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서토의를 활용한 소설 지도 방법 연구 -독서클럽 활동을 중심으로-

        이영숙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고는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소설 수업 방법을 고안해 보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과 창의력 향상을 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ce a method to teach novel, focused on the book club activity, and thereby, to help student to improve their ability to take the initiative of learning, and to enhance their creativity. For this purpose, We established a 3-step guidance process: plan,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We also developed detailed strategies for the guidance. In the planning step, we organized heterogeneous groups based on the intellectual levels and tendencies of the students. The book club activity require each student in a group to have strong and positive group identy. The activity also involves high degree of interdependency. For those reasons, we assigned roles to every member of a group to ensure the equality of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among the student. Prior to the book club activities,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nd a diagnosis test. They were designed to understand the basic reading skills of students, and to know how much they were interested in reading. Through this, we found that students were very interested in the genre of novel. In the most instructions, however, students were crammed with novel knowledge, and could not learn how to think or appreciate literary works.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the idea of Rosenblatt, which says a meaning is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ext and reader, searches for an instruction model which values the interaction between text and learner, and in which students take central roles. We actualized this model by applying the book club program in a real classroom setting. The book to read was chosen by students through a discussions, and all members read the book. Student could comprehend the book deeply, while they taking the pre-, mid-, and post-activities of reading, and they could form their response to the text. In the discussions instructions, we employed talking, synthetic, and net model for discussion. Through discussions students expended their inner responses.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by combinning scores rated by students and teachers. We reflected those scores to the accomplishment test. During the internalization, we tried to incite students to have interests in the book club activities, and to continue to participate the activities. In the follow-up survey,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book club activities would help them, and they are continuing to take part in the activities through on-line communities. The result can be outlined as follows. Regarding the cognitive aspects,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comprehension and recollection of the book than in control group. They had a thought process on their own while reading books and solving problems. They could be able to have more expanded thought and imoroved creativity through discussions with others. In terms of definitional aspects, the analysis of the folloe-up questionnaire and sentence-completing test showed positive effects of the book club activity. Therefore, it is conclued that the book club activity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reading skills, and to form a positive reading attitude of students. The subject wer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is study is confined to novel instructions. Discussion is an important part of book club activities. We cannot ignore the negative effects of discussions. Teachers should take their roles to prevent the adverse effect of students-led discussions. Further studies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student-led discussion, and on the effective guidance of teachers are needed.

