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이해프로그램 후 반성적 사고 저널 쓰기가 비장애 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활동선호도와 프로그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윤(Park, Yun),김현정(Kim, Hyun-jeo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장애이해프로그램 후 반성적 사고 저널 쓰기가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활동선호도와 프로그램 만족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S유치원으로 만 5세 2학급 40명으로 구성하였다. 유치원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40분씩 총 12회 6주간동안 실험집단은 장애이해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반성적 사고저널 쓰기 활동을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장애이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비장애유아들의 활동선호도와 만족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활동선호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장애유아에 대한 활동선호도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한 ANCOVA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은 매회기 프로그램 전후로 측정한 만족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이해프로그램 후 반성저거 사고 저널 쓰기가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활동선호도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장애이해프로그램 후 반성적 사고 저널 쓰기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만족도 변화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on the activity preferences and happiness of young, non-disabled children. The subjects were 40 five year old children from two classes at a kindergarten in G Metropolitan City. Using the free choice activity hours among the daily programs of the kindergarten, we execute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n had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ctivi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12 sessions for 6 weeks and 40 minutes per session, and executed only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for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scales measuring children’s activity preferences and happiness. Data analysis involved the use of ANCOVA with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te. According to the results,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non- disabled young children's activity preferences. Second,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non-disabled young children's happiness

      • KCI등재

        치유를 위한 글쓰기 프로그램 운영의 방향성

        김현정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 리터러시 연구 Vol.- No.19

        Recently, writing programs are increasingly used for self- reflection and hea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operation cases of healing writing, and to propose a writing program for the healing of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ealing writing from the viewpoint of Fritz Perls’ Gestalt theory and the writing therapy of Pennebaker. In Gestalt therapy,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patients to recognize and resolve their own unresolved emotions by providing an opportunity to look back and review themselves in terms of ‘now-here’. This type of therapy is related to Pennebaker’s writing therapy. Based on a variety of clinical cases, Pennebaker posited that revealing internal trauma by way of writing helps in promoting health.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of the writing for healing programs. It is desirable that the direction of a writing for healing program should be used in a way to shape a community that can trust each other and give opportunities to freely and steadily write and share conversations involving ‘I’ and ‘around me’. 최근 자아 성찰과 치유를 위한 목적에서 글쓰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치유적 글쓰기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일반인 대상의 치유를 위한 글쓰기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안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치유적 글쓰기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Fritz Perls의 게슈탈트 이론과 Pennebaker의 글쓰기 치료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게슈탈트 이론에서는 ‘지금-여기’의 관점에서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고 이를 글로 정리해 보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미해결된 감정을 스스로 인지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는 Pennebaker의 글쓰기 치료와 연결되는데, Pennebaker는 다양한 임상 사례를 통해 내면의 상처를 글쓰기로 털어놓는 행위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치유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운영한 사례들은 임상 실험의 목적에서 운영한 사례, 정규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 운영한 사례, 학생이 아닌 일반인들의 모임에서 자연스럽게 치유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활용한 사례 등으로 나타났다. 치유적 글쓰기 프로그램은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 공동체를 형성하여 그 속에서 ‘나’와 ‘나를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들을 자유롭게, 그리고 꾸준히 쓰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방향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이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황성온,박성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enting training program followed by reflective writing activity on mothers’ maternal efficacy from January 17, 2011 to February 25, 2011. A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adopted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2 mothers of preschool aged children in Florida (n=27: Mothers Of Preschoolers Organization, n=5: Florida State University Child Developmental Center). In order to explore the impact of reflective writing intervention, the pre-test scores on maternal efficacy were treated the covariate for controlling pre-existing differences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measures of post-test scores on maternal efficacy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al role' and 'Efficacy as a parent' sub-factor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ed that mothers' self-reflective writing activities in parent education program proved more effective at improving mothers’ maternal 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the evidence to the parent program educators and developers who may be considering the use of reflective writing as a methods to increase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본 논문에서는 유아기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이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 실험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미국 플로리다 탈라하시(Tallahassee) 지역 어머니 모임인 MOPS (Mothers of Preschoolers Organization) 기관의 학부모 27명과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부속 유치원의 학부모 5명을 대상으로 2011년 1월 17일부터 2011년 2월 25일까지 총 6주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효과에 의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양육 효능감의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뿐만 아니라 부모역할에 대한 만족도와 자신감 등 하위 요인에 있어서도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을 동반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이 부모의 양육 효능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 결과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자들에게 있어 연계활동의 일환으로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의 활용을 고려하는 증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평전 쓰기 운영 사례

