울러 교과서의 기능을 ‘교육과정 구현’에 우선해 온 관행이 역설적이게도 ‘실천’을 목표로 하는 교과서로 하여금 ‘계획’을 구사하는 교육과정 문서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지 못하는, 그리하여 교육과정 문서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야기했다고 적시하였다. 상기의 논의를 토대로 2015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시 감상 관련 성취기준 6개([2국05-01], [2국05-02], [4국05-01], [4국05-04], [6국05-02], [6국05-05])를 선정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위 성취기준은 모두 2015 교육과정 개정을 통과하며 얼마간의 변화를 거친 것으로 개정 전과 비교할 때 감상을 촉진, 구체화, 공유하는 방향으로 수정된 양상을 보였고, 교실 속 상호작용과 학생 중심 활동이 강화된 점이 드러났다. 한편 개정을 거듭하며 지식 범주는 축소되고 기능 범주는 확장되었는데 이는 지식이 소거된 기능으로써 교과서 활동이 가질 한계를 우려케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6학년 1·2학기 2015 『국어 ㉮, ㉯』교과서 24권 가운데 시 감상 관련 성취기준이 반영된 단원의 제재와 활동 양상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제재의 경우, 텍스트와 독자의 기대지평이 일치할 때 감상이 이루어진다는 수용이론의 관점에서 다양성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요컨대 제재의 소재는 다양한 편이었으나 하나의 소재 안에서 다루어지는 주제가 다소 획일적인데다 상투적인 표현도 빈번하게 나타나 제재의 다양화를 도모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 복잡하게 분화된 사회변화에 따라 다양한 환경 속에 살게 된 어린이의 삶을 적극 반영하지 못한 점에서 학습독자 간 수용격차가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개선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아울러 활동 면에서는 목표 중심 단원 체제하에서 심미적 독서로써 감상활동이 실천되는데 어려움이 따라 텍스트의 자기화가 이루어지지 못한다고 보았다. 이 같은 결론을 도출하게 한 근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 텍스트가 정서 표현의 문학임에도 불구하고 시에 담긴 정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정서 학습이 선행되지 않았다. 둘째, 단원 학습 목표에 ‘시 감상’이 있음에도 듣기·말하기 성취기준으로 인하여 해당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셋째, 반복학습의 근거가 불분명한 ‘감각적 표현’이 두 개의 유사한 단원을 구성하면서 교과서의 경제성을 저해하고 잠재적 문학경험을 탈락시킨 사례가 있었다. 넷째, 주요 감상활동에 있어서 활동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안내가 부재한 채 기계적인 반복만 거듭되어 활동의 가치만큼 교육적 효용을 얻지 못하고 있었다. 다섯째, 14개의 형식화된 감상 활동이 전 학년에서 반복되고 있었으나 대개 개인적인 관점에서의 감상에 그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섯째, 언어 기능 중심의 단원에서 시 텍스트가 도구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일곱째, 교과서 구조상 시를 음미할 시간이 부족하였다. 여덟째, 텍스트가 아닌 목표 중심 감상활동이 지배적으로 나타나 감상의 취지에 부합하는 시 교육의 실천에 한계가 있었다. 상기의 결론을 바탕으로 시 감상교육의 제고를 위한 교과서 개선이 절실한바, 다음의 시사점 및 제언을 덧붙였다. 첫째, 제재의 주제·표현·형식 면에서 초등 학습독자가 당면한 여러 삶의 국면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이외의 관점에서 다양한 제재를 선정·제공해야 한다. 셋째, 정확한 문학 용어와 함께 시를 수용하는 데 필요한 지식교육을 해야 한다. 넷째, 효용론을 중축으로 다양한 감상 관점을 확충해야 한다. 다섯째, 주요하게 반복되는 감상 활동에 대해서는 활동의 목적과 실천 방법에 대한 탐색 및 안내를 병행해야 한다. 여섯째, 단원 체계 방식을 영역별 특성에 맞게 다양화하고 문학교육의 경우 텍스트 중심 단원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교과서는 학습자가 대면하는 교수·학습 자료로써 교육의 이상과 실현을 매개하는 지점에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과서는 제 탄생의 근원인 교육과정 문서로의 회귀를 위한 편찬이 아닌 그 반대편에 서 있는 학습자를 위하여 개정·편찬되어야 한다. 같은 맥락에서 교과서의 문제점과 한계는 교육과정과 맞물려 해결되는 부분도 물론 있겠으나 그보다 스스로의 자정작용으로 말미암아 극복되어야 할 부분이 더 크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특히 본고에서 다룬 문제점 중 일부는 이미 오랫동안 지적되어 온 것임을 통감하며 차기 교과서에서는 이를 개선함으로써 감상의 의미가 실천되고, 시가 詩로 읽히는 교육이 속히 실현되길 바란다.

