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사극 콘텐츠 창작 방향성 연구

        박윤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irection of historical drama cre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historical dramas that are different from general theater and examining the meaning of historical content creation accordingly. A historical drama is a play that is set in the past or is based on historical events or historical figures. In the era of modern historical drama from the 1920s to the 1980s, stories centered on grand discourses that remain as historical records were used as the central subject of historical dramas, but in the era of post-modern historical drama since the 1990s, factions based on historical events or characters, or fiction created by fictional imagination based only on past times, are recognized as historical works. In historical drama, both historical and theatrical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his is the particularity of historical drama to theater in general. History reflects the present and constitutes the flow of time as a past future. Accordingly, the reflection of ideology in the narration of history inevitably follows. Historical drama as a platform of discourse struggl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ocial issues of the time in which it is created. When we classify the history of Korean historical drama into three periods, we can divid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1920s, when historical dramas first began to appear on the page, to the period before liberation, as the second period, and the period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which opened the era of post-modern historical dramas, into the third period. The reason why historical dramas have been steadily produced and accepted for more than a hundred years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er is because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ramas. First of all, if we look at history in the sense of a projection of the present, the historical drama can mimesis the social discourse of the present. Through this process of microsis, we can find a direc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and pioneer the future from the past. On the other hand, historical drama also has the function of meta-history. As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history began to emerge as a major discussion in historiography, the literary elements of historical narration and the epic have existed as interactions. In other words, deciding what to focus on in a historical narrative, whose story to begin with, and whether the ending of the story is a tragedy or a comedy can only be based on a philosophical view of history. In the same vein, the composition of a historical drama also takes center stage from the artist's perspective on history. If historical drama plays the role of mimesizing the present and constructing a meta-narrative, then it is natural to include discourse in it. Then, in developing the contents of historical dramas, we need to think about the narrative of what kind of discourse to unravel from what perspective. For this study, historical dramas from the 2000s onwards were analyzed, and historical dramas that reflected political discourse were < Yi >, < The Writing of Shimcheongjeon > and < Elegant Playing Drama >, <1945>, < Ddilbburi >, < The Story of Baesogoji > were studied respectively. If we are to discuss the national discourse, it is possible to create a dramatic effect by approaching it not from the corresponding "The History" but rather from the concept of "histories" shrouded in absolute truth. On the other hand, if we want to capture the ideology of the people, if we lead the story from the individual characters who represent the people in front of "The History", we will be able to grasp the ideology by observing the outcome of overcoming or being frustrated according to the choices and actions of the characters, and by witnessing the final feature of the people that the artist wanted to show through history. 본 연구는 역사극이 지닌 연극 일반과 다른 특징과 기능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역사 콘텐츠 창작이 갖는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역사극 창작의 방향성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역사극이란 과거의 시간을 배경으로 하거나 역사적 사건 또는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창작된 극을 의미한다. 192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근대적 역사극 시대에는 역사적 기록으로 남아있는 거대담론 중심의 이야기들이 역사극의 중심 소재로 활용되었지만 1990년대 이후인 탈근대 역사극의 시대에 이르러서는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바탕으로 한 팩션이나 과거의 시간만을 배경으로 하여 허구의 상상력으로 창작된 픽션 등 까지도 역사물의 범주로 인정한다. 역사극은 역사학적 측면과 연극예술학적 측면이 모두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이것이 역사극이 갖는 연극 일반에 대한 특수성이다. 역사라는 것은 현재를 투영하고 지나간 미래로서 시간의 흐름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역사를 서술함에 있어서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따라올 수밖에 없다. 담론 투쟁의 장으로서의 역사극은 그것이 창작되는 당대의 사회적 이슈에 따라 그 특성을 달리한다. 