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최은경(CHOI Eun Kyung),박혜윤(PARK Hye Yo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8 생명윤리 Vol.19 No.1

        본 연구는 각국의 대규모 뇌신경과학 프로젝트에서 신경윤리적 관점을 포함하여 설계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미국의 BRAIN Initiative, 유럽 연합의 Human Brain Project,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일본, 중국, 한국의 뇌신경과학 프로젝트의 신경윤리 활동을 비교 검토하고, 신경윤리 교류의 국제적 사례로 OECD의 최근 동향을 소개하였다. 현재 각국의 뇌신경과학 연구 프로젝트는 연구의 윤리적 함의와 기술영향력의 불확실성을 동시에 고려하고 사전에 연구의 예측되는 결과의 윤리적 함의를 소통하고 그 결론을 지속적으로 책임 있게 반영하는 "책임 있는 연구 혁신(Responsible Research & Innovation)" 등의 방법을 고려한다. 각국이 뇌신경과학 연구 설계 때부터 신경윤리를 고려하고 뇌신경과학 진전을 위한 국제 교류에 있어서도 윤리적 숙고를 강화하는 점 모두 현재 뇌신경과학 윤리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신 동향의 검토를 통해 뇌신경과학 연구와 같은 새로운 대규모 신기술 프로젝트 기획에 있어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뇌신경과학 연구에서 어떠한 관점에서 신경윤리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지 논의하였다. 우선 각국의 뇌신경과학 윤리 동향으로부터 1) 뇌신경과학 연구과제 설계 초기부터 윤리 관련 요소를 파악, 설계하고 연구과제에 함께 통합시키고 상호 반응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2) 가능하다면 연구과제 거버넌스 차원에서 신경윤리 관련 내용이 책임 있게 집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점 3) 뇌신경과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신경윤리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뇌신경과학 연구 프로젝트는 다른 아시아 지역보다 선도적으로 윤리를 다루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방법론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뇌신경과학의 시도는 첨단 과학 연구에 대한 전 지구적 대응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참고할 만 하며, 긴밀한 국내외의 공조와 세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This paper scrutinize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neuroethics in the recent big-scale neuroscience projects in each country. We compared the neuroethics activities in US BRAIN Initiative, EU Human Brain Project, and Japan, China, Korea"s brain projects as well. Meanwhile, we introduced neuroethics activity in OECD and initiation of global brain initiative as recent global coordination of neuroethics. In almost every big-scale neuroscience projects, the ethical implication and uncertainty of consequence were scrutinized in both. Ethicists and scientists in each project utilize new methodology such as "responsible research & innovation)" to communicate the ethical implication of foreseeable result in advance, and to reflect the conclusion consistently. Moreover, they deliberate ethical element since the designation of the neuroscience project and intensifying ethical deliberation in the global coordination of neuroscience. These features would b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recent neuroethics activity. Through the review of recent trends, this paper suggests essential points in the planning of big-scale research project of emerging technology such as neurotechnology. Additionally, we discussed how neuroethics activity could be pursued in Korean brain project. At first, we outlined three points, for instance, 1) identification and integration of ethical element in the designation of brain project 2) responsible pursuit of neuroethics activity regarding governance of project 3) building up the groundwork for neuroethics with coordination of diverse disciplines. Furthermore, we pointed out that Korean brain project dealt neuroethics in leading position in Asia, however, a detailed procedure is still lacking. Neuroethics activities in neuroscience can be regarded as the desirable response toward emerging technology, which needs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areful discussion.

      • KCI등재

        신경윤리 관점으로 본 여성시의 촉각

        정진경(Jeong, Jin-kyung) 한국언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학 Vol.106 No.-

