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개성,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팝업 스토어의 경험 마케팅을 중심으로

        강효정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개성,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팝업 스토어의 경험 마케팅을 중심으로 – 강효정 경영학과 브랜드매니지먼트전공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팝업 스토어가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주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FCB-GRID 모델을 기반으로 팝업 스토어에서의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브랜드 유형에 따른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팝업 스토어의 브랜드 경험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최근 1 년 이내에 브랜드 팝업 스토어를 방문한 만 20 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녀 300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에는 SPSS 와 Process Macro 를 사용하였으며, 브랜드 경험, 브랜드 개성, 브랜드 태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팝업 스토어의 브랜드 경험은 브랜드 개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다시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FCB-GRID 모델에 따른 브랜드 유형별 분석에서 [고관여-감성] 브랜드 유형에서 가장 큰 간접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다음으로 [저관여-감성], [저관여-이성], [고관여-이성] 순으로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감성적 요소가 강조되는 브랜드 유형에서 매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시사한다. 그러나 연령대에 따른 조절 효과는 통계적 관점에서 유의미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팝업 스토어의 경험 마케팅이 다양한 연령층에 걸쳐 보편적으로 유사한 영향을 미치며, 연령대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팝업 스토어를 활용한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개성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팝업 스토어를 활용한 브랜드 경험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 수립에 통찰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팝업 스토어는 단기적인 마케팅 수단을 넘어 장기적인 브랜드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팝업 스토어를 통해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중심어 : 브랜드 경험, 브랜드 개성, 브랜드 태도, 경험 마케팅, 브랜드 팝업 스토어

      • 익숙한 일상의 탈주로서 사물을 낯설게 보기 : 기호 제거와 시뮬라크르적 표현을 중심으로

        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industrial society and city,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andardized culture, people live in treadmill time feeling alienation, helplessness. The word, daily life convered that life, has positioned philosophical concept to understand today. In thesis, cotemplate from relation with daily goods and our own to relation with society. Thinking descended from modern times still lingers in the mind of human and suppresses liberal thinking but the frame is coming apart. I break the mold of concept of that trapping on the identities and want to discover the difference between what exists. For this reason, to keep the door open for multiple interpretations is the meaning of the piece through trying to find in the most essential value of the works of art. For this, in the first writing, I take notice the ‘the intended life’ of the Henri Lefebvre’s philosophical analysis and look at the art of everyday life with an eye to a background in art history.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has broken the old barriers between high art and low culture, an active appropriation of the common mass media from Pop-art reflects a variety of modern social scene and alludes the society. I have studied ‘différance’ and ‘undecidability’ in Jacques Derrida’s deconstruction theory that brought the shock and thrilled into the western metaphysical philosophy, been maintained for more than in 2000 years which is focus on reason. And through fundamental meaning of the work of art, it is theoretical base that the meaning is always changed by not a fixed symbol but a empty symbol. On Negative representation, I further the process that with the advent of photography, the painting come into negative impacts of representation and a representation to impossible goes into representation to possible. In the second chapter, We looked at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presents a visual symbols into your kind of work is carrying the main business to give visitors an overview of the diversity and the possibility of the meaning in the visual symbols into my work. First of all, it presents that how to chang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o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era, and based on these art history background, I identify the cause that daily objects and space is diagramed by not to reveal the author's taste but to show things of itself, I analyze Jasper Jones and Michael Craig Martin's piece and compare analysis with characteristics appear on your kind of work. Also, in order to associations between the work and Simulacrum repetitive thought that there is no reason to tell the difference realities and fiction, through Platon, Baudrillard simulacre and Allan Mccollum’s work-analysis, I draw the difference of the repetitive similarity. From ear focused on Efficiency of the original document and exclusiveness to digit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tech, I analyze the photography which is the well-doing key role of copied text and find photo’s metonymic force and the possibility of medium of photography by John Hilliard’s work analysi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explanations and the methodology we look at the boundary of sense and nonsense in my work. Daily objects is diagramed to take notice, try to read the context of the image variously. Also, as fostering photogrphy’s characteristics that fulfill its role of copied text, I present similar images repeatedly and seek the various possibility of reason by difference. I break off the concept of framework and offer as it is existed, and through Simulacrum visual reflection repetitive, I induce the guidance of the reason for the border. Under these circumstances, I expect that you break the mold of same type of daily life in own concept, and listen to the diverse and discriminatory voice of the existence. 산업사회와 도시, 대량생산과 소비, 획일화되어가는 양식들, 그곳에서 사람들은 쳇바퀴처럼 굴러가는 오늘과 내일의 덧없는 시간 속에서 소외감, 무력감을 느끼며 생활한다. 