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onte Carlo simulation 기법을 활용한 RMR 산정의 불확정성 분석

        강상진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터널공법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NATM공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RMR 암반분류방법은 크게 5가지 파라미터별 할당점수의 합으로 산정되는 RMR 점수를 근거로 하는 다분적 암반분류 방법이다. 현재의 RMR 분류법은 파라미터별로 할당된 점수가 RMR 산정표에 의해 일정범위에 대해서 단일 점수로 표현되므로 인해서 생기는 불확정성(uncertainty)을 피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MR 평가를 통한 암반분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RMR 자체의 불확정성을 평가하여 실무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각 파라미터별로 연속적인 RMR 값을 평가하여 확률밀도함수 그래프를 산정하고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통계분석을 통해 RMR 산정의 불확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연속적 RMR과 해당 RMR의 확률분포에 대해서 Monte Carlo Simulation을 수행한 결과, 최적확률밀도함수 그래프는 정규분포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확률밀도함수 그래프에서 CSIR의 RMR 평가 Model의 불확정성(uncertainty)은 신뢰구간 μ±3σ (99.73% 신뢰구간)을 기준으로 -7.75에서 +6.25의 범위를 가지며 표준편차(σ)가 2.33인 Model Error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CSIR의 RMR 평가점수는 최대 7.75점까지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인 최적확률밀도함수 그래프를 이용하여 임의의 RMR 점수에 대해 신뢰수준에 따른 신뢰구간을 산정하였다. 신뢰수준과 신뢰구간은 양측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암반등급이 과대 평가되는 경우가 터널 구조물의 안정성 측면에서 반드시 피해야 될 상황이므로 평가 RMR이 실제보다 크게 평가되어 불안전측으로 판단되는 구간의 편측 확률만을 기준으로 하였다. RMR 점수에 대한 통계적 추론결과(신뢰수준 및 신뢰구간)를 바탕으로, 연속적인 RMR 평가점수의 평균값과 신뢰수준별 신뢰구간의 하한계 기준을 만족하는 평균값과의 차이를 반영하여 기존 CSIR의 암반등급 산정표 상의 암반등급별 RMR 정수 범위를 조정한 신뢰수준별 수정된 암반등급 산정표를 제시하였다. 수정된 암반등급 산정표는 신뢰수준별로 정리하여 설계 및 시공 시 즉시 활용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신뢰수준별 보정치는 80%, 85%, 90%,95%, 99%의 경우 각각 2.72, 3.17, 3.74, 4.79, 6.18을 기준으로 RMR 점수의 특성에 맞게 정수로 환산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신뢰수준별 수정된 암반등급 산정표를 근간으로 하여 RMR 암반분류의 불확정성을 현장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수행절차는 크게 현장평가,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른 신뢰수준 결정, 신뢰수준별 수정된 암반등급 산정표를 적용한 암반분류 및 표준지보패턴 선정, 수치해석을 통한 지보량의 적정성 검토, 계측을 통한 Feed Back의 5단계로 구성된다. 한편, 설계 수행절차 상의 신뢰수준은 현장 RMR 점수가 해당 지보패턴을 만족할 경우에 구조물은 안정하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 것으로 본 연구결과를 실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정된 암반등급 산정표의 중요인자인 신뢰수준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MR classification system is closely related to the NATM which is widely performed as a tunneling metho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e RMR system is the multiple rock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RMR values which are calculated as a sum of five different parameter's score. Under the current RMR classification method, Mated values according to the parameters are represented by a single value in a specific range. Consequently, this uncertainty cannot be unavoidable. In this research, the uncertainty of RMR system itself was evaluated and the solution of applying to the practical business affairs are proposed. For this purpose, continuous RMR value was evaluated and the graph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was calculated. In addition, the simul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about all the possible case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uncertainty of RMR system. As a result of the simulating the continuous RMR value and its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graph of the optimum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can be represented as a normal distribution type. Furthermore, in the graph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he uncertainty of RMR model has a range of -7.75 to +6.25 on the basis of confidence interval μ±3σ (99.73%) and the standard deviation(σ) which is 2.33. Using the graph of the optimum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he confidence interval was calculated for any RMR value. On the basis of the statistical inference(confidence level and confidence interval), the modified table of RMR value and Rock mass grade was drawn up. On the basis of the modified table, the solution of applying to the practical business affairs was proposed. This procedure is composed of five steps such as "site evaluation", "decision of confidence level according to importance of a structure", "rock mass classification and decision of tunnel support with using the modified table", "examination on the propriety of the tunnel support with computer numerical analysis", and "feedback through construction measurement".