      •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전략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적응특성 탐색

        김서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classes in change patterns in accultur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to identify relevant variables affecting the latent classes, and to assess the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school adjustment) adaptation of each latent class. Through the process, the research reviews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on developmental process in a objective perspective. The research is based on two problem consciousness: Though the propor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adolescents is increasing, there are limited studies focusing on the identity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Next is the traditional negative perspective upon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Three research agendas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First, the latent classe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on type were classified. In order to classify the typ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on strategies, analysis of longitudinal change of preference for Korean culture, their heritage culture and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were conducted. Next, the determinants (Gender, language proficiency, social support, mother’s education level,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notion of father & mother, body & grade satisfaction, neighborhood satisfaction)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Lastly, the research examined how psychological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sociocultural (Academic adjustment, teacher & friend relationship) adaptation results vary according to the latent class classification. The study was based on the 6 year data (4th ∼ 9th grade) of 1,639 multi-cultural adolescents which wa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Multi-group Latent Growth Model were conducted. Major procedures and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ed. Through the changes in orientation toward Korean & heritage cultur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latent class we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Integration-low stress’, ‘Marginalization-high stress’, and ‘Assimilation-low stress’ . ‘Integration – low stress' is a group with high preference for Korean & their heritage culture, and low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Marginalization- high stress’ is a group with low preference for both Korean & their heritage and relatively high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Assimilation – low stress’ is a group with high preference for Korean culture and low preference of their heritage culture. And the level of acculturation is low. It differs from the pattern of Berry 's acculturation strategies which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orn and raised in Korea. Second, gender, Korean·heritage language proficiency, perceived economic status, mother’s education level, family support, parental neglect, notion of mother’s country, peer support, and grad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In particular, students with low level of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and parents’ educational support & expectation with high level of parental neglect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Marginalization-high stress’ than the other two classes. Third, the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cculturation result assessment showed ‘Integration-low stress’ class created the most positive result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cculturation, as student get older, all latent classes showed tendency of higher level in self-esteem, teacher & friend relationship,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while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djustment decreased. Especially, while the self-esteem level in the ‘Integration-low stress’ and ‘Assimilation-low stress’ classes increased, the ‘Marginalization-high stress’ class self-esteem level decreased. The ‘Marginalization-high stress’ class was identified as the lowest level of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cculturation among the three classes, which requires the need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is latent class. Through the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research classified latent classe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on, identified the determinants and outcomes and reviewed their acculturation in general. As a result, the most vulnerable latent class was identified, and discussions to enrich their acculturation process were made in the educational counseling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전략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잠재계층 구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동시에 각 잠재계층의 심리적·사회적(학교생활) 적응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발달과정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가정 학생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이들에 대한 발달과정 연구는 미약하다는 점과 기존의 사회적 인식이 다문화 가정 학생을 부정적인 심리적·사회적 적응과 연결시킨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유형의 잠재계층을 구분하는 것이다. 