      •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 문제 해결을 위한 독서모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5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에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대응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1인 가구 중 청년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하여 어떠한 정보요구 특징을 보이는지를 알아본 후, 이를 바탕으로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을 해결하기 위한 독서모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1인 가구, 독서모임, 사회적 고립, 청년 세대, 독서지도 등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고, 청년 1인 가구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 청년 1인 가구와 도서관 전문가 및 1인 가구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하였다. 세 번째로, 청년 1인 가구와 도서관 및 1인 가구 전문가 인터뷰의 녹취록을 작성하고, 중복코딩을 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네 번째로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반영하여 독서모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은 도서관 전문가와 1인 가구 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고 개선하였다. 본고의 연구 질문은 첫째 청년 1인 가구는 어떠한 정보요구 특징을 보이는지와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 문제 해결을 위한 독서모임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지에 관한 것이다. 만 19세부터 만 34세인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들은 1인 가구의 삶, 지적인 호기심 충족, 1인 가구의 삶과 지적인 호기심이 결합한 주제의 정보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많이 이용하는 정보원은 인터넷이었으나, 책과 같은 인쇄매체의 활용도는 낮았다. 청년 1인 가구 각자의 가치관, 선호 분야, 성향 등이 다르고, 선호하는 독서모임 도서에 대해서도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따라서 다양한 주제로 독서모임이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였다. 청년 1인 가구 독서모임 요구 활동은 책과 관련된 체험활동, 친밀감을 쌓을 수 있는 활동, 지역 커뮤니티의 재발견, 안 읽는 책 나누기, 이해가 어려운 책 함께 읽기 등이 제시되었다. 독서모임의 규칙은 존중, 참여, 다양성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인터뷰에 참여한 1인 가구는 독서모임이 이들의 사회적 고립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도서관 및 1인 가구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는 독서치유, 자발성, 도움 주고받기, 사회적 관계망 형성, 독서를 위한 모임이라는 범주 내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반영하여 사회적 고립 문제 해결을 위한 청년 1인 가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지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1인 가구가 추구하는 정보를 습득하고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될 것, 둘째, 독서모임을 통해 사회적 고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될 것, 책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는 독서모임으로 볼 것, 넷째, 참여자의 자존감, 사회적 유대감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사회적 고립 문제 해결을 위한 청년 1인 가구 독서모임 프로그램은 ‘책 읽어 주세요’ 그림책 독서모임, 체험과 연계한 독서모임, 마음 건강을 다루는 독서모임, 지역을 재발견하는 독서모임, 여러 가지 주제의 책을 읽는 독서모임이 제시되었다.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연결망이 취약한 경향이 있는데, 본고에서 제시된 청년 1인 가구 독서모임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 1인 가구가 책을 매개로 모여서 사회적으로 연결되고, 꾸준히 독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연구가 다른 연령 그룹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에 원동력을 주어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1인 가구 독서모임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as a share of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increases, the response to thi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ook club program to reduce social isola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needs by conducting individual interview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 proceed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I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single-person households, book clubs, social isolation, young generation, and reading guidance, and investigated the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second, I interviewed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experts of librari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third, I transcribed the interview contents and different researchers double-coded to ensure reliability; fourth, I developed a book club program after dwelling up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interviews; and fifth, I revised and improved the book club program through receiving feedback from the expert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paper are, first, about what information needs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and second, about the development of a book club program to solve the social isolation of young people who live alone.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ges 19 to 34, and they had a high demand for information on their life of living alone, satisfaction of intellectual curiosity, and the combination of both topics. The most frequently used source of information was the Internet, but the utilization of print media such as books was low. Each young individual who lives alone has different values, preferences, and tendencies, and has different opinions on preferred book club boo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book clubs on various topics. The book club activities required for young people living on their own included experiential activities related to books, activities to build intimacy, rediscovery of local communities, sharing books that are not read, and reading books together which are difficult to understand. Respect, participation and diversity are important in book club rules. Single-member household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possibility that the book club would reduce their social isolation. In interviews conducted with library and single-person household experts, they offered opinions within the categories of bibliotherapy, spontaneity, giving and receiving help, building social support networks, and meetings for reading. The aim of the young one-person household book club program is to reduce social isolation. In considering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interviews, we need the consider the following. First, the book club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acquire and learn the information needed by single residents ages 19 to 34. Second, we need to focus on solving social isolation. Third, we should view book clubs as a place where we can make various attempts centered on books. Fourth, book clubs will be able to inspire self-esteem and social bonding among participants. The book club program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o solve social isolation was presented with a book club that reads picture books and volunteers for children, a book club linked to experiential activities, a book club on mental health, a book club rediscovering the local communities, and a book club on miscellaneous topics. The social support networks of young single households tend to be weak, and with the book club program presented in this paper, young people living alone will be able to gather through books, connect socially, and read steadily. This study targeted young people who live alone, and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impetus for follow-up studies on other age groups to revitalize single-living household book clubs for various age groups.

