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기 청소년 대상 부모참여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성지식, 성태도, 성관련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유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43

        초기사춘기의 발달적 특성 및 악화하고 있는 유해환경 등으로 인해 초기청소년들을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는 성교육은 빈도와 질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초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성 관련 지식과 정보는 학교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달체계를 통해 교육될 필요가 있다. 또한 성지식 및 성인식을 포함한 광범위한 인성교육으로서의 ‘포괄적 성교육’으로 성교육의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자녀의 건강한 성인식 확립의 효과적인 조력자로 부모의 역할을 들 수 있는데, 부모는 자녀와 성에 관해 대화함으로써 초기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 발달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부모참여의 방식에 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들을 위한 포괄적 성교육(UNESCO, 2018)을 부모참여기반 단기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부모참여기반 성교육 프로그램이 참여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그리고 교육에 참여한 부모와 자녀 간의 성관련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K 지역의 4-6학년 남녀학생 및 그 부모를 대상으로 33명의 참여자를 모집하여, 실험집단(부모참여기반 성교육 프로그램), 비교집단(부모참여 없는 동일한 성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통제집단(무처치) 에 무작위 배치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성교육 프로그램은 총 9회기에 걸쳐 멀티미디어 자료와 활동 교수자료를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세 개 집단의 교육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참여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부모와의 성관련 의사소통 수준, 참여부모들의 자녀와의 성관련 의사소통 수준이 사전-사후검사로 측정되었고, 실험집단에 한하여 8주 후에 추후검증이 이루어졌다. 사후검사의 집단간 차이와 사전-사후 점수 변화율 차이를 보기 위해 Mann-Whitney U-Test를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점수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과 크기를 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과 효과크기(Cohen’s d)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모참여 기반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기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부모와의 성관련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부모참여 성교육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후 8주 시점에도 유지 또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가 지각하는 자녀와의 성관련의사소통에서의 향상은 실험집단에서도 추후검증에서만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어, 자녀편에서 성관련의사소통에 대한 향상 효과를 분명히 나타내고 있는 것과 대조되었다. 부모참여가 없는 성교육프로그램만 제공한 비교집단에서는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의 변화는 나타났으나 성관련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자녀나 부모편 모두에서 아주 제한된 효과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나 성교육에서의 부모참여가 부모-자녀간 성관련의사소통 변화에서 차이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가 개발한 부모 참여 성교육 프로그램은 지속가능한 현실적 방식으로 부모참여를 유도하였는데, 이러한 제한된 방식도 기존의 긴 시간의 부모참여를 요구하였던 성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족스러운 성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for early adolescents is significant due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early puberty and the increasingly detrimental environment they face. However, school-based sex education encounters various challenges concerning frequency and quality. It is essential to provide gender-re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early adolescents through diverse delivery systems, extending beyond the confines of school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broaden the scope of sex education to encompass comprehensive sex education, which not only cover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but also includes character education. Parents play a crucial role as effective facilitators in establishing healthy sexual perception for their children. Open dialogue between parents and early adolescents regarding sex is vital in shaping their healthy sexual development. Nevertheless, there is a need to explore realistic approaches to parental particip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a short-term, parent-participation-based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for early adolescents (UNESCO, 2018). It aims to examine whether this program changes i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improvements in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The study recruited 33 pair participants, comprising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 along with their parents from the K region in Gyeonggi-do.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parent-participation-based sex education program), a comparison group (sex education program without parental participation), and a control group (no treatment). The sex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nine sessions utilizing multimedia and activity-based content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participating youths'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level of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he level of sex-related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ting parents and their children from parents’ perspective. An additional follow-up examination was conducted after 8 week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the Mann-Whitney U-test to compare post-test results and differences in pre-post score changes of the three groups, as well as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effect size (Cohen's d), were employ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arent-participation-based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in enhancing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mong early adolescents. The effects were maintained or improved over time. Notably, improvements in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as perceived by parents, were only observed during the follow-up verific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clear and consistent improvements in sex-related communication were evid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ting adolescents. In the comparison group, which received a sex education program without parental participation, changes in adolescents'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were observed, but the effect on sex-related communication for both children and parents was limited,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parental participation in shaping sex-related communication. The parent-participation sex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acilitated parental involvement in a sustainable and brief way, achieving relatively satisfactory outcomes compared to long-term parental involvement in existing sex education programs.