이러한 모습이 집약된 일상이라는 단어는 현대를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상의 사물들과 본인과의 관계의 사유로부터 나아가 일상성을 생산하는 사회와의 관계를 들여다본다. 근대로부터 내려온 표상적 사고는 그 틀이 많이 와해하고 있지만, 여전히 인간의 사고방식 속에 남아있으면서 우리의 자유로운 사고를 억압하고 있다. 본인은 인간이 개념 속에 가두어놓은 진부한 동일성의 틀을 깨고 세상에 존재하는 것의 차이를 발견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유를 통해 작품의 의미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도록 문을 열어두는 것은 예술작품의 가장 본질적인 가치를 아름다움에서 찾으려 하는 관습적 사고의 틀을 전복시키는데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론 첫 장에서는 먼저 앙리 르페브르가 철학적으로 분석한 ‘일상성’에 주목하면서 일상의 대상들이 예술작품 속에 들어오게 된 미술사적 배경을 살핀다. 대중매체의 발달은 고급예술과 저급문화 사이의 오랜 장벽을 허물고 그 간극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였으며, 팝아트에서부터 보편화한 대중매체의 적극적인 차용은 다양한 현대사회의 모습을 반영하고 시사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불확정적이며 고정되지 않은 의미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자크 데리다의 해체 이론 속 ‘차연(différance)’과 ‘불확정성(undecidability)’을 탐구한다. 그리고 그가 주장하는 예술작품의 근원적 의미를 통해 미리 정해진 기호가 아니라 비어있는 기호로서 맥락에 따라 항상 변화하는 한다는 것의 이론적 근거로 삼는다. 네거티브적 표상에서는 사진의 등장에 인해 회화가 네거티브적 표상으로 들어가고, 표상 불가능한 것을 표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 과정을 추적한다. 본론 두 번째 장에서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재현의 개념과 특징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미술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인이 일상적 삶에서 마주치는 사물과 공간을 작가의 취향을 드러내지 않고 사물 자체를 보여주기 위해 객관적 혹은 몰-개성적으로 도식화하여 재현하는 연유를 밝히며, 재스퍼존스와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의 작품을 분석하여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는 특징과 비교 분석한다. 또한, 실재와 허구의 구별이 무의미해진 시뮬라크르 시대에 반복적 특성과 본인의 작품과의 연관성을 생각해보기 위해 플라톤과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에 대해 언급하며 나아가 앨런 맥컬럼의 작품 분석을 통해 반복성이 가진 유사적 측면을 통해 차이를 이끌어 내는 과정을 살핀다. 원본성, 유일성이 중시되던 시대를 지나 디지털 기술과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시뮬라크르의 시대에 발맞추어 ‘복제된 텍스트’로서 그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는 사진매체를 분석해보고 존 힐리아드의 작품분석을 통해 사진이 가지는 환유적인 힘과 사진매체의 가능성을 모색해볼 것이다. 본론 세 번째 장에서는 위의 이론적 배경과 설명, 방법론적 바탕을 토대로 본인의 작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의미와 작품들을 살펴본다. 일상적인 사물을 도식화하여 그 사물 자체에 주목하게 하고, 이미지의 문맥을 다양하게 읽는 시도를 한다. 또 복제된 텍스트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사진매체의 특성을 살려 비슷한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그 속에서 발견되는 차이를 통해 다채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처럼 본인은 개념의 틀에서 벗어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고, 반복성을 통한 시뮬라크르 세계의 시각적 반영을 통해 각자에게 내재한 사유를 유도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인의 개념 속에 가두어져 있는 일상 속 진부한 동일성의 틀을 깨고 존재들의 다양하고 차별적인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발터 벤야민의 도시공간에 대한 의미 분석 : 『파사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강효정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발터 벤야민의 도시공간에 대한 의미 분석 : 『파사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본고에서는 발터 벤야민의『파사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19세기의 파리에서 시행된 오스만의 도시개발 사업과 이 과정에서 폐허의 공간으로 드러나게 된 파사주에 대한 의미를 확인하고, 가파른 속도로 진행되는 개발로 인해 위기에 처한 도시의 역사를 구원할 수 있는 방법으로 거리의 산책과 도시의 흔적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주지하듯,『파사주 프로젝트』는 도시공간에 대한 벤야민의 지적 성찰이 응축된 작품으로서 도시를 하나의 거대한 텍스트로 바라보고 탐독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벤야민은 19세기의 파리를 배경으로 파사주, 만국박람회 등과 같은 공간적인 요소들을 비롯하여 산업문화, 대도시에서의 인간유형, 사상가 및 작가에 이르기까지 근대 도시문화의 광범위한 담론을 다루고 있다. 19세기의 파리는 계몽주의에 따른 모더니즘 역사관에 입각하여 오직 진보의 측면만을 강조함으로써 미래로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표방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바로 오스만의 도시개발 사업이다. 당시 오스만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리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도시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도시의 역사적 맥락과 인간의 삶을 도외시한 도시개발 사업을 추진한 결과, 파리에 존재하던 중세의 문화자원을 비롯하여 인간의 추억과 흔적이 담긴 장소까지 무차별하게 훼손되었다. 게다가 한때 자본주의의 신전이라 불리던 파사주 역시도 폐허의 공간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었다. 파사주는 오늘날 대형 쇼핑몰의 전신으로서 신상품을 판매하는 상업적인 공간이었다. 그러나 파사주는 오스만의 도시개발 사업 과정에서 등장한 획일적인 신축건물과 대형 백화점으로 인해 쓸쓸히 퇴장하게 되었다. 즉, 파사주는 빠르게 진행되는 개발의 흐름 속에서 폐허의 공간으로 전락함에 따라 진보의 이면에 감춰진 진실을 드러냈던 것이다. 이를 통해 벤야민은 자본주의 문화의 숙명을 확인하게 되었으며, 오스만이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함으로써 파리가 지닌 독자적인 면모를 상실하게 되었다고 비판한다. 이에 따라 벤야민은 도시에 대한 자신의 기억과 위기에 처한 도시의 역사, 그리고 인간이 남긴 삶의 흔적을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심 곳곳을 산책하였다. 왜냐하면 도시를 느릿느릿하게 배회하는 산책자의 발걸음은 도시에 대한 주의력과 관찰력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도시에 은닉되어 있는 문화자원과 그 가치를 수면위로 드러내고, 더 나아가 도시가 인간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음을 확인시켜준다. 무분별한 도시개발과 정책에 따른 문제점은 비단 19세기의 파리에서만 관찰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 21세기를 맞이하고 있는 한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상황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공간의 상품화, 기능중심의 도시미학, 시장의 전체주의적 이데올로기,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도시가 지닌 역사적 가치와 인간의 흔적이 소멸되는 위기에 직면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도시연구자 및 건축학자들에 의해 '도시의 산책','걷기를 통한 도시역사의 회복','도시의 흔적읽기'등과 같은 담론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까닭은, 무분별한 도시개발에 저항하고 도시가 지닌 문화자원들을 보존하기 위한 그들의 학문적인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벤야민의 도시연구는 현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동시에 도시를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단초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를 토대로 인간의 삶과 도시의 문화적·역사적 맥락을 고려한 도시개발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nalysis of meaning of urban space of Walter Benjamin : with special reference to Arcades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aning of passages exposed as a space of ruins in the Georges-Eugène Haussmann urban development project and its process with special reference to Walter Benjamin’s Arcades Project and to investigate the street stroll and trace of city as a method of rescuing urban history which is under threat due to rapidly progresses development. As noted, Arcades Project is a work that contains intellectual reflection of Benjamin on the urban space, which demonstrated that he saw and pursued a city as a huge text. In addition, with 19th century Paris as its background, his