한국 역사극사를 총 3기로 분류할 때, 역사극이 처음 지면에 등장하기 시작한 1920년대부터 해방 전까지의 일제강점기를 제1기 역사극으로, 해방 이후 민주화를 이뤄낸 1980년대까지의 시기를 제2기 역사극으로, 탈근대 역사극으로서의 시대를 열었던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를 제3기 역사극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역사극이 한국 연극사에서 백여 년의 시간동안 꾸준히 생산되고 수용되었던 이유는 역사극의 기능적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역사를 현재에 대한 투영의 의미로 볼 때, 역사극은 현재의 사회적 담론을 미메시스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시스의 과정을 통해 현재의 문제를 극복하고 과거로부터 이어지는 미래를 개척해나갈 방향성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역사극은 메타역사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역사학에서 역사철학적 개념이 주요한 논의로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역사서술과 서사라는 문학적 요소가 상호작용으로 존재해 왔다. 역사서술에 있어서 무엇을 중점 사건으로 할 것인가, 누구의 이야기로 시작할 것인가, 이 이야기의 결말은 비극인가 희극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역사를 바라보는 철학적 관점을 토대로 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이다. 이과 같은 맥락으로 역사극을 구성하는 것 역시 역사를 바라보는 작가의 관점이 중심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역사극이 현재를 미메시스하고 메타적으로 서사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면 그 안에 담론을 담아내는 것은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일이다. 그렇다면 역사극의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서 어떠한 담론을 어떤 시각으로 풀어나가느냐 하는 서사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2000년대 이후의 역사극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정치담론을 투영한 역사극으로는 <이(爾)>, <심청전을 짓다>, <풍류극>을 민중이데올로기를 투영한 역사극으로는 <1945>, <띨뿌리>, <배소고지 이야기>를 각각 연구하였다. 만약 국가담론을 논하고자 한다면 그와 상응하는 대문자역사로부터 시작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절대적 진리 속에 가려진 소문자역사들의 개념으로부터 접근하는 것이 극적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반대로 민중이데올로기를 담아내고자 한다면 민중을 대표하는 개별적인 인물이 대문자역사 앞에 놓이는 것으로부터 이야기를 이끌어나간다면 인물의 선택과 행동에 따라서 그것을 극복하느냐 좌절하느냐의 결말을 지켜보고 작가가 역사를 통해서 보여주고자 했던 민중의 최종적인 모습을 목격함으로 인해 이데올로기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중학교 고전소설 지도방안 연구

        박윤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paper studies 'Method of Teaching Classical Novels' that are reported middle school. The main propose of this research is method of teaching Classical Novels in middle school. Classical novels are important text that ancestral thought understand rightly. A work of novel learns and is subject to learn for ancestral life that classical novels are learned. But 'Method of Teaching Classical Novels' have some problem in middle school. The first, all middle school courses have only three classical novels. The second, classical novels are printing a part (integrality lack). The third,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learning memory work for classical novels. This research recognizes problem and presents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classical novels. For this, in this study, the old story of 'Hong-gil-dong' contained on the formal text book at 7th education level, and the old story of 'Tokki' contained on the formal text book at 8th education level. This research method have achieved subjects by cooperative learning. So, the old story of 'Ms. Park' contained on the formal text book at 9th education level. This research method have made a counterproposal that learners are reinvent to read classical novels after internalization. As a conclusion, If 'Method of Teaching Classical Novels' have learned learners, they would have thought easy. And they have changed mind of classical novels that are afraid of study. 본고는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고전소설단원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찰하였다. 고전소설은 조상들의 삶과, 염원, 사상, 가치관, 감정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텍스트이다. 이러한 고전소설을 배운다는 것은 작품을 배우는 동시에 작품 속에 담겨있는 조상들의 삶까지 배울 수 있다. 하지만 중학교 현장에서 고전소설단원을 교육하는 데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는 작품 수가 중학교 3년을 통틀어 총 3작품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다. 둘째는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의 완전성 결여에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지식 전달식 수업 방식으로 고전소설을 가르친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고전소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중학교 1학년 1학기에 수록된 <홍길동전>과 2학년 1학기에 수록된 <토끼전>에서는 협동학습을 통해 과제를 수행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했다. 협동학습 과제 수행을 통해 학습자이 작품을 능동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학교 3학년 2학기에 수록된 <박씨전>에서는 학습자가 작품을 읽고 내면화 시킨 후 재창조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재창조의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작품을 이해한 후, 작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여 능동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을 바탕으로 고전소설단원을 교육학습 한다면 학습자들이 고전 소설을 접할 때, 암기할 것이 많은 두려운 교재가 아니라 조상들의 삶을 엿볼 수 있고 그들의 사상과 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교재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학습자들이 고전 소설을 읽으면서 감상에만 그치지 않고 나아가 현대를 살아가는 삶의 지혜를 배운다면 고전 소설의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 연하장애 노인 환자에서 고단백 물성조절 고령친화식품의 근력 강화 효과 연구(예비연구)