우선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도, 외국문화수용도,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하여 잠재계층을 파악하였다. 둘째, 도출된 잠재계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구사회학적(성별, 경제적 수준, 부모 교육수준), 심리적(신체만족도, 부모에 대한 자긍심, 외국인 부모 나라에 대한 관심), 언어적(학생 한국어 수준, 어머니 나라 언어수준), 가정 요인(모의 한국어 수준, 가족지지, 부모 양육 태도), 학교 요인(또래지지, 교사지지)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셋째, 잠재계층별로 심리적·사회적(학교생활) 적응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심리적(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 우울, 사회적 위축)·학교생활(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업적응) 적응 결과와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 총 1,639명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로 1차년도(초4)부터 6차년도(중3)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잠재계층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모집단의 이질적인 특성을 지닌 잠재계층을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잠재계층 구분에 영향을 주는 배경요인들을 찾아보았고, 마지막으로 잠재계층 별 심리적·학교생활 적응의 모습을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도와 외국문화수용도,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를 통해 잠재계층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응 유형은‘통합-저스트레스형’, ‘주변화-고스트레스형’, ‘동화-저스트레스형’으로 나타났다. ‘통합-저스트레스형’은 한국문화수용도와 외국문화수용도가 높고,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이다. ‘주변화-고스트레스형’은 한국문화수용도와 외국문화수용도가 낮고,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이다. ‘동화-저스트레스형’은 한국문화수용도가 높고, 외국문화수용도가 낮으며, 스트레스가 적은 집단이다. Berry의 문화적응 유형 중 분리형은 도출되지 않았다. 이는 국내에서 출생하고 성장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현상을 반영한 결과이다. 둘째, 집단 구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본 결과 개인 변인 중 성별, 한국어 수준, 어머니 나라 언어수준, 주관적 경제적 상황, 가족 변인 중 어머니 교육수준, 가족지지, 부모 양육 태도(방임), 어머니 나라에 대한 관심, 학교 변인 중 또래지지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한국어 수준이 낮고, 가족지지가 약하고, 방임이 높은 학생들의 경우 다른 두 집단보다 ‘주변화-고스트레스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이와 관련한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잠재계층별 심리적·학교생활 적응 결과를 살펴본 결과 ‘통합-저스트레스형’이 가장 긍정적인 적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화-저스트레스형’과 ‘주변화-고스트레스형’ 순으로 확인되었다. 잠재계층별로 심리적·학교생활 적응의 시간적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에서 자아탄력성, 교우관계는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고, 교사관계는 유지되었고, 우울과 사회적위축이 증가하며, 삶의 만족도와 학습적응이 떨어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자아존중감은 잠재계층별로 차이가 났는데, ‘통합-저스트레스형’은 증가하고 ‘동화-저스트레스형’은 유지되는 반면, ‘주변화-고스트레스형’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화-고스트레스형’은 세 유형 중 심리적,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가장 낮은 집단으로 확인되어 이 유형에 대한 교육적·심리적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효용성 및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이 건강한 정체성 형성을 돕는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문화적응 유형의 잠재계층을 도출하였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결과를 살펴보아, 이들의 문화적응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취약한 집단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건전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교육·상담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성인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음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서정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es’ performance of noise management, noise experience, noise-related knowledge, response to noise, an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es’ performance of noise management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8 nurse in adult intensive care unit with over 3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working at advanced general hospitals in J and C c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st to 20th,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WIN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were as follows. The nurses’ mean age was 28.36±4.29 years old and most of them was general nurses (96.6%). The mean years of nurses’ nursing experience was 5.52±4.34 years and the mean years of working experience in the intensive care unit was 4.23±2.30 years. Regarding noise-related characteristics, 35 nurses (23.6%) reported that the unit applied ‘quiet time’ and ‘quiet time’ was applied between midnight and 8 am. However, 113 nurses (76.4%) reported that the unit did not apply ‘quiet time.’ 147 nurses (99.3%) report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noise management. 112 nurses (75.5%) reported that the education on noise management is needed. 