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 청년에 대한 기대역할 변화 양상 연구 : 김정일과 김정은 집권 시기 반동사상문화 현상을 중점으로

        전일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465

        최근 북한의 청년들은 북한 당국에서 요구하는 역할에 조금씩 의문을 갖기 시작하였다. 과거 기성세대들이 받았던 배급체계가 무너지고 장마당이 활성화 되면서 더 이상 북한 당국에 의존 경험이 없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북한 청년들이 외부문화에 호기심을 가지면서 한류와 같은 문화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문화 형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북한 당국은 청년의 외부문화 접촉을 중대한 일탈로 규정하고 2020년 12월 4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제14기 제12차 전원회의에서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을 제정하여 통제를 더욱 강화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사회적 변화를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김정일과 김정은 집권 시기별로 북한 청년세대에게 기대하는 역할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북한 청년들의 관심이 어떻게 이동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특히 반동사상문화 유입에 따른 북한 당국 대응이 김정일과 김정은 시기에 어떻게 달라졌으며 이러한 외부문화 통제 강화가 북한 청년들의 기대역할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집중한다. 이에 북한 청년에 대한 이해를 높여 향후 북한사회에 대한 전망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남북 통합 과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위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로동신문 분석과 탈북민 면담을 진행하였다.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년간의 로동신문 내 청년을 언급한 2대 사론설을 분석범위로 설정하여, 기사의 내용 중 청년에 대한 메시지를 중점으로 키워드를 도출하는 “키워드 분석”과 R통계를 활용하여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를 분석하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사용했다. 로동신문의 양적분석을 보완하고자 북한에서 한류문화나 외부 콘텐츠에 대한 시청 경험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가지고 있는 북한이탈주민(탈북민)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했다. 연구결과, 북한 청년에 대한 기대역할 변화 양상과 반동사상문화 현상의 세 가지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북한 청년들에 대한 기대역할과 관련하여 김정은 시기에는 김정일 시기보다 군인으로서의 역할이 축소되고, 청년동맹 조직생활과 애국심이 강조되며 노동력을 제공하는 역할로서의 청년이 부각되었다. 둘째, 반동사상문화 현상에 대한 특징이 김정일 시기에는 반제계급의식에 강조점을 더 두었다면, 김정은 시기에는 문화적 확산 측면에 대한 경계심을 더 높게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정일 시기에는 반동사상문화가 경제적 일탈의 범주에서 다뤄졌지만, 김정은 시기에는 ‘반동사상문화배격법’과 같은 새로운 법을 제정하고 정치적 위협에 준하는 대응 정책을 도입하는 등 통제 수위가 상향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반동사상문화에 대한 위협의식은 김정은이 청년들에게 조직을 중요시 여기고 애국심이 투철한 사회주의 본연의 청년 역할을 강화시키는데 촉매제의 역할을 하였으며, 그동안 이동의 자유가 없던 북한 청년들 사이에 공통된 관심사를 불러일으켜서 ‘세대단위’의 청년문화를 공유하게끔 하였다. 또한 반동사상문화가 단순한 문화적 유희의 차원에서 경제적 생계수단으로 발전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앞으로도 계속 확장이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북한 사회 변화에 대한 전망에 대해 논의하며, 추후 남북의 문화적 통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 청년에 대한 기대역할에 대해 김정일과 김정은 시기로 나누어 다각적인 비교 분석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반동사상문화배격법’에 대해 주목하여 북한 사회의 최신 동향을 드러내었으며, 반동사상문화에 영향을 받은 북한 청년들의 역할과 문화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전과 달라진 북한 청년들의 문화를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recent years, North Korean young people have begun to have growing doubts about their roles as requir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young people who no longer depend on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s increasing as the distribution system that the older generations had depended on is collapsing and the market has been activated. This phenomenon has led to the formation of a new culture as young people become more curious about outside culture influences such as the Hallyu(Korean wave). In response,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defined “contact with outside culture by young people” as a serious deviation, and enacted the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Rejection Law on December 4, 2020, at the 14th 12th plenary session of the Presidium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to further tighten control over the North Korean peopl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xpected roles and interests of the North Korean youth have changed during the reigns of Kim Jong-il and Kim Jong-un.