        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with dysphagia is increasing as the global population ages. 25-75% of older adults with dysphagia are malnourished or at risk of dehydration. Malnutrit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increased chronic disease morbidity, hospitalization, mortality, and depression. Therefore, implementing nutritional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with dysphagia is a critical role to improve their phys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 swallowing process is a complex process involving more than 30 muscles located around the mouth, pharynx, and esophagus, an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muscle mass to preserve swallowing function. However, the old adults are vulnerable to muscle loss due to changes in metabolic processes, and decrease in activity and nutrient intake. Increasing protein intake may help maintain lean body mass in older adults. The recent increase in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due to nuclear familiarization, as well as the absence of proper care in times of infectious disease crises, has created a demand for effective meal solutions for homebound patients.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shortage of products that have been proven safe and effective for elderly patients with dysphagia.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high-protein texture-modified foods in the form of home meal replacements (HPTMF) for elderly patients with dysphagia aged 65 and abov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dysphagia visiting the department of geriatrics at Asan Medical Center from May 1, 2022 to August 30, 2022. Two HPTMF were provided for a total of 10 days which supplied an average of 595.23 ± 66.75 kcal of energy and 54.22 ± 6.32 g of protein. They consisted of two main dishes or one main dish and porridge with non-overlapping main ingredients which formulated to contain approximately 10% protein per serving size. The HPTMF includes braised beef short ribs, soy sauce braised beef, soy sauce braised pork, braised mackerel, braised chicken with garlic, hamberg steak, soybean paste sauce for rice meal, and Chinese meat sauce for rice meal, Dried pollack porridge and chicken porridge. To evaluate the intake of the provided HPTMF, a 24-hour dietary record was analyz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Body measurement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mid-upper arm circumference, and calf circumference), hand grip strength, and nutritional status evaluation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ini dietary assessment, and euro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dimensional classification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ducts. After 10 days, the mid-upper arm circumferenc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6.36 ± 2.4 cm to 28.50 ± 3.2 cm (p = 0.01), and hand grip strength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3.20 ± 4.00 kg to 25.20 ± 4.08 kg (p = 0.01). Mid-upper arm circumference and hand grip strength are useful indicators to predict nutritional status and mortality.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MNA criteria, the proportion of subjects at risk of malnutrition decreased from 70% to 40%, while the proportion of well-nourished subjects increased from 10% to 40%.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HPTMF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elderly patients with dysphagi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elderly-friendly products for patients with dysphagia.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연하장애 노인 환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연하장애 노인 환자의 25-75%는 영양 불량 상태이거나 탈수 위험이 있다. 영양 불량은 만성질환 이환율, 입원율 및 사망률, 우울증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연하장애 노인 환자의 영양 관리는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연하 과정은 입 주변, 인두, 식도 등에 위치한 30개 이상의 근육이 관여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연하 기능을 보존하기 위해 근육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노인은 노화에 따른 대사 과정의 변화, 활동량 및 영양소 섭취량 감소로 근육 감소에 취약하다. 따라서 근육을 이루는 주요 영양소인 단백질 섭취 증가는 노인의 연하 기능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최근 핵가족화로 인한 독거노인 증가,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의 돌봄 공백 등으로 재가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식사를 제공받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나 연하장애 환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안전성과 효용성이 입증된 제품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연하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 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HMR) 형태의 고단백 물성조절 고령친화식품(high-protein texture-modified foods, HPTMF)의 건강 및 영양 상태 개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2년 5월 1일부터 2022년 8월 30일까지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 중 인후부 혹은 식도 연하곤란 판정을 받은 65세 이상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10일 동안 하루 두 가지의 고령친화식품을 제공하였다(평균 에너지 595.23±66.75kcal/d, 평균 단백질 54.22±6.32g/d). 하루에 제공되는 제품은 주찬(반찬 또는 덮밥소스) 두 개 또는 죽과 주찬 한 개씩으로 주재료가 겹치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며 식품 중량 당 10% 내외의 단백질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주찬으로는 소갈비찜, 소고기 장조림, 돼지고기 장조림, 고등어조림, 찜닭, 함박스테이크, 강된장덮밥소스, 제육덮밥소스가 제공되었으며 죽은 황태미역죽, 수삼삼계죽이 제공되었다. 