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브라질 음악이 한국 대중음악에 끼친 영향에 대한 연구 : 보사노바를 중심으로

        남사욱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943

        World Music is gain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genre of music that adds diversity to the pop music that has been mostly led by the U.S. and British pop. By combining the pop music and non-Western traditional music, World Music is emerging as a new genre. Brazilian music, which covers a variety of genres due to the country's cultural diversity, has been evolved diverse music genres, ranging from Choro, Maxixe, Samba, Bossa nova, Frevo to Baião. In 1960s, the combined efforts between the U.S record companies, which noticed that Bossa nova could make business case in its own market, and the government, which wanted to introduce its culture to the global citizens, made the genre of Bossa nova a commercial success in the U.S. music industry. Attracting more and more listeners since then, Bossa nova has further established its local identity via globalization. Bossa nova has been introduced in the Korean pop music since 1960s with songs that adopted its rhythms. Bossa nova has been further evolved and diversified in the Korean pop music with a variety of ways ever since. There are Korean musicians specializing in Brazilian music and gaining recognition and popularity on the global market as well as the ones who try to combine Korean and Brazilian music in harmony. This study summarized Brazilian music in terms of its genre characteristics, melody and rhythms. It also examined Korean pop songs that were influenced by Brazilian music and classified them chronic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ng, look into the musicians involved and analyze representative songs of each generation in their chord and rhythms. In addition, the study classified the songs in terms of the level in which they embraced the characteristics of Brazilian music. Although the adoption of global music into Korean is still in its infancy, the combination of World Music and Korean pop has potential to help Korean pop to go beyond its local market and transform the global music industry that has been so far led by Western music. Brazilian music has been adopted and transformed in the Korean pop music for almost 50 years. In this regard, it is hoped that the study of Brazilian music in Korean pop would lay the foundation to bring more attention to its legacy of the past and its further development of the future. It is also hoped that more Korean musicians would learn and further evolve World Music, despite its current weak presence in the local market, so that they can further improve Korean pop music, go beyond the Korean border and mark its presence in the global music market. 영미권 중심의 획일적인 대중음악에 다양성을 부여해주는 대안음악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월드뮤직은 대중음악과 비서구 전통음악의 이종 교배로 변이를 거듭해 새로운 장르로 탄생되고 있다. 문화적 다양성에서 기인하여 여러 장르가 혼재되어 있는 브라질 음악은 쇼로와 마시쉐, 삼바와 보사노바, 프레보와 바이아웅 등의 디양한 장르로부터 진화되고 창조되어 발전하게 된다. 1960년대 상업적 가능성에 주목한 미국 레코드 업계와 자국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려는 브라질 정부의 의도의 결실로 미국에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둔 보사노바는 수요층을 넓혀감에 따라 세계화를 통해 지역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다. 1960년대부터 국내 가요계에 흡수되기 시작하여 리듬 파트를 차용한 보사노바풍 가요가 등장하고 해를 거듭하면서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 및 변형 되어 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브라질리언 음악을 전문적으로 하여 세계적인 위상을 펼치고 있는 뮤지션들과 절충적인 새로운 시도를 하려는 한국적인 브라질리언 음악을 하는 뮤지션들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브라질 음악에 대한 장르별 특징과 악곡 및 리듬 분석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한국 대중음악에서 브라질리언 음악 영향을 받은 곡들의 시대별 분류를 통하여 곡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작업자들을 조사하여 기술하며 시대별 대표곡들의 화성적인 분석과 리듬적인 분석을 통하여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브라질 음악을 수용하는 측면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아직은 미미한 흐름에 불과하지만 월드뮤직과 한국 대중음악의 결합은 국내 대중음악을 넘어 서구 위주의 세계대중음악 판도에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국내 대중음악에서 50년 가까이 차용되고 변형되어진 브라질 음악들의 요소의 분석이 과거 유산에 대한 관심과 앞으로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바라며 아직은 국내에서 미흡한 월드뮤직 연구의 시도와 도전을 통해 국내 대중음악의 발전과 나아가 한국 대중음악이 세계 음악 시장으로 펼쳐 나아가길 바란다.