work deals with spatial elements such as passages and international exhibition and also covers extensive narratives on modern urban culture including industrial culture, human type in a large city, thinkers and artists. Paris in the 19th century claimed to the innovation for future by stressing only progressive aspect on the basis of modernism historical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Enlightenment. Haussmann’s urban development project is the typical type that shows such phenomenon directly. At that time, Haussmann conducted full stretched urbanization work focusing on Paris in order to solve various urban problems. However, as a result of promoting city’s historical context and human life on the urban development, medieval cultural resources in Paris and places containing human memory and trace were indiscreetly destroyed. Furthermore, passages, called a temple of capitalism at a time, became the space of ruins. Passage, as an old form of today’s large shopping mall, was a commercial space selling new products. Yet, passages came to be faded out because of uniformed building construction and large department store that appeared i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of Haussmann. That it to say, since passages became a space of ruins in the rapidly progressed development trend, the hidden truth behind ‘progress’ was revealed. Through it, Benjamin checked the destiny of capitalism culture and criticized Hauss –mann’s urban development project as such project resulted in the loss of unique features of Paris. Accordingly, Benjamin strolled every corner of urban area in order to find out own memory of city, the history of city under crisis and the trace of human life. It is because the footsteps of pedestrian who walked the city slowly can enhance attention and observation on the city. Such point exposes hidden cultural resources and their value on the surface and furthermore confirms that the city is no separable with the life of human being. Problems of careless urban development and policy are not merely issues of Paris in the 19th century. At present, 21st century Korea has similar situation continually. Due to commercialization of space, function focused urban aesthetics, totalitarian ideology of market and the influence of new liberalism and globalization, the city is in crisis of destroying the historic value and human trace. Recently, narratives such as ‘urban stroll’, ‘urban history restoration through walking’ and ‘reading urban trace’ by domestic researchers of city and architect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It is an academic effort to resist careless urban development and to preserve cultural resources of a city. In this sense, the study of city by Benjamin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and it provides meaningful clues so that the city can be viewed from the humanistic perspective. Based on it, the urban development must b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life of human and cultural and historic context of a city must be carried out. Key Words: Walter Benjamin, Arcades Project, 19th century Paris, Urban Development of Haussmann, Passages, Perspective of Pedestrian, Urban Trace

      • 음악성 계발을 위한 협동적 창작 지도 방안 연구

        강효정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적 창의성은 음악적 현상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데 있어서의 민감성, 음악적 아이디어의 창출력, 새롭고 다양한 음향이나 악곡을 만들어 내는 독창성, 분석하고 종합하여 새로운 음향을 조성하는 능력, 음향이나 악곡을 새로운 방식으로 정의하는 능력을 뜻한다. 20세기 들어와서부터 창의성이 강조되고 많은 교육학자들이 창의성 신장을 교육의 목표로 주장하면서 음악 교육에 있어서도 창의적인 음악성 계발이 음악 교육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창의적인 음악성 계발은 학생이 학습한 음악 개념을 활용하여 악곡을 만들고, 자신의 음악적인 생각을 자신의 방식으로 독특하게 표현하는 창작 활동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학교 음악교육에서 체계적인 창작 지도 안내가 부족하고 교사의 전문적 지식 부족으로 인해 창작 활동이 소홀해 지는 등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음악 체험 환경은 매우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 점점 학생들 간의 개인차가 커져 학년이 올라갈수록 창작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어려워하며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좀 더 많은 학생들이 창작 수업에 즐겁게 참여하고 학생 서로간의 지지, 도움을 통해 개인차를 줄이고자 협동학습을 적용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다양한 음악 체험 환경을 제공하는 하나의 도구로써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창의적인 음악성을 계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의적인 음악성과 관련한 창작 학습의 중요성과 협동학습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문헌들과 연구 논문들을 통하여 고찰하고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창작 지도 내용을 추출하여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을 활용한 협동 학습의 구조를 적용한 창작 지도 방안을 ‘선율 창작, 선율 변화와 합주곡 변주’의 3단계로 구안하였다. 모든 지도 단계에서 교사는 틀을 제공해주는 안내자 역할을 담당하면서, 학생들이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음악적 능력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모둠 구성원간에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서로 협력하여 스스로 선율을 만들고 곡을 편집하도록 이끌어준다. 이러한 작업은 악보에 대한 이해와 능동적인 참여,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만든 가락을 바로 듣고 스스로 수정하며 학습함으로써 창작 학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모둠 활동에서 개개인의 다양한 시도를 비교하고 차이점을 이야기하면서 음악적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컴퓨터를 통해 이를 좀 더 시각화하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음악 학습의 장으로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강한 동기 부여와 호기심을 자극하고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 수 있어 학습 효과 면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반복 연주를 들으면서 얼마든지 창의적으로 변화를 주어 느낌을 쉽게 체험할 수 있고 빠르기, 셈여림, 조성, 화음 반주 등 직접 입력하고 변화를 줌으로써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음악 학습 능력의 신장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하게 재구성하고 창작한 곡을 합주곡으로 창의적으로 변곡해보는 활동을 통해 하나의 곡으로 완성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성취감을 높이고 창작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 줄 수 있다. 