제공한 제품의 섭취량 평가를 위해 중재 기간 동안 24시간 식사 일기를 분석하였으며 중재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전후 신체계측(신장, 몸무게, BMI, 상완위둘레, 종아리둘레), 악력(hand grip strength, HGS), 삶의 질 평가(euro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dimensional classification, EQ-5D), 주관적 건강 상태 평가(subjective health status, SHS), 간이영양상태평가(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를 수행하였다. 중재 시작 10일 후 상완위둘레는 26.36±2.35cm에서 28.50±3.17c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악력은 23.20±4.00kg에서 25.20±4.08kg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상완위둘레와 악력은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다. 상완위둘레 및 악력의 감소는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MNA 기준에 따라 영양 상태를 평가하였을 때 영양 불량 위험에 해당되는 대상자의 비율은 중재 전 70%에서 중재 후 40%로 감소하였으며 영양 상태 양호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10%에서 40%로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고단백 물성조절 고령친화식품은 연하 장애 노인 환자의 건강 및 영양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추후 연하 장애 환자의 건강 및 영양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하곤란식 개발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 중국 TV광고언어의 수사법 연구 : 소비자 구매 행동 유형을 중심으로

        朴胤喜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中國電視廣告語言修辭方法研究 : 以<消費者購買行爲类型>爲中心 根據消費者收看電視廣告之後出現的不同的購買行爲,企業的廣告的策略也有所不同。因此策略不同就會出現不同的語言修辭方法。爲此,本文根據 FCB Grid(博達大橋廣告公司方格)與產品的介入度將消費者購買行为分爲四個類型,對針對每個類型出現的中國電視廣告的語言特性及經常出現的修辭方法結構、功能、說服力等進行了分析。研究對象是從2013年到2016年三年零九個月的在中國播放的商品廣告共168個, 調查統計出了492個修辭方法。其結果如下: 第一、A型:“高介入、感性消費者”。此類消費者在收看廣告之後,首先以感性認知,再對產品進行了解,最終決定購買的消費者群。因此廣告要有效引起此類消費者的感性知覺,因此廣告具有詞彙量多、語言表達豐富、修辭方法複雜的特征。使用較多的是“同字”、“對偶”、“比喻”等修辭方法。“同字”多用於比較抽象、悶倦的感性廣告,並套用對偶、排比等章句上的修辭方法,使詞句簡明、整齊,對文章結構進行定型化,好聽易記。“對偶”可使較長的感性廣告添加節奏感,好聽易記,也可以幫助消費者記住廣告詞。“比喻”在傳達產品價值與品牌所追求的理想時,能夠使消費者感受到豐富內涵的感性,在短暫的電視廣告時間內,有效刺激消費者的感性。 第二、B型:“高介入、理性消費者”。此類消費者在收看廣告之後,認爲產品與自己有著密切關系,若錯誤選購了產品,自己將會在經濟上蒙受很大的損失,因此他們想要通過廣告獲得產品的具體信息。爲有效進攻B型消費者,其廣告詞要盡量誠懇,具體地表達產品的規格、性能、預期效果等。因此進攻此類消費者的廣告詞出現了大量的“引用”、“排除”、“同異”等修辭方法。“引用”在提供產品信息之後含蓄地、強烈地幫助描述產品性能或效果。“排除”通過比對前端錯誤信息與後端正確信息,以提升廣告所傳達信息的信任度。“同異”對出現專業術語而難懂的B型廣告詞給予節奏感和音樂之美,讓消費者聽得開心、容易記住。 第三、C型 “低介入、感性消費者”。 此類消費者是容易受視覺、聽覺影響的消費群體。因此此類消費者,以貼日常生活的故事,如廣告音樂、廣告語言、字幕、背景圖片、廣告模特等作爲題材,滿足消費者的感性需求時十分有效。其修辭方法較多出現“排比”、“設問”、“感歎”的修辭方法。“排比”主要是通過套用“倒裝”、“聯用”、“雙關”,以更加豐富多彩的語言刺激消費者的感性提高說服效果。“設問”是提起話題之後,通過摸索答案,讓消費者自行感受產品的需求而使用的效果。“感歎”是轉移驚歎、歡喜、希望等的情緒,讓消費者增加對產品的關注與期待所使用。 第四、D型:“低介入、理性消費者”。此類消費者主要以考慮產品的功能、效果來選購產品,但是相對於B型消費者,對產品信息的依賴性薄弱,有習慣性購買產品的特征。 因此進攻此類消費者的廣告詞語,不需要具備邏輯性與具體性,而只是使用簡單易記的一兩個信息,反復傳達即可。因此,廣告大量使用了“聯用”與“反復”的修辭方法。爲簡明傳達產品功能及特征使用了“聯用”;使消費者能夠記住產品名稱,並在消費者的心裏打下烙印、搭配廣告語言韻律,使用了“反復”的修辭方法,以穩定聽眾的情緒。 通過上述結果,我們可以知道,根據產品介入度與消費者選購行爲類型,所制作的廣告中出現的語言特征有所不同,依照類型的不同,所出現的提高說服效果的修辭方法也不同。我們也再次了解到,消費者的購買行爲、廣告詞語以及修辭手法之間有著密切的連帶關系。希望本論能夠起到拋磚引玉效果,在對廣告語言出現的修辭手法的說服效果的理論研究上有所幫助。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지지와 심리적 독립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박윤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지지와 심리적 독립 및 진로태도성숙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중학생의 진로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 지지, 심리적 독립, 진로태도성숙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부모 지지가 심리적 독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부모 지지가 진로태도 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심리적 독립이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부모 지지와 심리적 독립이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 소재하는 5개 중학교의 2학년과 3학년 학생 총 331명을 대상으로 부모 지지, 심리적 독립, 진로태도성숙 정도를 측정하고, SPSS 12.0을 사용해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지지와 심리적 독립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나 심리적 독립의 하위 요인들에 따라 차이를 보여, 기능적 독립 및 태도적 독립과는 부적 상관을, 정서적 독립 및 갈등적 독립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부모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간에는 독립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들과 전체 변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심리적 독립과 진로태도성숙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 요인들 중 정서적 독립은 진로태도 성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 지지는 심리적 독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 지지는 심리적 독립 전체 변인 및 기능적 독립에는 부적 영향을, 정서적 독립 및 갈등적 독립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 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그 설명력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넷째, 심리적 독립이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주된 영향을 미치는 하위변인은 정서적 독립과 갈등적 독립으로, 정서적 독립은 정적 영향력을 갈등적 독립은 부적 영향력을 미쳤다. 다섯째, 부모 지지와 심리적 독립이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 지지와 심리적 독립이 각각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두 변인들이 함께 고려될 때 진로태도성숙에 대한 설명력이 다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부모 지지와 심리적 독립 및 진로태도성숙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부모 지지와 심리적 독립이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들은 부모로부터 지지를 받아야 하며 동시에 부모에게서 독립해야 한다. 본 연구는 부모 지지와 심리적 독립을 함께 고려하여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guid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subjects were set up : First,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does parental support affect psychological separation meaningfully? Third, does parental support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meaningfully? Fourth, does psychological separation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meaningfully? Fifth, does parent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To verify this, data of 331 students in second and third grade of 5 middle schools in Seoul, Gyonggi, and Incheon was collected using instruments to measure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Data analysis was extracted using SPSSWIN package wit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parental support was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separation.