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연구 84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70356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49-1077(2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연구 84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
본 연구는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연구 84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전체 효과크기는 0.624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 중심 수업이 중간 효과크기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수업모형에 따라서는 팀 기반 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문제중심학습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총 15가지의 종속변인 중 큰 효과크기를 보인 것은 임상수행능력이었다. 간호분야 지식, 창의성, 자기주도학습,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 등의 종속변수에서는 중간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종속변수를 세 가지 영역으로 묶었을 때, 전공능력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며, 개인역량과 학습태도의 순으로 효과가 있었다. 이밖에도 학습자 중심 수업의 운영 방법과 관련된 조절변수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 교수자 중심 수업보다 학습자 중심 수업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교육방법을 적용하기를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in the nursing field by using meta-analysis of 84 studies with problem based learning, action learning, flipped learning, and team based learning. As a result, the to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in the nursing field by using meta-analysis of 84 studies with problem based learning, action learning, flipped learning, and team based learning. As a result, the total effect size of learner centered class in nursing was 0.624. This means that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has a medium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model, the effect size was higher in order of team based learning, action learning, flipped learning, and problem based learning. Among the total 15 dependent variables, the greatest effect size was in clinical performance. The medium effect size was in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nursing knowledge, creativity, self 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Whe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grouped into three domains, the effect size of the major competency was the largest, followed by the individual competency and the learning attitude.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ffect sizes of the moderate variables in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This study shows that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er centered i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applying a new method of learner centered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홍, "핵심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부산지역 관광컨벤션산업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1 (11): 95-124, 2005
2 김인숙, "학습자 중심 수업의 성격과 적용방안" 17 (17): 125-151, 2003
3 윤정은,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색-국내 수학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5-68, 2015
4 신종호,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A대학 교수들의 관심도 분석: 관심기반수용모형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0 (10): 109-132, 2014
5 장경원, "학교에서의 액션러닝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429-455, 2015
6 간진숙, "프로젝트기반 학습의 플립러닝 수업 모형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셀프리더십 및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8 (28): 1478-1491, 2016
7 서지혜, "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8 최경옥,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및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효과" 127-127, 2013
9 박소연, "팀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의 적용과 효과성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26 (26): 53-77, 2017
10 윤정현, "팀기반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명확성,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1 (1): 11-20, 2017
1 박수홍, "핵심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부산지역 관광컨벤션산업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1 (11): 95-124, 2005
2 김인숙, "학습자 중심 수업의 성격과 적용방안" 17 (17): 125-151, 2003
3 윤정은,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색-국내 수학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5-68, 2015
4 신종호,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A대학 교수들의 관심도 분석: 관심기반수용모형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0 (10): 109-132, 2014
5 장경원, "학교에서의 액션러닝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429-455, 2015
6 간진숙, "프로젝트기반 학습의 플립러닝 수업 모형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셀프리더십 및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8 (28): 1478-1491, 2016
7 서지혜, "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8 최경옥,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및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효과" 127-127, 2013
9 박소연, "팀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의 적용과 효과성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26 (26): 53-77, 2017
10 윤정현, "팀기반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명확성,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1 (1): 11-20, 2017
11 양승희, "팀기반 가족분만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차의과학대학교 2016
12 박선일, "팀 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학습자의 자아성찰, 의사소통 능력과 팀 학습 분위기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769-777, 2018
13 김수올, "팀 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1151-1161, 2016
14 강경숙, "팀 기반 학습에서 다문화간호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능력 및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925-934, 2017
15 박희숙,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이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99-611, 2017
16 김순옥, "팀 기반 학습 적용이 메타인지 및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61-374, 2017
17 정혜승, "팀 기반 수업 활동을 통한 예비유아교사 교육자의 지도 경험" 한국교원대학교 2018
18 김건희, "팀 기반 블렌디드 러닝이 여자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 적극성, 팀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18 (18): 53-69, 2017
19 백명,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에서의 액션러닝 운영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61-479, 2017
20 정제영,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미래 교육정책 방향과 과제" 25-46, 2016
21 한현희,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액션러닝 교수학습 방법 적용의 효과: 리더십, 문제 해결능력, 일상적 창의성, 비판적사고 성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7 (17): 17-30, 2016
22 이숙희,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혈압측정에 대한 자기효능감, 지식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 19 (19): 66-73, 2012
23 남혜숙, "웹 기반 간호교육 콘텐츠가 간호수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5 (25): 1353-1360, 2014
24 강한나,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모형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25 곽은미, "영상매체 분석을 활용한 팀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태도,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915-931, 2017
26 이숙자, "액션러닝이 간호사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정서창의성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 8 (8): 73-87, 2014
27 김소명, "액션러닝을 활용한 수업운영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42-50, 2016