        이주영(Lee, Jooyoung)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4 No.-

        이 논문은 평전 쓰기를 대학 글쓰기 교과와 연계해보고 실제 수업 사례를 분석한 글이다. 단계적 글쓰기 수업 과정과 수업의 결과물을 통해 평전의 교육적 의의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부모님 평전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부모의 삶에 관심이 적었던 자신을 스스로 반성하기도 하며 부모의 생애에 공감하고, 일상의 소소함에서 가족의 특별함을 발견한다. 대학 입시 과정에서 그동안 부모와 자녀 간 질 높은 대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웠던 1학년 학생들에게 의미 있고 새로운 성찰 과정을 제공할 수 있었다. ‘공감과 소통 공모전’에 참여해야 하는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1학년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지정 교재에 평전 쓰기 관련 내용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강의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기초 작업으로 연표 작성 실습 활동을 진행했다. 학생들은 질문지를 토대로 부모님을 인터뷰하며 부모님과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고, 한 사람의 삶을 관찰하는 진지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평전 쓰기의 의미화와 원활한 글쓰기 작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 수강생들의 글을 합평하는 시간을 가졌다. 글쓰기 주체가 동시에 글 읽기 주체가 되어 타인의 글을 공감하고, 아쉬운 점을 논의하는 과정은 수업 집중도를 높이는 동시에 학생들의 정서적 환기를 이루는 효과를 얻었다. 제출된 초고는 교수자와의 1:1 대면 피드백을 통해 고쳐 쓰기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활동들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며 학생들은 완성도 높은 평전을 작성하는 성과를 거둔다. 부모님의 삶을 토대로, 자기 생각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그 고백들을 읽는 것은 감동적인 경험이었다. 기술적인 작문 실력 향상을 넘어 진심으로 부모를 알고, 관계를 치유하는 글쓰기 활동은 학생들이 자신의 세계와 삶을 깨닫고 온전한 삶의 주인공으로 살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an assignment for a college writing course on writing a critical biography. The process of writing a critical biography of their parents resulted in students regretting the fact that they have had little interest in their parents’ lives, empathizing with the way their parents had lived their lives, and finding the special value of family. For the freshmen who did not have the time to maintain strong communication channels with their parents due to their preparation for college entrance exams, this assignmen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meaningful refle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enrolled in th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course, who were obliged to participate in the “Writing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contest. A lecture on critical biography had to be added, since it was not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First, an activity, in which students drafted their parents’ chronology table, was conducted. Next, the students interviewed their parents; they were encouraged to make enough time to engage in conversation and to observe someone else’s life with a careful attitude. A collective assessment was also conducted by evaluating the papers written by other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 semantics of the writing assignment. The writing topic was simultaneously the reading topic; therefore, it paved the road for the students to better empathize with the content and analyze it by discussing the downsides, This discussion prompted students to concentrate better, which proved to be very effective in the letter and in creating an emotionally embedded ambience. The assignment had to be rewritten many times, after initial drafts were discussed through one-on-one assessments with the instructors. By completing these activities, the students were able to create a high-quality, critical biography of their parents. It was a truly touching experience to read the confessions which have been written based on the parents’ lives. Apart from the obvious improvements in students’ writing skills, the best part of the assignment was probably the understanding toward their parents that the students developed, how they learned previously unknown facts about their parents,, and how these things potentially healed connections. This writing activity gave students the chance to come to terms with their own lives and be able to solely and genuinely live their lives as the only protagonist.