      •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정현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에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보전태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2.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실시하는 동안, 실시하고 난 후 유아들의 환경보전 태도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 영동군 소재 H초등학교병설유치원 4세 20명과 같은 유치원 5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모두 4,5세 혼합반으로 각각 4세 10명, 5세 10명으로 구성되어있다.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은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1주에 2회, 총 8주 동안 16회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지는 유아의 환경보전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논문과 환경부에서 제작한 환경의식 설문지, 각 환경 시범 유치원이 사용한 환경보전태도의 변화 측정을 위한 척도지(교육부 인정)에 사용되었던 자료를 수정·보완하고 전문가의 검증을 받아 예비검사를 거친 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한 자료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환경생활태도, 환경보전의식, 자원절약태도, 자원재활용태도에 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에 대한 F검증을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사전검사와 실험 중 검사, 사후검사의 평균치 차이에 대한 공변량 분석(ANCOVA:Analysis of Covariance)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환경생활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생활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환경보전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보전의식 향상에 효과적이다. 셋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자원절약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원절약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넷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자원재활용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원재활용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에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o know the influence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ffects the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elevation. According to such purpos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1. Doe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kindergarten effect in the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elevation? 2. Before try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during the program, and after the program, what changes are there in the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20 children of 4 ages, 20 children of 5 ages in the same kindergarten in H primary school located in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are all consisted of 10 children of 4 ages, 10 children of 5 ages in a mixing class. To find out the influence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ffects the children's elevat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was tried to the experiment group total 16 times by 2 times a week, during the 8 weeks. While the general childhood education program was tried to the comparison group. To measure the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I used the checklist paper after correcting and making up for the preceding research paper, the questionnaire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at made i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data that used in the criterion paper for measurement of change of the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that each environment modal kindergarten used(the Ministry of Education's recognition), the expert's verification and the preliminary inspection. The data that collected to verify the subject of study tried F verification abou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test and post-test about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environmental living attitude,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nsciousness, the resources economy attitude, the resources recycling attitude. I tried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about difference of the average value of pre-test, during the test and post-test between comparison group and experiment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the experiment group was mor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the aspect of the environmental living attitude.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elevation the children's environmental living attitude.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experiment group was mor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the aspect of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nsciousness.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elevation the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consciousness.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the experiment group was mor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the aspect of the resources economy attitude.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elevation the children's resources economy attitude. Fourth, It was identified that the experiment group was mor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the aspect of the resources recycling attitude.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elevation the children's resources recycling attitude.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kindergarten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positively. Therefor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enforced continuously in education field.

      •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권상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on the effects of how much of a change was made by the applic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improving the safety knowledge of students in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conducts regarding safety. Safety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12 sessions for the improvement of safety knowledge and conduct of behavior was developed based on studies of literature, parents demand, and the content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s safety education for each grade and number of accident case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pre-post tes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Date collection was done from September, 2004 to October, 2004. For the procedure of study,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random sampling. Pre-educa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 both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 test group students were given 2 lessons for 6 weeks based on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Surveys were made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and post facto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ontrol group after 3 weeks with no safety education given to them. Safety education was given at the Health Education Room and each of the 12 session lasted 40 minutes, focusing on contents per areas of safety. In order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 on children''s knowledge in safety and conducts, a survey on safety knowledge and conduc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survey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0; x2-test, t-test, paired t-test, two-way ANOVA covariant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 method were uti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which the contents are apt for education course, is developed. 2.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two were same except for mothers'' level of education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3. The hypothesis supporte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school safety 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score in safety knowledge than control group( p<0.001, F=68.9). The hypothesis supporte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school safety education program will show higher score in safety behavior than control group( p<0.001, F=52.3). All hypotheses were sustain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in both knowledge in safety and safety conducts when their knowledge in safety and safety conducts were comparing in two-way ANOVA analysis by t-test and repeated measure method. Regardless mothers'' level of education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the results showed the program had effect in safety knowledge and conducts and therefore one can assume that education is not provided in the family and thus the suggestion that there is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 on safety at school. In the safety knowledge and conducts by their areas between the two groups, the test group by repeated meas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school safety, living safety, and home safety and in the trend of safety knowledge and conduct change, 4 th, 5 th, and 6th grades showed gradual improvement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ducation was given to them. Compared to the fourth grade students, the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showed improvement in knowledge and behavior compared to the fourth grade students. This seems to be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students have lower level of concentration in lower grades. The above results of study provide the basis that continuous education through systematic safety education program that has structure and contents suitable for education course improves children''s knowledge in safety and conducts of actions and its significances lies in that it provides an outline to schools where safety education has been neglected due to absence of education program although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had been recognized. With this thesis as an opportunity, I suggest a conduct of study that reveals the problems this study was not able to verify through continuous and long term study so that systematic education according to program can be achieved by making safety education program an independent subject like the case in advanced countries. Key words : Safety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the effects,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안전지식과 실천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얼마나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안전교육프로그램은 문헌고찰과 학부모요구도, 교육인적자원부의 학년별 안전교육내용, 안전사고의 사례 건수 등을 근거로 하여 안전지식과 실천행동향상을 위한 12차시로 구성된 안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4년 9월 9일부터 10월 22일 까지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초등학교 고학년 실험군 214명, 대조군 214명을 대상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 실험연구를 하였다. 연구절차는 임의표집 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교육 전 조사를 하고 실험군은 연구자가 개발한 안전교육프로그램을 토대로 주 2시간씩 6주간 실시하였으며, 교육중간과 교육 후에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교육 없이 3주후, 6주후 각각 조사를 실시하였다. 안전교육은 보건교육실에서 40분씩 12회를 영역별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프로그램이 아동의 안전지식과 실천행동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육 전 . 중 . 후의 안전지식과 실천행동에 대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0.1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했으며 x2-test와 t-test, paired t-test, two-way ANOVA, 공변량 분석, 반복측정법에 의한 차이검증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교육과정에 맞는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안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2.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있어서는 모의 학력과 가족수를 제외하고 두군 간에 동질 하였다.학교생활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군 특성이 동질 하였다. 3. 제 1가설 “학교 안전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안전지식이 높을 것이다”와 제 2가설인 “학교 안전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안전 실천행동정도가 높을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육 전 . 중 . 후 세 시점 안전지식분석, 공변량 분석에 의한 안전지식 차이, 영역별 안전지식 변화, 학년별 안전지식 변화의 유의성을 비교하였고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교육시점에 따라 안전지식과 실천행동정도를 t-test와 반복측정법에 의한 two-way ANOVA 분석에서 안전지식과 실천행동에서 교육 전에 비해 교육 중 . 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군과 교육시점의 교호작용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모의 학력과 가족수 에 관계없이 안전지식과 실천행동에서 안전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가정 내에서 안전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으며, 이는 학교에서 안전에 대한 체계적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두 집단간 영역별 안전지식과 실천행동의 차이에서 반복측정에 의한 실험군의 경우 학교안전, 생활안전, 가정안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별 안전지식과 실천행동의 변화 추세에서 4, 5, 6학년 모두 교육 전, 중, 후에 점진적인 상승효과가 있었다. 4학년에 비해 5, 6학년의 경우 교육이 진행 될수록 지식과 행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년이 낮을수록 주의 집중이 낮은 것 때문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교육과정에 맞는 구성과 내용으로 , 체계적인 안전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이 아동의 안전지식과 실천행동을 향상시킨다는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교육프로그램이 없어 수업을 소홀히 하였던 학교현장에 하나의 틀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 논문을 계기로 학교현장에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선진국과 같이 하나의 독립된 교과로 탄생하여 프로그램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 장기적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검증하지 못한 과제들을 밝히는 연구를 제언한다.핵심되는 말 : 초등학교 안전교육프로그램 안전지식안전실천행동