      • 독서 클럽 활동을 이용한 중학교 영어 독해 수업 모형 개발 연구

        김규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에게 적합한 영어 청소년 문학을 선정하고 어떻게 읽기 수업을 전개해 나갈 것인지 영어 청소년 문학 읽기 클럽 활동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영어 청소년 문학 읽기 클럽 활동은 그룹별로 책을 선택해서 읽는 본격적인 독서 클럽(book club) 활동을 하기 전의 초기 단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청소년 문학 읽기 클럽 활동에서는 교사가 가이드를 제공하면서 책을 읽는 과정을 연습해 보고, 학습자들이 읽으면서 개인의 감상을 적고 이를 바탕으로 해서 함께 의견을 나누도록 한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고, 사전・사후 검사지를 통해 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읽기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중학교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3주간 영어 청소년 문학 읽기 클럽 활동 90분 수업을 8차례 실시한 후 영어 이야기책을 읽고 책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적어본 후 책과 그에 관련한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을 하였다. 학생들이 좀 더 쉽게 접근하는 방법을 모색해 보기 위해서 2차로 읽기 활동 중심 수업을 하면서 읽기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영어 청소년 문학을 읽고 의견을 나누는 영어 청소년 문학 클럽 읽기 활동이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청소년 문학 읽기 활동을 통해 정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생들은 영어 이야기 책 읽기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영어책을 읽고 나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다른 친구들과 의사소통을 하는 것에 대해서 즐거움을 느꼈다고 응답했다. 셋째, 그림 그리기 등의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누고 나중에 토론을 하는 것이 교사나 학생들에게 부담이 좀 덜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한 가지 책을 읽으면서 읽기 클럽 활동에 어느 정도 익숙해진 후에는 본격적으로 독서 클럽이나 문학 서클 프로그램을 통해 관심을 갖는 주제와 영어 수준에 맞는 책을 3-5권을 제시하고 그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학생 주도의 토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청소년 문학을 활용한 읽기 클럽 활동 수업은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는 학생들이 좀 더 자연스럽게 영어에 노출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영어로 된 글을 계속적으로 읽고자 하는 동기를 갖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 내기에 적절한 이야기책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생들에게 부담이 되지 않고 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이야기책 읽기 활동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이야기 책 읽기에 다양한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Currently, extensive reading and storybook reading is more emphasized than before. Therefore, there has been a widespread demand for various ways of reading storybooks in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 for middle school English reading class, that is, reading club using youth literature. Reading club activity class can function as a way of preparation for the book club or a literature circle. This study suggests working models of reading club activity using English youth literature and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teaching method on students' English reading skills and attitude towards reading. The effective ways of applying this model to the classroom will be sought by observing students' responses in the class. In a way to identify students' perceptions about reading, questionnaires were used to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eir reading proficiency was measured through reading tests in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the class. In the first reading club activity class, ten students were instructed to read a book and to exchange their opinions based on their responses for three weeks. As an alternative to lower some students' burden of discussing in the first reading club activity class, the second session was designed based on reading activities.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club activ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skills. Second, the reading club activity using youth literature improved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English reading. Students indicated that readers sharing time was enjoyable and helpful to understand the stories better and they gained interest and motivation to read more English storybooks and to share their ideas with friends. Third, the model of reading activity can give more chances to express students' ideas and lead to more natural interaction for those who are less active in discussion in English. After students become more confident in the reading club activity, they can start books clubs- make groups based on the book choices and initiate reading books and discussion. Reading club activity using youth literature can create a meaningful learning context where learners are encouraged to read more storybooks and use English naturally to express and share their ideas. It is recommended that school libraries should collect a variety of youth literature reflecting different levels and interests of students. Also, teachers should use storybooks promoting lively discussions among students and devise diverse and interesting activities for more effective reading club activity class.