      • 브라질의 인터넷 정책결정과정 연구 : 정책옹호연합과 정책흐름모형의 결합 적용을 중심으로

        김한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은 브라질의 인터넷권리보호법(Marco Civil da Internet)이 어떠한 전개과정을 거쳐서 지금에 이르게 되었는지 고찰한다. 각국이 인터넷의 자유와 규제의 딜레마 속에서 접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라틴아메리카의 브라질에서는 1990년대 이래 인터넷 규제에 관한 정책의제가 국가 내부에 존속하다가 오랜 논의 끝에 2014년 3월 25일 인터넷 이용자 표현의 자유, 개인정보보호, 망중립성(Net Neutrality) 보장 등을 골자로 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권리장전의 제정으로 이어진다. 연구는 '브라질의 Marco Civil은 어떠한 계기로 다른 정책들을 우선하여 정책결정자가 주목하는 주요 의제로 채택되어 제정으로 이어졌는가?'를 질문하고, 이러한 정책변동 사례를 Sabatier의 ACF 모형과 Kingdon의 MSF 모형의 결합모형에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답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Marco Civil 정책은 각각 '평등주의'와 ‘시장주의'라는 상충하는 신념체계를 가진 찬반 옹호연합으로 분화되어 정책결정과정에서 첨예한 대립을 펼쳤으며, 정책학습의 기회에도 자신들의 신념체계를 견고화하였다. 둘째, 이들 옹호연합은 브라질 사회의 다양한 외적 변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신념체계를 형성하였다. 셋째, Marco Civil은 수차례 입법 지연을 겪다가 Snowden 사건이라는 강력한 외부적 촉발기제에 의하여 정책의 창이 열리고 정책변동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넷째, Marco Civil 정책결정과정에서 정책중개자와 정책선도자의 역할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책선도자인 Lula 대통령과 Dilma 대통령의 적극적인 역할은 Marco Civil 제정에 있어 결정적인 영향 요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함의로는 첫째, 연구는 ACF 모형과 MSF 모형의 적용 사례로서 비교적 새로운 분야인 인터넷 규제정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인터넷 정책은 찬반 옹호연합의 첨예한 갈등이 나타나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결합모형에 따른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형이 개발된 다원주의적인 서구사회가 아닌 권위주의와 엘리트주의가 뿌리 깊게 작용하고 있는 브라질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ACF 모형과 MSF 모형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셋째, 일반적으로 대통령의 적극적 관심을 가질 경우 빠른 정책 대안의 마련으로 합리적인 대응 방안을 찾아낸다는 합리적 모형으로는 쉽게 설명되지 않는 사례로서, 룰라 대통령의 적극적인 지원에도 불구하고 임기 내 법안 제정에 실패한 원인을 추적할 수 있다. 넷째, 정책의 흐름이 열려 정책산출에 이르는 데 정치의 흐름은 정책의 창을 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는 않았다. 호세프 정부 시기 정치의 흐름은 법안 제정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하여 Marco Civil 폐지의 위기에까지 갔으나 외부적 초점사건에 의해 제정에 이르게 된다. 정책적 함의는, 먼저 정책선도자의 리더십과 정책 방향의 중요성을 함의한다. 국민의 인권 보장을 위한 룰라 대통령의 일관된 사회정책과 리더십은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둘째, Marco Civil 법은 국가가 인터넷을 어느 범위까지, 어떠한 방식으로 규율해야 하는가와 관련된 가치충돌적이고 논쟁적인 쟁점을 되짚어보고 추후 유사한 인터넷 권리법 제정 논의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적인 사례이다. 셋째, 본 정책은 참여민주주의를 실천한 사례로서 정부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반영한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브라질은 공통적으로 2006년도 인터넷상 사이버범죄 규제안을 제정하였으나, 한국의 경우 해당 법이 임기만료로 폐기된 이래 의미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는 않은 반면, 브라질은 사이버범죄법 발의라는 '초점사건'이 휘발되지 않고 정책선도자의 적극적인 의지 아래 인터넷권리법의 제정으로 이어진다. 브라질의 인터넷 정책결정과정에 대해 검토하고 구체적인 법안의 추진 동기, 과정, 정책의 결정요인 등을 모색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인터넷 규제정책이 어떠한 위치에 놓여 있는지 비교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olicy goals in the internet arena in the last decade has been striving to seek a reasonable balance between freedom and regulation of the Internet. Brazil, as Latin America's economic giant, has also spent a long time finding the balance point between creating economic profits and protecting human rights under the pressure of mediating the conflicting values of regulating and protecting users’ behaviors from circumstances of the internet. And it is one of the key policy initiatives associated with this shift to pass the world’s first Internet Bills of Right which is called Marco Civil da Internet on March 25, 2014 after years of discussion, which calls for freedom of expression for the Internet users,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guarantee of network neutrality. This case study explores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Marco Civil da Internet in Brazil. It examines specifically how Brazilian internet policy came into being applying the combination frameworks of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nd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in order to learn more about the linkages between research and policy. The study began with a relatively simple question, ‘On what occasion was Brazilian Marco Civil da Internet adopted as a major agenda for policymakers, prioritizing other public policies and being eventually enacted after long debate’ and systemically sought an answer applying the example of this internet policy change through these policymaking process framewor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keholders in the policymaking of this legislation were divided into the a pro-MCI coalition and an anti-MCI coalition with a conflicting belief system between 'Equalityism' and 'Marketism' and strengthened their own belief system even in the opportunities of policy learning. Second, these advocacy coalitions formed these belief systems, directly or indirectly being influenced by various external variables in Brazilian society. The Snowden event in 2013 worked as a powerful external trigger mechanism of this policymaking process, as a strong variable that opened the window of policy and lead to policy changes after going through several legislative delays. Third, it was indicated that the role of a policy broker and a policy entrepreneur in MCI policymaking process was shown to be outstanding. In particular, the active role of policy entrepreneurs, the two Brazilian Presidents, Lula da Silva and Dilma Rousseff, could be judged as a decisive factor in enacting this legislation. Nex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wofolds. Firstl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targeted the Internet regulatory policy which is a relatively new field a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the ACF and the MSF. The Internet policy might be highly adequate research topic, given that it is a policy that showed a strong conflict between a pro-MCI and an anti-MCI advocacy coalitions. Second, the study proved the usefulness of the ACF and the MSF by analyzing Brazilian case where authoritarianism and elitism have been deeply rooted rather than a pluralistic western society in which these theoretical frameworks were developed. Third, the study could track the causes for failure to enact this legislation within his term, despite President Lula's active support, which is not reasonably explained with a rational model supposing if the president has a active interest, he could find a reasonable and quick policy alternative. Fourth, Political Stream in this policymaking process did not play a crucial role in opening the window of policy. The political stream during the Rousseff administration had influenced a negative effect on enacting the legislation and reached the crisis of the abolition of the MCI, but an external focus event led it to be enacted in the conclusion.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and policy direction of policy entrepreneurs. President Lula's consistent social policy and leadership to ensure the human rights of Brazilian people provide a lot of implications for Korean administration. Second, the MCI is an instructive example that could be applied later in the discussion of enacting an Internet Bills of Right in other countries, which reflects on the value-conflicting and contentious issues concerning how the country should regulate the Internet. Third, as an example of practicing participatory democracy, the MCI policymaking process reflects public trust about the government. Finally, although each Korea and Brazil enacted regulations of cybercrime on the Internet in 2006, no meaningful discussion had been made in Korea since the law was scrapped at the end of its term, while Brazil's 'focus event' of trying to introduce the cybercrime law eventually led to the enactment of the Internet Bills of Right under the active will of policy entrepreneurs. It concludes that we can compare the position of our country's Internet regulatory policies with Brazilian case by reviewing the Brazil's Internet policymaking process and seeking specific incentives, processes, and determinants of policies.

      • Toots Thielemans의 음악에 나타난 브라질 음악 소재 사용에 대한 연구 : -앨범 ≪The Brasil Project vol.2≫를 중심으로-

