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92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기장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결혼이민자 중 자녀를 둔 122명을 분석하였다. 매개변인과 준거변인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가외변인을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과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적용하여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과 양육효능감에 있어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응이 높은 결혼이민자일수록 양육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지만, 결혼만족도(매개변인)는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예측변인)과 양육효능감(준거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을 증가시키고 매개변인인 결혼만족도를 향상시켜 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기장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결혼이민자 중 자녀를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과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기장군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결혼이민자 중 자녀를 둔 122명을 분석하였다. 매개변인과 준거변인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가외변인을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과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적용하여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과 양육효능감에 있어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응이 높은 결혼이민자일수록 양육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지만, 결혼만족도(매개변인)는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예측변인)과 양육효능감(준거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을 증가시키고 매개변인인 결혼만족도를 향상시켜 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in relation to social adaption and parenting efficacy in marriage immigrants. The survey data of 122 marriage-marriage immigrants of Gija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Pusan province was analyzed. Setting mediator and extra variabl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riterion variable as covariates and applying the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as well as and bootstrapping metho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in social adaption and parenting efficacy. The result shows that marriage immigrants with high social adaption involves more parenting efficacy. It has been analyzed that marital satisfaction(Mediator) is fully mediated the impact of social adaption(Predicting variables) on parenting efficacy(Criterion variable). We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parenting efficacy by increasing social adaption of marriage immigrants and increasing marital satisfaction as the Mediat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in relation to social adaption and parenting efficacy in marriage immigrants. The survey data of 122 marriage-marriage immigrants of Gija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in relation to social adaption and parenting efficacy in marriage immigrants. The survey data of 122 marriage-marriage immigrants of Gija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Pusan province was analyzed. Setting mediator and extra variabl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riterion variable as covariates and applying the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as well as and bootstrapping metho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in social adaption and parenting efficacy. The result shows that marriage immigrants with high social adaption involves more parenting efficacy. It has been analyzed that marital satisfaction(Mediator) is fully mediated the impact of social adaption(Predicting variables) on parenting efficacy(Criterion variable). We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parenting efficacy by increasing social adaption of marriage immigrants and increasing marital satisfaction as the Mediat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숙,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39 (39): 89-106, 2001

      2 이진숙, "취학 전,후의 모자녀관계 및 교사 유아 관계가 아동의 사회정서 능력에 미치는 영향" (1) : 107-108, 2004

      3 표갑수, "충북지역 다문화가정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8) : 21-48, 2009

      4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현황조사" 행정안전부 2012

      5 노하나,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문화적응유형과 이주여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권정혜, "제1발표장 /임상심리학 /임상심리학회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연구" 35-51, 1998

      7 염동문, "장애인 근로자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303-325, 2013

      8 김정주,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 어머니 결혼만족도가 아버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4) : 269-287, 2008

      9 조희선, "영국, 프랑스, 독일 무슬림의 이주와 정착 및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 이주 무슬림과의 비교를 위하여" 한국중동학회 31 (31): 105-149, 2010

      10 이금순, "여성이주자의 사회적응과정 연구: 북한이탈주민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91-234, 2006

      1 정현숙,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39 (39): 89-106, 2001

      2 이진숙, "취학 전,후의 모자녀관계 및 교사 유아 관계가 아동의 사회정서 능력에 미치는 영향" (1) : 107-108, 2004

      3 표갑수, "충북지역 다문화가정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8) : 21-48, 2009

      4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현황조사" 행정안전부 2012

      5 노하나,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문화적응유형과 이주여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권정혜, "제1발표장 /임상심리학 /임상심리학회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연구" 35-51, 1998

      7 염동문, "장애인 근로자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303-325, 2013

      8 김정주,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 어머니 결혼만족도가 아버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4) : 269-287, 2008

      9 조희선, "영국, 프랑스, 독일 무슬림의 이주와 정착 및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 이주 무슬림과의 비교를 위하여" 한국중동학회 31 (31): 105-149, 2010

      10 이금순, "여성이주자의 사회적응과정 연구: 북한이탈주민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91-234, 2006

      11 진형주,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유형과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자녀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12 정성진,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상담학회 11 (11): 957-973, 2010

      13 손금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이 모자간의 애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4 최기원,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결혼만족도와 양육행동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16 문태형,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3 (23): 49-63, 2002