이처럼 컴퓨터 음악의 적극적인 활용과 협동 학습 구조를 적용한 협동적 창작 활동은 음악 학습의 장을 다양화하고 음악성을 계발하고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usical creating ability is that the sensitiveness which helps a musical condition and deal with it. It's is that creating ability which helps make musical ideas. And it is that originality which helps make new and various sound (or composition). It is ability which helps analyze and synthesize to the new. Also it's the ability which helps define sound or composition in the new way. Since the begining of 20 century, the musical creating ability has been emphasized. And many educationalists assert to developing of this ability as the goals of education. Therefore the developing of this ability on the field of music is getting important. They helps to grow the developing the musical creating talent for students to make melodies applying musical conception what they learned to express the musical thinking (or feeling) of them in their own way. In the present school situation, however, systematic guide line to learn this ability and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teachers are in short supply. These things are connected to limiting music circumstances for students. Accordingly, there are bigger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Students are easily less interested in the creating music and feel more difficult in it when they get higher g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mor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learning creating ability class and enjoy it. And they collaborate in the class to reduce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Using computer-based music programme, the students are much more interested in the music and supply music environment. Finally these activities help develop the musical creating ability. To attain the purpose, I investigated the conferences and the studies which are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creating learning class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field of music. I extracted the concerned creating teaching-learning guide line from 5th grad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I took 3 steps " the creating melody, the variation melody and the playing on the theme" using computer-based music programme in the collaborating learning frame. Teacher gives just the frame in each step as a guide line. Students cooperate each other and exchange their ideas to make melodies and to edit them using computer-based music programme even though they do not have very good skill at using computer and the programme. It helps to comprehend musical character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ities, develop the power of concentration, to expect effectiveness of creating class when they listen to, revise the melodies and learn them what students have made already. In the group activities, students compare each students' exams, talk about them and share their ideas. Also students get more the visual angle using computer-based music programme. It gives students strong motivation and stimulate their curiosity. Ultimately it has pretty good effects in education such as higher participating in the class. Listening to a refrain playing, students make melodies change creatively. They experience the mode of melodies, tempo, stress, tonality and a chard. Inputting those to the computer and transforming them, students get to know conceptions of music and develop music-learning ability, surely. It grows the confidence of students when they accomplish the activities which are concerened with creating, transforming them melodies which they made and playing them. In this manner, the use of computer-based music programme, collaborating creative activities on the collaborating learning basis are effective to develop music talent.

      •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대상으로 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적용연구 :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웃집 토토로>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중심으로

        강효정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상매체 시대로의 진입은 영화와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물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 시켰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세계적인 애니메이션 감독인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의 캐릭터를 대상으로 정신분석학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는 작품을 보는 이들이 작품에 공감하는 근거를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프로이트의 '동일시' 이론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분석을 위해 채택한 작품인 <이웃집 토토로>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부모의 부재라는 감독 자신의 경험을 스토리 전개 요소로 차용하면서 평범한 소녀들이 모험을 통해 성장하게 된다는 유사점을 가진다. 이론적 접근에서는 영화분석에 있어 정신분석학의 적용이 어떻게 발전을 해왔는지와 작품분석을 위해 적용될 프로이트의 이론들을 살펴본다. 프로이트는 자신의 이론을 적용해 텍스트 분석을 하였고 이러한 분석은 이후 라캉이나 메츠로 이어져 영화분석에 용이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폴 웰스의 캐릭터 분석은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가 된다. 작품 분석을 위해 캐릭터가 고유한 의미가 아닌 다른 기표를 가지게 된다는 근거로 '꿈의 상징적 의미'들을 언급하였고, 사례 연구로는 '늑대인간-유아기 노이로제에 관하여'와 '다섯발 바기 꼬마 한스의 공포증 분석'에서 어린이들이 아버지에게 다른 기표를 부여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그리고 인간의 의식, 무의식을 구성하는 요소로 이드, 자아, 초자아를 구분하여 정의하며 마지막으로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게 되는 성(性)의 발달 단계를 구순기, 항문기, 오이디푸스기, 잠복기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드, 자아, 초자아의 요소들이 캐릭터 역할에 대입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성 발달 단계에 따른 캐릭터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텍스트 분석 요소에서는 이상의 이론적 준거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 작품을 분석할지에 대해 고찰해 본다. 먼저 캐릭터들이 다른 기표를 획득하거나 이드, 자아, 초자아의 역할수행을 하기 위한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 볼 것이다. 즉, 작품별로 캐릭터들의 어떠한 요소가 분석을 위한 요건으로 성립될 수 있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다음으로 캐릭터들이 성의 발달 단계 중 특정한 단계에 있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해 캐릭터들의 어떠한 특성이 발달 단계별 특징에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텍스트 분석에서는 이상의 텍스트 요소를 <이웃집 토토로>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캐릭터를 대상으로 적용시켜 분석한다. <이웃집 토토로>에서는 토토로가 엄마의 기표를 가지게 되는 근거로 부재한 엄마를 소망하는 자매의 상황과 토토로의 특징을 들었다. 그리고 엄마가 부재한 상황은 하나의 캐릭터를 메이와 사츠키라는 이드와 자아로 분리되게 하여, 엄마를 향한 모태회귀의 가능성과 본능적인 행동을 보이는 메이를 이드로 역할 짓고 현실세계와 관계를 맺고 있는 사츠키를 자아로 역할 짓게 하였다. 