      •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웹 서비스 적용방안 연구

        강상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needs of a change and innovation toward government work process is higher than ever sinc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has come in to the front.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been recognizing the e-Government is the most important way to provide highly qualified administrative service to their nations. so e-Government project has been strongly propelled by each country.$$a$$aEspecially in a couple of years, to establish successful e-Government, web services has been proposed as the best way to integrate different systems and platforms. It have been used by various departments in the government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a$$aAccordingly, this treatise deals with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various cases of web services appliance. This will bring us a good research result on how to initiate and embody web services for e-Government to get better solution with the analyzed date of common trend of web services for e-Government project.$$a$$a 지식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정부기관의 변화와 개혁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하게 인식되는 가운데 세계의 여러 국가들은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 수단중의 하나가 전자정부라 인식하고 이미 오래전부터 전자정부의 추진 및 운영을 실행해 왔다.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전자정부 사업에 있어서, 각기 다른 시스템과 이기종의 플랫폼을 보유한 여러 부처 간의 시스템 통합과 업무 프로세스의 통일을 추진하기 위해서, 국내외에서는 웹 서비스 기술을 도입하기 시작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외 대표적인 전자정부 분석과 함께, 웹 서비스의 품질, 상호운영성, 보안성 이렇게 세 가지 기준에 따라 대표적인 국내의 전자정부 웹 서비스를 분석 하였고, 성능 면에서 뚜렷하게 향상된 결과와는 달리, 상호운영성에 기반을 둔 표준화와 안전한 웹 서비스 사용을 위한 보안성은 크게 결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a$$a이점에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웹 서비스 시스템의 성능 향상차원에서 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웹 서비스의 국제화와 상호 운영을 위한 표준화와 더욱 안전한 웹 서비스의 보안을 위한 제안과 구체적 방안을 제시 하였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이렇다 할 웹 서비스 평가 기준과 결과가 전무한 상태에서 본 논문이 이러한 문제점과 해결에 대한 시발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a$$a

      • 水準別 授業에서 先修學習이 學業成就度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中學校 2學年 圖形의 性質을 中心으로

        강상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 수준별 수업에서 도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선수학습이 학업성취도에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통반 학생들 중 실험반에 본시 수업에 앞서 이미 배워서 알고 있어야할 내용을 중심으로 선수학습지를 제작하여 먼저 활용하고 선수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선수학습이 보통반 학생들에게도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수학습을 통한 적극적인 학습의 전이가 학습에 대한 성취동기 부여와 흥미를 유발시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know how the previous-learning is connected with learning-achievement in some way, which it is focus of the nature of figures in the second grade students' differentiated class of middle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n this study, I gave the general class students some previous-learning sheets. Of course, the previous-learning sheets were about the contents that students learned in previous class. And I surveyed the effects of the learning-achievement in the previous-learning. First of all, it is used the previous-learning sheets for this. I could identify that the effect of this study was that the Previous- Learning had been an affirmative effect with the general class students. It is known that the change of the active learning through the general class students. It is known that the change of the active learning through the previous-learning triggered the achievement motivation grant and interest, it was effected in learning-achievement.