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response to the influx of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has changed during the Kim Jong-il and Kim Jong-un eras, and how their responses have affected the expected roles of the North Korean yout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youth, to explore future prospects for North Korean society,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nter-Korean integration process. This research employs analysis of the Rodong Shinmun and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as research methods. For the Rodong Shinmun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leading articles and political commentary from 2002 to 2021, and conducts keyword analysis and text mining analysis using R statistics. To complement the Rodong Shinmun analysis,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d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with Hallyu culture in Nor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phenomenon of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along with changes in the expected roles of the North Korean youth. Firstly, as compared to the Kim Jong-il period, the expected military role for North Korean youth has declined during the reign of Kim Jong-un, with youth league organization participation, patriotism, and contributing to the labor force being more greatly emphasized. Secondly, regarding the phenomenon of reactionary ideological culture, this study shows that while a greater emphasis was placed on anti-imperialist class consciousness during Kim Jong-il's period, this emphasis has shifted during the Kim Jong-un period to a higher level of caution about the spread of external cultural influences. Furthermore, in the Kim Jong-il era, reactionary ideological culture was treated as a category of economic deviance, but in the Kim Jong-un era, the level of governmental efforts to maintain control over reactionary ideological culture have increased as evidenced by the introduction of new laws such as the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Rejection Law’. Thirdly, the sense of threat provided by the phenomenon of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has served as a catalyst for the Kim Jong-un regime to strongly emphasize to North Korean youth the importance of the group and of the role of young people in socialism, which is thoroughly patriotic by nature. The shared phenomenon of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among North Korean youth has created ‘youth culture’ in North Korea, which is a new phenomenon given that North Korean youths have not had freedom of movement.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reactionary ideological culture has the potential to continue to expand in the future, given that it produces not only simple cultural entertainment but also an economic means of livelihoo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discusses the future prospects for North Korean society,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cultural integ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changes in the expected roles of North Korean youth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reigns of Kim Jong-il and Kim Jong-un, and also reveals the latest trends in North Korean society and features of North Korean youth culture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eactionary Ideology and Culture Rejection Law’.

      • 북한 이주 청년들의 진로 모색 과정을 통해 본 생애 전략

        박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450

        This paper examines the means and the limitations North Korean youth migrants face as they strive to construct their own strategy in finding careers in South Korea. Since late 1990s', North Koreans have been leaving their own country. This is due to globalization, economic changes in North Korea, development of migration industry and the desire of individuals and families wishing to improve their lives from poverty. Some of the migrants who left North Korea use their kinship network and live relatively stable lives in China. However, for those who have no kinship network, they had to endure poverty due to limited support. Those who leave North Korea become illegal migrants due to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The migrants residing in China hide their identities, live by cheap labor, and sometimes choose marriage as a means of living. If their lives are endangered by such harsh environment, they choose to migrate to South Korea to have a better social and economic status. From mid to late 1990s, the number of North Koreans migrating to South Korea has increased and as of 2007, it has reached to 10,000. The resettlement support system that South Korean government offers includes endowment of nationality, residence and resettlement fund. The influx of North Korean migrants had expected a warm welcome from their brother country, South Korea. However, North Korean migrants face prejudice in South Korea and experience difficulties in gaining economic and symbolic capital. Previous researches studying North Korean migrants failed to see their experiences from the subjective view of expectation and strategy in life. In addition, the studies had on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resulting in overlooking the matter of migration in the macro-context. This