2) The mean score of noise experience frequency was 3.05±0.62 (range 1-4). The mean scores of its subcategories were: 3.41±0.62 of medical device factors, 2.99±0.63 of human factors, 2.96±0.84 of environmental factors. The mean score of perceived noise levels was 4.69±1.51 (range 0-10). The mean scores of its subcategories were: 5.93±1.84 of medical device factors, 4.50±1.51 of human factors, 4.05±1.90 of environmental factor. The total score of noise-related knowledge was 28.91±9.98 (range 0-54)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was 54%, which was generally low. The mean score of response to noise was 4.89±2.32 (range 0-10). The mean scores of its subcategories were: 4.22±2.29 of physiological response and 5.42±2.55 of emotional response. The mean score of patient safety culture was 3.52±0.49 (range 1-5). The mean scores of its subcategories were: 3.86±0.66 of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3.72±0.63 of teamwork, 3.62±0.71 of leadership, 3.53±0.72 of patient safety policy and procedure, 3.30 ±0.74 of patient safety improvement system, 3.26±0.83 of non-punitive environment, and 2.86±0.70 of patient safety priority. The mean score of performance of noise management performance was 3.45±0.64 (range 1-5).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ecessity of noise management education in nurses’ performance of noise management (t=2.66, p=.009). 4)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nurses’ performance of noise management and noise experience frequency (r=.20, p=.013), noise-related knowledge (r=.21, p=.009), response to noise (r=.23, p=.005) as well as patient safety culture (r=.50, p<.001). 5)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performance of noise management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were noise experience frequency (β=.16 p<.030), teamwork of patient safety culture (β=.33, p=.006) and patient safety policy and procedure of patient safety culture (β=.25, p=.037) explaining 37.9% of the variance. In conclusion, the factors affecting nurse’ performance of noise management in the adult intensive care unit were noise experience frequency, teamwork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policies and procedures of patient safety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a noise reduction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using teamwork reinforcement and team approach to improve performance of noise management for nurses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Also, in addition to nurses’ personal efforts for noise management, organizational efforts and strategies are needed by establishing patient safety policies and procedures related to hospital noise at the hospital level.

      • 대통령 기록관의 발전 양상 : 미국 대통령 기록관의 발전 단계 연구

        김서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통령 기록관은 대통령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이라는 두 가지 역할과 아카이브 및 박물관 영역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으며, 시기별로 주요한 역할과 기능은 변화한다. 미국 대통령 기록관은 이러한 변화의 과정은 뚜렷이 보여주는 데, 이를 대통령 기록관의 라이프 사이클, 즉 발전 단계라고 지칭한다. 발전 단계를 구축하면 예상 실무를 미리 파악하여 인력, 업무, 프로그램 등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고, 변동 사항이나 변화, 예를 들어 아카이브 영역과 박물관 영역간의 인력 비율, 이용자 요구 등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각 대통령 기록관이나 대통령 기록물별로 동일한 기준과 정책을 적용할 수 있어 균형 있는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미국 대통령 기록관의 역사와 기능을 통해 대통령 기록관을 이해하고, 린다 피셔의 모델을 토대로 한계점을 보완하여 초기 단계, 전문 이용 단계, 성숙 단계의 대통령 기록관 발전 단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트루먼, 케네디, 클린턴 대통령 기록관의 운영 실제를 통해 발전 단계의 근거를 마련한 것은 물론, 각 단계별 문제점과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특히 이 논문은 미국의 최근 자료들을 참고하였고, 클린턴 대통령 기록관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구축한 발전 단계는 한국 대통령 기록관의 노무현 대통령 기록물의 업무 표준으로 적용될 수 있다. 대통령 기록관의 발전 단계는 대통령 기록관의 역할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아카이브 영역과 박물관 영역의 인력들이 할 일과 앞으로 해야 할 일을 명시해주는 업무 표준이자 기록관의 운영 지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삼단계의 발전 단계를 통해 노무현 대통령의 기록물에 대한 업무 방향을 설정하고, 그 이전에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근본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대통령 기록관에 관한 국내 연구는 많았지만 대통령 기록관의 발전 단계라는 새로운 시각에서의 연구는 없었으며, 국내 연구 논문들은 대체로 미국 대통령 기록관의 사례를 개괄적으로 설명하고서, 그것을 한국 대통령 기록관에 적용하려고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새로운 연구 자료들을 참고하여 대통령 기록관에 대한 이해를 돕고, 대통령 기록관의 발전 단계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미국 대통령 기록관의 발전 단계를 보완하여 한국 대통령 기록관의 발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이 대통령 기록관의 운영 활성화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Presidential Library has the roles of preserving and utilizing presidential archives, and also has the archival and museum functions. But the primary roles and functions of Presidential Library have been changed over the time. American Presidential Libraries vividly show the process of changing roles, that is Presidential Library's life-cycle or 'developmental stages'. Building 'the developmental stages' helps to plan manpower, business, programs and to prepare for fluctuations or changes, for example manpower ratios between archival scope and museum scope, user's need etc. Also, 'the developmental stages' make balanced development possible as they can be applied to the same standard and policy of each Presidential Library or presidential archive.