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sub factors. Parental support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functional independence and attitudinal independence,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dependenc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parental support was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all sub factors except for independence.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was not meaningful correlation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emotional independence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parental support had meaningful influences on psychological separation. It had negative influences on the whole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functional independence but had positive influences on emotional independenc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Third, parental support had meaningful influenc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it was very low. Fourth, psychological separation had meaningful influenc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Principle factors were emotional independenc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Emotional independence had positive impac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but conflictual independence had negative impacts on it. Fifth, parent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had meaningful influenc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ey had more influences on it together than each. From the above results, the researcher learned that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ve meaningful correlations each other, and parent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have meaningful influenc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dolescents need parental support, and they also have to separate from par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view of the fact that parent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were considered each and together, and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and influences concerning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 S. Prokofiev의 피아노 소나타 제2번 d단조, Op. 14에 관한 연구

        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 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 곡목 중 프로코피에프(Sergey Prokofiev:1891-1953 )의 피아노 소나타 제 2번, 4 단조, Op. 14에 관한 연구이다. 프로코피에프는 20세기 현대 음악에 있어서 러시아를 대표하는 작곡자이자 뛰어난 피아니스트이다. 프로코피에프의 음악의 특성은 신고전주의와 그 자신의 독특한 현대적 음악언어의 조화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창작의 방향을 제시하는 5가지 요소는 고전적인 요소, 혁신성, 동력적 요소, 서정성, 그리고 기괴함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그의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피아노 소나타 제 2번, d 단조, Op.14는 그의 초기 작품이다. 본 작품은 전체 4악장 구조로 되어있는데, 제 1악장과 4악장은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와 종결구를 갖는 전통적인 소나타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제 2악장은 복합 3부 형식을, 그리고 제 3악장은 복합 2부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곡의 특징으로는 제 4악장의 발전부에서 제 1악장의 2주제가 다시 사용되는 순환형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선율에서의 도약진행, 불협화음, 갑작스런 전조, 동형진행, 잦은 박자의 교체, 복조성, 복박자, 그리고 리듬에서의 당김음이 프로코피에프의 음악적 특징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프로코피에프의 다른 작품에서와 마찬가지로 화성이 조성음악을 완전하게 벗어나지는 않았으며, 작품 전반에 그의 5가지 요소들을 잘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프로코피에프가 고전소나타 형식을 계승하고 자신의 새로운 음악적 요소를 첨가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analytically the repertoire performed by the author at the required as a partial fulfillment for the Master's degree is S. Prokofiev's Piano sonata in d minor, Op. 14. representative Russian composers and pianists in features of his work are the coordination between Neoclassicism and his own unique modem musical language. His lines of compositions comprise of five elements. These are classical factors, innovations, motor elements, lyricism and grotesqueness. This piano sonata in d minor, composed in his earlier period, was based on the form of traditional classical sonata. However. it has his own characteristic musical innovations in some aspects. It has four movements. The first and the fourth movement are in the traditional sonata form _ which comprises an exposition, a development, a recapitulation and a coda. The second is in compound ternary form, the third in compound binary form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movement uses the subordinate theme of the first movement, which shows a cyclic relation and results in an organic unity. Frequent uses of wide leaps in the melodies, diatonic and chromatic scales, the strong dissonance the sudden modulation, the sequence, and highly syncopated rhythmic pattern are here utilized in most effective and expressive manner in his distinguished work of art. Through this study, I find that Prokofiev succeeded to classical sonata, created new sound and made his new musical features by adding his originality to the classical tradition and made a great contribution in expanding the capability of the piano.