      • 분쟁 이후 국가에서의 평화구축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역할 : 동티모르 유니세프의 '위기 이후 과도기의 교육 (EEPCT)' 프로그램 사례 연구

        박연경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943

        평화구축을 위한 교육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교육과 평화구축의 관계에 대한 논의 또한 계속되고 있다. 이 논문은 분쟁 이후 국가가 평화를 구축하는 데에 있어 교육이 기여하고 있으며, 교육은 사람들의 마음과 행동, 그리고 그들의 미래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동티모르에서 유니세프에 의해 실행된 ‘위기 이후 과도기의 교육 (EEPCT) 프로그램’의 주된 성과를 분석하고, 유니세프의 담당직원 인터뷰와 동티모르 교사 설문을 통해 해당 프로그램의 성과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동티모르 유니세프의 ‘위기 이후 과도기의 교육 프로그램’은 평화구축에 기여하는 방법으로 계획되고 수행되었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과 교사들의 사고방식과 태도에 변화를 가져왔음을 확인하였다. 아이들이 교육을 받고 평화적인 방법 안에서 가치관을 형성하며, 평화의 문화를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평화구축을 위한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평화구축을 위한 더 나은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약간의 개선이 요구된다. 첫째, 분쟁 평가가 기초평가 과정 내에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수혜국의 특수한 분쟁 상황이 계획단계부터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기관의 담당자와 교사들 모두가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해 더욱 정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셋째, 동티모르의 평화구축과 개발을 위해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는 캠페인 기획을 제안한다. 또한, 예체능 교육의 역할이 간과되고 있으며, 이에 평화교육의 일환으로 다양한 미술, 음악, 체육 활동이 필요하다. The attention to the role of education for peacebuilding has increased, and there is a deb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is thesis examines the argument that education contributes to peacebuilding in post-conflict countries and it has a vital role to change people’s mindset, attitude, and their future. The ‘Education in Emergencies Post-Crisis Transition (EEPCT) program’ in Timor-Leste is examined as a case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that the EEPCT program in Timor-Leste seemed to be planned and implemented in a way that can contribute to peacebuilding through various initiatives. Also, the EEPCT program has made a contribution to peaceful mindset and attitude among teachers and students. It could be significant that children could pursue education and develop values in a peaceful way and learn ‘culture of peace’, and this could be a backbone of peacebuilding in a longer term perspective. However, some challenges were revealed that suggest the need for some program adjustments that could strengthen the link between education and peacebuilding. First, conflict assessment could be included in a baseline study to deliver programs more effectively, and also special aspects of recipient country should be considered beginning with the planning process. Second, more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program implementation could be attained by staff and teachers, and also closer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and staff could be recommended. Third, national advocacy campaigns about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could be recommended to achieve peacebuilding and development in Timor-Leste. Lastly, the EEPCT program seems to overlook the role of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So, various art, music, and sports activities could be included as a part of peace education.