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Presidential Library by studying the history and functions of American Presidential Libraries and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Linda Fischer's model, and to build three developmental stages: the nascent stage, the professional use stage, and the mature stage. And then this paper found grounds for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drew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each stage by examining the cases of Truman, Kennedy, Clinton Presidential Library. Specially, this paper consulted a lot of American recent studies and included a concrete case study on the Clinton Presidential Library. Established developmental stages can be applied as a work standard to Roh Moo-Hyun presidential archive. As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residential Library can serve as a business standard and an operation instructions which indicate what the staff of archive and museum should do. Thus, this paper set the business direction and fundamental ways for the Roh Moo-Hyun presidential archive. Until today many Korean studies on the Presidential Library have been published, but none of them showed a new perspective of developmental stages of Presidential Library. They tried to survey the cases of American Presidential Libraries and to apply them to Korean Presidential Library without through study. This paper helps understand the Presidential Library in view of consulting new data, and presenting new perspective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residential Library. Morever, I tried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plans of Korean Presidential Library by analyzing those of American Presidential Libraries. I hope this paper contributes to develope our Presidential Library.

      • 국내 인터넷 검색사이트의 워드마크(word mark)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서정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explosive increasing users of internet give rise to a lot of business opportunities, and among them, internet search sites make profit through giving useful informations and a variety of services to consumers for free In this situation, consumers are very discreet to choose suitable internet site. So the word mark that express the corporation effectively, can catch the perception and decision of consumers. Because of the differences of cultures, languages or characters can be mistranslated in this modern society and configuration have the similar defects of misinterpretation and diverse meanings according to the cultures. As a result, word mark is created to disentangle the problems about symbol mark and logo type and is very outstanding. This article chose the 20 top Korean search sites including Daum, Yahoo Korea, Lycos Korea, and Naver. Word mark can make very similar visual experiences and be confused easily and to impress the consumers strongly, it is needed to have the differentiated visual effects ,more over simple understanding. In internet, word mark is one of the measures of expression for the corporation and must have easy understanding and appealing shape to make possible the instinct communication. This article analyzed calligraphical styles, image applying of assistant graphical elements and color in word mark, and it is concluded that most of word marks are made in English, not in Korean and calligraphical styles are very limited. Korean alphabets'consonant placed under vowel make difficult to express but, paradoxically, using effective array, overcome that shortcoming to express rhythmic arrangement, though. Other foreign countries can be easily found to use their own languages in their word marks. In spite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most of internet search sites use very plane word mark, so to satisfy and attract young netizens, must use motion picture or cubic method to increase vividness and interest. So far, we have developed word mark with just print medium, but to reinforce the power of word mark, we must develop various other method updated. Production of word mark that just attract customer's interest superficially and be deficient of the corporation spirit will not ensure the future. On line corporation must have philosophy based word mark with differentiated message. The freedom of expression will effectively help transfer the concrete concept of message. I think that multimedia environment is widely spread, and word mark must fit in it, and I individually hope the prosperity of Korean internet search sites' word mark.