      • 유방암 환자의 화학요법 치료시기에 따른 체중변화

        박윤희 순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임파절 전이가 있는 유방암 환자에게 시행된 TAC 화학요법(docetaxel-doxorubicin-cyclophosphamide)의 치료시기에 따른 체중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체중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에서 2012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TAC 화학요법을 모두 완료한 유방암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전자 의무기록을 통하여 수술 전 체중과 화학요법을 시행하기 전의 체중, 일반적 특성과 질병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version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 t-test 및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화학요법 치료시기에 따른 수술 전 평균체중과 6차 화학요법까지 각 화학요법 치료 첫날에 측정한 평균체중은 수술 전 59.4kg, 수술 후 1차 화학요법 첫날 58.5kg, 2차 화학요법 첫날 58.9kg, 3차 화학요법 첫날 59.1kg, 4차 화학요법 첫날 59.2kg, 5차 화학요법 첫날 59.2kg, 6차 화학요법 첫날 59.2kg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평균체중은 수술 전 체중에 비하여 1차 화학요법 첫날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3차, 4차, 5차 및 6차의 화학요법 첫날의 체중은 1차 화학요법 첫날의 체중에 비하여 화학요법 치료시기에 따른 체중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질병 특성에 따른 화학요법 치료시기의 체중변화를 검정한 결과 유방암 병기와 방사선요법 및 호르몬요법 시행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결과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유방암 병기에 따라서는, 화학요법 1차에서 유방암 병기가 1기의 경우 체중변화가 -1.46, 병기 2기는 -0.58로서 병기 1기는 2기보다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F=4.209, p=.017). 또한 화학요법 6차에서 병기 1기의 경우 0.02, 병기 2기는 0.13, 병기 3기는 -1.12로서, 병기 1기와 2기는 화학요법 5차 첫날에 측정한 체중 값에 비하여 화학요법 6차 첫날에 측정한 체중 값이 증가되었고 병기 3기는 체중이 감소되었는데 병기 1기와 2기의 체중변화보다 병기 3기의 체중변화가 유의하게 컸다(F=3.970, p=.021). 2) 대상자의 방사선요법 시행 유무에 따라서는, 화학요법 1차에서 방사선 요법을 시행한 경우에 체중 감소가 -1.28, 시행 안한 경우는 -0.47로서, 방사선요법을 시행한 경우는 시행 안한 경우보다 유의한 체중 감소가 있었고(t=6.392, p=.013), 화학요법 4차에서는 방사선요법을 시행한 경우에 -0.11로 체중이 감소되고, 시행 안한 경우는 0.36으로서 체중이 증가되어, 두 군 간의 체중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5.281, p=.023). 3) 대상자의 호르몬요법 시행 유무에 따라서는, 화학요법 2차에서 호르몬 요법을 시행한 경우에 체중 증가가 0.16, 시행 안한 경우는 0.74로서 두 군 간의 체중 증가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5.347, p=.022), 화학요법 4차에서는 호르몬요법을 시행한 경우에 0.38로 체중이 증가되고, 시행 안한 경우는 -0.20로 체중이 감소되어, 두 군 간의 체중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8.273, p=.005).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해볼 때 TAC 화학요법을 시행하는 유방암 환자의 체중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일관적이지 않고,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체중변화에의 영향 요인도 연구마다 달라서 앞으로도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누적된 일관성 있는 연구 결과들을 통하여 유방암 환자들의 TAC 화학요법 시행과 관련하여 체중변화를 예방하기 위해 체계적인 간호 중재와 이에 따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 어린이집의 비대면 온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고찰 : 오디오클립 부모교육과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을 중심으로

        박윤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basic data to provide desirable non-face-to-face online parent education program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audio clip-based parent education and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based parent education among non-face-to-face online parent education programs provided to childcare center par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ny perceptional difference in importance between audio clip-based parent education and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based parent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 parents ? Research question 2. Is there any perceptional difference in participation between audio clip-based parent education and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based parent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 parents ? Research question 3. Is there any perceptional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audio clip-based parent education and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based parent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 parents ? Research question 4. Is there any perceptional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audio clip-based parent education and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based parent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 parent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5 individuals comprising mothers and fa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attending childcare centers aged 0~5 years old. Among questionnaires, those from the subjec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or answered the questionnaire insincerely and those of which content was omitted partly were excluded which was a total of 23 and questionnaires from 122 individual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Parent education was 8 sessions for a total of 4 weeks from November 9 to December 2, 2021 and was conducted by listening to Naver’s