      •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건강행위 인지도와 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숙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42

        To improv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among higher-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pplied a multimedia-base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and then compared it with the existing lecture-based health care education for effectiveness.A multimedia-base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means a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eight hours for fourth- and fifth-graders, four hours for each grade. To test a multimedia-base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for effectiveness, unequivalent controlled pre- and post-experimental researches were conducted with fourth- and fifth-graders-60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61 for the control group-who met the selection standards from September 20 to October 23, 2005.I developed a measuring tool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nally revised and complemented it with advice of three professors in nursing science. The questionnaire concerning health behaviors consisted of a total of 20 questions―five about personal hygiene, five about nutrition and exercise, five about safety, and five about mental health-and each of the questions was measured for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by the four-point Likert scale. This tool had reliability of cronbach α .873, showing high internal reliability.As for the procedure, pretest was conducted with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random sampling; th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a multimedia-base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for four weeks, one hour a week, while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lecture-based education and, finally, post-test was implemented with both groups. As a health care teacher, I provided health care education based on contents by fields for four sessions, forty minutes a session, in each classroom.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SPSS/WIN 12.0;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by percentage, x2-test, F-test, and t-test; and hypotheses were tested by using t-test and paired t-test.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1.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homogeneous in all general properties but the housing type (t=.14.094 p=.003) and health conditions (t=.1.823 p=.042).2.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a multimedia-base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would have better recognition of health behaviors than the control group provided with lecture-based education' was partially supported.3.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a multimedia-base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would make better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than the control group provided with lecture-based education' was partially supported.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t=2.500 p=.016) and performance (t=2.418 p=019) of health behaviors for the field of mental health after the educ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5. In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a multimedia-base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control group provided with lecture-based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health and exerci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personal hygiene, safety, and mental health.Th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d evidence that continuous education through a multimedia-base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may improve children''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It is necessary to perform systematic health education and to analyze continuous and long-term effectivenes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초등학생의 건강행위 인지도 및 건강행위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멀티미디어보건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기존 강의식 보건교육 효과와 비교함으로서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멀티미디어보건교육프로그램은 4, 5학년을 위한 4차시씩 8차시로 구성된 보건교육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멀티미디어보건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5년 9월 20일부터 10월 23일까지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초등학교 4, 5 학년 실험군 60명, 대조군 61명을 대상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유사 실험연구를 하였다.연구 도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간호학 교수 3인의 자문을 얻어 최종 수정 보완하였다. 건강행위에 대한 질문지는 개인위생 5문항, 영양과 운동 5문항, 안전 5문항, 정신건강 5문항 총 20문항으로 각 건강행위 문항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정도를 4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의 신뢰성은 cronbach α .873 으로 내적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절차는 임의표집 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전 조사를 하고 실험군은 멀티미디어보건교육프로그램을 토대로 주 1시간씩 4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동일한 내용을 강의식으로 교육을 한 후 각각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보건교육은 각 교실에서 40분씩 4회씩 영역별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자인 보건교사에 의해 이루어졌다.자료 분석은 SPSS/Win 12.0을 이용하였으며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은 백분율과, x2-test, F-test, t-test로 분석하였고, 가설검증은 t-tes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있어서는 주거형태(t=.14.094 p=.003)와 건강상태(t=.1.823 p=.042)를 제외하고 두 군 간에 동질 하였다.2. 제 1가설 “멀티미디어 보건교육프로그램으로 교육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건강행위 인지도가 더 높을 것이다”의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3. 제 2가설 “ 멀티미디어 보건교육 프로그램으로 보건교육을 받은 실험 군은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건강행위 수행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의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4. 실험군과 대조군은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정신건강 영역에서 건강행위 인지도(t=2.500 p=.016), 수행정도(t=2.418 p=019)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5. 각 집단 의 교육 전후 건강행위 인지도와 수행정도 차이에서 멀티미디어보건교육프로그램에 의한 실험군의 경우 교육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반면 강의식 교육이 제공된 대조군에 있어서는 영양과 운동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보였으나 개인위생, 안전, 정신건강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이상의 연구결과는 멀티미디어보건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지속적인 교육이 아동의 건강행위 인지도와 수행정도를 향상시킨다는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추후 체계적인 건강교육을 수행하고 지속적, 장기적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 결혼준비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혜석 梨花女子大學校 1990 국내박사

