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tatu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Firstly, the university 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tatu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Firstly, the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tatus were verified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cognitive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gender. Also, the gender-based differences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verified. There were gender-based differences in emotional-cognitive differentiation, with the male students exhibiting higher sensitivity in the cognitive part, whereas the fe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sensitivity in the emotional part. The male students had higher self-efficacy related to career-decision making. As regards the career decision status, no significant gender-based differences were found.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tatus were examined. Self-differentia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en examined by the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emotional-cognitive differentiation, self-integration, family projection, and emotional cutoff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l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xercised mediating effects on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emotion-cognition differentiation, self-integration, family projection and career decision status. In the case of the mal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xercised mediating effects on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emotion-cognition differentiation, self-integration, family projection and career decision status. In the case of the femal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xercised mediating effects on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self-integration and career decision statu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신, "한국의 청소년 문화와 부모자녀관계" 교육과학사 2004

      2 송은령,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99-417, 2005

      3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4 조규판, "취업불안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한국교육학회 46 (46): 53-75, 2008

      5 박용균, "체육계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7

      6 최현실,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21 : 1-17, 2005

      7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8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2000

      9 성하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관련변인의 메타분석 : 국내 대학생 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0 장휘숙, "전생애발달심리학" 박영사 2013

      1 박영신, "한국의 청소년 문화와 부모자녀관계" 교육과학사 2004

      2 송은령,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 - 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99-417, 2005

      3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4 조규판, "취업불안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한국교육학회 46 (46): 53-75, 2008

      5 박용균, "체육계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7

      6 최현실,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21 : 1-17, 2005

      7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8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2000

      9 성하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관련변인의 메타분석 : 국내 대학생 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0 장휘숙, "전생애발달심리학" 박영사 2013

      11 조명희,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 서원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17 : 81-95, 1999

      12 강은주, "자녀 성차에 따른 양육태도 세대전이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3 하상희,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간 전이" 한국상담학회 9 (9): 789-806, 2008

      14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5 고내숙,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정서경험 군집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차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16 이정희, "세대간 가족관계와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4 (14): 407-429, 2007

      17 한규석,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7

      18 정태연, "사회심리학" 학지사 2017

      19 김민정, "불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0 배혜영, "부자유친성정과 자아분화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5

      21 신동우, "부모의 자녀 진로 기대에 대한 대학생의 지각이 학업‧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분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3-22, 2012

      22 백양희, "부모-자녀 유대관계가 농촌고등학생들의 자아분화, 불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8

      23 최인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분화 및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611-628, 2007

      24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4

      25 한성열, "문화심리학" 학지사 2015

      26 Reeve, J., "동기와 정서의 이해" 박학사 2011

      27 소용준,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취업진로학회 6 (6): 23-44, 2016

      28 이수경, "대학생이 지각한 자기분화와 세대 간 가족관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3 (13): 2919-2941, 2012

      29 태옥경,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분화수준과의 관계 연구" 又石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30 김홍석, "대학생의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상담학회 14 (14): 1165-1187, 2013

      31 김이지,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971-993, 2011

      32 김빛나, "대학생의 진로미결정과 부적응적 완벽주의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3 박순천,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3 (3): 79-96, 2011

      34 윤향숙,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25, 2011

      35 한정아, "대학생의 자아분화,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및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965-981, 2005

      36 배옥현, "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7 (17): 27-34, 2008

      37 전경애,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38 김영상, "대학생의 자기분화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9

      39 강희순, "대학생의 성별, 학년, 진로의식이 진로개발 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83-104, 2010

      40 김경미, "대학 졸업반 학생의 취업장애 인식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1 (1): 91-109, 2011

      41 박금선,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내외통제성이 진로미결정문제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2 전병화, "고등학생의 자기분화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3 손승희, "가족환경변인 및 자아분화와 대학생의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의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0

      44 이민수, "가족응집력과 자아분화가 공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45 諸錫鳳, "自我分化와 逆機能的 行動과의 關係 : Bowen의 家族體制理論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大學院 1989

      46 Vanderkooi, I. K., "Towards and integration of Jungian and Bowen perpectives on psychotherapy" 11 (11): 217-227, 1984

      47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48 Bandura, A.,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4 (4): 359-373, 1986

      49 Crites, J. O.,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8 : 117-135, 1981

      50 Kear, J., "Marital satisfaction and attraction as a funct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of Psycholog 1978

      51 Walsh, D. J., "Individual variation within the vocational decision making process : A review and integration" 14 (14): 52-65, 1987

      52 Bowen, M.,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Jarson Aroson 1982

      53 Bowen, M., "Family therapy" Gardner Press 1965

      54 Bowen, M., "Family therapy" Gardner Press 1976

      55 Kerr, M. E., "Family evaluation" WW Norton & Company 1988

      56 O’Brien, J., "Equatorial kelvin waves do not vanish" 120 : 1764-1766, 1992

      57 Berk, L. E., "Development through the lifespan" Pearson 2010

      58 Kinnier, R., "Career indecision and family enmeshment" 72 : 399-403, 1990

      59 Lewis, C., "Becoming a father" Open University Press 1986

      60 Hansen, J. C., "Approach to family therapy" Macmillan 1982

      61 Betz, N. E.,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understanding career choice behavior" 4 (4): 279-289, 1986

      62 Taylor, K. M.,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22 : 63-81, 1983

      63 Wanberg, C. R.,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e model" 39 (39): 71-80,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17 1.625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