audio-clip “Catching the Parents’ Shaking Mind” and taking synchronous video lectures with the exactly same content by the professor who created this content. To evaluate the perception on parent education, the questionnaires utilized in the research conducted by Byung-Mok Kim(2020) among the preceding researches was examined by the professor specialized in the relevant field and finally confirmed after revision and refinement. For the analysis, after the coding procedu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27.0. To examine the general features of the subject paren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as calculated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scale, the internal reliability of questions (Cronanbach’s α) was calculated. In an effort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childcare center parents’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audio-clip based parent education and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based parent education concerning importance, participation, preference,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Furthermore, to examine whether there is the difference in variables according to parents’ background, One-way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implemented and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cheffe Post-hoc comparison was conducted. These were the results of the study.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audio clip-based parent education and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based parent education among the online non-face-to-face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care center parents, the perceptions on importance, participation and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udio clip-based education than in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based education. Hereby, it can be identified that childcare center parents perceive audio clip-based learning as more important, participate in it more constructively and prefer it than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based parent education. On the contrary, in the satisfaction survey that compared and analyzed audio clip and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based parent education among non-face-to-face online parent education for parents at childcare center, both audio clip format and synchronous video communication format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 but audio clip format was somewhat higher on the raw score. However, thi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majority of childcare center parents participating in non-face-to-face online parent education program, regardless of the type of non-face-to-face online parent education, they are all satisfied, but it can be implied that their preference or willingness to participate should be in the form of considering their temporal and spatial circumstances and interests.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sidered that the approach to non-face-to-face online parent education at childcare centers should be different from traditional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endencies of modern parents.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비대면 온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오디오클립 부모교육과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의 인식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바람직한 비대면 온라인 부모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어린이집의 오디오클립 부모교육과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 간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린이집의 오디오클립 부모교육과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 간 참여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어린이집의 오디오클립 부모교육과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 간 선호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어린이집의 오디오클립 부모교육과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 간 만족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만0세~만5세 어린이집에 다니는 미취학 자녀를 둔 학부모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교육에 참여하지 못했거나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고,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된 23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122명에 해당하는 설문지를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부모교육은 2021년 11월 9일부터 12월 2일까지 총 4주간 8회기로 네이버 오디오클립 부모교육인 「흔들리는 부모마음 잡기」 코너 청취하기와 본 콘텐츠를 제작한 교수가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한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을 진행하였다. 