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이종원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뇌사 판정과 장기이식과 연관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뇌사판정과 연관된 윤리적 논점들을 검토하고, 장기이식을 위해서는 뇌사판정이 어떠한 조건들을 충족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심장과 폐의 기능을 근거로 호흡이 중단되고 맥박이 멈추게 되면 사망으로 판단하였다. 하지만 최근 첨단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뇌사가 심폐사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뇌사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그어야 하는 현실적인 이유에서 제기되었다. 환자가 뇌사상태에 빠져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무의미한 생명 연명 치료를 지속하고 있는 경우에, 어느 시점에서는 치료를 중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뇌사에서 심장정지까지 이르는 기간 동안 소용되는 막대한 치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환자 보호자의 경제적 정신적 고통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뇌사는 뇌 기능의 상실 정도에 따라 전뇌사, 뇌간사, 대뇌사로 나뉜다. 전뇌사는 뇌 전체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말하며, 뇌간사는 호흡, 순환, 대사기능과 체온조절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뇌간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말하고, 대뇌사는 대뇌의 기능이 상실되었을 경우 사망으로 인정하자는 주장이다. 뇌사는 장기의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수많은 사람들이 장기 이식을 기다리다가 죽어가는 현실을 직시한다면 심폐사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뇌사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뇌기능의 정지로 인하여 죽음이 머지않아 어차피 초래되는 것이라면 그 죽음을 예측하여 사망선고를 내리고, 그 사체의 장기를 적출하여 이식할 경우, 이식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뇌사자는 자신의 장기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불치병의 환자들에게 새로운 생명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자발적 동의에 의한 장기이식은 자기희생을 통해 사랑이나 자비와 같은 인류애의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는 방편이 된다. 장기이식의 긍정적 측면은 첫째, 인간의 장기와 같이 가치있는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정당하다는 것이다. 둘째, 장기의 기증자와 수혜자가 반드시 일방적으로 구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장기이식은 공동체 의식을 고양시키고, 사회의 연대감을 강화시키는 여건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따라서 자발적인 의사를 근거로 한 뇌사자의 장기제공은 새로운 건강과 행복을 되찾게 되는 불치병의 환자에게는 생명의 자발적인 희생을 대가로 주어진 존엄한 선물로 해석될 수 있다. 뇌사판정의 정확성과 합리성을 객관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전체 뇌 기능의 상실로 제안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인간 생명에 대한 경외심을 갖고 뇌사 판정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paper, I will survey the ethical controversy surrounding the definition of brain death. Then, I will suggest the condition definition of brain death for the Organ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death, when the heart and lungs are irreversibly stopped, death has occurred. However, recently medical technical devices are intervening in the natural process of living and dying, thus the issue of brain death has emerged. There are three kinds of brain death, that is, whole brain death, brain-stem death, and higher-brain death. These three definitions of brain death represent the degree of loss of brain function. Normally when the entire brain has died, we consider death has occurred. The key concept of brain death is the irreversible loss of the capacity for bodily integration and social interaction. Brain death directly relates to organ transplantation. The demand for organ transplants exceeds the supply, and this gap is growing. Therefore if we follow the whole brain death definition, we can procure organs from a brain dead person and transplant those organs. The organ donor gives new life to the person who receive the organ. From this viewpoint, organ transplantation with voluntary consent reveals love or mercy by practicing self-sacrifice. There are two positive dimensions of organ transplantation. First, organ transplantation is justified ethically because it can recycle valuable resource, like human organs. Second, it'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tween organ donors and organ beneficiaries. Organ transplantation is a useful means for promoting community spirit and social solidarity. Also it is considered a dignified gift to the organ beneficiaries. The precondition for rationally and correctly defining brain death is limited to the whole brain function loss. First of all, we must be more prudent in defining brain death to preserve the dignity of human life and to prevent its misuse.

      • KCI등재후보

        뇌간사후 생체징후와 복합척수자동증이 장기간 유지된 증례 1례

        이동국,서상일,김태일,곽규호,도진국,오희종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8 계명의대학술지 Vol.17 No.2

        저자들은 저산소성 뇌병증에 빠진 28세 여자에게서 뇌사로 진단 후 112일간 심장벅동이 유지되었으며 장기간 저전압의 뇌파와 복합척수자통증을 보인 경우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Brain death is defined as the irreversible loss of function of the brain, including the brain stem. Brain death in fact equalled with brain stem death. It is widely held that in patients with brain death who are receiving continued ventilation and full medical care, spontaneous cessation of the heart beat will ensue within a period of hours or a few days. We present a patient with a number of generally accepted sets of clinical criteria of brain stem death, but cardiac activity and complex spinal automatism were persisted 112 days with ventilatory support after diagnosis of brain death.

      • KCI등재후보

        Chronic Brain-Dead Patients Who Exhibit Lazarus Sign

        문지원,현동근 대한신경손상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Neurotrauma Vol.13 No.2

        Lazarus sign, a complex reflex movement of the upper limbs after brain death, is a rare occurrence. We report two patientswho showed a Lazarus sign following a diagnosis of brain death. It has been accepted that cardiac arrest usually occurswithin 1 week after brain death; however, the two patients described herein survived for over 100 days after brain death wasdiagnosed. This report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zarus sign and long-term survival after braindeath, as well as to share our rare experience.