      • 학문적 목적의 영어 듣기에서 노트필기가 한국인 대학생 학습자의 영어 강의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강상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는 오랫동안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위한 세계어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영어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영어로 강의를 진행하는 대학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유학 등을 위한 학문적인 목적의 영어 학습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처럼 학문적인 목적의 영어 듣기 능력은 영어 교수 현장에서 그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Flowerdew, 1994; Flowerdew & Milker, 1997). 다시 말해, 많은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권 국가로의 유학을 선호하고 있고 대학에서도 영어 강의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 분야에서도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유학을 준비하고 있는 학습자 외에도 영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인터넷 기반 토플시험(Internet-based TOEFL)의 듣기 영역은 학문적 영어 듣기 능력을 측정하는 하나의 도구로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바뀐 인터넷 기반 토플시험의 듣기 영역에서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는 노트필기(note-taking)의 허용은 우리의 영어 듣기 학습이나 교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노트필기는 외국에서 이미 수십 년 전부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현재까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DiVesta & Gray, 1972; Faber, Morris, & Liebeman, 2000). 노트필기 훈련을 받은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듣기 능력에서 더 뛰어나다는 외국의 연구결과(Peck & Hannafin, 1983)는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도 노트필기 훈련이 학생들의 듣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결과를 기대해 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노트필기 전략이 영어 듣기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최근에서야 시험방식의 변화에 따라 조금씩 관심을 갖고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는 추세고, 아직까지 노트필기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그리 많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적 목적의 영어 듣기에서 노트필기를 허용하는 것이 대학생들의 듣기 이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반복듣기의 효과와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며,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서울 소재 E 대학에 있는 1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대학생 63명을 노트필기 집단과 반복듣기 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또한 각 집단을 수준별로 나누어 그 효과를 상하위 수준에 따라 알아보았다. 노트필기 집단은 60분의 노트필기 훈련 수업을 두 차례에 걸쳐 받았으며 훈련 전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영어 듣기 평가가 실시 되였다. 이러한 전략 훈련 후에 사후 듣기 평가로 두 집단의 사후 영어 듣기 능력 향상도를 알아보았다. 사후 듣기 평가 결과를 토대로 노트필기를 하면서 듣기에 있어 Dudley-Evans와 Johns(1981)가 구분한 세 가지 강의방식이 듣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과 문항 유형이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자는 노트필기 집단의 노트필기를 사후에 수집하여 Dunkel(1988b)이 정한 노트의 질의 양적 측정 방법에 따라 노트필기의 질이 강의방식에 따라 혹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노트필기 집단은 사후 평가 후 노트필기 효과에 관한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고 그 결과는 노트필기의 방법과 활용 방식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이용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질문과 관련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적 목적의 영어 듣기에서 반복듣기 집단의 상하위 학습자의 듣기 이해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지만 노트필기 집단의 경우 하위 학습자들이 가장 높은 향상을 보인 반면 상위 학습자들은 사전 듣기 평가 결과와 사후 듣기 평가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노트필기 집단의 상위 학습자들은 노트필기로 인한 듣기 이해도의 향상이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트필기를 하면서 듣기와 반복해서 듣기에서 강의방식에 따른 상하위 학습자들의 듣기 이해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비록 두 변수의 상호작용의 영향에 의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대화 위주의 강의방식은 모든 집단에서 고르게 상승한 사후 점수를 보여준 반면 읽기 위주의 강의방식은 집단 별로 큰 차이가 났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노트필기와 반복해서 듣기가 문항의 유형에 따라 상하위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 통계적으로 집단의 차이와 문항 유형 간에 상호작용이 있었고 상위 학습자들의 경우 통계적으로 두 변수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 노트필기와 반복 듣기라는 집단의 차이와 문항 유형이 학습자의 듣기 능력에 함께 영향을 미치지만 상위 학습자들은 집단의 차이와 문항 유형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각 집단 내 하위 학습자들의 평균을 살펴보면 노트필기 집단과 반복듣기 집단은 주제 및 태도와 목적, 종합 문항 유형에서 비슷한 정답률을 보였음을 알 수 있지만 추측형 문항 유형의 경우 노트필기 집단의 정답률이 .74로 높은 반면 반복듣기 집단의 정답률은 .39로 현저히 낮았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하위집단 학습자들에게 있어 노트필기는 반복듣기에 비해 듣고 추측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넷째, 강의방식에 따라 상하위 학습자들의 노트필기에는 어떠한 경향이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총 단어 개수 점수와 평가의 정답률 점수는 수준과 강의방식에 의한 상호 작용에 의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뿐 아니라 각각의 변수에 의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Fisher와 Harris(1974) 그리고 Norton(1981)이 밝힌 노트에서 전체 단어의 수가 정보의 장기 기억과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결론과 차이가 있으며 Aiken 외 2인(1975)이 말한 전체 단어 수가 더 나은 기억을 가져온다는 결론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본 연구가 학습자들에게 노트필기 전략 훈련을 오랜 기간 동안 충분히 시키지 않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듣기 지문이 학습자들이 거의 접해보지 못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고 TOEFL의 듣기영역은 다른 평가들의 듣기 지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단어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위 학습자들이나 하위 학습자들 모두에게 노트필기를 할 수 있는 단어 수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반해 정보단위 개수와 완성도 점수는 강의방식과 수준의 상호작용에 의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Dunkel(1988b)이 밝힌 다항선택법 문제에서 ‘정보단위'의 개수가 주요 개념과 자세한 사항을 기억하는 데 매우 긍정적인 연관이 있다는 결론과 방향이 같았다. 즉, 정보단위 개수가 많고 노트의 완성도가 높아지면 학습자의 영어 듣기 이해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다섯째, 학문적 듣기에서 학습자들의 노트필기 활용 방법 및 노트필기에 대한 만족도는 다음과 같다. 