        RANK : 294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부부들로 하여금 원만한 부부적응과정을 순조롭게 시작할 수 있도록 돕기위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문헌 연구와 요구조사 연구방법이 수행되었다. II장의 이론적 탐색에서는, IV장에서 개발될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모형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의 작업 모형인 성인교육 프로그램 구성모형이 제안 되었고 또한 결혼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성격, 목표, 내용, 실시방법, 평가에 관한 문헌 분석이 시도되었다. III장에서는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근거를 얻기 위하여 요구분석이 실시되었다. II장의 문헌연구를 통해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실시방법에 대한 조사항목을 정한 후 그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의 요구를 호별방문 면접조사 및 우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요구조사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결혼준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일반인은 대체로 강하게 느끼고 있었으며(80%), 전문가는 매우 강하게 느끼고 있었다(97.8%). 이렇듯 강하게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도 드문 것으로 미루어 보아 다양한 학습대상자, 실시기관, 실시상황에 다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결혼준비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으로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요구수준이 큰 ‘성격의 조화여부 검토’, 의사소통기술 향상’, 동반자의식 및 친밀감 증진’, ‘자녀출산 및 양육의 지식과 기술형성’, ‘실제적인 기대 형성’등의 14가지 내용을 선별하였다. 실시방법 역시 실시시작시기, 모임횟수, 후속모임, 실시자, 실시기관, 교수학습방법등의 10가지 항목에 대한 전체 조사대상자의 요구가 큰 방법을 선전하였다. IV장에서는 II장의 문헌연구 결과를 이론적 근거로 삼고, III장의 요구분석 결과를 실질적 근거로 삼아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목표, 내용범위, 실시방안, 상호계획방안, 평가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첫째 부부적응과정을 순조롭게 시작하도록 돕는 것과, 둘째 성공적인 결혼생활이란 부부가 함께 협조하고 집중적으로 노력함으로써 얻어진 것임을 알게 하는 것, 셋째 후속모임인 정기적인 신혼부부 소그룹 모임에 참석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정한다. 그리고 세부적인 목표로는 결혼에 대한 준비도 평가, 결혼생활에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 및 정보의 제공, 의사소통 기술과 갈등해결 기술의 향상을 통한 상호관계증진, 결혼생활의 중요영역에서의 일치정도 증가, 스트레스 가능영역의 예상 및 대비라고 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크게 셋으로 나누어 결혼에 대한 준비도와 결혼생활의 중요 영역에서의 일치 및 스트레스 가능정도를 측정키 위한 혼전 조사도구, 결혼생활에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 및 정보를 제공하기위한 내용, 의사소통 기술과 갈등해결 기술등의 대인관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이중 특히 결혼생활에 필요한 실제적인 지식내용으로는 본 요구조사 결과 요구수준의 순위가 높았던 14가지의 교육내용을 선정하되, 그중 요구수준이 높은 5가지 교육 내용은 공통교육내용으로 정하고 나머지 9가지 내용은 선택교육내용으로 정했다. 실시방안중 프로그램의 운영의 경우, 프로그램 실시는 결혼하기2~3개월전 또는 4~6개월 전에 시작하되 모임횟수는 6회를 기준으로 최다 15회까지 운영하며, 소정의 프로그램을 마친후 결혼한지 3~6개월 후부터 매달 1회씩 소그룹별 신혼부부 후속모임을 가질 것을 제안했다. 프로그램 실시자로는 전문가 1인이 책임을 지고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되 자원하는 기혼부부들을 훈련하여 함께 팀으로써 지도하는 방안을 채택한다. 훈련된 기혼부부들은 경험담 발표나 소그룹별 토의의 인도, 소그룹별 후속모임의 지도자로 활용되되 프로그램 실시책임자인 전문가의 지도감독을 받는다. 동시에 학습내용의 성격에 따라 타분야의 전문가들을 지원인사로서 충분히 활용한다. 사회봉사단체 대학부설 사회교육기관, 종교단체등이 바람직한 실시기관이며, 실시장소 역시 이 실시기관들의 장소와 시설을 활용하되 작은 방이 여러 개 갖추어진 교통이 편리하고 안락한 장소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학습대상자를 커플단위로 모집하여 교육을 실시하며, 대상자 모집방식은 매스컴 및 실시기관 단위의 공개광고를 활용하되 선행경험자들의 개별적인 권유방식을 적극 권장한다. 실시방안중 교수학습방법의 경우, 학습형태는 소집단 커플단위의 실시형태를 주로 취하고 필요시 개별커플단위의 실시형태를 보완한다. 교수기술로는 성인학습자들의 경험을 활용하는 교수기술들 예컨대 그룹토의, 커플토의, 사례연구, 경험담 발표, 필름상영, 시범보이기, 기술훈련등을 주로 사용하고 강의, 읽기숙제 등의 기술들은 제한된 부분에서만 사용한다. 학습장치로는 성인학습자들의 생활문제나 실제생활경험을 생생하게 재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학습장치를 활용한다. 상호계획방안의 경우 먼저 성인학습을 위한 분위기 즉 따뜻하고 비형식적이고 학습자를 한사람의 개인으로서 존중하는 분위기를 수립한다. 그리고 학습자의 자기요구진단을 위해서 결혼준비 진단척도(연구자 작성)를 실시하여 각 내용의 요구수준에 따라 선택교육내용을 정한다. 5가지 공통 교육내용과 선택교육 내용을 참고하여 개별커플단위로 학습목표를 확인한다. 학습목표에 따른 학습활동을 확인하여 개별커플단위로 수강계획을 작성한다. 평가방안으로는 실시자들의 비형식적인 평가결과를 활용하되, 교육적 평가는 ‘결혼준비 진단척도’를 재실시함으로써 학습시작시의 유능성 수준과 비교해보게하고 시행적 평가용 설문지를 실시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앞으로 구체적인 수업안이 개발되어 현장 적용가능성 및 타당성이 검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premartial education program to help premartial couples to begin smoothly the initial adaption process for a successful marriage.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are follows: First, to analyze korean premartial couples’ educational needs concerned with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premartial education program. Second, to search for the aims, the content, and ways of implementation, mutual planning and evaluation of korean premartial education program.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review and analysis of literature and an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of korean 200 adult males and females in seoul and 94 specialist. Two kinds of questionaires are prepared by this researcher and are administered by interviewing and mailing method.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is a premartial education program model. A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such areas as the purpose, the content and ways of implementation, mutual planning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 purpose of the program model are as follows: (1) Assessing the readiness for marriage. (2) Providing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marriage. (3) Enhanc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dy increasing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lict resolution skills. (4) Hightening the degree of correspondency in the critical areas of marriage and preparing for the prospective problematic areas. The scope of content was determined in accorandance with the program purpose mentioned above. Specific contents of the program are premartial inventories, 14 topic contents(which show high degree of necessities at needs assessment) required for marriage, and skills training experience such as skills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ction. Implementation of program is required for each unit of couple to attend sessions of program once a week at night for 6 to 15 weeks. It takes 2 hours for a session. For mutual planning of program, each coupel is assigned to choose topics of contents, to select learning activities and to implement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premartial inventory(made by researcher) administration. Evaluation procedure was designed by premartial inventory readministration for educational assessment and program’s questionaires administration for implementational assessment. For the premartial education program to be executed more widely and systematically, research on premartial education ? that is basic study, research and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the premartial education program to be carried out by a research institute wholly responsible for it ? should be done first.