또한 엄마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과 엄마의 기표를 가진 토토로를 대하는 사츠키를 오이디푸스기의 유아로 설정하였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터널 안 세계에서 돼지로 변하는 부모는 주인공의 모험을 시작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이다. 터널을 대하는 부모와 치히로의 대조적인 모습과 온천장 캐릭터들이 치히로에게 건네는 대사는 터널 안 세계인 온천장이 치히로의 무의식 영역임을 알게 해준다. 이드와 자아, 초자아의 역할부여로는 두 그룹이 존재하는데 하나의 그룹은 치히로의 부모와 치히로, 하쿠이며 또 다른 그룹은 부우, 유바바, 제니바이다. 무의식 영역인 온천장 세계로 들어가면서 주인공인 치히로가 자아로 역할 지어지고 그에 따른 이드와 초자아 역할로 부모와 하쿠가 설정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온천장 세계의 주인인 유바바가 자아로 역할 지어지면서 자신의 방에서만 머물렸던 부우가 무의식의 이드로, 또 다른 무의식 세계로 상징되는 늪의 바닥에 사는 제니바가 초자아가 되는 것이다. 또한 유아의 성 발달 단계의 구분에 있어서 가오나시는 구순기의 캐릭터로 설정된다. 가오나시가 음식을 먹어대는 모습이나 동경하는 치히로를 먹음으로써 소유하고자 하는 욕구는 전형적인 구순기 유아의 모습이다. 결론적으로 두 작품을 종합, 분석해 볼 때 캐릭터가 다른 기표를 가지는 것이 등일시의 직접적인 이유는 아니지만 캐릭터가 의식, 무의식의 요소들의 역할을 부여받게 된다는 것과 성 발달 단계를 나타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전제가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이루어지는 캐릭터의 이드, 자아, 초자아의 역할부여와, 성 발달 단계의 대입은 관객의 의식, 무의식을 자극하여 캐릭터에 동일시를 부여하고 결국 캐릭터에 대한 이러한 등일시는 작품을 공감하는 데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Entering into the world of image media raised an importance of images such as movies and animated fil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psychoanalysis to characters in work of Miyazaki Hayao who is a world famous animated film director. It is because people who appreciate the work found the reasoning of sympathy in 'identification theory'of Freud who is a founder of psychoanalysis. Selected films for this analysis are <My neighbor Totoro> and <Spirited Away>. They have one similarity in story line that the directors' own experience of absence of parents was used and common girls grew up through experiencing adventures. In theoretical approach, it observed that how psychoanalysis was applied in film analyses and theories of Freud that wouldbe applied to film analyses. Freud conducted text analyses by applying his own theories and these analyses were linked to Lacan and Metz and easily applied to film analysis. Especially, Paul Wells'character analysis is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study. It mentioned 'symbolical meaning of dream'as a reasoning that character is not used as its original meaning but has different symbol in film analysis. And this study dealt 'Wolf Man-about babyhood neurosis' and 'analysis of five-year-old little Hans' psychasthenia' as case studies to give examples that children gave other symbols to their father. It also defined factors consisting huma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uch as id, ego, and superego independently and explained sexual development that every human being goes through by dividing it into oral period, anal period, Oedipus period, and incubation perio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foundation that those factors of id, ego, and superego can be substituted into roles of characters and examined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eriod of sexual development. In text analysis factor, it considered how to analyze the films according to the above theoretical standards. First of all, it looked into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inacquiring other symbols or to perform a role of id, ego, and superego. In other words, it examined what factors of characters in each film could be established as essential in analyzing. Then, it examined what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were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each developmental stage to claim that those characters were at specific stages of their sexual developmental process. In text analysis, it applied the above text factors into the characters of <My neighbor Totoro> and <Spirited away> to analyze the text. In <My neighbor Totoro>, this study presented situation that the sisters hope for mother who does not exist and characteristic of Totoro as foundation of Totoro to have symbol of mother. And it separated one character into id and ego that are in turn May and Satsuki to express the situation of absence of mother, and connected May that show possibility of returning to mother's womb and instinctive action to id and Satsuki that has relationship with real world to ego. Also, it set up Satsuki as baby at Oedipus period that faces Totoro that performs a role of mother and has a symbol of mother. In <Spirited Away>, the parents that change into pigs inside tunnel are important ones that made the main character to start adventure. Contrasting figures of the parents and Chihiro that face the tunnel and dialogs that the characters inside the tunnel speak to Chihiro indicate that the spring inside the tunnel is her unconsciousness. There are two groups of roles in id, ego and superego. One of them has Chihiro, her parents, and Haku and the other one has Bou, Yu-Baaba, and Zeniiba. When they enter into the world of spring, Chihiro becomes ego, her parents become id, and Haku becomes superego. Similarly, when the master of the spring world, Yu-Baaba, takes the role of ego, Bou who only stayed at his room becomes id of unconsciousness and Zeniiba who lives at the bottom of a . swamp which represents another world of unconsciousness becomes superego. Also, in distinction of baby's sexual developmental phase, Kaonashi is set up as a character in oral phase. Figure of Kaonashi eating food or Chihiro that he admires to possess her are typical figures of baby at oral phase. In conclusion, characters' having different symbols is not a direct cause of identifying one to another. Owever, it should be provided as precondition to explain that the characters get factors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represent sexual developmental phases. Id, ego and superego that the characters have and substituting sexual developmental phases into the characters identify the characters with them by stimulating audiences'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s with them finally has a big impact on sympathizing the film.