research approaches North Korean migration from a conception of 'forced migration'. As Castles(2003) suggested, the concept of forced migration renders us to see structural impact on migr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strategies of North Korean youth migrants in pursuing their lives through immigration. In this process, social context of each society interact with the migrant individuals. North Korean migrants in their 20’s and 30’s make up majority of North Korean migrants. It is also believed that youth tend to have wider life expectations and a greater chance at gaining various types of resources than people in other age groups. However, social network, inconsistency and inefficiency of governmental support, and exclusion by the society, limit the opportunities of the North Korean youths in acquiring their nee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matters thoroughly,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North Korean youth migrants for six months since June 2007. Firstly, this paper begins wi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approach of the North Korean youth migrants' initial processes in migration. Then it looks at the consistenci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network in the process of migration. Secondly, the paper focuses on the strategies of the North Korean youth migrants in choosing university, work, marriage and re-immigration in interaction with social context of South Korea. Finally, it is discovered that they form alternative identity by negotiating between the two separate identities as South Korean and as North Korean. Surely, for the North Korean youth migrants this is not an easy process. As marginal migrants, they experience obstacles in piling up meaningful resources and making life plans. But they struggle and sometimes negotiate the realities with their status as a 'refugee'. This paper emphasizes to see the North Korean youth migrant as the social agents. Also it tries to explore the experiences migrant youths make in their career developments without representing them as victims of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poverty and stigmatization. From the investigations, this research strives to describe the North Korean youth migrants as active subjects who perform various strategies in their life and career paths. 본 연구는 북한을 이탈하여 남한으로 이주한 청년들이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드러내는 생애 전략과 그 의미를 해석하려는 연구이다. 북한을 이탈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게 된 것은 글로벌리제이션, 이주산업의 발달, 경제적 곤궁 속에서 더 나은 삶을 희구하는 개인 및 가족의 전략에 의한 것이다. 북한을 떠나 중국 등지로 이동한 이주민들은 친척 연결망을 활용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생활을 하기도 하고, 미약한 자원을 가진 채 빈곤한 생활을 감내해야 하기도 한다. 주변화된 방식으로 이주한 북한 이주민들은 중국과 북한 간의 정치적 관계로 인하여 불법 이주민이 된다. 중국에서 북한 이주민들은 신분을 감추며 노동을 하고 생계 수단으로서 결혼을 택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신분 탄로의 위험에 처하여 생활을 이어갈 수 없거나, 남한 사회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더 나은 사회 ? 경제적 지위를 획득하고자 남한 이주를 선택하게 된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입국은 199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 현재 1만명에 다다랐다. 남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제도는 국적 부여, 주택과 정착금 지원을 포함한다. 북한 이주민을 남한으로 유입하는 것은 합법적 신분 부여 및 경제적 지원을 포함하는 정착지원제도와, 같은 언어를 쓰는 ‘동일 민족 국가’에 대한 문화적 기대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달리 남한에서 북한이탈주민은 낙인화, 주변화된 사회적 위치를 인식하게 되고 경제 ? 문화 ? 사회 자본을 획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북한이탈주민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은 이들의 이주 경험을 연속적으로 인식하며 삶의 기대와 전략을 가진 행위자로 보는 시각이 부족했다. 또한 분단으로 인한 남북한 관계의 정치적 특수성만을 부각시켜 이주가 이루어지는 거시적 맥락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특수한 정치적 상황 아래 발생하는 ‘탈북 난민’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이들의 이주는 글로벌리제이션의 구조적 영향 하에 주변적 위치에서 이주하는 성격을 나타낸다고 보아 좀 더 폭넓은 의미를 가진 ‘강제적 이주(forced migration)’의 개념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을 빈곤과 사회적 통제 속에서 억압받으며 이동하는 사람들로 피해자화하지 않기 위해 이들이 각 이주 단계에서 수행하는 생애 전략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국경을 너머 이주 사회 각각의 맥락들과 상호작용하며 생애 전략을 구사하는 측면이 청년층에서 가장 잘 보여질 것이라 가정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을 2,30대 북한 이주 청년집단으로 하였다. 2,30대 청년 집단은 남한으로 입국하는 북한이탈주민 중 입국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이기도 하다. 