      •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은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2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조사를 통해 자연사박물관의 교육적 기능 수행에 있어 부족한 점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자연사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3곳의 자연사박물관을 선정하여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4, 5, 6학년 총 150명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사박물관 내 교육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전담부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전문학예사나 전문 강사가 없으며, 교육을 위한 전용공간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자연사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보완과 함께 시설 및 전문 인력 확보가 시급하다. 둘째, 교육프로그램의 주제 및 내용이 교육 대상의 수준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며, 각 프로그램에서 자연사와 관련된 전시물의 활용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구성 시 학년 수준을 고려해야하며, 특히 박물관 전시물의 가치와 의미를 전달해 줄 수 있는 주제와 내용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한다. 셋째, 자연사박물관에서 운영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경우 전시물을 이용하거나 현장답사 및 야외 현장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이동박물관 형태의 프로그램은 거의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주제와 내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방법을 활용해야 하며, 특히 박물관 담당자들이 학교를 직접 찾아가는 이동박물관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일선학교와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 프로그램의 주제, 운영 시간, 운영 장소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전시물과 관련된 조작 활동과 활동을 위한 학습지 및 자료 제공에 있어서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사박물관 전시물을 이용한 교육활동 강화와 함께 직접 조작하면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교육용 자료의 개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해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3곳의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 조사를 통해 얻어진 것이므로 국내 자연사박물관의 전반적인 실태로 언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사박물관의 교육적 기능 강화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앞으로 자연사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보완을 위해서는 나머지 자연사박물관들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하며, 아울러 구미 또는 유럽의 자연사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육적 기능 제고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 The study aims to come up with suggestions on the future operation of education programs at natural history museums, by looking into the current operation practice of education programs at natural history museums and thereby indicating the shortcomings in their educational capacity. For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3 natural history museums in the country, and examined everything related to their operation of education programs. It also sampled 150 elementary school kids in their 4th through 6th grades who had experienced the education programs, and surveyed them on the programs. The study h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natural history museums go without not only a department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programs, but also a professional curator or a special instructor in charge of the programs. They are also deficient in the space designated for the education. Therefore, it is urgent that they supplement institutionally and procure facility as well as professional manpower to activate the educational capacity of natural history museums. Second, the subject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s are not tuned to the standards of the educatees, and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exhibits in relation to natural history in each program remains very low. To resolve such problems, educatees' grades must be taken into account, and in particula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prepared with such subjects and contents that can deliver the values and the meanings of the museum exhibits. Third, as for the education programs at natural history museums, the programs using the exhibits, the programs being operated in the field or outdoor programs are in short supply, and the programs of mobile museum type are scarcely being operated. Therefore, various modes of study are to be utilized based on the subjects and the contents of programs. Especially, strengthening the association with schools on the front is necessary by activating mobile museum programs in which the professionals of a museum visit the schools and make themselves available. Fourth,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natural history museum education programs responded that they were somewhat satisfied with the subjects, the operation hours, and the venue, while estimating the managing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exhibits and the provision of study materials and data for such activities as quite insuffici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concern is necessary in developing education materials with which students themselves can manipulate and experience in person, while enhancing the lecture occasions using the exhibits of a natural history museum. Since above results were drawn from the investigation into the practice of education programs at only 3 natural history museums, the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m as the overall practice of natural history museums in the country. However, perceiving the real situation where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over the reinforcement of educative functions of natural history museums, the study has some significance of its own in that it suggests a desirable future direction for education programs at natural history museum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on the rest of natural history museums to supplement the study, while efforts continue to enlarge their educational capacity by studying the education programs of natural history museums in America or in Europe.