        This study examined tactile images shown in the poems written by female poets since the 1980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ethics. As the combination of neurophysiology and ethics, neuroethics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rvous system and the mind. In sensory terms, neurophysiology falls under the category of tactile sense. In view of this, masochistic and sadistic tactile images that have appeared in female poets’ poems since the 1980s are noteworthy. These differ from the tactile images that represented maternal intimacy or the ethics of love that responded to discourses on male dominance before the 1980s. In terms of presupposing the emotions that are formed between “me” and “others”, the tactile sense is highly likely to express the consciousness and psychopathology of women who have lived as “the sexual other”. The first neuroethical aspect of the reviewed poems appears as “physical integration identity disorder” in which women struggle with the desire to continuously remove a portion of their bodies. This disorder is shown as a tactile aspect of inflicting masochistic pain on the mother’s body, which is based on the psychology to compensate for the pain caused by feminine realities using the tactile system. The second neuroethical aspect of these poems is exhibited as “body dysmorphic disorder” that occurs due to discordance between psychological and physical existences. This disorder is portrayed as a tactile aspect of creating the penis or multiple false existences. This implies that the root of pain is men, and at the same, reflects women’s ambivalent desire that envies masculine independence. The third neuroethical aspect of these poems is exhibited as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which psychological traumas cause repeated stress. This disorder appears as a tactile aspect of “the neuroethics of memory” in which traumas are recalled whenever having similar experiences or emotional mechanization, and this aspect indicates how lethargic women can become due to psychological trauma. The fourth neuroethical aspect of these poems is shown as “obsessive-compulsive spectrum disorders” which deceive the nervous system using alternative substances. This disorder appears as a tactile aspect of deceiving the nervous system with drugs, which signifies that the loss of “free will” can impoverish women’s psychological and physical existences. 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e tactile image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ethics connote the psychopathology of women who have lived as the non-subject of our society whose subject has been men. In the reviewed poems, women’s psychological and physical existences that had thus far been formed within the manly order can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eir tactile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different implication from the conventional evaluation of tactile sensation as a political language that attacks men using a lower-level sense or slangs. Moreover, in terms of poetic consciousness, the study’s results are also significant in terms that the exclusive characteristic consciousness of the tactile sense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other senses.

      • KCI등재

        신경윤리학의 법정책적 거버넌스 정립을 위한 「뇌연구촉진법」개정에 관한 소고(小考)

        강태우,정성진,오태원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23 과학기술법연구 Vol.29 No.1

        Currently, Neuroscience is evolving into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nection with machines,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questions about human dignity and identity. However, discussions on legal, ethical, and social problems caused by neuroscience and preparation for alternatives are insufficient. The field of studying ethical problems caused by neuroscience is called neuroethics. Major developed countries abroad are conducting active research on neuroethics along with promoting neuroscience. Since 1998, Korea has enacted and implemented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to promote neuroscience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only focuses on the use of the results of neuroscience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echnology. Now, Korea should also try to preemptively respond to future problems by forming various social consensus based on neuroethics. New legal policy governance is needed to effectively cope with problems caused by neuroscience.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social foundation on which the government,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discuss and participate in neuroethics together.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As the main contents of the revi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National Neuroethics Committee" to set the future direction of brain research and form social consensus, and to designate and operate the "Global Neuroethics Center" to support these institutional efforts in policy and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research. The establishment of such legal and policy governance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our society to actively cope with new social changes caused by neuroscience. 현재 뇌연구는 인공지능, 기계와 연결하는 등 융합기술로 진화하며 인간의 존엄성과 정체성에 대한 의문 등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뇌연구로 인한 법률적, 윤리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논의와 대안 준비가 미비한 현실이다. 뇌연구로 인한 윤리적 문제를 연구하는 분야를 신경윤리학이라고 한다. 해외 주요 선진국은 뇌연구 촉진과 더불어 신경윤리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1998년부터 국가 차원에서 뇌연구 진흥을 위해 「뇌연구촉진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뇌연구의 성과 활용과 기술의 산업화에만 주력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신경윤리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미래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도록 노력해야한다. 뇌연구로 인한 문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법정책적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정부, 전문가, 일반인들이 함께 신경윤리학에 대하여 논의하고 참여하는 사회적 기반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뇌연구촉진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개정의 주요내용으로는 ① 뇌연구의 미래 방향성 설정과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국가신경윤리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며, ② 이런 제도적 노력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고, 실무적으로 국제협력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국제신경윤리센터’를 지정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법정책적 거버넌스 구축은 우리 사회가 뇌연구로 인한 새로운 사회변화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경윤리의 독자성과 주요 쟁점들