      • 모둠 독서 활동이 독서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교 학습자의 정보텍스트 독서 활동을 중심으로

        나민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8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s of informationl text Book Club on reading ability and attitude.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 informationl text Book Club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reading ability and attitude formation compared to the instructor-led class. In contrast to the research associated with traditional group reading activities, which was done using literature text, this study used informationl text to carry out Book Club. Information text refers to text in various forms that convey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humans and nature and includes text that students refer to as 'non-literature text'. Book Club are learners-oriented group reading activities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m and reader-response criticism. The group reading activity consists of reading, debating, and writing. And in this study, a model of Book Club was developed using the Socratic seminar. The learners will read the text and proceed with the group summary before proceeding with the Socratic Seminar. Students were planned to create questions in the seminar themselves and experience and record the process of finding answers to questions through group and full mutual communi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10 weeks in four classes of high school seniors. Pre-reading ability tests and attitude tests were conducted among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and group read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16 hours. Post-reading ability test and attitude test were conducte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 using T test In addition, a qualitative study to supplement quantitative research analyzed the reading attitude survey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learners' reading skills since informationl text Book Club. In addition, qualitative research has shown that Book Club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reading attitudes. * This thesis is an dissertation for Master’s Degree majoring in Korean education submitted to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 텍스트 모둠 독서 활동이 독서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 데 있다. 정보 텍스트 모둠 독서 활동이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습자의 독서 능력 및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모둠 독서 활동과 관련한 연구가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여 이루어진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정보 텍스트를 활용하여 모둠 독서 활동을 진행하였다. 정보 텍스트는 인간과 자연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양식의 텍스트를 말하며 학생들이 ‘비문학 지문’으로 일컫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모둠 독서 활동은 학습자 중심 소집단 독서 활동으로 사회적 구성주의와 독자 반응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모둠 독서 활동은 읽기, 토론하기, 쓰기 활동으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소크라틱 세미나를 활용하여 모둠 독서 활동 모형을 개발하였다. 학습자는 텍스트를 읽고 모둠 요약을 진행한 후 소크라틱 세미나를 진행한다. 학생이 스스로 세미나의 질문을 만들고 모둠 및 전체 상호 의사소통을 통해 질문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경험하고 기록하도록 계획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문과 4개 반이며 10주에 걸쳐 연구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독서 능력 검사와 태도 검사를 하였고, 16차시의 모둠 독서 활동을 진행하였다. 실험처치 이후 사후 독서 능력 검사와 태도 검사를 하고, 그 결과를 T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질적 연구로 인터뷰와 실험집단의 독서 태도 기술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텍스트 모둠 독서 활동 이후 학습자의 독서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또한 질적 연구를 통해 모둠 독서 활동이 학습자의 독서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 북클럽 활동을 통한 통합형 문학 논술 지도 방안 연구