상위 학습자들은 하위 학습자들보다 표나 그림, 화살표 등을 더 많이 사용 하였으며 기능 단어는 생략하고 내용이 있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였다고 응답한 학습자가 더 많았다. 노트의 활용 면에서는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 강의의 이해를 위해 노트를 살펴본다고 응답한 학습자가 상위 학습자들 보다 더 많았다. 이는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 강의를 들으면서 동시에 이해를 하기 보다는 한 번 더 이해의 과정이 필요한 경우가 상위 학습자의 경우보다 많은 것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평가 문항에 답하기 위하여 노트를 살펴보는가에 자주에서 매우 자주에 응답한 학습자의 비율은 하위집단이 상위 학습자들보다 약 두 배 많았다. 이는 상위 학습자들의 경우 문항에 응답하기 위하여 노트필기보다는 노트필기를 하며 향상된 기억에 의존하는 편이며 하위 학습자의 경우 기억보다는 노트필기를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결론은 첫 번째 연구 질문인 노트필기와 반복듣기가 상하위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결론과도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노트필기 집단의 하위 학습자들이 반복듣기 집단의 상하위 학습자들이나 노트필기 집단의 상위 학습자들 보다 사후 평가 점수 향상도가 더 컸던 것은 노트필기를 적극 활용하여 듣기와 동시에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을 사후 노트필기의 도움을 받아 강의를 이해 할 기회를 한번 더 가졌거나 문제를 풀 때 도움을 받았기 때문이며 노트필기 집단의 상위 학습자가 사후 평가 결과에 향상이 없었던 이유는 노트필기를 하위 학습자들만큼 활용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위와 같은 시사점을 통해 노트필기는 학문적 영어 듣기에 있어 하위 수준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이 듣기를 할 때 노트필기를 하면 상위 학습자들에 비해 추측형 문항 유형을 접할 때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할 수 있다. 또한 노트에 정보단위 개수가 많고 노트의 완성도가 높아지면 학습자의 영어 듣기 이해도도 높아지므로 학습자들이 높은 완성도의 노트필기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se days, there has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school which includes the classes instructors teach the subjects in English, which reflects the importance of English in Korea. Learning English for the academic purpose also has been considered necessary for those who want to study abroad. Like this, the significance of the ability for listening English is gradually strengthening (Flowerdew, 1994; Flowerdew & Milker, 1997). As many of the learners prefer to study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the number of the lectures working in English in colleges are growing, it is essential for the field to be actively discussed. Not only to the students preparing to study abroad, but also to many other English learners with different purpose, listening section in Internet-based TOEFL has become one of the methods that measure academic English listening ability. The recent significant change in the listening section of Internet-based TOEFL is that note-taking is allowed, which heavily affects on the field of teaching English. Researches related to note-taking have been made in other countries since decades ago (DiVesta & Gray, 1972; Faber, Morris, & Liebeman, 2000).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that learners who have experienced note-taking training outstand those who have not (Peck & Hannafin, 1983) make us expect a positive result of note-taking in Korea. However, we rarely have methodical studies about teaching note-taking strategies despite the momentous influence of it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how the note-taking influences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college students comparing the effect of repeated listening. For this study, 63 college students from first year to fourth year in Ewha womans university in Seoul are gather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note-taking and repeated listening groups. The note-taking group went through the 60-minutes-long class two times during the week of training period which taught them note-taking strategies, and there were pre-listening comprehension test and post-listening comprehension test to see how much their listening ability is improved. Based on the results of post-listening test, the effect of the three teaching styles defined by Dudley-Evans and Johns (1981) on listening comprehension while taking a note was analyzed. Moreover, the qualities of the students’ not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riteria named the Measure of Qualitative Analysis of note quality, which is determined by Dunkel (1988b)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students' listening abilities. Finally, the survey on note-taking to the note-taking group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as used for examining the tendency of the high level and low level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from the procedures explained above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high level students as well as the low level students in the repeated listening group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on listening comprehens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of the high level students in note-taking group while the low level students of note-taking group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 In other words, note-taking did not help the high level learners improve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Second, there was not differences in comprehension of high and low level students affected by the differences of the three teaching styles under the both treatments of note-taking while listening and repeated listening. Although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as not found, it could be seen that the results of the post-listening comprehension test show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levels when listening to the reading style lecture while the evenly