        김효은(Hyo-eun Kim),설선혜(Sunhae Sul) 한국인지과학회 2018 인지과학 Vol.29 No.1

        본 논문은 신경윤리의 철학적 의미와 인지 패러다임 안에서의 독자적 위치를 검토하고, 신경윤리의 쟁점들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뇌과학의 발전은 인간 정신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탐구와 개입을 가능하게 하여 전통적인 물질과 정신의 경계를 약화시키고, 인간 본성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질문들을 제기한다. 신경윤리는 기존 법적, 사회적 체계에서 포괄하기 어려운 뇌과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기 위하여 학제적이고 통합적 관점을 취한다. 신경윤리의 쟁점들 중에는 일부 고전적 생명윤리 쟁점과 겹치는 부분도 있지만 뇌과학과의 관련성 안에서만 특수하게 발견할 수 있는 문제들이 더 많다. 신경윤리의 고유쟁점은 대체로 두뇌활동의 관찰과 복호화를 통한 마음읽기와 두뇌활동에 대한 개입을 통한 인지향상과 관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생명윤리 하위 분야를 넘어서는 독자적 분야로서의 신경윤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뇌과학 연구 동향과 발전 단계를 고려할 때,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신경윤리 논의와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협력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neuroethics and its unique position within the cognitive paradigm, and to discuss major issues of neuroethics. Recent advances in neuroscience enable more direct access and intervention to human mind, which reduces the distinction between matter and mind and brings up new philosophical questions on human nature. Neuroethics takes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ive approach, in order to deal with the ethical issues related to new findings and technology of neuroscience that cannot be covered by the traditional legal and social systems. Some of the ethical issues of neuroscience overlap with the classical bioethics problems but majority of major issues are unique to neuroethics. These issues are mainly related to mind reading through the observation and decoding of brain activities and to cognitive enhancement through directly manipulating brain functions.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Korean neuroscientific research, it is necessary to begin in-depth discussion of neuroethical issues with the collaboration among experts in related fields.

      • KCI등재

        신경윤리학: 뇌과학의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문제

        설선혜,이춘길 한국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7 No.1

        Exciting developments of neuroscience in recent years have brought not only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rain function, but also new ideas on humanity such as origins of self, free will, and mind. While innovative neurotechnologies based on these developments have opened the possibility for applications unforeseeable in the past, new concerns of ethical, philosop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se trends have appeared. In the current article, we review the concerns and trends of the neuroethics, which has emerged in recent years to deal with ethical and legal issues related to neuroscience and its applications. We mainly discuss ethical issues that accompany applications of neurotechnologies, and philosophical challenges of how we can understand the new findings in neuroscience. 신경과학과 이에 기반 한 신경공학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이전에는 불가능하였던 이해와 응용들이 가능해졌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쟁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 쟁점들은 생명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등장하였던 문제들과는 다른 차원의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인간성의 기반을 이루는 뇌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고등 인지 기능의 신경 기전에 대해 이해하게 되면서 종래 인간성에 대한 철학적 입장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고, 인간 행위에 대한 종래의 도덕적, 법적 책임의 소재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 정신 과정에 개입하는 신경공학 기술 또한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뇌과학의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새롭게 형성된 학문 분야를 신경윤리학이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 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신경윤리학의 문제들을 크게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쟁점으로 구분하여 소개하고 있다. 윤리적 쟁점에서는 기술 적용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란이 될 만한 신경공학 기술들을 소개하고 예상되는 문제들을 다루었다. 철학적 쟁점에서는 인간 본성에 대한 기존의 철학적 입장에 대하여 신경과학의 연구 결과들이 제기하는 새로운 물음들을 소개하고, 여기서 비롯되는 법적 책임의 문제를 중심으로 법적 쟁점을 다루었다. 사회적 쟁점에서는 신경공학 기술과 신경과학 연구 결과들이 사회 경제적 지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신경윤리학과 관련한 최근 동향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뇌과학의 윤리적, 철학적, 법적, 사회적 문제에 대처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Where moral enhancement goes wrong