        이가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ntegrated literary essa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rough book club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required to have the ability to write articles established from their own perspectives by selectively interpreting and integrating various articles in the literacy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where articles with various perspectives are poured on one subject based on the Internet and SNS, and unconfirmed information is flooded. Writing is the essay that can show these abilities in the educational field. Since the OECD's DeSeCo project, many advanced countries have already emphasized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rather than knowledge o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our education reflects this, suggesting six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mong them,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data and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re important in that they are necessary abilities at the same time when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with critical literacy are requi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crete measures to enable students to acquire their own performance skill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core competenc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literary essay learning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times. The integrated literary essay has a meaning of essay writing as an integrated writing that integrates the contents of essay writing and learning in which language functions are integrated and reconstructs meanings. Book club activities can be integrated with such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discussion). Also,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discussion of the small-scaled discussion, it is the center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in that students can critically analyze the values ​​in various literary works and enhance their ability to write by integrati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to prepare the contents and plans of integrated literature essay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book club activities, and second,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integrated literature essay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book club activities. The contents of integrated literature essay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book club activities applied in the study consisted of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stages in a large frame. The understanding stage was composed of contents with the core goal of learning to write a reading journal, select a self-directed topic, learn the principle of discussion of consumption, and to share the experience of critically interpreting and integrating the world and value in the three literary works through the activity of consumption book club.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embodied as the design of integrated literary essay writing instruction pla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y class, and major activities. Next, the 16th clas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as applied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of learning activities, the contents of learner interviews,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were analyzed comprehensively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s a result, the integrated writing style of literature essay writing was confirmed through thi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tudents were most influenced by the process of analyzing literary works and sharing opin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terms of content creation and organization, and there was little improvement in expression abil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ritical thinking and comprehensive argumentation ability which are most related to integrated essay writing among content creation factor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Students understood and interpreted various works more deeply than before, and then they wrote essay writing by comprehensively reflecting them.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utilization and composition of paragraph organization improved more than before when content creation became clear.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learners' response patterns and check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the field and the improvement points. 본 논문은 초등학생 대상의 북클럽 활동을 통한 통합형 문학 논술 교수·학습 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과 SNS를 기반으로 하나의 주제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가진 글들이 쏟아지고,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범람하는 21세기의 문식 환경에서 다양한 글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필요한 내용을 재구성하여 자신의 관점으로 정립된 글을 쓰는 능력이 요구된다. 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통합적 글쓰기 능력을 대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분야가 바로 논술이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 이후 이미 여러 선진국에서는 지식이나 정보의 습득보다는 역량 중심 교육을 강조하고 있고 우리 교육도 이를 반영하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6가지 핵심 역량을 제시한다. 이 중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과 자료·정보 활용 역량은 비판적 문식성을 가진 창의·융합형 인재가 요구되는 지금과 같은 시기에 반드시 필요한 능력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관련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해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이에 해당하는 수행 능력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학습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시대적 특징 및 요구를 반영하여 통합형 문학 논술 학습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의미하는 통합형 문학 논술이란, 언어 기능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논술 교수·학습과 여러 문학 텍스트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의미를 재구성하는 통합적 글쓰기로서의 논술이라는 중의적 의미를 가진다. 북클럽 활동은 이러한 통합적 논술 능력을 기르기 위해 필요한 활동인 읽기(독서), 쓰기(논술), 말하기·듣기(토론) 활동이 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학습 방법이다. 특히 소모둠 토론이라는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생들이 여러 문학 작품에 담긴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여러 작품을 통합하여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북클럽 활동을 교수·학습 방안의 중심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북클럽 활동을 통한 통합형 문학 논술 교수·학습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고 둘째, 북클럽 활동을 통한 통합형 문학 논술 교수·학습 방안의 교육적 효과는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에서 적용한 북클럽 활동을 통한 통합형 문학 논술 교수·학습 내용은 큰 틀에서 이해 단계와 적용 단계로 구성되었다. 이해 단계는 북클럽 활동을 학생주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독서 일지 작성, 자기 주도적 논제 선정의 방법, 소모둠 토론의 원리 학습을, 적용 단계는 소모둠 북클럽 활동을 통하여 3권의 문학 작품 속의 세계와 가치를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통합하여 재구성하는 경험을 공유하는 것을 학습의 핵심 목표로 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교수·학습 내용은 통합형 문학 논술 글쓰기 지도 방안 설계 및 차시별 교수·학습 방안 및 주요 활동으로 구체화하였다. 다음으로 16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과정을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한 다음, 학생 글쓰기 결과물, 학습자 인터뷰 내용, 교수·학습 내용을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교수·학습 방안을 통하여 학생들의 통합형 문학 논술 글쓰기 양상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북클럽 활동을 하며 독서 일지를 작성하고, 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여러 관점의 의견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하여 내용 생성, 조직 측면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표현 능력의 향상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 생성 요소 중 통합형 논술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비판적 사고와 통합적 논증 능력이 뚜렷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이전보다 여러 작품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한 다음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논술 쓰기를 하였다. 또한, 내용 생성이 분명해지면서 문단 조직의 활용과 구성이 이전보다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반응 양상을 확인하고 본 교수·학습 방안의 현장 적용 가능성과 개선점에 대하여 점검할 수 있었다.

