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931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 S시와 D광역시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 151명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수준은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근무환경 및 시설, 원장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순이었으며, 보육교사로서의 직무수행이 가장 낮았다.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하위변인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로서의 직무수행이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고, 학부모와의 관계가 가장 낮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를 예측하는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로서의 직무수행과 원장과의 관계가 이직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는 보육교사로서의 직무수행이 41.1%, 원장과의 관계는 3.1%로 예측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 S시와 D광역시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 151명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가정...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 S시와 D광역시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 151명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수준은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근무환경 및 시설, 원장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순이었으며, 보육교사로서의 직무수행이 가장 낮았다.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하위변인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로서의 직무수행이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고, 학부모와의 관계가 가장 낮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를 예측하는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로서의 직무수행과 원장과의 관계가 이직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는 보육교사로서의 직무수행이 41.1%, 원장과의 관계는 3.1%로 예측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family child care teachers. The participants included 151 family child care teachers from ‘S’ city in Gyeonggi Province and ‘D’ metropolitan city.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child care teachers were most satisfied with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and then in the descending order of working environment and facilities, relationship with principal,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y were least satisfied with their job performance as child care teacher. There appeared to be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It was shown in the study that the job performance was the most preventive factor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while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least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 It was also shown that both the job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were two important indicators to predict turnover rates with 41.1% and 3.1% relative contribution factors, respectfully, to the turnover intention.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family child care teachers. The participants included 151 family child care teachers from ‘S’ city in Gyeonggi Province and ‘D’ metropolitan city. It w...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family child care teachers. The participants included 151 family child care teachers from ‘S’ city in Gyeonggi Province and ‘D’ metropolitan city.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child care teachers were most satisfied with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and then in the descending order of working environment and facilities, relationship with principal,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y were least satisfied with their job performance as child care teacher. There appeared to be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It was shown in the study that the job performance was the most preventive factor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while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least influenced the turnover intention. It was also shown that both the job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were two important indicators to predict turnover rates with 41.1% and 3.1% relative contribution factors, respectfully, to the turnover inten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요약
      • I.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유미, "육아지원정책에 따른 가정보육시설의 운영방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7 (17): 23-37, 2006

      2 서은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155-169, 2002

      3 서지영, "유치원 교사의 이직 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4 송유진,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5 김현미, "유아교육기관의 조직규모 및 학급규모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6 윤건호, "유아교육교사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비교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3-146, 2003

      7 심숙영,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 4 (4): 159-171, 1999

      8 박은혜, "유아 교사 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9 D. S. Wittmer, "영아 발달과 반응적 교육" 학지사 2011

      10 박유미, "시설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 한유미, "육아지원정책에 따른 가정보육시설의 운영방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7 (17): 23-37, 2006

      2 서은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155-169, 2002

      3 서지영, "유치원 교사의 이직 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4 송유진,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5 김현미, "유아교육기관의 조직규모 및 학급규모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6 윤건호, "유아교육교사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비교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3-146, 2003

      7 심숙영,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 4 (4): 159-171, 1999

      8 박은혜, "유아 교사 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9 D. S. Wittmer, "영아 발달과 반응적 교육" 학지사 2011

      10 박유미, "시설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1 김영관,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에 관한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12 윤혜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 12 (12): 303-319, 2003

      13 신동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5

      14 이병록,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1) : 53-72, 2012

      15 정효정,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변인에 관한 연구 : 정부지원시설과 민간시설간의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6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한국아동학회 26 (26): 359-373, 2005

      17 변미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6) : 95-117, 2004

      18 강란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71-88, 2006

      19 문미선,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0 이재경, "보육교사의 이직과 전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21 이순애, "보육교사의 배경변인과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267-284, 2012

      22 김한나, "보육교사의 교사직 지속ㆍ이직 이유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91-116, 2011

      23 이재완,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자존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7) : 127-149, 2004

      24 현미옥,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6

      25 이철현, "무상보육 실시에 가정어린이집 급증"

      26 정훈희, "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 및 교직관의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7 최보영, "교사가 지각하는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8 안지영,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특성에 대한 현황 조사- 서울시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2) : 21-41, 2008

      29 박지영, "가정보육시설 영아보육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적용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0 신선미, "가정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 김포시 어린이집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31 Kontos, S.,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Job Commitment in Family Day Care" 14 : 427-441, 1993

      32 Nelson, M., "Mothering others' children: The experiences of family day care providers" 15 : 586-605, 1990

      33 Jorde-Bloom, P., "Measuring Work Attitud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Manual for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Illinois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1989

      34 Bardige, B, "Infants and Toddlers: Providing Responsive and Supportive Care" 61 (61): 12-13, 2006

      35 Kontos, S., "Family day care: out of the shadows and into the limelight"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Young Children 1992

      36 Todd, C., "Factors Affecting Turnover among Family Child Care Providers: A Longitudinal Study" 11 : 351-376, 1996

      37 Bollin, G, "An Investigation of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Family Day Care Providers" 8 : 207-220, 1993

      38 Derry-Schmitt, D. M., "A conceptual model for studying turnover among family child care providers" 10 : 121-143, 1995

      39 Bowlby, J.,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Basic Books 1988

      40 보건복지부, "2011년 보육통계"

      41 서문희, "2004년 전국 보육․교육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4 2.04 2.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2 1.95 2.428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