      17 구수연, "어린이집 생활을 통해 본여성 결혼이민자 자녀와 가정에 대한 이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95-124, 2007

      18 김정주, "아버지의 역할수행, 결혼만족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0) : 113-137, 2007

      19 양다진, "성인지성의 조절효과를 통해 본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92-112, 2012

      20 한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성역할태도가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21 박성연, "부모의 아동기 경험,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20 (20): 153-169, 1999

      22 윤혜영,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태도가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23 채유진, "배우자의 외모관리 행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1

      24 김용준, "매개된 조절효과를 통한 직무스트레스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9) : 111-130, 2012

      25 최형성, "동남아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부모훈련 프로그램 개발(1): 필리핀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8 (48): 57-70, 2010

      26 남인숙, "도시와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결혼만족도 비교" 여성건강간호학회 17 (17): 99-108, 2011

      27 박은미, "다문화사회와 지역사회적응" 한국정부학회 21 (21): 407-429, 2009

      28 박정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지원서비스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7 : 31-62, 2009

      29 서광석,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30 이혜경,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5) : 147-166, 2009

      3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다문화가족 지역정착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32 남영옥,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73-191, 2012

      33 박상훈, "다문화가정의 문화관광 만족이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1

      34 장준희,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 경기도 하남시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35 김현경,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련 변인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6 한상영, "다문화가정 여성의 자녀 양육경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37 이은영, "다문화가정 부부의 생활적응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2

      38 김도희, "다문화 가정 결혼이민자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경로분석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77-98, 2009

      39 윤명숙,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 됨을 통한 적응 경험"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2) : 103-135, 2011

      40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41 양순미,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1 (11): 223-252, 2006

      42 정기선,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한국인구학회 32 (32): 87-114, 2009

      43 김지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양육경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을 중심으로" 12 (12): 46-60, 2009

      44 김은희,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에 대한 전달체계 인식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대학원 2012

      45 안현애,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연구경향 분석 : 일반기혼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46 홍봉선, "결혼이주여성 지역사회적응 척도 개발" 사회과학연구소 28 (28): 21-49, 2012

      47 보건복지부, "결혼이민자 생활실태 조사 결과 및 보건복지부 대책방안" 2005

      48 김도희, "결혼이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영향 연구 : 문화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49 金銀貞, "高等學校 科學Ⅰ中 地質單元의 目標와 成就度와의 關係 分析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50 Choi, H. S., "The development of an inventory formeasuring theparenting self-efficacy of Korean mothers" 22 (22): 1-15, 2001

      51 Belsky, J,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55 : 83-96, 1984

      52 Hayes, A. F.,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with a multi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 2012

      53 Cavell, T. A, "Social adjustment ,socia lperformance, social skills : Atri-component model of social competence" 19 : 111-122, 1990

      54 Coleman, P. K.,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56 : 754-761, 1998

      55 Bryanton, J., "Predictors of early parenting self-efficacy:Results of a prospective cohort study" 57 (57): 252-259, 2008

      56 Abidin, R. R., "Parenting stress index (PSI) manual (3rd ed.)"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1995

      57 Kim, K., "Parental warmth, control, and involvement in schooling: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among Korea American adolescents" 4 (4): 91-115, 2002

      58 Shrout, E. P.,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59 Belsky, J., "Lessons from child abuse: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In Child Maltreatment:Theory and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60 Crosnoe, R., "Double disadvantage or signs of resilience?:The elementary schoolcontexts of children from Mexican immigrant families" 42 (42): 269-303, 2005

      61 Kenny, D. A., "Data analysis in social psychology, In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4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233-265, 1998

      62 Levy-Shiff, R, "Cognitive appraisals, coping strategies and support resources as correlates of parenting and infant development" 34 (34): 1417-1427, 1998

      63 Bodenmann, G., "Can Divorce be Prevented by Enhancing the Coping Skills of Couples?" 177-194, 1997

      64 Teti, D. M.,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 Mediational role of maternalself-efficacy" 62 : 918-929, 1991

      65 DesJardin, J. L., "Assessing parental perceptions of self-efficacy and involvement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103 : 391-409, 2003

      66 Mash,E. J.,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18 (18): 167-175, 1989

      67 여성가족부, "2013년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