      • Korean EFL Adult Learners’ Scaffolding and Learning of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in an Online Book Club

        송근아 숙명여자대학교 TESOL·국제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70

        This thesis endeavors to identify the learning processes of reading strategie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adult KEFL learners in online book club using CMC platforms. This study investigated learners’ perception about learning and using reading strategies in the online activities and peer-scaffolding types shown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learners were also examined. 8 Korean EFL adult learners participated 14 weeks of online book club activities including writing reflective logs on Korean SNS Naver Cafe and real-time online discussions on Zoom. The analysis reveals that learners think they learn the reading strategies of questioning and clarifying the most from the online book club. The learners’ establishment of reading strategy of questioning was built by having chances to encounter and make questions of the book in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written environments. Another reading strategy of clarifying was learned through modeling of other learners. 본 논문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 툴을 활용한 온라인 영어독서동아리에 참여하는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들이 서로간의 상호소통을 통해 어떻게 독서전략을 학습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독서 동아리 활동에서 학습자들 스스로 학습 또는 활용했다고 생각하는 독서전략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으며, 학습자들이 서로 교류하는 과정에서 어떤 동료-비계(peer-scaffolding) 형식을 보여주는지를 관찰하였다. 8명의 한국 성인 영어학습자들은 총 14주간의 기간 동안 매주 네이버 카페에서 독서 후 기록을 작성하고, 실시간 화상회의 프로그램 줌에서 만나 책에 관한 대화를 나누었다.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이 온라인 독서동아리를 통해 질문하기와 정교화하기 독서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배웠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두 가지 온라인 독서동아리 활동 모두를 통해 질문을 만들어보는 기화를 가지면서 질문하기 독서전략을 배웠고, 다른 학습자들의 모습을 모델 삼아 정교화하기 독서전략을 배운 것으로 보인다.

      • 중학교 교육과정 지원을 위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 연구

        전영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67

        2021년 4월 1일 기준 전국 초, 중, 고등학교 학교도서관의 보유 장서는 총 1억 9,993만여 권이며 학교당 평균 16,639권을 보유하고 있다. 학생들이 도서 선택 시 참고할 만한 선별적인 큐레이션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육과정의 지원을 위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북큐레이션 운영사례 위주의 체계적인 연수와 지역 사서 연구모임이 필요하다. 둘째, 교과 수업 지원과 자유학기, 진로연계학기 지원을 위한 수업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학교 급별, 주제별, 대상별 북큐레이션 공유 플랫폼의 운영이 요구된다. 셋째, 지속적인 홍보를 위하여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계획성 있는 학교도서관 내의 북큐레이션 운영과 학교 내의 공간에서 북큐레이션이 운영되어 학교 생활 속에서 북큐레이션 서비스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북큐레이션 운영을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북큐레이션 테마 계획안이 필요하다. 이에 중학교 국어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교내상, 도서관 분류를 주제로 북큐레이션 연간 테마(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 지원을 위한 북큐레이션 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학교도서관에서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학생주도형 북큐레이션이 활성화되어 참여형 독서 문화가 형성되기를 기대한다. As of April 1, 2021, there are a total of 199.93 million books own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ibraries nationwide, with an average of 16,639 books per school. Selective curation services are required for students to refer to when selecting 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ways to revitalize school library book curation to support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operators, systematic training centered on book curation operation cases and local librarian research meetings are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lass programs to support subject classes, free semesters, and career-linked semesters, and to operate book curation sharing platforms by school level, subject, and target. Third, book curation is operated in a planned school library and book curation is operated in a space within the school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recognize it for continuous publicity. Fourth, there is a need for a book curation theme plan that can practically implement book curation operation. Accordingly, the annual theme of book curation was proposed under the theme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subject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n-campus, and library classifi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study book curation methods to support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it is expected that student-led book cur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will be activated in the school library to form a participatory reading culture.