      • KCI등재후보

        장애이해활동 후 “반성적 사고 저널쓰기”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수용적 태도와 형용사 사용에 미치는 영향

        김천희(Kim Cheon-Hee),김현정(Kim Hyun-Jeong),박윤(Park Yu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3

        본 연구는 장애이해활동 후 “반성적 사고 저널쓰기”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수용적 태도와 형용사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S유치원 만 5세 2학급으로 유아 각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유치원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40분씩 총 12회 6주간 동안 실험집단은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한 후 반성적 사고저널을 활동을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도구는 비장애 유아들의 수용성 태도를 측정하는 수용성 태도 척도와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형용사 사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사전ㆍ사후검사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장애이해교육을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수용성 태도, 형용사 사용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공 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공변량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이해활동 후 “반성적 사고저널쓰기”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수용성 태도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장애이해활동 후 “반성적 사고 저널쓰기”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형용사 사용의 변화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 of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on non-disabled children’s Acceptance Attitude and Using Adjective towa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from two classes at a kindergarten in G Metropolitan City. Using free choice activity hours among the daily programs of the kindergarten, we execute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n had the subjects to participate in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ctivi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12 sessions for 6 weeks, 40 minutes per session. We then execute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only for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scales on ordinary young children’s Acceptance Attitude and Adjective Checklist. In data analysi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alculated, and ANCOVA was performed using the score of pretest as a covariate and the score of the posttest as a dependent variable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 in Acceptance Attitude and Adjective Checkli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having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scores of Acceptance Attitude and Adjective Checklist after the inter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자기 성찰적 글쓰기와 기초직업능력프로그램(NCS)의 융합교육방안연구

        최면정(Choi, Myeon-Jeong)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자기 성찰적 글쓰기와 NCS 의사소통능력의 융합교육연구는 현재 기초 교양 글쓰기의 현실적 필요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실용성에 치중된 NCS 의사소통능력 프로그램에 인문적 소양을 보완함으로써 전인적 교양교육과 실용적 직업교육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는 학습자가 스스로를 해석하고 새롭게 규정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강화하는 것을 시작으로, 소통과 배려․공감의 과정을 통해 타자를 이해하고 나아가 공동체의 문제의식까지 공유하는 교양인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목적과 방법론이 미래의 정체성을 현재화하면서 취업현장에서의 실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NCS 의사소통능력 프로그램과 융합되면, 높은 직업 정체성과 직업 윤리를 갖춘 사회인 양성이라는 기대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와 NCS 의사소통능력을 효과적으로 융합하기 위해, 그간 과거지향적으로 진행되었던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하이데거의 실존론을 근간으로 한 ‘미래를 지향하는 기투의 글쓰기’로 보완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NCS 의사소통능력의 장점인 긍정적인 진로 정체성의 확립을 위해서는 과거-현재-미래의 정체성을 단일하게 구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현재-미래는 단선적 시간이 아니라 주체에 의해 계산되고 해석되는 시간이다. 하이데거의 실존론은 이러한 주체가 타인과 함께 세계 속에 처해있으며, 도래하는 미래의 운명 속으로 기투하고 있다는 현존재로서의 인식을 중요시한다. 따라서 미래를 지향하는 기투의 글쓰기는, 주체의 상황이 곧 함께 공부하는 동료들이 처해있는 상황과 같다는 공동현존재로서의 책임과 자긍심을 강화시킨다. 학생들에게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바람직한 방향인 공동현존재로서의 선구적인 책임감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일관된 자기 정체성을 주체적으로 내면화하는 글쓰기는, 지원한 직무를 위해 준비해온 시간을 중요시하는 NCS 자기소개서 작성의 교육에도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법론이 된다. 이처럼 NCS 의사소통능력에 자아 성찰을 바탕으로 타자에 대한 공감과 이해로 나아가는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방법론을 융합하는 교육방안은, 학생들에게 미래의 정체성을 현재의 정체성으로 소급함으로써 주체성과 직업 윤리를 갖춘 사회인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교육적 효과가 있다. Self-reflection writing and an NCS communication ability convergence education study augment the practical necessity of basic cultural writing and can supplement liberal arts education, as the NCS communication ability program focuses on practical application. Self-reflection writing starts by increasing learners ‘sense of self-respect by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interpret their own thoughts and feelings, defining new things, and allows students to learn through the processes of communication, consideration, and empathy,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nd advance the community. When the purpose and methodology of self-reflection writing are combined with the NCS communication ability program, which improves their ability to function in the workplace while also developing their future identity, students are able to increas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ethics. In order to effectively combine introspective writing with NCS communication skills, the writer suggests a “future approach” based on the theory of existence proposed by Heidegger. Establishing a positive career identity, which is a strength of NCS’s communication skills, requires a single configuration of the past-present-future identity. The past-present-future is not an open continuum, but a time that is calculated and interpreted by the subject. Heidegger’s existentialism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 perception that such an entity exists in the world with others and refers to a future destiny that is imminent. Thus, future-oriented writing strengthens one’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pride as it is a co-presentation in which the situation of the subject is the same as that of his or her fellow students, with whom he or she studies. This can give students a sense of collective responsibility and also provides them with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ir college culture education. Writing that interpolates this consistent identity can actually be used in education related to NCS’s self-introduction writing, which puts emphasis on the time it has been prepared for the tasks it supports. The education plan that combines the methodology of self-reflection writing, which is based on self-examination, and an understanding, which is based on the ability to write effective NCS documents, will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anticipate and create their future identities.