improved scores was observed when listening to the communicative style lecture. Third, this research tried to the effect of note-taking and repeated listening on learners' performance of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on the listening test. While there were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two different treatments (note-taking and repeated listening) and question types on the low level students, there were not in case of high level students. Furthermore, the low level students in each group showed the similar averag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score in terms of main idea, speaker’s attitude or purpose, and detail-related questions. However, while the note-taking group showed the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hich is .74 in the implication type questions, the repeated listening group's percentage is .39, which is much lower than the one of note-taking group. This reflects that note-taking helps the low level learners imply better. Four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note quality depending on the three different teaching styles indicates that 'The total-number-of-words score' and 'The test-answerability score' were not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s' levels and teaching styles. And they were not affected by each variable as well. This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claim that the total number of words is related to long-term memory, which Fisher and Harris(1974) and Norton(1981) found. They are also different results from the one that the more the total number of words, the better the learners' memories, which were found out by Aiken et al(1975). These differences seem to be caused by the reason that this research did not have the participants go through enough training on note-taking while listening. Another reason would be that the listening contents, which contained relatively difficult vocabulary dealt with the topics they had hardly listened to, thus, both of the two different level students were likely to have limit in the number of words they could take notes while listening. On the contrary, this study found that 'The information-units count' and 'The completeness score' wer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s' levels and the differences of the three teaching styles. This is the similar result that 'The information-units count' is positively related to memories of main ideas and details of listening in multiple-choice questions, which Dunkel (1988b) found.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information-units count' and 'The completeness score, the higher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Finally, there were a survey to find the way to use note after listening and the way to take note while listening after the post-listening test with the note-taking group. The analyzed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the high level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used the more pictures, graphs or charts, or arrow were higher than the number of the low level students who did. However, the number of low level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use the note after the listening for understanding the lectures they had listened to were higher than the one of high level students. This reflects that the low level students hardly understand the lectures while they were listening to them, but they rather use note-taking they made after the lectures as another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lectures. Moreover, the number of the low level students who positively answered to the survey question that asks if they used the note they took for answering the questions on the test was about twice as high as the number of the high level students who did.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high level students do not have to rely on the note to draw the memories regarding the lectures, rather they use their memory for answering the questions without note they made. This is also the related result with the one form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at how note-taking and repeated listening affect on the high and low leve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The reason why the low level students in note-taking group showed the higher improved score than the other groups or levels would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low level students actively used the note they took after the lecture or when they solve the problems for having another chance to understand the points in lecture which they could not catch up with at the same time while listening. Likewise, the reason the high level students in note-taking group didn't show improvement of listening comprehension can also be explained by their rarely using the note after listening. Based on the implication suggested above, we can recognize the fact that note-taking can be positively applied to the low level students while teaching listening for the academic purpose English. Especially, when they have to deal with implication question type, the effect is expected higher. In addition, the higher the number of the information units are and the completeness of the note is, the higher listeners’ comprehension becomes. Therefore, the systemic instruction to help leaners make more completed notes while listening will be needed.