        김지홍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3

        In arts, challenge to a new genre is like having a life. Such challenges have developed arts for a long time. However, as a person is born, he or she must think and reason beyond the environment one has been exposed to, and inevitably encounter troubles. Thus, that an individual artist takes on challenges could hardly be said easy. The core of the study lies in critical thinking and convergence. To create a new culture, one must think critically about the previous generation’s culture and also clearly state one’s opinion in arts. The capability of an artist is also essential. Only after hav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existing culture, an artist can have a critical perspective of the culture. Thus, criticism can truly carry its meaning when a person has excellent capability to express the existing culture and can view in the individual’s unique perspective. The aforementioned criticism does not merely carry negative significances, but rather refers the judgment of existing phenomena based on one’s idea. The idea may or may not follow the same direction the culture is heading. Given that a complete understanding and an ability to have critical mind on an existing culture are acquired, an artist will desire for the new genre. The genre will require the creative capability of the artist. There are two approaches to create a new culture that previously never existed. The first approach is to create an entirely new thing that has not existed. If achieved, it is the single greatest role that an artist can have but is as difficult to achieve as the great merit the approach offers. The second approach is to converge and fuse various existing cultures. The second approach also requires the artist to create an entirely new culture that embraces natural blending of unique characteristics in each culture and therefore is difficult to achieve. However, given that an artist has been exposed to an environment with various cultures with converged influences from the various era and environment factor. Toots Thielemans is a Belgian American artist. To be precise, he is a musician who mainly plays jazz harmonica and jazz guitar. The musician also was not born in the United States but in Belgium. His backgrounds naturally gave Belgium musical influences. However, taught by American musicians, heen gaged in jazz profoundly and started a musical career in America. The process generated a convergence of cultures, and Toots’s jazz performance was highly recognized by other American jazz performers. His accomplishment was a fruit of Toots being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Jazz culture. At this time, Toots Thielemans craves to create a new culture and can do so in his album, which is also the topic of the study: 《The Brasil Project Vol.2》If evaluated in the same perspective the study discussed, Brazilian music is also a great result of convergences, fusion, and challenges. Brazil was colonized by Portugal, therefore inheriting Portuguese musical influences. The country was also influenced by African slaves who were forced to relocate to provide sources of labor for sugar cane plantations in Brazil. Moreover, the music of Indio who originally inhabited in Brazil also undeniably influenced the music of Brazil. The Brazilian culture was created by various ethnicities in one nation that experiences various eras of generation. The Brazilian culture, therefore, gave birth to unique music of Brazil such as Samba and Choro. In addition to Sambaand Choro, Bossa nova was created. The genre was created by the middle-classin challenges to existing cultures. Brazilian artist put immense efforts in creating a new Brazilian culture with nationalism. Toots Thielemans and Brazilian artists share a similarity in a large context. Both were exposed to multi cultural environments. Both acquired an under standing of each culture and challenged the cultures to create an entirelnew culture.《The Brasil Project Vol.2》 is the only album and culture that a Belgian jazzharmonica musician incorporates Brazilian musical inspirations. Analyzing Toots Thielemans play in the album, one can figure that both jazz and Brazilian music style coexist. His play is most certainly not jazz or samba. Rather, it is an entirely new culture and music that Toots Thielemans created. The study conducts profound researches on Brazilian music and Toots Thielemans and derives the core of ‘creation of new culture through challenges and convergence’. Further, the study analyzes the rhythm and melody of 《The Brasil Project Vol.2》 and identifies the musical components of Brazilian music utilized in the album. The study, therefore, provides the basis for future studies of creating new cultur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existing cultures by determining related factors 예술에 있어서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은 생명과도 같다. 이러한 도전은 오랜 시간 예술의 발전을 가지고 왔다. 하지만 각 개인이 태어나면서부터 노출되어 온 환경을 넘어선 생각과 사고를 해야 하고, 분명 마찰도 피할 수가 없기에, 예술가 개인이 이러한 일을 해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 것이다. 이 연구의 핵심은 비판적 사고와 융합이다.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내기 위해서는 기존의 세대의 문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자신이 생각하는 예술에 대한 것을 피력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수반되어야 하는 것은 그 예술가의 역량이다. 기성 문화을 온전히 이해해야만 그 문화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성문화를 표현해내는 역량이 뛰어나고 그것을 자신의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비판이 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비판은 부정적인 의미가 아닌, 자신의 생각에 빗대어 기존의 현상을 판단하는 것을 말하며, 어떠한 부분에서는 같은 궤를 가지고 갈 수 도 있고, 어떠한 부분에서는 반대의 방향으로 생각 될 수도 있다. 기성문화에 대한 이해가 완전하고, 거기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가질 수 있는 예술가는 새로운 것에 대한 열망을 가지게 되는데, 이 부분에서는 예술가의 창조적인 역량이 중요시 된다.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문화를 만들어 낸다는 것은 두 가지의 방법이 존재한다고 본다. 첫 번째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온전한 것을 창조해내는 것이다. 이 방법을 해낸다면 예술가로써는 최고의 역할을 해낸 것이나, 그만큼 어려운 일이다. 두 번째 방법은 이미 도출 된 다양한 문화를 융, 복합하는 것이다. 이 방법 또한 각자의 문화를 섞는 과정에서 각각의 문화의 색깔이 자연스럽게 포함되는 선에서 전혀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나간다는 것이기 때문에 한 개인이 이룩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시대적 , 환경적인 영향을 통해 다양한 문화가 섞이는 환경에 노출된 뮤지션이라면 가능한 이야기이다. 투츠 틸레망은 벨기에 계 미국 음악가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재즈 하모니카와 재즈 기타를 주로 연주하는 음악가이다. 이 뮤지션의 출신 또한 미국이 아니며, 벨기에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벨기에의 음악적 영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미국 뮤지션의 가르침을 받으며 재즈에 심취했으며, 미국에 진출하여 그의 음악활동을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한 번의 문화 융합이 발생하였으며, 미국에서 재즈 연주자로써 활동하였던 그는 미국의 재즈 연주자 사이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게 된다. 이는 투츠 틸레망이 재즈문화를 온전히 이해하였기 때문에 일궈 낸 결과물이라고 본다. 이 시점에서 투츠 틸레망은 새로운 문화에 대한 열망을 가지는데 투츠 틸레망은 이 열망을 실현해낸다. 그 결과물이 바로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The Brasil Project Vol.2》이다. 브라질의 음악을 같은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그야말로 도전과, 융 복합의 산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브라질은 포르투갈의 식민통치를 받으며 포르투갈의 음악적 영향을 받았고, 사탕수수 재배를 위해 강제 이주 된 서 아프리카계 흑인 노예들의 아프리카 음악에 영향을 받았다. 또한 원래 브라질 땅에 살고 있던 인디오들의 음악도 브라질 음악의 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복합적인 종족들이 한 나라에 함께 살게 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브라질의 문화는 융, 복합하여 삼바, 쇼로와 같은 고유한 음악을 만들어 낸다. 이렇게 이룩한 문화인 삼바와 쇼로에, 브라질의 경제발전으로 생겨나게 된 중산층은 기존의 문화에 도전하여 보사노바라는 음악을 만들어내고 민족주의가 포함된 새로운 브라질의 문화를 창출해 내기 위해 노력한다. 투츠 틸레망과 브라질의 음악은 큰 맥락에서 공통점이 있다. 각자가 놓인 환경도 다양한 문화가 복합되어 있는 상황이었고, 그 문화를 습득하고, 그 문화에 도전하여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앨범《The Brasil Project Vol.2》는 벨기에 계 재즈 하모니카 음악가가 브라질 현지의 음악가들과 브라질의 음악소재를 사용해서 만들어 낸 유일무이한 앨범이며, 문화이다. 실제로 이 앨범에서 투츠 틸레망의 연주를 분석해 보면 재즈 소재와 브라질 음악의 소재가 공존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재즈도 아니고 삼바도 아니다. 그저 투츠 틸레망이 만들어 낸 새로운 문화이자 음악이다. 본 연구는 브라질의 음악과 투츠 틸레망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이를 통해 ‘도전과 융합을 통한 새로운 문화 창출’이라는 핵심을 도출해내고, 앨범 《The Brasil Project Vol.2》을 선율적, 리듬적으로 분석하여 투츠 틸레망이 사용한 브라질 음악 소재를 분명히 밝혀 다양한 문화의 융 복합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고자 하는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브라질의 케이팝 팬덤에 대한 현장연구