      • KCI등재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자기인식, 자기성찰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심리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김민경,이정미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an online reflective writing program on self-awareness, self-reflection, and self-esteem among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In total, 25 students participated; 12 studen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13 students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arried out in 8 weekly sessions; both groups conducted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ime in all three a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tructured reflective writing program, utilizing online media, effectively improves self-awareness, self-reflection, and self-esteem among graduate students studying counseling psycholog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 상담심리전공 대학원생의 자기인식, 자기성찰 및 자존감의 변화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화된 성찰적 글쓰기 프로그램은 자기성찰에 대한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Pennebaker의 치료적 글쓰기, Adams의 저널치료, Rashid의 긍정심리치료를 토대로 구성하였으며, 박사학위를 소지한 상담심리전문가 3인의 감수를 받은 후 주 1회 8주간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결 후 8주 경과 후 사전-사후-추후 측정에서 수집한 자료를 통해 실험집단(N=12)과 통제집단(N=13)의 차이를 비모수검정으로 비교한 결과, 본 연구의 구조화된 성찰적 글쓰기 프로그램은 수련중인 상담심리전공 대학원생들의 자기인식과 자기성찰, 그리고 자존감의 증진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구조화된 글쓰기 프로그램이 상담수련생들의 자기성찰을 돕는 수련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과 시․공간의 제약 및 신체상의 불편으로 인해 대면상담서비스 접근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잠재적 내담자들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 KCI등재

        신입생의 학교 적응을 위한 소그룹 자서전 쓰기 지도 방안

        이효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are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n autobiographical writing program to relieve the anxiety of student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a new school. The freshman period in college is a critical period of transition for students. It has been reported in academia that new students who are in a transitional period experience severe anxiety and stress, as they are placed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unlike high school. Being able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ies and adapt well to the university environment is an important part of maintaining a healthy personal and school life in adolescenc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to review one’s experiences and find a way forward. Many previous studies have proven that writing an autobiography or narrative is effective, and the healing effects of writing are widely accepted. Nevertheless, it is a personal inclination. Because of differences in academic leve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t was decid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operate a comparative program, rather than a subject course. In this paper, the case of K University, , is presented. The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has been reported several time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curriculum, given that many students participate simultaneously, it is difficult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Moreover, to ease the sense of pressure associated with the term “autobiography,” and to make the writing task more accessible, we devised a writing method that combines important periods and places that are the inflection points of life and shared the lecture contents and results of each turning point. 본 연구는 신입생의 학교 적응기의 불안 해소를 위한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공유하는 데 있다. 대학 신입생은 인생의 전환기(transition)을 맞는 중대한 시기다. 전환기를 맞는 신입생은 고등학교 때와는 교육 환경에 놓이게 되면서 불안과스트레스를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었다. 이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대학이라는 환경에 잘 적응하는 것은 학업은 물론 청년기의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과업이다. 자신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길을 모색하는 데 있어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이 때문이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자서전 또는 자기 서사를 쓰는 것이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글쓰기가 지닌 치유적 효과를 폭넓게 수용한 결과이다. 그러나 개인의 성향. 학업 수준, 교육 환경의 차이가 있어, 교과교육보다는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본고에서는 지방소재 K대학에서 운영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은이미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여러 학생이 한꺼번에 수강하는 교과 교육이지닌 한계 때문에 그 효과성을 극대화하기는 한계가 있었다고 본다. 또 자서전이라는명칭이 지닌 위압감을 벗고 조금더 편안하게 글쓰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삶의 변곡점이 되는 중요한 시기와 장소를 주제로 한 글쓰기 방법을 고안하여 주차별강의 내용과 그 결과물을 공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