      • 초등학교에서 진로상담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구안에 관한 연구

        김선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2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인적 자원 개발을 위한 진로상담교육의 단계는 초등학교에서 진로 인식, 중학교에서 진로 탐색, 고등학교에서 진로 정치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특히 자신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뤄지는 초등학교 진로상담교육은 학생들의 체계적인 진로 인식 함양교육을 위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의 진로상담교육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교사가 아동에게 효율적인 진로상담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진로상담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상담교육과 관련된 제이론 및 문헌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일반적인 모형을 고찰하였으며, 각 시·도교육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상담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질문지법에 의해 여수지역 초등학교 중 무선 표집으로 6개 학교를 선정하였고, 180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60부 중 150부에 대해 SPSS for Windows Release 10.0.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 교직경력, 담당학년을 독립변인으로 분석하였다. 표본 집단의 특성을 성별로 보면‘남교사’가 48명,‘여교사’가 102명이었으며, 교직경력별로 보면 ‘10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64명, ‘11년~20년’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32명, ‘2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54명이었고, 담당학년별로 보면 ‘저학년’ 담임교사가 40명, ‘중학년’담임교사가 40명, ‘고학년’ 담임교사가 60명, ‘비담임’교사가 10명이었다. 진로상담교육과 관련하여 실시되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 연수 이수시간은 60시간, 연수 형식은 직무연수와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연수를 선호하였다. 또한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그 영역을 교양·교직과 전공으로 나눴을 때 교양·교직 영역의 하위 내용은 ‘지역교육청 교육의 방향 및 교원의 책무성’과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내용으로 조직하고, 전공 영역의 하위 내용은‘7차 교육과정 내의 진로상담교육 관련 내용’, 진로상담교육의 5개 영역인‘자아이해 영역, 의사결정 영역,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영역, 일과 직업의 경제적 측면 영역, 일과 직업의 교육적 측면 영역’, ‘진로상담교육과 관련된 심리 검사 및 해석 방법’, ‘새로운 상담 기법’,‘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상담’의 내용으로 조직하였다. 교사들은 이러한 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연수 대상자들에 대한 평가는‘프로그램 계획 능력 평가’와‘검사지 사용능력 평가’를 선호한다는 답변이 다수였으므로 연수 평가는 이에 대한 객관적 준거를 마련하여‘진로상담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능력’과‘검사지 해석’에 대한 지필 평가로 구안하였다. The stages of career counseling education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s which make or break the global competitiveness are career awareness in elementary school, career exploration in middle school, career follow-up in high school. Expecially the career counsel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at is based on self-understanding is required to pla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educating career awareness systematically to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teachers to foster the professional knowledge that is related to the career counsel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th teach the students an efficient career counseling education.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eferred to the theories and documents about career counseling education and analyzed the actual operating conditi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re carried out at each city and province offices of education. Also the researcher randomly sampled 6 elementary schools in Yeo-su and handed out the questionnaire to 180 teachers, collected 160 and analyzed the sex, career of teaching, in charge of class to a separate variable by using the program of SPSS for Windows Release 10.0.7. The sample group was 48 males, 102 females and 64 teachers below ten years, 32 teachers 11 to 20 years, 54 teachers over 21 years of teaching and 40 of the lower classes, 40 of the middle class, 60 of the higher class, 10 teachers of non-charge of clas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mand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that the teacher preferred 60 hours of education and duty study or an internet study. Also as the researcher divided the field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into the course of culture, teaching and major, the subordinate contents of culture and teaching course were constructed with 'the educational destination of local education office and the responsibility of teachers', 'the understanding on Special Education' and the subordinate contents of major course were 'career counseling education in 7th curriculum', the scopes for career counseling education, namely, 'self-concept, decision-making, understanding the world of work and job, economical or educational sides of them, a mental examination and explanation methods on career counseling education, new counseling method, cyber counseling with an internet. The teachers took an education program and preferred do be tested by 'the ability of planning program', 'the ability of paper', so the researcher planned the evaluation to a paper test about 'an ability of constructing program', 'an explanation of paper' that were based on the objective basis.