북한 이주 청년들은 대학 진학, 취업 기회에 있어 중장년층에 비해 유리한 적응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청년은 삶을 계획하고 기회를 확장하려는 욕망이 높은 집단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사회적 연결망 및 문화 자본의 미약함과 정부 지원의 단기성과 비체계성, 사회적 배제 등으로 인하여 청년들이 자원을 획득하는 과정은 한계에 부딪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연구자는 2007년 6월부터 약 6개월간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 있는 북한 이주 청년 11명을 심층 면접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먼저 북한 이주 청년들이 이주하는 배경과 계기를 다루고 이주가 계속해서 연결되는 측면을 사회적 연결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북한 이주 청년들이 대학진학, 노동, 결혼, 재이주의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남한 사회 맥락들과 상호작용하며 생애 전략을 구사하는 측면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진로 모색의 과정에서 청년들은 남한 혹은 북한의 국민으로 포섭되지 않고 맥락에 따라 적절히 협상하며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은 북한 이주 청년들이 주변화된 위치에서 수혜를 받는 피해자가 아닌, 자원 획득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생애 전략을 구사하는 행위자로서의 측면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또한 남한 사회가 청년들을 ‘탈북’한 사람으로 단일하게 재현하는 것에 대항하여 역동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 남북한 출신 청년이 만드는 접촉지대의 문화번역과 협력적 생애사 : A 독서모임을 중심으로

        Hidaka, Sawako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69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different shapes of power dynamics and identities that are constructed, exchanged and modified within a contact zone between young South Koreans and young North Koreans. Conducting a fieldwork on a book club organized by these young people called “Book Club A,” it finds that the gathering is a place of daily and micro-cultural activities where the cultural medium of books allows its members to share views. The club serves as a physical space of contact for the two groups of young Koreans and also deepens, psychologically and cognitively, thei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The number of North Koreans who have defected to South Korea exceeded 30,000 in 2017. Ever since, South Korea has searched for ways to better support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to "coexist". A series of developments in the two Koreas’ 2018 international relations, including the inter-Korean summit and the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 has heightened much of the South Korean society’s interest in its Northern counterpart. Some in the South have advocat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integrated into South Korea referring to their shared ethnicity. Indeed, South Korea has been an active party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a macroscopic sense, and yet it has overlooked the fact that there emerged another form of inter-Korean relations at a microscopic level – that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thesis attempts to translate the varying terms through which the young people of two Koreas build their relationships in a cultural space of a book club, and to inquire into the ensuing changes in how they identify themselves in the course of such development. It employ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reveal what conventions are mutually understood by the members and what their respective locations imply. It may be safe to assume that young South Koreans are the majority while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re minority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it is an uncontested fact that power relations between them already exists in many areas. Book Club A becomes a space inconsistent with the outside world. Books lay the foundation for conversations led by shared interests while the formality and rituals set by the club endorse equitable social membership. Here in this quotidian and microscopic space, all members, those native to South Korea and those who defected from the North alike, encounter and practice mutual recognition that cannot be experienced beyond its doors. Also, the discussion about books is based on their life experience, which heals them related to the historical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forms mental bond between them. This process can be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Collaborative Life History as well as the example of German reunification and separated Korean people. Book Club A is different from public institutions in that it does not provide financial supports to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Its impact, after all, lies in offering the young North Koreans with the experience of social recognition and interaction that are as crucial to a settlement in the Korean society as is any public support. The presence of this space has a great social significance; it signals to the young generation of the Korean society, whose ethnic diversity exhibits continuous growth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minorities of their society. 본 연구는 남북한 출신 청년들이 A 독서모임이라는 문화적 접촉지대에서 역동적인 권력 관계와 정체성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서로 교환하며 변화시키는 모습을 분석(번역)하는 연구이다. 