        정길화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943

        브라질의 케이팝 팬덤에 대한 현장연구 1990년대말 드라마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한류는 이제 케이팝을 통해 지구촌 곳곳에서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이를 ‘신한류’라고 한다. 댄스음악 장르에서 발달한 케이팝은 아시아를 넘어 유럽, 미국 등 세계 청소년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이는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라는 새로운 미디어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흔히 케이팝은 경제위기로 침체에 빠진 한국 음악산업이 세계화를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만든 것으로 평가된다. 이른바 연습생 제도와 같은 고된 훈련을 통하여 양성되는 케이팝 아이돌들은 강렬한 댄스와 중독성 있는 음악, 화려한 비주얼과 퍼포먼스로 컬트적인 매력을 선보이고 있다. 케이팝의 매력과 강점으로는 음악적 스타일, 글로벌 마케팅, 강렬한 팬덤 현상 등이 지적된다. 이제 한류는 신한류를 거치면서 확산 추세에 있다. 이는 브라질 등 중남미도 예외가 아니다. 라틴 아메리카가 콘텐츠 비즈니스 신시장으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면서 브라질의 한류 상황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브라질에서 한류 콘텐츠가 수용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은 역사적 전통과 사회 제도, 문화 환경이 상이한 국가 내부로부터의 반응을 연구하는 의미가 있다. 팬덤과 하위문화 그리고 문화 할인율 논의에 이어 문화적 근접성과 혼종성과 초국적성, 그리고 아파두라이(Appadurai)가 말하는 에스노스케이프(ethnoscapes)와 미디어스케이프(mediascapes) 등은 이 현상을 분석하는 유의미한 이론들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전 지구적 차원에서 또는 지역적 차원에서의 문화적 흐름이 현지의 수용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발생시키는지 짚어볼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전 지구적인 케이팝 현상을 주목하면서 그중에서도 지구 반대편 브라질에 있는 케이팝 팬덤의 실태를 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2011년에서 2013년까지 중남미에서 특파원으로서 주재하면서 브라질과 중남미에서 한류가 전개되는 상황을 현장에서 취재하고 관찰할 수 있었다. 한국에 돌아와서도 유관 분야에서의 연구를 계속하던 중 2015년 9월에는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가 직접 브라질 상파울루를 방문하여 케이팝 팬덤과 관련된 6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현지에서의 관찰과 면접을 통해 브라질 케이팝 팬덤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상파울루의 재팬 타운인 리베르다지(Liberdade), 커버댄스팀의 거점인 상파울루 문화센터(Centro Cultural Sao Paulo) 그리고 상파울루의 케이팝 사이트인 ‘케이팝 스테이션(Kpop Station)’, ‘사랑인가요(SarangInGayo) 등을 주요한 포스트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브라질의 케이팝 팬덤을 살필 수 있는 온/오프라인 공간을 들여다보았다. 심층면접을 통해서는 우선 브라질 케이팝 팬덤이 일계 브라질인(nipo-brasileiro)들의 커뮤니티에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일본 애니메이션, 만화 등을 향수하는 계층에서 한국 드라마와 케이팝 등으로 ‘문화적 전이’(최정봉, 2014)’가 일어나 브라질에서의 한류가 촉발되었던 것이다. 브라질은 이민사회로서 아시아 등 다른 문화권에 대해 열려 있다. 또한 브라질의 케이팝은 다른 나라에 비해 커버댄스가 매우 활성적이다. 이는 케이팝이 댄스음악으로서 장르적 소구력을 가진 때문으로 나타났다. 커버댄스 팀들을 통해서는 케이팝의 하위문화적인 특징을 살필 수 있다. 마니아들은 또래문화로서 케이팝을 즐기면서 배타적인 분위기를 보이기도 한다. 케이팝 향수자들은 한류 콘텐츠의 새로움과 음악적 퀄리티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한편 브라질 역시 케이팝 팬들은 주로 젊은 고학력의 여성층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가운데, 케이팝 남성 아이돌들이 가진 메트로섹슈얼한 매력이 여성 팬에게는 새로운 남성상으로 다가가 대리만족과 현실도피적 환상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이 요소는 성적 정체성에 비교적 관대한 브라질에서 게이 컬처와의 조우가 이루어지게 한다는 것을 목격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열성 팬들은 케이팝을 통해서 자신을 재발견하고 있었다.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다른 대중음악 장르에 비해 케이팝은 비교적 건전한 이미지로 향수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사이트는 케이팝 문화의 온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의 다수가 한국문화에 눈을 뜨고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유학을 꿈꾸고 있었다. 케이팝은 ‘한국 문화로 들어가는 문’이라는 것이다. 브라질의 한류 인구에 대해 심층 인터뷰와 같은 질적 연구 방법론을 통하여 이들을 현장에서 실증적으로 조사한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나의 문화적 형식이 물리적 경계를 넘을 때 현지 수용자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어떻게 교감하는지 짚어볼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연구 내용은 브라질의 한류 문화의 실태를 파악하고 콘텐츠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한류의 산업적 확장 또한 해당 국가의 문화 현상과 저변에 대한 연구와 이해 없이는 가능하지 않다. 향후 후속 과제로는 브라질 케이팝 팬덤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 특히 인종과 젠더 그리고 학력 및 소득 수준과의 상관성을 더욱 세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그 연장선에서 케이팝의 비즈니스적인 시장성을 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브라질 케이팝 팬덤과 상파울루 한인 커뮤니티와의 조응 상황, 또 이들의 관심과 열정이 케이팝을 계기로 한국 드라마, 한국어, 한국 음식 등 한국문화로의 확장, 전이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 등을 계속 주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An) analysis on the medical devices registration process at ANVISA : methods for regulatory process of devices in the smart medical ship in Amazônia, Brazil

        Martins, Eduardo Mechado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브라질은 다양한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헬스 케어 네트워크의 발전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먼 지역에 있거나 물류 수송에 어려움이 있는 지역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으로, 브라질 정부는 먼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위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간단한 진찰을 제공하여 주민들을 만나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한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진찰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휴대용 의료기기 진단 장비의 사용은 물류의 수송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브라질 아마존 현지 수출형 스마트 의료선 개발’ 프로젝트는 브라질과 한국 간의 프로젝트로, 브라질에서 요구하는 사항들을 연구하고 실제 사례에서 적용할 수 있으며, 질 좋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연세대학교의 브라질 스마트 보건선에 대한 연구 발전의 관심은 진단 및 의학적 분석을 목표로 한 개발 기술 분야에서 인정을 받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 브라질 스마트 보건선 개발을 목표로 석사 과정에서 제공하는 의료전자, 영상, 생체역학, 생체 광학, 신경 공학, 나노-바이오 시스템 엔지니어링 및 의료용 초음파와 같은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브라질에 놀라운 발전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이 이러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브라질의 다른 연구 분야와 다른 지역에서 구현될 수 있는 더욱 훌륭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브라질 스마트 보건선의 초기 목표는 연세대학교 생체신호처리연구실에서 개발된 휴대용 의료기기 진단박스를 통해 아마조니아 지역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마나우스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단한 시술로 치료할 수 있는 단순한 질병으로 인한 죽음을 예방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브라질 보건 시스템에서 의공학 기술에 대한 수요는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진단 및 치료 장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브라질에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ANVISA 가 조율한 의료기기 인허가를 위한 과정을 알고, 이를 등록하여 합법적으로 의료기기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브라질 시장 진출 및 규제 장벽을 극복하고자 하는 회사들은 국가의 법규 사항에 따라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브라질의 규제 요구사항을 완전히 이해해야 하며, 요구사항에 따라 기술 문서를 작성하고 ANVISA 의 평가를 위해 제출해야 한다. 현재, ANVISA 의 문서는 포르투갈어 이외의 다른 언어로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한국 제조사들은 언어적인 장벽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ANVISA 에서 제공하는 문서들을 영어로 번역하여 브라질 스마트 보건선에 탑재된 의료기기 등록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제조사들이 이 규제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Brazil, for its area and diversity of geographic features makes quite challenging the expansion of the health care network for its population, especially those located in very remote and regions with severe logistical difficulties. In this sense, the Brazilian government seeks to meet the distant population tough programs that lead to their communities to small hospital structures, for consultations and low-complexity procedures. The use of portable medical equipment diagnosis allow decrease of logistics costs, in order to improve and broaden the consultations. The interest in developing this research about the Smart Medical Ship at the Yonsei University is the recognized expertise of the institution in the development technologies aimed at diagnosis and medical analysis. This project between Brazil and Korea consists in a great opportunity to study and apply knowledge in a real case using Brazil needs as a laboratory and improve the life of many people that has not access to good medical care. Making use of skills as medical electronics, imaging, biomechanics, biomedical optics, neural engineering, nano-bio system engineering and biomedical ultrasound, offered by the master program, aimed to the Smart Medical Ship, can be an amazing advance in the Brazil´s health system, further more a terrific opportunity to generate spin off for these technologies to implement in other fields of study and other regions in Brazil that need this kind of program. The Smart Medical Ship will help initially people in Amazonia using portable medical devices structured in the Bio Signal Lab at Medical Industry techno Tower at Yonsei University, providing all the support to plan the whole project. The final idea is to bring health care to poor people in Manaus and prevent then of more death due to simple illness that can be treated by simple procedures improving those people life. The demands for biomedical engineering technologies in the Brazilian health system are constantly increasing, especially diagnostic and treatment equipment is increasingly needed. The data are attractive for the investment of companies from other countries in the sector of medical devices in Brazil, and for that, it is necessary that companies willing to introduce their technology in the country, know the process of regulation of medical devices, coordinated by ANVISA, so that they can be registered and operate legally in Brazil. Companies wishing to initiate this process must fully understand Brazilian standards in order to enter the market with products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the country, they must produce technical documents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and submit for ANVISA evaluation. Since the documents from ANVISA are not available in other language other than Portuguese, this English work can improve the chances for Koreans to understand this Regulatory System by analysis of the medical devices registration for Brazil’s Smart Medical Ship.