        추병완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8 No.1

        Recently, whether or not moral enhancement is permissible has been a hot issue in a new academic field of neuroethics. Several scholars have proposed moral enhancement as a reliable solution to the serious moral evils that humans face. They believe that we should pursue and employ biomedical means to morally enhance human beings. They suggest that there are in principle no philosophical or moral objections to the use of biomedical means of moral enhancement and that the current moral predicament of humankind is so serious that it is imperative that scientific research explore every possibility of developing effective means of moral enhancement, as a complement of traditional mea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ze the errors of such a suggestion in a critical manner. In a viewpoint of ethics, moral enhancement commits three important errors such as compulsion, reductionism, and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In a viewpoint of pedagogy, it is not based on the logic of education but that of simple designing. Furthermore, moral enhancement does deny the right to negotiate children's moral identities. Therefore, it is not persuasive that moral enhancement for all the people should be done in obligatory or compulsory ways.

      • KCI등재

        Where Moral Enhancement Goes Wrong

        ( Chu Beong Wan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8 No.1

        Recently, whether or not moral enhancement is permissible has been a hot issue in a new academic field of neuroethics. Several scholars have proposed moral enhancement as a reliable solution to the serious moral evils that humans face. They believe that we should pursue and employ biomedical means to morally enhance human beings. They suggest that there are in principle no philosophical or moral objections to the use of biomedical means of moral enhancement and that the current moral predicament of humankind is so serious that it is imperative that scientific research explore every possibility of developing effective means of moral enhancement, as a complement of traditional mea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ze the errors of such a suggestion in a critical manner. In a viewpoint of ethics, moral enhancement commits three important errors such as compulsion, reductionism, and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In a viewpoint of pedagogy, it is not based on the logic of education but that of simple designing. Furthermore, moral enhancement does deny the right to negotiate children``s moral identities. Therefore, it is not persuasive that moral enhancement for all the people should be done in obligatory or compulsory ways.

      • KCI등재

        신경법학(Neurolaw)의 형사법적 출발과 향후 전망에 대한 소고

        강태우,정성진,오태원,엄주희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硏究 Vol.33 No.2

        Neurolaw is an emerging field of research that aims to explore the intersection between neuroscience and the legal system. It draws on a range of disciplines, including psychology, neuroscience, and law, to inform legal decision-making and policy development. With the increasing sophistication of neuroscience,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vide scientific evidence and insights into human behavior and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a neuroscientific perspective can shed light on why individuals commit crimes and the biological and soci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actions. As neuroscience continues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workings of the human brain and its impact on behavior, decision-making, and outcomes, neurolaw seeks to take into account not only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social and legal ones. However, as a nascent field, neurolaw faces ethical challenges and must establish a solid legal foundation. This requires addressing a host of ethical issues and establishing standards that are sound, reliable, socially accepted, and rigorously applied based on agreed-upon criteria. A primary concern of neurolaw is the ethical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laying this legal foundation. This entails respecting the rights and dignity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preventing potential abuses, such as perpetuating social inequalities or violating individual freedoms. Despite these limitations, neurolaw is already being applied in society, such as through the use of brain imaging to assess the danger and truthfulness of criminals. It has the potential to prevent crimes and facilitate appropriate actions by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and decision-mak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uroethics and scientific advancements, neurolaw has the potential to yield ethical and social implications and create reliable approaches applicable to legal systems. It could become a milestone in legal innovation based on neuroethics. However, it is crucial to emphasize that social deliberation and meticulous attention to ethical and social responsibility are necessary for any legal system improvements, rather than solely relying on scientific achievements. 신경법학은 뇌과학과 법체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신생 학문 분야이다. 심리학, 뇌과학, 법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바탕으로 법적 결정과 정책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오늘날 뇌과학은 인간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통찰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형법에서 범죄자들이 왜 범죄를 저지르며, 그들의 행동에 어떤 생물학적, 사회학적 요소들이 영향을 미쳤는지 뇌과학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런 뇌과학의 연구 성과에 힘입어 인간의 뇌가 어떻게 작동하고 그것이 인간의 행동, 의사결정 및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생물학적, 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이러한 행동이 일어나는 사회적, 법적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신경법학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신경법학은 아직 새로운 분야이며, 법률적인 토대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우선 윤리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신경과학의 연구 결과를 법학에 적용할 때에는, 건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그리고 사회적으로 합의된 기준에 따라 엄격히 적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우선 신경법학은 법체계의 토대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사회적으로 책임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연구 참여자의 권리와 존엄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회적 불평등을 영구화하거나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과 같은 오남용의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신경법학은 뇌영상을 이용하여 범죄자의 위험성이나 진술의 진실성을 평가하거나 사이코패스의 진단, 심신미약의 판단 등에 활용하는 것과 같이 이미 법정에서 적용되고 있다. 인간에 대한 보다 심도깊은 이해와 통찰력으로 범죄를 예방하고 올바른 조치를 할 수 있는 잠재력도 가지고 있다. 또한 형사법적 차원에서 출발한 신경법학은 인지적 자유권, 신경권과 같은 새로운 인권의 논의를 촉발하고 인권법, 공법학, 다양한 실정법으로 연구 영역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신경윤리학을 기반으로 신경법학은 현재 법체계에 혁신적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 그러나 과학적 성과에만 치우쳐 규제 중심으로 법체계를 개선하려는 것 보다는, 신경윤리학적 엄격성, 윤리적,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세심한 관심과 그 잠재력에 대한 사회적 숙고가 선행되어야 하고, 담론 형성적 기구를 통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촉각 이미지 연구