연구현장인A 독서모임은 책이라는 문화적 장치를 통해 의견을 나누는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문화활동의 장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A 독서모임을 단순히 한국과 북한 출신 청년이라는 두 집단이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공간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서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나가는 심리적, 인지적 공간으로서의 문화적 접촉지대로 본다. 한국에서는 북한이탈주민 3만 명 세대라고 불리던 2017년쯤부터 본격적으로 북한이탈주민과 한국 사람이 ‘상생’하기 위한 방향성이 계속해서 모색되어 왔다. 특히 2018년에 들어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연이어 개최되는 등 국제관계가 요동치는 가운데 한국 사회에서는 북한에 대한 관심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한편 한국 사회에서는 민족성을 언급하면서‘한국 사람’인 북한이탈주민을 ‘우리’안에 편입시켜야 하는 존재로 보는 시선이 존재한다. 또한 국제관계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은 남북관계의 주체라고 하지만 국내라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국 사람과 북한이탈주민 간의 작은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A 독서모임이라는 문화적 공간에서 남북한 출신 청년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어가는 모습과 그들의 변화하는 정체성을 참여 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분석(번역)하고 일상적인 현장에서의 남북한 출신 청년의 상호이해와 그들의 위치가 시사하는 의미를 밝혔다. 한국 사회에서 한국 출신 청년은 다수를 차지하며 북한이탈주민인 북한 출신 청년은 소수자인 것은 사실이다. 이들 간에는 여러 분야에 걸쳐 권력 관계가 이미 존재한다. 그러나 A 독서모임에서는 책이라는 문화적 매개체를 통해 그들 간의 대화를 가능케 한다. 또한 동등한 사회적 동료로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의례를 토대로 남북한 출신 청년은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공간에서 외부 사회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상호인정의 관계를 실천하고 있다. 또한A 독서모임에서 이루어지는 토론과 논의는 개개인의 인생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역사적인 분단, 민족의 이산 등의 경험으로 인한 고통과 고독감이 치유되고 구성원 간에서의 공동체성이 생기는 효과를 낳는다. 이러한 과정은 독일통일과 한민족 이산의 사례와 같이 협력적 생애사라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A 독서모임은 공공기관의 지원정책과는 달리, 북한 출신 청년을 경제적으로 지원하지는 못하지만,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데에 있어 경제적 지원 못지않게 중요한 사회적 인정의 감각과 소통의 경험을 제공해준다. 이것은 앞으로도 지구화로 인해 다문화사회가 진행될 한국 사회를 만들어가는 주체인 청년에게 소수자와의 교류와 소통의 가능성을 깨닫게 해준다는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 Adjustment of the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support policy

        김문희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2 국내석사

        RANK : 233215

        Abstract This thesis observes the adjustment issues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who are living in South Korea and tries to find solutions that can help the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djust well in a new community. As the number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has increased, the educational support policies for the youth defectors has been developed by the government and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has also grown. Although the governmental budget for educational support for the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has increased, the support policies could not bring out completely positive results. Due to both the government and NGOs’ consistent efforts and the supports, the dropout rate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has decreased steadily since 2008. But, why is the dropout rate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still much higher than the rate of South Korean students? Why were the support policie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not effective enough to bring about positive results? First, it is because there was not a lot of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to help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djustment. Second, there are problems at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excess of supply and unnecessary competition to attract North Korean students, a lack of qualified instructors and a low number of staff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Lastly, the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alternative schools are out of the boundaries of the regulations. I argue that NGOs should be seen as partners to government to carry out the delivery of public goods largely financed by government.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NGOs is inevitable to solve the problems and to improve current educational status that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have.