      • 브라질 경제위기의 역사적 배경과 원인에 관한 연구

        김영기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포르투갈의 점령기인 1500년부터 브라질은 1차 농산물 생산기지로서 16~18세기는 설탕의 생산기지로서 19세기는 커피의 생산기지로서 활용되었으나 타국과의 교역은 금지되어 자체적인 경제의 기반을 확립할 수 없었으며, 주력 농산물의 국제가격의 하락은 브라질 경제에 직격탄으로 작용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산업화를 추진하며 제조중심의 현대적인 경제구조로의 변화와 정착을 꾀하며 1950년대에서 1981년에 걸친 고도성장은 신흥 브라질경제정책의 성공적 완성을 반증하는 듯 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초기 이후 경제성장의 둔화와 스테그네이션을 경험하게 되며 남미 전체의 경제적 불황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후 1990년대 중반을 지나며 지속적인 무역수지 흑자를 바탕으로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루며 그 다양성과 가능성을 인정 받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산업과 경제의 구조변화는 극단적인 빈부의 격차를 유발하고 경제성장이 툭정 지역과 계급에게 집중되어 고도성장의 축배를 드는 한편에서 빈곤층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며 이들이 대도시로 이동하게 되어 심각한 사회불안을 유발하였다. 2차세계 대전이후 장기의 군부독재는 정치적 불안을 조장하며, 민주정치의 각 정당의 정치적 기반을 취약하게 만들어 정권을 잡기위한 합종연횡의 정치구조를 잉태하였다. 이는 브라질 특유의 선거제도와 맞물려 전국정당이 아닌 지역 중심의 군소정당이 의회를 장악하게 되어 정책 추진을 어렵게 만들게 된다. 또한 높은 실업률과 빈부의 격차는 사회 계층간 대립을 심화 시켜 어느 누구도 사회 전체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정치, 사회구조를 만들게 되었다. 1차 오일 쇼크이후 값싼 ‘Oil Money’를 중심으로 엄청난 규모의 외채를 도입하게 되고 이러한 외채를 기반으로 1980년대까지 또 한번의 고도성장을 이루게 되지만, 엄청난 규모의 대외채무는 국제경제와 환율에 민감한 경제구조를 만들게 되며 이로서 1979년 2차 오일쇼크로 수입원유가의 상승과 국제금융 이자율의 상승으로 1981년 소위 “잃어버린 시대 (Lost Decade)”라고 불리우는 심각한 경제불황에 빠져들게 된다. 94년 중반에 시행된 “레알 플랜”으로 만성적인 인플레의 문제는 상당부분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으나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어 온 열악한 재정수지와 사회 보장제도 개혁, 등의 구조적인 문제는 98년도 또 다른 금융불안을 유발하게 된다. 이처럼 브라질의 반복적인 경제위기는 농산물 등 1차 산업중심의 취약한 경제기반과 정치/사회적 불안, 그리고 잘못된 경제정책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그 첫번째로 풍부한 천연자원을 기반으로 한 농산물수출을 유지하며, 자국 내 산업을 보호하기위한 “수입대체산업”의 육성은 자국 내 제조업의 수출경쟁력 향상의 저해하게 되었다. 둘째는 과다한 외채의 부담을 들 수 있다. 경제체질이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무역수지 적자가 계속되면서 민영화를 통해 유입되는 자본과 외국인 투자자금만으로 외채에 대한 이자지급과 경상수지 적자 보전에도 벅찬 실정이다. 셋째는 “재정적자”이다. 근대화 이후 줄곧 정부 주도로 경제정책을 추진해온 브라질은 유럽에 가까운 문화적 특성으로 아시아 등 다른 지역 국가들에 비해 공공지출 규모가 큰 특징을 보여왔다. 공기업의 비효율성과 정부의 방만한 재정 운용으로 정부지출은 급증하는 반면, 산업 발전 속도가 더디고 정확한 징세 체계의 미비로 세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재정적자 발생은 필연적일수 밖에 없다. 넷째는 “교역구조 불균형”이다. 이는 “수입대체”정책으로 인한 수출입의 불균형에 기인하다. 주요 수출품목이 제조업 중심으로 변하고 있으나 아직도 국제 가격 변동에 민감한 구리, 철강, 곡물 등 1차 상품과 저가 제조업제품이 중심이 되고 있어 장기적인 경제계획을 수립하기 어렵게 되는 반면, 수입은 자본재 및 고급 소비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제조업은 선진국과 신흥 아시아 개도국들에 비해 기술적/가격적인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낮은 교육수준으로 말미암아 아시아 개도국에 비해 낮은 단위노동생산성을 갖고 있다. 강한 노조의 정치적 힘으로 말미암아 노동시장의 탄력성이 부족한 등 제조업의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끝으로는 “정치, 사회의 불안”을 들 수 있다. 극심한 빈부의 격차와 지역별 격차, 고용불안, 정파간 갈등 등이 만성적인 정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정치환경 변화에 민감한 외국인 투자자들은 사회 동요와 선거 등이 있을 때 마다 동요를 보이고 이에 금융시장은 교란에 빠지게 된다. 또한 국민들의 교육수준이 낮아 소신 있는 정책보다 “Populism”이 득세를 하여 인기위주의 선심성 공약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Under the Portuguese colonial rule, Brazil served as the breadbasket of sugar and coffee for Portugal from 16th to 19th century. Then, overseas trade was prohibited, and Brazil failed to lay the foundation for its independent economy. When the international price of these crops went down, the Brazilian economy inevitably took hard hit. Since the Second World War, Brazil pushed ahead with industrialization and change of its economy from the primary industry into the manufacturing one. From 1950s to the year 1981, it made precipitous economic development and its economic policy seemed to guarantee further growth in succession. However, the Brazilian economy suffered from slowdown in the early 1980s and its stagnation finally led to economic depression in Latin America. Over the middle of 1990s, Brazil made a steep economic growth based on a favorable trade balance and showed its potential and capability to the whole world. On the other hand, its industrial and economic changes widened incom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Limited people enjoyed benefit of economic growth. By contrast, the population of the poor increased exponentially and they moved to big cities stirring up social unrest. Since World War II, Brazil had been under militarists’ dictatorship for a long time that made its political affairs unstable and undermined each position of political parties. In this climate, the politicians turned opportunists in changing their parties and scrambling to look after their own interests. Along with this, there were some stumbling blocks to carrying out its policies in that the small minor parties rather than the nationwide party took control of the parliament. High unemployment rate and wide income gap aggravated confrontation between higher class and lower one. For these various reasons, it was difficult to realize integration of the general public and as a result, no party could get unanimous support from the society. This unfavorable political environment and “socio-economy” has become a structural obstacle to its development. Experiencing the “first Oil Shock”, Brazil attracted a great deal of foreign loan like cheaper “Oil Money”, which became the seed money for making its steep economic growth. On the other hand, an enormous amount of foreign debt made its economic system sensitive to the world economy and the foreign exchange rate. Against this backdrop, Brazil suffered from a serious economic slump, so called “Lost Decade” in 1981. The depression was the aftereffect of the “second Oil Shock” in 1979 that increased the imported oil price, and the rise of interest rate of foreign loan “Real Plan”, which was implemented in the middle of 1994, cleared the way to lessen chronic inflation to a degree. Nevertheless, fundamental problems such as poor financial status that had lasted for a long time and imperfect reform of social welfare brought about another financial uncertainty.