        정진경 ( Jeong Jin-kyung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한국시에서 감각적 차원의 촉각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시연구에서 촉각은 대체로 신체 외부에서 지각되는 협의의 감각으로만 인식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각은 시쓰기에서나 시연구에서 촉각의 의미를 해석하는 한계로 작용했다. 이러한 논지들로부터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촉각을 광의의 의미에서 살펴 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이 논문은 시에 나타나는 촉각 이미지를 신체의 외부 지각은 물론 신체 내부 지각까지 촉각의 범주로 보는 광의의 의미를 적용해서 그 양상과 의식을 살펴보았다. 첫째, 시에서 촉각은 두 대상의 접촉 시 발생하는 촉각적인 것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감정 윤리로 의식화되어 있다. 감정 윤리의 긍정성은 주로 모성과 같은 사랑의 감정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건강한 자아를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 그 반대인 경우에는 타자에 대한 불신이나 불안으로 인해서 건강하지 못한 자아 주체성을 갖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측면은 촉각이 건강한 자아나 의식을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감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시에서 가학적 촉각이나 허위적 촉각이 심리적인 고통으로 표상되고 있다. 이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고통의 주관성’을 통해 현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거나, 심리적 고통이 왜곡된 촉각적 증세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 것은 건강하지 못한 개인의 자아나 사회적 자아를 촉각으로 표상한 것으로, 촉각이 단순한 감각이 아니라 심리적 상태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표출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셋째, 시에서 성적 접촉은 관능과 윤리의 이중 지향성 욕망으로 의식화되어있다. 관능적 욕망에서 촉발되는 성적 접촉은 두 존재의 심리적 방향성에 따라 내적 존재와 연결되느냐 아니냐에 따른 의미를 갖는다. 시에서 이 둘은 모두 나타나는데, 전자는 시적 존재들이 행복한 감정을 갖거나 생명을 지속시키려는 윤리성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 두 존재의 성적 접촉은 고통의 감정으로 표출되고, 이것은 나를 억압하는 타자나 사회가 갖고 있는 비윤리성을 비판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성적 접촉이 그 어떤 접촉보다 ‘나’와 ‘타자’상호 간의 윤리성을 전제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촉각은 어떤 특성이건 간에 ‘나’와 ‘타자’와의 관계 그리고 감정을전제로 형성되는 경계의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심리 상태로 인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촉각적 증세나 지각은 우리의 감각이 의식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것은 촉각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심층적인 의식과 연결되어 있으며, 개인의 자아나 사회적 자아를 형성하는 도덕성과 윤리성의 토대가 됨을 의미한다. It is hard to find researches that studied the tactile aspect of poetry in the history of Korean poems. As the scope of the research on a tactile sensation has extended to the field of physical phenomenology, neurophysio logy, and neuroethics, a necessity has been raised regarding the study of the tactile image in poetry based on these theories. In this regard, this thesis studies the tactile images seen in poetry by adopting the theory of physical phenomenology, neurophysiology and neuroethics. First, the tactile image in poetry is conscientized as emotional morals that occur among ‘those tactile things.’ This appears as ‘the ethics of love’ that can be defined either as a homogeneous existence or as an oppressive others according to the positivity and negativity of emotions that a subject acquire from a poetry. It means that a sense of touch is a more emotional sense than any other senses. Next, the tactile image of poetry is conscientized as a sense of pain formed between ‘a psychological and a neurological phenomenon.’ This appears as a symptom of sadistic sensation that compensates the aching reality with the sense of pains, physically fictitious existence or self-deception. It means that these kind of distorted tactile symptoms are expressed through the mutual interactions between body and mind. Finally, the tactile image in poetry is conscientialized as a desire of double intentionality headed toward both sensuality and morals. This appears as an issue of psychological direction when sexually touched in poetry. If the direction is identical, one’s sensual desires and generational aspect are satisfied. If not, the sexual contact becomes a violent other. This points out that the tactile sense is related to the existence of human nature. All these demonstrate that the sense of touch is a more emotional sense than any other senses, and a conscience as well as a sense used to expose one’s sense of morality and ethics and essential ontology as a human being. As one’s tactile consciousness belongs to the realm of one’s inner being, one’s social and cultural consciousness has not been much developed comparing with other senses. Nevertheless, the tactile image in poetr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one’s poetic consciousness and the essence of human inner being in depth. It ceases to linger on the dimension of mere senses.