      • 문화도시의 박물관 기능 및 역할 : 부산, 청주, 부천을 중심으로

        강상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new movement to overcome the classical meaning of industrialization and materialism-focused system has been pursued after the 1980s in which the post-industrial society appeared. Moreover, as a response to the movement, the importance of a new concept of industry and value system based on creativity has emerged. As a result, discussions on the demand for creative city have led to urban regeneration, and the paradigm in whic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on city initiated from the improvement of city brand has continued to a present-day cultural city. The domestic cultural city policy developed by Creative Korea published in 2004 and has evolved until 2014 when the enactment of Article 2 (Cultural city) of the Regional Cultural Promotion Act was established. The policy on the domestic cultural city has changed through the 1st Project for the Creation of Regional Hub Cultural city (2004~2011), 2nd Project for the Creation of Cultural Specialized Region (cultural city/town of culture) (2014~) and the 3rd Project for the Legal Designation of Cultural city based on the Regional Cultural Promotion Act (2018~); the policy seems to be more capable to promote many effective projects than before due to concrete legislation lately While the discussion solely on the cultural city is abundant, the cultural city together with museum that is a record of the city, which is very necessary to consider, has been less discussed. Thus, it had better to expand a domain for museums in future projects for city. Busan, Cheongju, and Bucheon are major cultural cities in South Korea. Busan was designated as a city of video culture in 2004 and ended the project in 2011; Cheongju was chosen as a cultural city in East Asia 2015 and was chosen as the Creation of Cultural Specialized Region Project (five-year project) in 2016, now in its 4th year; Bucheon was designated as a domestic creative city by UNESCO in 2017 and was selected for the primary preliminary project as a legal cultural city in 2019. We examine how Busan, Cheongju, and Bucheon have become and will become domestic cultural cities, and the role of museums in cities that can function as cultural hubs by comparing them to other successful cultural cities abroad such as Gateshead in the U.K., Ruhr in Germany, and Figeac in France. We also analyze the concept and theory of a city and a cultural city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museums as cultural institutions in a city. By doing so, this research aims to find new functions and roles of museums and present activation plans for the cultural development of a city after its designation as a cultural city. This work i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In the literature review, we investigate the concept, definitions, and regulations of a cultural city and museums. Next, in the case study, we compare and analyze the background, process, results, and success factors of cultural cities overseas such as Gateshead in the U.K., Ruhr in Germany, and Figeac in France with those of Korea’s cultural cities that are Busan, Cheongju, and Bucheon. We review their various practices and presented empirical development plans. The organization of this work consists of five chapters as follows. Chapter I explains the research background on the necessity of cultural city policy through a social change from the cities in the previous industrial society to a creative industry containing contents and platform. It describes that a city attempts to develop a cultural policy to strengthen its creativity and self-regenerating ability and has the expansion possibility through museums. Chapter II examines the concept of domestic and foreign cities as well as the literature on cultural cities and museums in order to understand city and city policy. By considering city and a cultural