      •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

        양지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943

        세계 제약 시장은 2009년부터 2013년 사이에 약 1,940억 달러가 성장하여 2013년에는 약 9,890억 달러 수준의 시장으로 성장하였고, 2018년에는 최대 1.3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CAGR 4-7%). 특히, 인구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재정 악화, R&D 생산성 저하, 블록버스터급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 만료 그리고 Pharmerging market의 저마진 제네릭의약품 판매 증가에 따라 제네릭의약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까지 세계 제약시장 TOP 10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Pharmerging 5개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그리고 멕시코)과 우리나라의 의약품 허가 과정을 비교하여, 향후 국내 제약사들이 연구 대상 국가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특히 국내 제약사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각 국가별 안정성 시험 규정, 생동 시험 규정 그리고 기준 및 시험방법에 대한 심사 규정 등 허가서류 작성 단계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두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Climate Zone에 따라, 의약품의 장기안정성 시험에 대한 온도·습도 기준을 Zone I, Zone II, Zone III, Zone IVa 그리고 Zone IVb의 5가지로 구분하여 두고 있다. BRICs (브라질, 러시아, 인도 그리고 중국)을 포함한 멕시코의 안정성 시험 조건 역시 WHO의 Climate Zone을 따르고 있었으며, 국가별로 Climate Zone에 따른 시험조건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실온보관 조건의 의약품에 대하여 우리나라와 멕시코는 Zone II 지역이므로 장기안정성 시험의 조건을 25±2ºC/60±5%RH로 설정하여야 하는 반면, 브라질 및 대부분의 중남미 국가는 Zone IVb 지역으로 동일 실험을 위해 챔버의 온·습도를 30±2ºC/75±5%RH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중국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Zone II로 구분되고 있지만, 국토의 면적이 넓어 Zone IVa 와 IVb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역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Zone IVb와 Zone II를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자료 준비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인도는 30±2ºC/70±5%RH의 조건을 요구하고 있었다. 그 밖에, 등록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안정성 요구 자료에 대한 국가별 요구 조건이 상이하다. 우리나라와 러시아는 최소 가속 안정성 6개월 데이터와 장기 안정성 6개월 데이터가 요구되는 반면, 브라질, 인도, 중국 그리고 멕시코는 최소 가속 안정성 6개월 데이터와 장기 안정성 12개월 데이터가 필요하다. 브라질과 멕시코의 경우, 제품의 유효기간이 24개월 이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완벽한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의 시험 data가 확보된) 장기 안정성 시험 결과를 제공하여야 하는데, 특히 멕시코는 반드시 현지, 즉 멕시코 내에 있는 Lab.에서 실시하여 제품의 유효기간 동안 완료된 장기 안정성 시험 결과를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최초 안정성 시험을 실시할 때, Zone II 와 IVb 조건을 모두 고려하여 진행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의 경우, 시험약에 대한 batch size, 피험자 선정 기준 (나이), 시험방법 (무작위, open, 교차시험 등), 식사·음료·공복, 채혈 시간 및 횟수, 휴식기 (wash out) 그리고 비교 용출 pH에 대한 국가별 요구사항이 조화를 이루고 있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연구 대상 국가의 요구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Commercial batch (최종 완제품 생산 규모)를 사용하여, 최소 24명의 시험예수 (만 19~40세)를 대상으로 시험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나라가 설정하여 놓은 휴식기는 유효성분 반감기의 최소 5배 이상인 반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반감기의 최소 7배 이상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7배 이상으로 설정하고, 비교 용출을 위한 pH는 1.2, 4.0, 4.5, 6.8 그리고 물에서 모두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GMP 실사의 경우, 연구대상 5개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그리고 멕시코)은 모두 수입의약품에 대한 GMP 실사 규정이 확립되어 있었다. 그러나, 브라질의 경우에는 2011년에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및 큐바 간에 맺은 협정을 통해 해당 국가간의 GMP 인증서를 상호간에 인정하고 실사를 면제하고 있고, 유럽 (EMA), 미국 (US-FDA), 캐나다 (Health Canada), 스위스 (Swissmedic), 호주 (TGA) 그리고 브라질 (ANVISA)의 GMP 인증서를 가지고 있는 품목에 대하여 GMP 실사 면제하고 있으므로, 해당 규정을 잘 활용한 단면 해외 실사에 들어가는 비용 및 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GMP의 인증은 품목허가 이전에 완료되어야 하는 단계이므로, 이러한 전략은 결국을 제품의 인허가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의약품의 기준 및 시험방법의 설정·심사에 관한 규정을 살펴보면, 연구대상 국가 모두 공통적으로 허용되는 약전은 미국약전과 유럽약전이었다. 따라서, 국내 제약사는 신약 또는 제네릭의약품의 개발단계에서부터 가능하다면 완제, 주성분, 부형제 그리고 1차 포장재의 기준 및 시험방법에 대한 규격을 미국약전 또는 유럽약전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약전의 국제 위상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국가별 안정성 시험에 대한 규정,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에 대한 규정, GMP 실사 그리고 기준 및 시험방법에 대한 규정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가별 요구 조건을 모두 만족하기 위해 국내 제약사가 제네릭의약품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을 통하여, 국내 제약사는 제네릭의약품의 국내 허가 이후 해외 국가에 수출을 하고자 할 때, 각 국가별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추가로 진행해야 하는 연구로 인해 발생되는 기간, 노력 그리고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수출 대상 국가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A제약사가 국내 안정성 규정에 따라 Zone II 조건에서 완료된 안정성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제네릭의약품을 브라질에 수출하고자 할 때, A 제약사는 브라질의 안정성 시험 규정에 따라 Zone IVb조건에서 새롭게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브라질이 요구하는 최소 안정성 데이터는 장기 12개월이므로, A사의 브라질에 인허가 신청은 최소 12개월 미루어 지게 되고, 브라질의 제네릭의약품 인허가에 소요되는 official 기간은 약 90일 (6개월) 이므로, A 사의 브라질 시장 진출은 최종적으로 약 18~24개월 정도 미루어 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만약 A제약사가 해당 제네릭의약품을 개발하는 단계에서 해외규정을 고려하여 Zone II와 Zone IVb의 안정성을 모두 진행하였다면, A사의 브라질 시장 진출은 6~7개월 만에 완료 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그리고 멕시코에 의약품 인허가를 위하여 제출해야 하는 자료 리스트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 안정성 및 생동시험 등과 같은 세부 규정에 대한 연구 결과는 국내 제약사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글로벌 시장 진입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브라질 광고에 나타난 브라질 문화코드에 관한 연구