      • BIM기반 건설공사 공정관리 성과품 납품지침 구성 및 활용방안

        강효정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공사에서는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BIM 기술이 등장하였으며, 건설분야 시설물의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전 생애주기 동안에 발생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외에서는 BIM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지침과 가이드라인이 발행되었으며 계속해서 BIM의 적용 및 표준화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수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침의 경우 시공단계 공정관리 업무에서의 BIM 적용에 관해 구체적인 내용이 부재하여 공정관리 실무에서 BIM의 즉시 적용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시공단계 공정관리에서의 BIM은 BIM모델과 공정계획 데이터를 연계하여 공정과정을 디지털 데이터화 하는 것이다. 이는 공정계획 검토 및 수정, 4D 시뮬레이션, 선제적 리스크 분석 등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정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단계 공정관리 업무에서 발주처와 시공사 간의 원활한 업무 진행에 도움을 주고 공정관리 실무에서의 BIM 적용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BIM기반 공정관리 성과품 납품지침의 구성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BIM기반 공정관리 기능 분류체계를 도출하여 기능 항목별 데이터 작성과 성과품의 납품기준을 구성하였다. 또한,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성과품의 조건이 다르므로 기관마다 납품지침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에 해당하는 납품지침이 자동으로 제공되도록 구성하였다. 이후 실제 Level을 선택하는 사례적용과 Level에 따른 성과품의 비교를 통해 BIM기반 공정관리 성과품 납품지침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 여중생 어머니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 및 자녀의 접종여부

        강효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중생 어머니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 및 자녀의 접종여부 The knowledge of HPV vaccine of mothers who has middle school girls and HPV vaccination for their daughters (whether their daughters get vaccinated or not) 간호학과 강 효 정 지도교수 주 현 옥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중생 어머니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과 자녀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여부를 파악하여 자궁경부암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여중생 어머니 342명이었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2011년 9월 1일부터 동년 9월 25일까지 B광역시 16개 구·군에 소재한 여중학교 32개 중 6개를 임의 추출한 후 학교장의 허락을 구하여 2학년, 3학년 주임학급 12 학급의 학생을 통해 어머니에게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C 14.0 프로그램으로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및 χ-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은 총 14점 만점에 최소 2점에서 최대 14점으로 평균 9.08(±2.25)점이었으며, 문항별 정답률은 64.5%로 나타났다. 2) 자녀에게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을 접종시킨 대상자는 342명 중 12.9%(44명)였으며, 18.7%(64명)는 6개월 이내에 예방접종을 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68.4%(234명)는 접종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종하지 않는 이유는 ‘몰라서’가 47.5%(114명)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제적 부담’이 20.4%(49명), ‘예방접종 효과에 대한 불신’이 11.3%(27명)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점수 는 여성암 가족력(F=11.13, p<.001), 인유두종 바이러스(t=5.42, p<.001)나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에 대해 들어 본 경험 여부(t=5.64,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녀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여부는 여성암 가족력(=10.65, p=.005),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대해 들어 본 경험 여부(=14.05, p<.001)), 본인의 자궁경부암 예방 접종여부 (=36.25,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5) 자녀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지식점수는 접종군이 9.56(±2.14)점, 접종계획군은 9.81(±1.95)점으로 비계획군 8.79(±2.29)점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6.638, p=.001). 따라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점수가 높은 대상자가 그렇지않은 경우보다 자녀의 예방접종 행위에 긍정적이므로 여중생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및 인유두종 바이러스백신에 대한 올바르고 정확한 지식을 교육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보건소에서는 여성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학교에서는 가정통신문과 부모 참여수업 등을 통해 자궁경부암 예방 행위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는 등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지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주요어 : 인유두종 바이러스,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에 따른 균형조절능력 차이

        강효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직형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의 균형조절능력(선 자세, 앉은 자세)을 정상 아동과 비교 분석하고, 경직형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 간에 기능적 조절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 31명(편마비 13명, 양하지마비 18명)과 정상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균형조절능력은 힘판을 이용하여 선 자세에서의 압력중심점(Center of Pressure; COP) 동요 이동거리와 속도를 측정하였고, 불안정 힘판을 이용하여 앉은 자세에서의 COP 동요 이동거리와 유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는 대 동작 기능평가(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아동 균형 척도(Pediatric Balance Scale; PB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정적 선 자세는 눈 뜬 상태에서 측정한 COP 동요 이동거리와 속도는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고(p<.05), 눈 감은 상태에서 측정한 COP 동요 이동거리는 편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p<.05), COP 동요 이동속도는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다(p<.05). 정적 앉은 자세에서의 COP 동요 이동거리는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고(p<.05), 유지 시간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다(p<.05). 동적 앉은 자세에서의 몸통을 전방으로 기울린 상태는 양하지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COP 유지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으며(p<.05), 몸통을 후방으로 기울린 상태는 편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COP 동요 이동거리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고(p<.05), COP 유지 시간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다(p<.05). 경직형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의 평균 GMFM, PBS 점수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으며,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의 정적 선 자세 및 동적 앉은 자세 균형조절능력은 GMFM, PBS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경직성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에서 동일 연령의 정상 아동에 비해 정적 선 자세와 정적&#65381;동적 앉은 자세의 균형조절능력이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또한 정적 선 자세와 동적 앉은 자세에서 기능적 능력과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직형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의 자세에 따른 다른 중재가 필요할 것이며, 특히 기능적 능력의 향상을 위한 정적 선 자세와 동적 앉은 자세 균형조절능력의 집중적인 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저비용항공사의 선택속성이 재구매의도와 공동가치창출 제안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효정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행객들이 점차 증가하면서 저비용항공사는 급성장하였으나 최근 코로나 19 바이러스 팬데믹에 따른 악조건의 외부시장 환경과 한정된 국내지역에서 신생 항공사들의 계속된 추가 출현으로 항공시장 업계는 사상 최대의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저비용항공사가 이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세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전략적인 방안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소득수준 증가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항공기를 