city,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museums, and the functional changes of museums in the 21st century, this chapter clarifies the fundamental elements and concepts of the cultural city and museum. Chapter III analyzes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cities and the legal appointment policy on a cultural city tha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pushing forward. Based on Chapter III, Chapter IV discusses, with possible implications, the future course of museums in a cultural city appointed by the government. Finally, Chapter IV provides conclusions on Bucheon that especially promotes a community cultural city and the roles of its museums. By identifying the range and limitation of functions performed by museum in a cultural city, Chapter V presents several sustainable museum policies that do not alienate museums from the cultural city policy.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on museums under the domestic cultural city policy is opening a gate to the path that leads policy makers to consider including the policy for museums that can promote a citizen-participatory function in the future city policy. 국문초록 80년대 이후 후기산업사회가 도래하면서 산업화 및 물질적 가치체계를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었고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창조성에 바탕을 둔 산업 및 가치체계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로부터 시작된 창조도시에 대한 논의는 도시재생으로 이어졌고, 도시브랜드 제고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문화창조도시 조성이 현재의 문화도시까지 패러다임이 이어오고 있다. 국내 문화도시정책은 2004년 발간된 창의한국에서부터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 2조(문화도시) 제정까지 발전되어 왔다. 1기 사업이라 할 수 있는 지역거점문화도시 조성사업(2004~2011), 2기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문화도시형/문화마을형)(2014~), 3기 지역문화진흥법에 근거한 문화도시 법정 지정 사업(2018~) 등 정책적 변화를 겪어왔고 법제가 완비된 최근에 보다 실효성 있는 사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전부터 문화도시에 대한 논의는 많으나 문화도시와 도시의 기록인 박물관에 대해 함께 고찰하는 논의가 적어 앞으로 진행될 사업에서 박물관이 소외되지 않고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방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04년부터 영상문화도시로 지정되어 2011년 사업이 종료된 부산, 2015년 동아시아 문화도시로 지정되고 2016년 문화특화지역조성사업(5년 사업)에 선정되어 올해 4년차에 접어든 청주, 2017년 국내 유네스코 창의도시로 지정된 도시이자 2019년 법정 문화도시 지정 1차 예비사업에 선정된 부천의 사례를 통해 이들 도시가 어떻게 문화도시가 되었으며, 또 될 것인지, 도시 안 박물관이 어떠한 역할로서 문화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을지에 대해 영국 게이츠헤드, 독일 루르, 파리 피작 등 성공한 해외 문화도시 사례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도시와 문화도시에 대한 개념, 이론과 함께 도시 안에 존재하는 문화기관으로서의 박물관의 현황에 대해 대표적으로 부천시박물관을 분석하여 결론으로 문화도시 지정 이후 도시의 문화적 발전 방향에서 박물관의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찾고자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문화도시와 박물관, 법에 대한 개념 정의 및 규정에 대해 고찰하였고, 사례연구를 통해서는 해외 문화도시인 영국 게이츠헤드, 독일 루르, 파리 피작 및 국내 문화도시로 선정된 부산, 청주, 부천 세 도시를 대상으로 각 도시의 다양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추진배경 및 과정, 추진결과, 성공요인에 대해 조사하여 비교분석하는 등 실증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Ⅰ장 서론에서는 기존 산업화 사회의 도시에서 점차 창조산업과 콘텐츠, 플랫폼 중심으로 대표되는 사회 변화를 통해 문화도시 정책이 필요하게 된 연구 배경을 설명하였다. 그리하여 도시가 창조력과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한 문화정책 개발을 시도하고 박물관을 통한 확산가능성이 있음을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도시와 도시정책을 이해하기 위하여, 국내외 형성된 도시의 개념과 문화도시, 박물관에 대한 문헌을 연구하였다. 도시와 문화도시, 박물관의 정의와 개념, 그리고 21세기 박물관의 기능적 변화에 대해 고찰해 봄으로써 문화도시와 박물관에 대한 본질적 요소와 개념을 명확하게 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국내외 문화도시 사례를 통해 문화도시의 현황과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추진 중인 문화도시 법정 지정 정책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내용을 토대로 앞으로 정책적으로 지정된 문화도시 안에서 박물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가지고 분석하였고, Ⅴ장 결론에서 특히 생활문화도시를 표방한 부천과 부천의 박물관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문화도시 안에서 박물관이 수행하는 기능의 범위와 한계점 등을 찾아보고 문화도시정책에서 소외되지 않는 지속가능한 박물관 정책을 제시하였다. 국내 문화도시정책에서의 박물관에 대한 본 연구의 시도는 앞으로의 박물관정책이 도시정책에서 소외되지 않고 시민참여적인 기능을 지속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마중물적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