      • Effectiveness of work education program in mountain view college : A basis for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program

        임종갑 Central Mindanao University 2002 해외박사

        RANK : 2942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work education program of Mountain View College. From the result, a model applicable in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Program would be drawn. Specifically, the objectives were to determine the extent of effectiveness of the Work Education Program of Mountain View Colleg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related facto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WEP;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related facto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WEP;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program facto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WEP; to find out the variables, singly or in combination, that best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the WEP;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the working students and the supervisor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WEP;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Work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163 student-respondents and 22 supervisor-respondents of the study who were interviewed and subjected to answer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requency counts, average weighted mean, percentage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the statistical treatments used.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effectiveness of the Work Education Program at MVC was "high" in terms of the knowledge change, attitude change, skill change and aspiration change among working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course taken, perception of work, work ethics and habits and expectations from WEP are the student related factors that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ffectiveness of WEP. Supervisor related factors (i.e., areas of expertise, number of in-service training, sex, age, etc.)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ffectiveness of WEP. All the program factors such as philosophy of WEP, goals of the WEP, administration of the WEP, spiritual dimension, assigning students to work department, setting standard of work, teaching methods of work skills, supervisory practices, facilities and evalu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WEP. Facilities, physical development, teaching methods of work skills, spiritual dimension, setting standard of work, assigning students to work department, administration of WEP are the program-related factors and perception of work, sex, age were the student-related factors that best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the WEP. The explained variance of the above factors against effectiveness of the WEP ranges from 36.96% to 51.56%.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respondents was high compared with the perception of the supervisor-respondents on the effectiveness of WEP at MVC. Problems associated with WEP on the side of the administration are the following: Labor cost is high; the institution has to meet government standard in order to avoid labor problems; quality service is not obtain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se are not skilled workers; and it is governed by policy. Fulltime working scholars are only allowed to stay in the program for one semester only. This protects the college from labor law problems. On the other hand the work department has to train again and again every semester. This affects efficiency, if the student does not work efficiently, the college suffers the account receivables of the students, who do not intend to come back. On the side of the student, the problem is that he/she is governed by the working scholar policy such as not being allowed to withdraw his/her own labor credit if he/she does not intend to come back and enroll. Some supervisor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s such students by giving them tasks more than enough the time it is expected to finish and lack of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working students and administrators. A conceptual model of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is therefo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 유아교육 전공자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지은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42

        유아교육 분야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 전공자의 학습요구 및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행하며, 타당성 및 적절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단계를 거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근거로 구체적인 구성 체계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전공자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1. 유아교육 전공자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체계는 어떠한가? 1)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연구 대상의 요구는 무엇인가? 2)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3)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떻게 할 것인가? 4)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떻게 조직되는가? 5)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후 어떤 변화가 있는가? 5-1) 창업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창업자기효능감은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5-2) 창업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창의적 사고력은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5-3) 창업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창업가 정신은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5-4) 창업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창업의지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5-5)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을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ADDIE 모형과 델파이를 기반으로 한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치고, 실행단계에서의 지속적인 평가 및 피드백이 이루어졌으며, 단계마다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유아교육 전공자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분석단계에서는 선행연구, 요구조사, 학습자 및 환경분석이 이루어지고, 설계단계에서는 목표 및 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내용이 설계되었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그램 계획안 개발, 프로그램 실행단계에서는 창업탐색 및 창업실전 프로 그램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단계에서는 창업자기효능감, 창의적 사고력, 창업가 정신, 창업 의지,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단계에서의 창업자기효능감, 창의적 사고력, 창업가 정신, 창업의지는 수강 전보다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은 변형된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설계 측면, 유아교육과 창업교육 개발 측면, 발전하는 유아교육 전공 학생의 창업교육 프로그램 측면으로 논의점이 제시되었고, 교수자 및 학습자의 측면으로 논의하였다. 학술적 발전을 위한 제언으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과정의 재설계와 교과, 비교과, 동아리에서 다양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방법의 다각적 접근을 시도하여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해 제언하였다. In order to develop a start-up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age of designing a program by analyzing the learning needs and contents of learning of 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ecuting it based on it, and evaluating its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Based on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 start-up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based on a specific structu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 program based on the ADDIE model and Delphi was developed to develop a start-up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each stage, it was developed as a research method to verify its appropriateness through expert consultation. In the analysis stage of start-up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prior research, needs investigation, learner and environment analysis were conducted, and in the design stage, goals and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contents were designed, and program development and program plan development were in the development stage. In the program execution stage, the start-up search and start-up practice programs were applied. Finally, in the evaluation stage, the entrepreneurial efficacy, creative thinking ability, entrepreneurship spirit,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program satisfaction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the results increased,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also a satisfactory evaluation. As for the program, discussion points were presented in terms of program design based on the modified ADDIE mode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of develop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nd discussed in the light of instructors and learners. As a suggestion for academic development, research is needed to redesign the curriculum for start-up education programs and to access various start-up education programs in subjects, comparisons, and clubs, and a multilat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