      • KCI등재

        특별기고논문 : 신경윤리학의 위상학

        이을상 ( Eul Sang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1 동양문화연구 Vol.7 No.-

        이 글은 오늘날 신경과학의 발달과 함께 생겨난 ‘신경윤리학’이 생명윤리학과의 관계에서 어떤 위상을 갖는지를 고찰한다. 신경윤리학은 종래의 생명윤리학이나 유전자윤리학의 문제의식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생명윤리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인지신경과학이 의식, 자유의지, 도덕적 판단의 생물학적 기초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신경윤리학의 문제의식은 생명윤리학이나 유전자윤리학의 문제의식과는 다른 새로운 것이다. ‘새롭다’는 이 말을 화두로 삼아 우리는 논의를 전개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신경과학의 발달과 관련하여 새로움에도전하는 신경윤리학의 입장을 살펴본다. 여기서 주제는 뇌 영상 기술의 발전과 관련한 프라이버시의 문제, 정신약물 기술에 의한 뇌 강화 프로그램의 윤리적 문제, 인지신경과학이 종래의 인문학(특히 윤리학과 법학)에 던지는 함의 등이다. 3장에서는 신경윤리학의 개념을 규정하고 범위를 정하는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이다. 여기서는 위에서 말한 신경윤리학과 생명윤리학의 관계 설정 문제가 논쟁의 핵심을 이룬다. 4장에서는 신경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성격을 다룬다. 여기서 우리는 윤리적 자연주의가 어떻게 ‘자연주의적 오류 문제’를 극복해 가는지를 논증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topology of neuroethics in relation with bioethics. Neuroethics is a new area of bioethics that is formed with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recently. Some ethical problems of bioethics are involved again in the fields of neuroethics, but there are something new in the neuroethical question, for example, such as a research of cognitive neuroscience about biological foundation of consciousness, free will. moral judgement etc. We reveal what ``new`` is in the fields of neuroethics from the discussion as follow: First, we see some ethical challenges resulted from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such as the brain imaging technology and the problems of privacy, pharmacology of brain enhancement and ELSI program, ethical-legal implication of the research of cognitive neuroscience about human consciousness. Second, we try to study how to be developed the conceptual meaning of neuroethics and its perspective in the history of bioethics. That is important for us to construct the relation between neuroethics and bioethics. Third, we explain the naturalistic character of neuroethics and how to overcome the ``naturalistic fallacy`` in bio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