이용한 여행은 더는 특별한 경험이 아닌 일상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으며,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유용한 저비용항공사를 타겠다는 일명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비용항공사의 발전에 따라 소비자들이 저비용항공사에 요구하는 속성, 만족하는 속성, 재구매로 이어지는 속성, 그리고 기업과 소비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공동가치창출 속성에 대해 분석하여 소비자들이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인식과 가치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전략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 분석을 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저비용항공사 이용객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각 측정항목의 기술통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하여 측정항목들의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의 연구모형에 사용된 구성개념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셋째, 항공사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IPA분석 결과 3사분면(Low Priority)에 위치하는 속성은 다양한 기내 면세품,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다양한 유료메뉴 선택, 기내식 맛과 질 등과 같은 기내 부대 서비스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속성이었다. 본연구결과 저비용항공사를 선택함에 있어서 해당 요인들은 중요도 순위가 다른 요인들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소비자들이 저비용항공사를 선택하는 큰 요인은 가격적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저비용항공사 선택속성 중요도 분석에서 가장 높은 수치는 1위 경제적인 가격, 2위 상용고객 우대제도, 3위 다양한 항공요금 서비스로 소비자들에게 가격적인 속성이 저비용항공사를 선택하는데 가장 중요히 생각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IPA분석의 2사분면(Concentrate Here)영역에 위치한 속성은 7. 상용고객 우대제도, 16. 넓고 편안한 좌석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저비용항공사 선택 시 가격적 요인에 민감히 반응하기에 향후 저비용항공사의 경쟁력을 모색하기 위해서 상용고객 우대제도의 개선은 저비용항공사가 갖춰야 할 경쟁력 중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 판단된다. 또한, IPA분석 결과 제 2사분면(Concentrate Here)에 위치한 좌석의 속성은 앞으로 계속해서 성장해갈 저비용항공사 시장에서 장거리 노선을 신규취항 및 지속운행하기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객들의 만족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방향성에 대한 실무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저비용항공사 선택속성과 재구매의도 간 다중회귀분석 연구결과에서 5가지 요인 중 가격 효율성 요인이 재구매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의 IPA분석과 일치하는 연구결과로써 소비자들이 저비용항공사를 선택할 때 가격적 요인이 가장 중요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저비용항공사 선택속성과 공동가치창출 제안의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공동가치창출 제안의도는 승무원 서비스의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기업과 공동으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기업에 이익이 되는 내용 중 승무원 서비스 요인에 가장 많은 의견을 제시하겠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제공한 정보는 항공사에 대한 마케팅 속도를 향상시키고, 신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소비자의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반영한 승무원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항공시장에서 향후 저비용항공사의 사업전략 수립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Low-cost carrier grew rapidly as the number of travelers gradually increased, but the aviation market industry is facing the biggest difficulty ever due to the recent emergence of new airlines in limited external market conditions and limited domestic area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how domestic low-cost carrier can overcome turbulence in such a crisis situation with competitiveness and strategic measures. With the increase in income level and the introduction of a 52-hour workweek, aircraft travel has no longer become a special experience, but a part of daily life, and the so-called cost-effectiveness trend has sprea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ttributes that consumers demand from low-cost carrier satisfied attributes, repurchase attributes, and value co-creation Intention that companies and consumers can grow together to examine strategies that can lead consumers to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25 optional attributes suitable for low-cost carrier were extracted to find out what attributes consumers think are important when using low-cost carrier, and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effective sample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ow-cost carrier user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each measurement item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measurement items.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onstituent concept used in the research model of the study. Third, an IP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of this study, attributes located in the third quadrant were attributes of in-flight auxiliary services such as various in-flight duty-free items, various entertainment, various paid menu selection, and in-flight meal taste and qual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selecting a low-cost carrier, the factors were measured to have a lower importance ranking than other fac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biggest factor in consumers' choice of low-cost carrier was price factors, and the highest in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low-cost carrier' selection attributes w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for consumers to choose low-cost carrier. The attributes located in the two-quarter (Concentrate Here) area of the IPA analysis of the low-cost carrier selection attributes of this study are the 7. Frequent Customer Preferential System, 16. Wide and comfortable sea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umers are sensitive to price factors when choosing low-cost carrier, so improving the mileage system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competitiveness that low-cost carrier must have in the future. In addition, as a result of IPA analys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maximizing customer satisfactio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order to operate and operate long-distance routes in the low-cost airline market that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It's judged. Among the five factors, the price efficiency factor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repurchase intention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low-cost carrier selection attribute and repurchase intention, indicating that price factors are the most important when consumers choose low-cost carrier.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low-cost airline selection attribute and the value co-creation Intention, the crew service intention was the highest, which can be interpreted as consumers' intention to present the most opinions on crew service factors to create value with companie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strategie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w-cost carrier in the future in the low-cost aviation market.