28 권상민, "액션러닝을 활용한 노인간호학실습 수업 운영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421-427, 2016
29 장금성, "액션러닝을 활용한 근거기반간호 수업운영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119-128, 2015
30 김수미, "액션러닝기반 간호과정 학습프로그램이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5-42, 2016
31 김연순, "액션러닝 기반의 다문화 간호교육이 문화적 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527-6535, 2014
32 고영지, "액션러닝 기반 의사소통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9 (29): 453-465, 2018
33 홍세훈, "액션러닝 기반 영적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영적요구, 영적안녕 및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85-294, 2016
34 김윤민,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설계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1 (41): 123-147, 2014
35 김월주, "액션러닝 기반 간호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표현성과 윤리적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4 (24): 179-186, 2017
36 한미라, "액션러닝 기반 간호대학생 중환자실 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세대학교 2018
37 장금성, "액션러닝 기반 간호관리학 강의 및 실습 운영의 효과" 간호행정학회 18 (18): 442-451, 2012
38 장금성, "액션러닝 교수설계에 의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과의 학습성과" 간호행정학회 20 (20): 587-598, 2014
39 백경선, "아동간호 팀기반 시뮬레이션학습이 비판적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미치는 효과" 6 (6): 9-15, 2016
40 오효숙, "성과기반 간호교육에서 팀기반학습 적용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409-418, 2015
41 유영미, "생리학 수업에 적용한 팀기반학습, 학습자질문중심 학습 및 강의기반 학습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9-97, 2018
4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학교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개발 시리즈 1: 21세기 학습자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2011
43 박지윤,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수업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69-93, 2017
44 김은정, "대학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 적용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21-743, 2017
45 조은정, "네 개의 팀 기반 고위험 신생아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수행력, 만족도 및 임상적 판단력 인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9 (39): 13-31, 2014
46 임소희, "기초간호과학 해부학 교육에서의 팀기반 학습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7098-7108, 2015
47 김순옥, "기본간호학 수업에서 팀기반 학습 적용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07-119, 2016
48 조보람, "국내 플립러닝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59-73, 2018
49 윤소희, "국내 액션러닝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6 (36): 143-162, 2018
50 주현재, "고등교육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의 학습원칙에 기반한 PBL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419-448, 2011
51 김해란, "간호학생을 위한 팀기반 시뮬레이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52 공주, "간호학생을 위한 웹기반 VRE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기본간호학회 19 (19): 122-133, 2012
53 조영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증진을 위한 팀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54 김윤민, "간호대학생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간호전문직 수업설계 및 운영 평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55 한수정, "간호대학생에 팀기반 학습 적용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595-602, 2013
56 전호선,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 적용이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69-279, 2017
57 장금성, "간호관리학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액션러닝의 적용 결과" 2012 (2012): 195-195, 2012
58 김윤민, "간호관리학 임상실습에서 액션러닝의 개발 및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12-322, 2010
59 강인애, "‘학습자 중심 교육’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 현직교사들의 이해와 실천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1-34, 2009
60 Rosenthal, R.,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86 : 638-641, 1979
61 Kong, L.,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development of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51 (51): 458-469, 2014
62 Michaelsen, L, K.,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Stylus Publishing 2004
63 Rezaee, R., "Team-based learning: A new approach toward improving education" 54 (54): 679-683, 2016
64 이미옥,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Learning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in Team Based Learning Simulation Practic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2 (22): 73-79, 2017
6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Lawrence Erlbaum 1988
66 Hedges, L. V.,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Press 1985
67 Cooper, H. M.,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by-step approach" SAGE Publicaions, Inc 1998
68 Bate, E., "Problem-based learning(PBL):Getting the most out of your students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MEE Guide No. 84" 36 : 1-12, 2014
69 Dunlap, J.,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efficacy: How a capstone course prepares students for a profession" 53 (53): 65-85, 2005
70 Whitley, H. P., "Practical team-based learning from planning to implementation" 79 (79): 1-12, 2015
71 Marquardt, M., "Optimizing the power of action learning: Real-time strategies for developing leaders, building teams and transforming organizations" Nicholas Brealey 2011
72 Shin, I. S.,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3 (33): 1937-1947, 2012
73 Borenstein, M.,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iley 2009
74 Sterne, J. A., "Funnel plots for detecting bias in meta-analysis: guidelines on choice of axis" 54 : 1046-1055, 2001
75 Bergmann, J.,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2
76 Rosenthal, R., "Essentials of behavioral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McGraw Hill 1991
77 Dochy, F.,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A meta-analysis" 13 (13): 533-568, 2003
78 Gijbels, D.,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 A meta-analysis from the angle of assessment" 75 (75): 27-61, 2005
79 Hu, R., "Effectiveness of flipped classrooms in Chinese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ails" 79 (79): 94-103, 2018
80 Higgins, J.,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John Wiley & Sons Ltd 2008
81 Wilkerson, "Bringing problem-based learning to higher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Jossey Bass 1996
82 이숙자, "Action Learning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83 Chen, K., "Academic outcomes of flipped classroom learning: a meta-analysis" 52 (52): 910-924, 2018
84 EbrahimiNejad, H., "A systematized literature review: Defining and developing Engineering Competencies" 2017
85 Duval, S. J.,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95 : 89-98, 2000
86 Batdi, V., "A meta-analysis study comparing problem based learning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13 (13): 346-364, 2014
Hersey와 Blanchard의 지도성이론 몽골 학교 적용 연구
초, 중학교전환기아동의성취가치,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변화와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사교육 참여 여부 및 시간이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학년 증가에 따른 공격적 비행의 변화와 영향요인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14 | 2.14 | 2.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8 | 2.09 | 2.591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