      • Employing Critical Literacy to Explore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Responses to Multicultural Literature in a Book Club Discussion in Saudi Arabia

        Alqahtani, Nadia Indiana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32235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Multiculturalism is about equality, social justice, and welcoming the differences of a group of people in the same world. It is a reform, challenge, and change of the domination of one culture, race, gender, ethnicity, and class in a society that consists of multiple people of diverse backgrounds. There has been a rapid change in Saudi Arabian society as it welcomes refugees as residents and tourists from around the world and it has lately granted citizenship to foreigners who have improved various aspects of Saudi society. Because of this, it is crucial to encourage citizens to value divers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because they are vital to the country's growth. With the growing diversity among students in Saudi Arabian classrooms, stakeholders and teachers need to start cultivating the ideology of multiculturalism and students need to accept and respect each other despite their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 diverse group of students responded to a literary discussion in a book club while reading multicultural books. Literary texts and book clubs are a means to identify the challenges that students, especially diverse students, face. These experiences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nalyze, delve into, and negotiate diversity issues as they construct their identities. A case study approach using critical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the responses of six high school students. Initially, the students expressed unconscious responses and knowledge that lacked critiquing, analyzing, examining the texts, and addressing multicultural issues. However, the students' identities in this study were revealed when exposed to multicultural literature books. They demonstrated the possibilities of valuing themselves, reflecting with others, and shaping their identities for belonging, confidence, relationships, and familiarity. The book club provided a chance to speak, interrogate, and analyze the authors' perspectives and thoughts by digging deep to reach issues hidden under the authors' words. As a result of the study, a model was developed to guide teachers and other stakeholders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Saudi Arabia to improve approaches to multicultural literacy.

      • 장애관련 독서 모둠활동이 비장애아동의 인식과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을숙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059

        The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book club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cognition and attitude of disabilities-acceptanc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specific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nd out effects of book club activities to improve cognition of disabilities-acceptanc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econd, reveal effects of book club activities to improve attitude of disabilities-acceptanc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selected B elementary school, 4 grade, 68 children, in Busan.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have received book club activities related disabilities, the other group have not received book club activities related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have received 8 sessions, for 8 weeks book club activities related disabilities using discretional activities time. Two group were tested t-test in order to prove the same quality as well applied to ANCOVA to analyz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ok club activities related disabilities have an positive effects upon changing of cognition on disabilities-acceptanc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the group received book club activities related disabilities, there were many positive changes in aspect of evaluation factors, activity factors, ability factors. Second, book club activities related disabilities have an positive effects upon changing of attitude on disabilities-acceptanc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the group received book club activities related disabilities, there were many positive changes in aspect of acceptance, hostility, support. The findings showed that book club activities related disabilities possible for positive cognition and attitude on disabilities-acceptanc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s well make a build foundation for inclusion working together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 남북한 출신 청년이 만드는 접촉지대의 문화번역과 협력적 생애사 : A 독서모임을 중심으로