부모교육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중 김병목(2020)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수정·보완한 후 관련 전공자 교수에게 검수 받아 최종 확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결과분석을 위해 코딩 과정을 거친 후 SPSS 2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 부모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도구의 신뢰성을 살펴보기 위해 문항의 내적 신뢰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어린이집의 오디오클립 부모교육과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 간의 중요도, 참여도, 선호도, 만족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변인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 규명을 위해 Scheff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 부모들의 비대면 온라인 부모교육 중 오디오클립 부모교육과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을 비교 분석한 결과, 중요도, 참여도, 선호도에 대한 인식은 오디오클립 부모교육이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보다는 오디오클립 부모교육을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더욱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만족도 조사에서는 오디오클립 부모교육과 실시간 화상 부모교육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오디오클립 부모교육이 원점수 상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대다수의 어린이집 부모들이 비대면 온라인 부모교육에 참여한 결과, 그 형태에 상관없이 부모교육에 대해서는 모두 만족은 하지만, 선호하거나 참여하고 싶은 의지는 자신의 시공간적 상황과 흥미를 고려한 형태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추후 어린이집 비대면 온라인 부모교육은 현대 부모들의 성향을 고려하여 그 접근형태가 전통적인 부모교육과는 달라야 함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 광복이후 한국 맨손체조의 보급과 발전

        박윤희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광복이후 우리나라 맨손체조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보급목적과 내용의 특성 및 전개양상의 특징과 의의에 대하여 연구·검토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각 체조별 내용과 특성에 대해 고찰한 결과 광복이후 보급된 맨손체조들은 획일적이고 단순한 동작 형태에서 벗어나 복합적인 형태의 동작으로 실시적 측면에서의 기술(기교)적인 발전뿐 아니라, 내용면에서는 한국인의 정서를 고려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적 체조의 개발·보급이 이루어졌다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각 체조별 보급과정을 고찰한 결과 영상매체의 발달 및 활용은 체조 보급의 효율성을 높이는 커다란 촉매제 역할을 담당 하였다. 이는 보급 활동의 발전을 가져 왔으며, 이를 통하여 지도자 강습회는 물론 축제 형식 등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소개와 소외계층까지의 체조 보급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졌다. 셋째, 광복이후 한국 맨손체조 변천의 특징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일제 강점기 강제 징병 등 조선인을 통치하려는 목적 하에 시행되었던 체조는 광복이후 체력발달을 통한 애국심 고취 등 국민 단합과 정서 함양이라는 목적하에 지속적으로 실시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민주주의의 확립, 세계적인 스포츠 행사의 개최 등은 우리 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시켰고 점차 우리의 생활양식 및 정서에 맞는 체조 형태로 바뀌었음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광복이후 한국맨손체조의 체육사적 의미로는 국민의 체력 향상과 건강증진의 목적을 가지고 전쟁 이후 피폐해진 국가의 재건과 운동의 중요성 및 필요성의 인식이 부족했던 국민들의 체육활동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생활체육이 활성화 되면서 맨손체조는 복합적인 기능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체육활동의 생활화에 있어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국민들의 건강을 위해 커다란 공헌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겠다. This study researched into and examined about the supply aim, about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al aspect, which were shown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our country's free exercise sinc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licited. First, as a result of considering o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by each physical exercise, the free exercises, which were supplied sinc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showed not only technical development in the aspect of execution as the movement in a complex form with escaping from the unilateral and simple movement form,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having been developed and supplied the Korean-styled gymnastics through a research of considering Korean people's emotion in the aspect of contents. Second,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supply process by each physical exercis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in video media were in charge of a greatly catalyst role in increasing efficiency of supplying gymnastics. This brought about development in the supply activity. This led to introducing diverse programs such as a festival form as well as a coach lecture meeting, and to the supply activity in gymnastics up to the alienated bracket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a change in Korea's free exercise sinc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he gymnastics, which was enforced under the aim of controlling Joseon people such as the forced conscription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carried out continuously under the aim of uniting people and promoting emotion such as encouraging patriotism through physical development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he democratic movement, the establishment of democracy, and the opening of world's sports event allowed importance of our culture to be recognized. It could be confirmed to be gradually changed into the gymnastics form in line with our way of living and emotion. Fourth, as for significance of sports history in Korea's free exercise sinc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an opportunity was offered for physical activity in people, who had been short of recognizing the reconstruction of a country which had been devastated since the war, 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exercise, with the aim of enhancing people's fitness and promoting health. Also, as the Sport for All was activated, the free exercise played a role of arranging foundation in enhancing people's quality of life and in making physical activity habituated, and can be seen to have greatly contributed to people's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