      • 갈매리유적 출토 목제품 연구

        김서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갈매리유적은 아산만으로 흘러들어 가는 곡교천의 중류지역에 펼쳐진 충적대지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내에서 다량의 목재유물이 확인되었으며, 유구와 유물의 내용 등 전체적인 분석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일반적인 취락이라기보다는 인간 활동이 많았던 특수한 공간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유적의 성격과 분석된 목재 가공 양상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가공도구의 비율에서는 자귀의 사용이 높았으며, 비교적 간단한 기술로도 제작이 가능한 목제품이 주로 만들어 졌음을 알 수 있다. 가공단계는 Ⅰ∼Ⅴ단계로 분류하였으며, 결과를 살펴보면 가공Ⅲ단계에 해당하는 판재나 각재로 가공하는 특징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완성된 제품이 실제 생활에서 사용하였는지 관찰한 사용흔 비율에서는 차이가 있다. 사용흔이 관찰된 제품은 이 중 가공Ⅲ단계에 해당되는 각재 및 각재에서 사용빈도 수가 높은데, 크기 및 형태를 고려할 때 건축재로 포함될 수 있어 유적내에서 생활구의 사용도 이루어 졌지만, 상대적으로 건축부재를 사용한 건축물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 된다. 또한 당시 자연과학적 분석과 나이테 비율로 볼 때, 유적주변 환경에서는 풍부한 삼림이 조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있다. 한편 입수된 목재의 관리를 위한 임시적 성격의 건축물에도 채취된 목재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상정된다. 이는 건축부재의 사용비와도 연관되는데, 기둥재나 결합부재 및 판재·각재의 존재는 확인되지만, 나무와 나무사이를 결합하거나, 나무를 끼워 맞추는 이음재의 확인이 전무하여 건축물의 성격은 주거지로의 기능보다는 임시창고나 망루의 성격을 가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구조물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유적내에서 이루어진 목재가공은 간단한 기술로도 제작이 가능하였으며, 주로 제작된 제품은 건축재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출토된 건축재 및 사용관찰을 통한 양상을 볼 때, 유적내에서 이루어진 유구 조성도 장기적인 주거의 기능보다는 임시적 성격의 목적으로서 쉽게 제작이 가능한 건물지가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양상을 종합해 볼 때 갈매리유적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일시적으로 밀집하여 조성되어진 특수한 기능의 취락(교역의 장)으로 목제품의 관찰 양상에서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 지도안 연구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김서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21세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시대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산업 구조와 사회변화, 이에 따른 시대적 요구와 교육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협업 능력 등의 다양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 이에 적합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의 모형을 활용하여 중학교 미술 교과서 패션디자인 분야 중 교복 디자인 수업을 재구성하고 설계한 후,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유의미한 교육적 효과성을 알아보고 실제적인 수업 지도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은 문헌조사에 따르면 수업의 성공사례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교육 현장에서는 입시교육을 위한 지식 교과 위주의 강의수업이 여전히 많은 시수를 차지하며 중시되고 있다.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은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모든 교과 학습이 중요하며, 상호보완적 협력 관계로 공유, 통합되는 주제 중심 수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지식 습득과 경험이 융합되어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등 다양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021년, 교육부는 미래형 교육과정 추진계획안에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역량 및 주제 통합적 관점에서 반영하고 ‘프로젝트 기반 선택 활동’을 제공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더불어 기후변화와 불확실성의 증가로 인한 복잡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함양 기반 교육을 마련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민주시민교육을 강화할 것과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할 것을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자는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인식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적용한 교복 디자인 수업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국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주제의 창의적, 재구성을 통해 학습자가 다양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수업을 디자인하여 실행하고자 함이었다. 수업의 대상은 김해◯◯중학교 2학년 남학생 26명으로 4차시, 4단계로 구성된 프로젝트 학습모형을 적용한 교복 디자인하기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이 수업의 목적은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문제를 찾아 직접 해결해 보는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지식과 경험을 구성하고 자발적인 배움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특히, 공동의 문제를 협동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데 학습의 초점을 두었다. 본 수업을 통해 참여자인 동시에 교육자의 관점에서 도출된 학습 결과물과 평가지, 활동지, 인터뷰 결과를 분석해보면, 학생들은 기존의 수업과 다른 학습 방법이 유용하였으며, 수업 과정에서 자신의 강점과 창의성, 협동심, 팀 기여도와 개선할 점 등을 발견하고 성찰하는 기회가 되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무엇보다 학생들과 친숙한 주제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이끌었고 정보화시대에 맞는 멀티미디어 활용은 동기유발과 학습효과 증진에 도움이 되었으며, 순회 지도를 통한 교사의 피드백과 학습을 격려하는 과정에서 학습 활동이 촉진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라는 감염증이 끝나지 않는 상황과 그에 따른 비 개방적인 학습 환경의 한계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학습 태도를 보였다. 향후 수업 환경의 개선과 수업 시수의 확보로 인한 프로젝트 수업이 활성화된다면 보다 나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가 학생들의 사고를 촉진하고 개인의 창의성과 잠재력을 발견하여 개발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방안으로 활용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