      •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사회성 발달, 기질 간의 관계: 유아 기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효정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spreading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recently, together with the worry regarding the negative influences, the researches have been taking pla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However, the influences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does not appear in the same way. As a reason why the influence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appears differently, the special-characteristic variables within the little children individuals have been receiving the attention. Among these, as a special-characteristic that has been receiving the most interest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there is the disposition of the little children. Hence,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according to the dispositions and the tendencies possessed by the little children, the influence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r the direction can become different. If these are put together,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has the direc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In addition,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too, will be the variables that can adjust the extent of the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little children,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Through this,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basic research that tries finding a plan for the education study approach that considers the disposi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Accordingly, in order to find out, in more detai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abit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and the disposition of the littl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had been to emphatically take a look at whether the effect of adjusting the disposition appea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 of using the smart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For this the research problems were presented a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 1. What kinds of relationships exist between the habit of using the smart devices,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and the dispositions? Research problem 2. Do the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of the little children predict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of the little children? Research problem 3. Does the disposition of a little child show the adjus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 of using the smart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of the littl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had been the little children from the age of 3 years old to the age of 5 years old who had been attending the day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nvestigation tools for this research had been the following: The one that was developed by Chang, Soo-jin (2010) and was reorganized by Lee, Yoon-mi (2014) in order to measure the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on the part of the little children had been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a problematic behavior scale which Woo, Ae-ri (2014) had reorganized after Achenbach and Rescorla (2000) had developed the CBCL for the use regarding the little children who are from 1.5 years old to 5 years old had been used. And a society-friendly behavior evaluation scale which had been developed by Kim, Yeong-ok (2003) and which had been reorganized for the use with the parents by Seo, So-jeong (2006) had been used. The scale of Kim, Yoo-jeong (2014), which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hortened-form, little children's temperament scale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Short Form: CBQ-SF) that was developed by Rothbart (2000), which had been translated by Lee, Gyeong-ok (2004), had been used. Regarding the data that had been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 investigation, after going through the data coding, the degree of reliability analysis, th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adjustment effect analysis had been carried out with the SPSS 18.0 program. If I were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resulting from the main research problems that were raised in this research, it is as the following: Firstly, as a result of having taken a look a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 more the little children immerse in a smart device and the stronger the dependence, they show a lot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tendency of showing less society-friendly behaviors had appeared. Among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the tendency of showing a lot of the externalization the bigger the extroversion had appeared. Among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the bigger the negative emotions, a lot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had been shown. And the tendency of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being seen to be small had appeared. Among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the bigger the intentional control, the less problematic behaviors had been shown. And the tendency of showing a lot of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had appeared. Secondly, the habit of using a smart device on the part of the little children had been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The higher the habit of using a smart device on the part of the little children,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little children became higher. And it appeared that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had become low. Or, in other words, the more the little children are immersed in a smart device and the stronger the dependence, it can be said that they showed a lot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less society-friendly behaviors. Thirdly,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 of using a smart device on the part of the little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s of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had been significan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 of using a smart device on the part of the little children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appeared that, regarding the little children whose tendencies of the extroversion, the negative emotions, and the intentional control, which organize the dispositions, had been low, their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have the high influences on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In contrast, regarding the little children whose levels of the extroversion are high, the higher the level of the habit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the decrease of the society-friendly behavior had appeared less. And, there was the tendency in which, the higher the negative, emotional level of the little children, the changes of the level of the society-friendly behavior resulting from the increase of the smart devices of the little children had been less. Meanwhile, regarding the little children whose level of the intentional control had been high, they had shown the tendency in which, the higher the level of the habit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the society-friendly behavior had been increas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little children whose level of the intentional control had been low, they had shown the tendency in which, the higher the level of the habits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had got, the society-friendly behavior had been reduced. Such results show that the negative influences of the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get alleviated or increa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intentional control. This research has the significance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in the present situation when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has been increasing, it show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which i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the disposition, which is an internal factor of the individual, has the adjusting effects.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the surrounding adults wh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must provide the help so that the desirable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can be formed by considering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최근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확산되면서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와 함께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으로서 유아의 개인 내적 특성 변인들이 주목받고 있다. 그 중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특성 변인으로 유아의 기질이 있다. 유아가 지니고 있는 기질성향에 따라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나 방향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유아의 기질이 스마트기기 사용과 유아의 문제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 그 영향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변인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예측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서 기질을 고려하는 교육학적 접근 방안 모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사회성 발달, 기질 간의 관계를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사회성 발달의 관계에서 기질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 사회성 발달(문제행동과 친사회적 행동), 기질 간에는 어떤 관련성이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문제행동과 친사회적 행동)을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3.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사회성 발달(문제행동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유아 기질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와 부모 250쌍이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도구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을 측정하기 위해 장수진(2010)이 개발하고 이윤미(2014)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Achenbach와 Rescorla(2000)가 개발한 1.5-5세 유아용 CBCL을 우애리(2014)가 재구성한 문제행동 척도, 그리고 김영옥(2003)이 개발하고 서소정(2006)이 부모용으로 재구성한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경옥(2004)이 번역한 Rothbart (2000)의 단축형 유아기질 척도(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Short Form: CBQ-SF)를 수정․보완한 김유정(2014)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을 거쳐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 분석 및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바, 스마트기기에 많이 몰입하고 의존성이 강할수록 문제행동을 많이 보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적게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 중 외향성이 클수록 외현화 문제를 많이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 중 부정적 정서가 클수록 문제행동을 많이 보였으며, 친사회적 행동은 적게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 중 의도적 통제가 클수록 문제행동을 적게 나타냈으며,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문제행동이 증가하며, 친사회적 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기기에 많이 몰입하고 의존성이 강할수록 문제행동을 많이 보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적게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 있어서 유아 기질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만 유아 기질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질을 구성하는 외향성, 부정적 정서, 의도적 통제라는 각각의 성향이 낮은 유아들은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향성 수준이 높은 유아는 스마트기기 사용습관 수준이 높아질수록 친사회적 행동의 감소가 적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부정적 정서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스마트기기 증가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수준의 변화가 더 적은 경향이 있었다. 한편, 의도적 통제 수준이 높은 유아는 스마트기기 사용습관 수준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의도적 통제 수준이 낮은 유아들의 경우는 스마트기기 사용습관 수준이 증가할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의도적 통제 수준에 따라 완화 또는 증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증가하는 현재 상황에서 개인 내적 요인인 기질이 환경적 요인인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지원하는 주변 성인들이 유아의 기질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