        송준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43

        브라질 광고에 나타난 브라질 문화코드에 관한 연구 오늘날 기술과 교통의 발전은 전 세계를 하나로 연결한다. 이로 인해 지구상의 인류 사회 문화는 종래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국가 간 장벽은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류와 소통에 있어서 상호간 문화에 대한 몰이해가 장애물로 나타난다. 타문화 이해는 온 지구가 소통하는 오늘날, 이 소통의 토대가 된다. 이는 상호공존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진정한 의미의 교류와 소통을 위한 전제이다. 이것이 문화를 이해하려는 궁극적 목적이다. 다른 문화를 오롯이 이해하기란 아주 어려운 일이나, 멈추지 않고 연구하고 노력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국내에서의 문화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다양한 관점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많은 국가와 다양한 교류를 통해 그 연구의 폭이 넓어야 한다. 그러나 연구의 대상국이 특정지역에 편중되어 있다. 우리나라와 인접한 동아시아 국가인 일본과 중국, 서구의 선진국들이 모여 있는 유럽,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국인 미국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현재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비해 남미 국가들에 대한 문화 연구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남미대륙의 많은 국가 중 브라질은 남미를 대표하는 국가이다. 최근 브라질에서 개최된 여러 국제 행사로 인해 브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연구 역시 이전에 비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대부분은 공시적이고, 지나치게 산업적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브라질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이슈를 중심으로 한 표면만을 읽어낼 뿐, 그 심층을 들여다보고 여러 맥락에서 인과관계를 읽고자 하는 시도는 여전히 미미하다. 브라질이 가진 역사적 특성으로 인해 브라질은 다양한 문화, 다양한 인종이 혼합되었으며, 이들이 지니고 있던 문화 역시 뒤섞였다. 이처럼 복잡한 과정을 거친 브라질의 문화는 복합적이면서도 독특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브라질 문화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홉스테드의 문화차원지수에 대한 역사적 맥락에서의 해석과 브라질의 여러 인류사회학자들의 언급을 통해 브라질의 문화코드로 유희성을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문화코드인 유희성이 어떻게 브라질 사회에 투영되어 나타나게 되는지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 플로슈의 소비가치이론을 활용하여 브라질에서 유희적 가치가 두드러져 나타나는 광고들을 선별, 분석하였다. 브라질 사람들의 유희적 가치 추구는 다양한 제품군에서 나타났다. 다양한 제품에서 스토리텔링 구조의 유희성을 통해 소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브라질 사람들의 유희적 가치 추구는 자동차 광고에서도 나타났다. 브라질의 자동차 광고는 자동차에 접목된 새로운 편의사양이나 안전사양을 본래의 도구적 합목적성보다는 이러한 기능들이 얼마나 즐거움을 줄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동차에 탑재되는 여러 가지 새로운 기술들을 편의나 진보의 가치로 여기기보다는 자동차가 새로이 갖게 된 또 하나의 놀이요소로 치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tudy on Brazilian Culture Code in Brazilian Advertising Toda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connects the whole world as one. Accordingly, the cultures of human societies on the earth change faster than ever. Along with this, in various areas including th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national barriers gradually grow lower, and in various areas, exchange and communication are achieved. However, in such exchange and communication, misunderstandings about other cultures appear as an obstacle. An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has become the base of this communication today when the whole earth communicates. This is the starting point of mutual coexistenc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cultures is the premise for exchange and communication of a true meaning. This is the ultimate purpose of an effort to understand cultures.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fully, but this is the reason why studies and efforts should be continually made. Corresponding to these requirements of the times, academic approach to cultures in South Korea is actively made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many countries and various exchanges, the width of the study should be broadened. However, the countries of study are concentrated in certain areas. Studies of East Asian countries adjacent to South Korea, including China and Japan, Europe where industrialized Western countries are gathered and the United States, the major country with which South Korea trades have actively been conducted and are conducted now. However, as compared to this,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of the cultures of South American countries in South Korea. Brazil, one of many countries in the South American continent is a representing country of South America. As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Brazil with the several international events recently held Brazil, studies, too, are conducted more actively than before. However, even these mostly are synchronic and concentrated overly in industrial aspects. These read only the surface centering around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occurring in Brazil, but the attempt to look into the depth and read the causal relationship from multiple contexts is insufficient. With its historical characteristics, Brazil has various cultures and various races, and the cultures Brazilians have, too, have been mixed. The Brazilian culture with the complex process like this is complex and unique.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of Brazilian cultures from various aspects and with various methods. This study extracted playfulness as a Brazilian cultural code through analysis of Hofstede’s culture dimension index from historical contexts and various Brazilian anthropological sociologists’ comments. In addition, utilizing Floch’s Axiology of Consumption Theory as a tool to examine how playfulness, the extracted cultural code, is projected in Brazilian society, Brazilian advertisements in which a hedonistic value noticeably appeared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Brazilian people’s pursuit of hedonistic value appeared in various products. It was found that it was exercised through playfulness of storytelling structure in various products. In addition, Brazilian people’s pursuit of hedonistic value appeared in automobile advertisements, too. Concerning new specifications of convenience or safety, loaded on the car Brazilian car advertisements focus on how much pleasure these features can give, rather than the original instrumental telonomy. It was found that several new technologies loaded on the car were considered as another element of play that the car came to have newly, rather than as value of convenience or progress as the technologies developed.

      • 브라질 오피스 빌딩의 투자 Vehicle에 관한 연구

        전태욱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BRICs라고 하는 이머징마켓은 세계 경제의 회복을 주도하는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BRICs 국가 중에서도 브라질은 세계 5위의 방대한 면적을 보유한 자원 부국 신흥국가로서, 최근 정치·사회적 안정을 바탕으로 중남미의 경제중심으로 급성장하고 있고, 2014년 월드컵 및 2016년 올림픽 유치 등으로 국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개발이 추진됨에 따라 이를 겨냥한 외국인의 직접 투자와 많은 다국적 기업의 투자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브라질 부동산 오피스 시장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공급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긍정적인 요인으로 인해 브라질에서 오피스 투자 기회를 갖고자 본 연구에서는 브라질 오피스 시장 현황 및 분석을 하였고 부동산 간접투자 금융상품을 통한 투자 Vehicle을 연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브라질 부동산 간접투자 금융상품 중에서 FII(부동산 투자 펀드)와 CRI(부동산 ABS), 그리고 FIDC(부동산 매출채권유동화증권에 투자하는 펀드)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브라질 부동산 투자시 검토 가능한 투자 구조(Vehicle)을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눌수 있었다. (ⅰ) FII(부동산 투자펀드)를 통한 간접 인수 (ⅱ) FIP(부동산을 소유할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통한 간접 인수 (ⅲ) Limitada를 통한 직접 인수 브라질 부동산에 투자하기 위한 위 3가지의 투자 구조(Vehicle)중에서 선택의 문제는 투자자의 투자 성격과 기대 수익률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이와 함께 향후 투자 검토시 사전에 치밀한 법률 및 세제 검토가 있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금융위기 이후 주춤해진 해외부동산 시장 개척과 Global Player로의 도약이라는 명분을 가지고 브라질 부동산시장에 접근 투자하길 바라며, 본 연구가 브라질 부동산시장 투자 진출에 기초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원한다.