      • KCI등재후보

        Chronic Brain-Dead Patients Who Exhibit Lazarus Sign

        문지원,현동근 대한신경손상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Neurotrauma Vol.14 No.2

        Lazarus sign, a complex reflex movement of the upper limbs after brain death, is a rare occurrence. We report two patientswho showed a Lazarus sign following a diagnosis of brain death. It has been accepted that cardiac arrest usually occurswithin 1 week after brain death; however, the two patients described herein survived for over 100 days after brain death wasdiagnosed. This report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zarus sign and long-term survival after braindeath, as well as to share our rare experience.

      • KCI등재

        Spatiotemporal Protein Atlas of Cell Death-Related Molecules in the Rat MCAO Stroke Model

        윤정선,조다롱,이혜선,유승완,이태영,황우섭,최정미,김은희,김성수,서해영 한국뇌신경과학회 2018 Experimental Neurobiology Vol.27 No.4

        Ischemic stroke and cerebral infarction triggered by the blockage of blood supply can cause damage to the brain via a complex series of pathological changes. Recently, diverse therapies have emerged as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treatment of stroke. These treatments exert therapeutic effects by acting on diverse target molecules and cells in different time windows from the acute to chronic phases. Here, using immunohistochemistry, we show pathophysiological changes in the brain microenvironment at the hyperacute (within 6 h), acute (1~3 days), subacute (7 days), and chronic (1 month) phases following ischemic injury. Ischemic injury in rats was induced by occluding the middle cerebral artery and was validat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progression of damage to the brain was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for NeuN+ neurons, GFAP+ astrocytes, and Iba1+ microglia, and by the emergence of the cell death-related molecules such as AIF, FAF1, and activated caspase-3. Our data regarding the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on pathophysiological changes may warrant the investigation of the timing of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treatments in preclinical studies with an animal model of stroke.

      • 뇌사도 죽음이다

        이인수 순천향대학교 1991 논문집 Vol.14 No.2

        옛날부터 폐, 심장 및 뇌기능의 불가역적 정지를 죽음으로 정의하고, 죽음의 세징후로 호흡정지, 심박동정지와 동공산대(散大)와 광반사 소실을 확인하고 의사는 사망을 선언한다. 그리고 심박동정지 순간을 사망시간으로 정하여 사망진단서를 발급하는 것이 관습으로 내려오고 있다. 동공산대와 광반사 손실을 뇌기능 정지로 판단하고 죽음을 판정하나, 가장중요한 징후는 심박동정지로서 이로 말미암아 놔와 폐와 기타 모든 장기 기능이 조속히 그리고 확실히 상실되며, 또한 비교적 쉽고 명확하게 죽음을 판정할 수 있다. 이 세 징후를 확인하여 죽음을 결정하는 것이 심장사의 개념이다. 사람은 신장이나 간장 또는 심장이 완고한 질병으로 기능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에 그들 장기를 이식하거나 인공장기를 사용하면 살아갈 수 있다. 그리고 호흡과 심장박동이 정지되어 혈액순환이 완전히 정지되어도 피하조직의 세포는 며칠 더 살수 있다. 또한 적당한 보조장치로 영양을 공급하면 기타 조직이나 장기까지도 그 자체로서 오랫동안 살아 갈수 있다. 오늘날에는 첨단기술의 발달로 죽음을 확인한 다음에도 동물의 정자나 난자를 채취하여 수정시키면 새로운 개체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즉 생물체의 일부가 사망하여도 적당한 보조로써 다른 부분을 살리고 증식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사람을 비롯하여 고등 다세포 동물의 경우, 그 삶의 특징이 생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와 장기가 서로 협동하여 통합 조절된 기능을 영위하는데에 있다. 그리고 그 통합된 기능은 일대로 끝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죽음의 상태는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와 장기를 통합하는 능력이 완전히 소멸된 상태라고 하겠다. From ancient time declaration of death has been based upon the traditional cessation of cardiac respiratory activity. However the development of respiratory and cardiac resuscitation measures in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literally restored life to the heart and lungs, but rnight leave more sensitive organ such as the brain in a non-functional state. And so a person incapable of breathing and without ability to respond may, by reason of a mechanical respirator, have a beating heart. But is that individual alive? His breathing and cardiac action will cease eventually in a few days. Since physicians have introduced a new concept of death based upon the demonstration of a permanently non-functional brain in the past 30 years, the brain death has been socially and legally accepted as the basis for the pronouncement of the death in many countries of the Europe and the America, and a few of the Asia. Although loss of cardiorespiratory activity is generally the basis for the pronouncement of death in Korea,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thesis that the master organ, the brain, no longer functions, life is at an end. The author discusses the changing concept of death and presents the newer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a dead brain established in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in March 1989. The concept of brain death might be better accepted as the basis of individual death so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