        Hidaka, Sawako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011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different shapes of power dynamics and identities that are constructed, exchanged and modified within a contact zone between young South Koreans and young North Koreans. Conducting a fieldwork on a book club organized by these young people called “Book Club A,” it finds that the gathering is a place of daily and micro-cultural activities where the cultural medium of books allows its members to share views. The club serves as a physical space of contact for the two groups of young Koreans and also deepens, psychologically and cognitively, thei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The number of North Koreans who have defected to South Korea exceeded 30,000 in 2017. Ever since, South Korea has searched for ways to better support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to "coexist". A series of developments in the two Koreas’ 2018 international relations, including the inter-Korean summit and the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 has heightened much of the South Korean society’s interest in its Northern counterpart. Some in the South have advocat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integrated into South Korea referring to their shared ethnicity. Indeed, South Korea has been an active party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a macroscopic sense, and yet it has overlooked the fact that there emerged another form of inter-Korean relations at a microscopic level – that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thesis attempts to translate the varying terms through which the young people of two Koreas build their relationships in a cultural space of a book club, and to inquire into the ensuing changes in how they identify themselves in the course of such development. It employ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reveal what conventions are mutually understood by the members and what their respective locations imply. It may be safe to assume that young South Koreans are the majority while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re minority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it is an uncontested fact that power relations between them already exists in many areas. Book Club A becomes a space inconsistent with the outside world. Books lay the foundation for conversations led by shared interests while the formality and rituals set by the club endorse equitable social membership. Here in this quotidian and microscopic space, all members, those native to South Korea and those who defected from the North alike, encounter and practice mutual recognition that cannot be experienced beyond its doors. Also, the discussion about books is based on their life experience, which heals them related to the historical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forms mental bond between them. This process can be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Collaborative Life History as well as the example of German reunification and separated Korean people. Book Club A is different from public institutions in that it does not provide financial supports to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Its impact, after all, lies in offering the young North Koreans with the experience of social recognition and interaction that are as crucial to a settlement in the Korean society as is any public support. The presence of this space has a great social significance; it signals to the young generation of the Korean society, whose ethnic diversity exhibits continuous growth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minorities of their society. 본 연구는 남북한 출신 청년들이 A 독서모임이라는 문화적 접촉지대에서 역동적인 권력 관계와 정체성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서로 교환하며 변화시키는 모습을 분석(번역)하는 연구이다. 연구현장인A 독서모임은 책이라는 문화적 장치를 통해 의견을 나누는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문화활동의 장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A 독서모임을 단순히 한국과 북한 출신 청년이라는 두 집단이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공간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서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나가는 심리적, 인지적 공간으로서의 문화적 접촉지대로 본다. 한국에서는 북한이탈주민 3만 명 세대라고 불리던 2017년쯤부터 본격적으로 북한이탈주민과 한국 사람이 ‘상생’하기 위한 방향성이 계속해서 모색되어 왔다. 특히 2018년에 들어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연이어 개최되는 등 국제관계가 요동치는 가운데 한국 사회에서는 북한에 대한 관심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한편 한국 사회에서는 민족성을 언급하면서‘한국 사람’인 북한이탈주민을 ‘우리’안에 편입시켜야 하는 존재로 보는 시선이 존재한다. 또한 국제관계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은 남북관계의 주체라고 하지만 국내라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국 사람과 북한이탈주민 간의 작은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A 독서모임이라는 문화적 공간에서 남북한 출신 청년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어가는 모습과 그들의 변화하는 정체성을 참여 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분석(번역)하고 일상적인 현장에서의 남북한 출신 청년의 상호이해와 그들의 위치가 시사하는 의미를 밝혔다. 한국 사회에서 한국 출신 청년은 다수를 차지하며 북한이탈주민인 북한 출신 청년은 소수자인 것은 사실이다. 이들 간에는 여러 분야에 걸쳐 권력 관계가 이미 존재한다. 그러나 A 독서모임에서는 책이라는 문화적 매개체를 통해 그들 간의 대화를 가능케 한다. 또한 동등한 사회적 동료로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의례를 토대로 남북한 출신 청년은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공간에서 외부 사회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상호인정의 관계를 실천하고 있다. 또한A 독서모임에서 이루어지는 토론과 논의는 개개인의 인생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역사적인 분단, 민족의 이산 등의 경험으로 인한 고통과 고독감이 치유되고 구성원 간에서의 공동체성이 생기는 효과를 낳는다. 이러한 과정은 독일통일과 한민족 이산의 사례와 같이 협력적 생애사라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A 독서모임은 공공기관의 지원정책과는 달리, 북한 출신 청년을 경제적으로 지원하지는 못하지만,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데에 있어 경제적 지원 못지않게 중요한 사회적 인정의 감각과 소통의 경험을 제공해준다. 이것은 앞으로도 지구화로 인해 다문화사회가 진행될 한국 사회를 만들어가는 주체인 청년에게 소수자와의 교류와 소통의 가능성을 깨닫게 해준다는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