      • 한국과 브라질의 産業化政策에 관한 比較硏究 : 資本蓄積과 分配를 中心으로

        김선정 檀國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942

        세계공항은 資本主義 社會에서 國家의 經濟介入을 야기시켰으며, 周邊部的 資本主義 社會에서는 國家主導下의 輸入代替産業의 시작을 강요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現代國家는 經濟領域뿐만 아니라 社會集團들과 個人들 사이의 거의 모든 社會的 相互作用에 介入하고 그것을 規制 혹은 統制하는 중요한 主體가 되었다. 특히 産業化過程이 계속되면서 周邊 部的 資本主義 社會에서는 權威主義的 技術官僚體制의 수립으로 역사상 유례 없을 정도로 經濟介入이 증가하였다. 權威主義的 技術官僚體制의 시발은 한국에 있어 5.16군사 쿠데타로 출범한 박정희 정권에 의해 그 배경이 마련되었다. 이는 브라질에서의 權威主義的 技術官僚體制의 조건이 1964년 Branco의 군사쿠데타에 의한 군부 정권들의 태동 속에서 조성되었다는 점에서 외면상 매우 흡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정권들은 모두 資本主義 世界經濟로부터의 구조적제약 아래 資本蓄積 신장을 도모하기 위해 국내적으로 社會를 再組織하친 經濟에 깊숙히 介人하였다는 공통된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資本蓄積過程에서 브라질의 經濟介入 手段은 公企業이 主導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公企業은 1978년 현재 200대 기업 자산의 78%를 점유하고 있는데, 이는 1974년 64%에 비할 때 급속한 성장이다. 또한 브라질의 공기업이 한극보다는 鑛業 및 石油部門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國家의 役割은 海外資本 流入의 劾率性을 위해서라든가 土着資本의 投資力의 한계 때문에 公企業의 擴大를 지속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韓國의 經濟介入 手段은 國家가 거의 公企業化된 金融機關의 조작을 통해 신용통제를 가함으로써 國內 産業資本家를 장악하려고 했다고 볼 수 있다. 실재로 國內 産業資本家의 자금조달의 추이를 보면 金融機關에 대한 의존율이 1970년대 말에는 3/2이상을 차지하였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한국과 브라질 분배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브라질의 경우 정책수단을 통하여 耐久性 消費財工業이 급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勞動者들의 實質眞金을 낮춤으로서 자본의 잉여가치율을 높여주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인구의 상위권 20%의 소득을 현저히 높여줌으로서 이들 耐久性 消費財를 위한 판매시장을 만들어 주는 政策이었다. 한국 또한 勞動者들의 實質資金을 낮춤으로서 성장이 가능했다. 한국과 브라질이 겪은 가장 중요한 經濟的 排除는 所得의 격차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國民所得의 분포비율에서 한국은 상위 10%의 富裕層이 하위 10%의 貧困層에 대해 1976년에는 15배에 가까운 몫을 차지하였고,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더 늘어났다. 브라질은 오래전부터 所得分配와 財産分配가 극단적으로 不均衡한 나라이다. 상위 10%에 달하는 富裕層의 비중은 1972년까지의 GNP의 절반을 넘었고, 하위 40%에 달하는 貧困層은 GN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9.4%에 불과하다. 한편 農業政策은 農地所有構造面蘿에서 브라질은 大農中心이며 한국은 小農中心이다. 따라서 브라질은 不均衡分配政策을 택하였고, 한국은 완만한 不均衡分配政策을 택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과 브라질의 權威主義的 技術官僚體制하의 高度成長은 근로대중의 값싼 賃金과 不平等한 農地所有構造를 바탕으로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한마디로 양국의 官僚的 權威主義體制는 민중을 정치경제적으로 배제함으로써 고도경제성장을 이룩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정권은 크게 정당성을 상실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compare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policy of Korea with that of Brazil centering around capital accumulation and distributio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role of the State. It is further intend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policy and its resultants. Chapter 2 deals with the social structure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and a model of comparative analysis is made out. Chapter 3 analyzes comparatively the means of the state intervention in economy appearing in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Korea and Brazil. Chapter 4 is devoted to the analysis of income distribution in relation to a farm policy. Chapter 5 discusses the role of technocrats in the implementation of industrialization polic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conomic panic of the world resulted in the state intervention in economy in capitalistic society and became a turning-point cal1ing for the necessity of import-substitute industries under the state initiative in the neighboring capitalistic society. In a modern state, it intervens not only in the economic sphere but in almost all social interaction between social groups and individuals and regulates or controls such interaction. The introduction of authoritarian technocracy in the neighboring capitalistic society had enhanced the state intervention in the economic sphere to an extent unparalled in history as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continued. Authoritarian technocracy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our country , by the Chung Hee Park's regime which came into power after the May 16th military coup in 1961. A similar case may be found in Brazil where the internal conditions calling for the introduction of authoritarian technocracy were created amid the emergence of a military regime by the Branco's military coup in 1964. These two regimes have a characteristic in common with each other in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accumulation of capital under the structural restriction of capitalistic world economy, they attempted social reform and intervened deeply in all aspects of economy. In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the means of intervention in economy may be considered representing public enterprises in Brazil. As of 1978 public enterprises own 78%, of the total assets of 200 large private business enterprises. This indicates a rapid growth compared with 64% in 1974. The state-run enterprises of Brazil concentrated their investment on the mining and petroleum sectors.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ile inflow of foreign capital and limited investment capability of indigeneous capital, Brazil expanded its public enterprises. In the case of our country, it may be well said that the State intervened in economy by means of credit control through the manipulation of public financial institutions and tried to put domestic industrial capitalists under its control. Reviewing the fund-raising tendency of domestic industrial capitalists, they depended on financial institutions for more than two-thirds of their fund supply at the end of 1970s. It was possible in Brazil to make a rapid growth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consumer goods by lowering the real wages of workers and promoting the surplus value of capital. In was also the state policy of Brazil to increase greatly the income of 20% of tile total population representing the upper classes, thereby expanding the market of durable consumer goods . Similarly our country was able to attain a significant economic growth by lowering the real wages of workers.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both Korea and Brazil have faced may be earning differentials. In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national income, 10% of the population representing the rich took shares nearly 15 times against 10% of the poor in 1976 and showed a steady increase from the 1980s. Brazil is a typical country which has long been annoyed with a chronical disparity of the distribution of income and property. The proportion shared by the rich representing 10% of the population exceeded a half of the GNP until 1972, while the proportion shared by the poor representing 40% of the population was only 9.4% of the GNP. From the structural viewpoint of the possession of farmland, Brazil is characterized by large-scale farming in terms of farm policy, while Korea places emphasis on small-scale farming. Therefor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former belongs to the category of unbalanced distribution and the latter to that of unbalanced differential distribution. In this case, it could be seen that the high-pitched growth of the two countrie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uthoritarian technocracy has been attained owing to the lower wages of the working masses and unequal structure of the possession of farmland. It may further be defined that the two countries have persistently pursued the growth-oriented policy for the justification of the regime in the long r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