      • 새터민청소년 지원 거버넌스 연구 : ‘하나둘학교’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윤상석 북한대학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3164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입국초기 새터민청소년 지원 거버넌스를 고찰하는 것이다. 새터민 문제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우리 사회의 과제이다. 특히 새터민청소년의 경우에는 전체 새터민 중 약 20% 정도로 입국초기부터 이들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공공의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새터민청소년 지원은 정부의 영역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민간 영역의 다양한 지원 주체들이 함께 지원하는 거버넌스 접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입국초기를 하나원 재원 기간으로 해석하며 거버넌스 이론 중 메타거버넌스 측면에서 새터민청소년 지원 거버넌스의 사례로써 하나둘학교를 분석하였다. 메타거버넌스란 국가를 제외한 여러 행위자들이 자율적으로 형성한 네트워크를 정부가 관리 또는 후원하는 것으로써, 이 때 국가의 제도적 지원으로는 각 행위자들의 자율성, 전문성, 참여성 등을 고양하기 위해 예산 및 관련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며, 나아가 개별단체들이 효율적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둘학교를 거버넌스 차원에서 분석하기 위해 거버넌스의 주요 요소로서 자율성(autonomy), 전문성(specialization), 참여성(participation), 네트워크(network), 분권화(decentralization), 그리고 효과와 효율성(effectiveness and efficiency)으로 나누어 보았다. 이를 거버넌스 평가 지표를 통해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율성 측면에서 볼 때, 하나둘학교는 당시 대안 교육에 관심 있는 활동가와 전문가들이 새터민청소년 교육 지원의 시급함을 인지하고 자발적으로 조직되어 하나원의 협조 하에 지속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하나둘학교 초기에는 하나원의 간섭은 행정적 처리 문제에 국한된 경우가 많았으나, 2003년 이후 점차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교 운영 전반에 관여하게 되며, 결국 2005년 6월부터는 하나원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둘째 전문성 측면에서 볼 때, 하나원은 성인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과 시설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2000년대부터 가족단위로 또는 청소년 연령대의 단독 입국과 같이 전 세대에 걸쳐 새터민들이 하나원에 입소하자 새터민 아동청소년 교육에 있어서는 위탁 교육 외에 대안이 없었다. 셋째 참여성 측면에서 볼 때, 하나원은 하나둘학교의 설립으로 인해 아동청소년 교육이 가능해졌으며 이는 곧 하나원을 새터민 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하나둘학교는 하나원이 주도하는 일정과 규정을 준수해야 했으며, 그 틀 안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하나둘학교를 운영했으나 새터민청소년 지원 정책을 결정하는 자리에 참석하지 못했다. 넷째 네트워크 측면에서 볼 때 하나둘학교는 프로그램 성격과 내용에 따라 외부 전문 기관과의 적극적인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교육 장소를 외부의 협조로 해결하고 필요한 경우는 외부 예산을 확보하기도 하였으며, 각종 자원활동가들을 참여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하나둘학교는 다양한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네트워크 활용에는 적극적이었으나, 네트워크 형태가 체계적이지 못한 사적 인맥에 의한 네트워크가 상당수였다는 한계가 있었다. 다섯째 분권화 측면에서 볼 때, 하나원과 하나둘학교는 전혀 다른 조직이었으나 여러 가지 특성상 다소 위계적인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즉 하나원은 담당직원, 과장, 원장의 위계를 갖춘 국가기관으로 내부적 분권화에 한계가 있는 반면 하나둘학교는 교사와 교사 중 한명이 교사대표의 역할을 추가로 하는 정도로 수평적 분권화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점차 하나원은 하나둘학교에 ‘협의’하는 방식보다는 ‘통보’하는 방식의 위계화하는 방식으로 변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효과·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하나둘학교는 입국 초기 새터민청소년 지원에 있어서 하나원의 메타거버넌스적 기능 수행에 적극 동참하였으나 결과적으로 하나원 또는 하나둘학교 차원의 네트워크 관리자 역할과 각각의 행위자들을 연결하는 대화의 장 마련 등에는 다소 미흡한 점도 있었다. 결론적으로 하나둘학교의 거버넌스 유형을 살펴보면, 하나둘학교는 새터민 업무의 특성상 정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대상에 따라 전문 기관에 지원 업무를 위탁하고 지원하는 방식의 메타거버넌스 틀 안에 있었으며, 거버넌스 유형으로 볼 때는 분권형 거버넌스에 가까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overnance system for supporting North Korean youth refugee who are in the beginning stage living in South Korea. The problems relating to North Korean refugee are not the temporary issues but the remarkable even increasing problems since 2000. Especially, the youth group amounting to 20% of all North Korean refugee requires special public service which meets their own needs and distinctive qualities. However,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is not sufficient mechanism for youth but more collective governance system is necessary. This study defines that the beginning stage in South Korea for youth means the period when they have to stay in Hanawon-special government institution only for North Korean refugee-, and analyzes various cases in Hanadul school under the Hanawon by applying meta-governance theory. It is called meta-governance when the government manages or sponsors a network which was autonomously built by various agents or actors except for the nation. Under this governance system, the government provides institutional supports such as budget, rela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order to raise autonomy, specialization and participation, and it supports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to establish effective network. Besides, due to analyze Hanadul school with this meta-governance theory, the study observes autonomy, specialization, participation, network, decentralization, and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s major components of the governance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ith governance assessment index are follows as: the first, in the autonomy index, Hanadul school was autonomously built by social workers and civilian experts interested in alternative education and continuously managed by them with cooperation of Hanawon. Hanawon interfered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school only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affairs at the first beginning of the school, however, it started to involve in the educational program after 2003 and ultimately decided to run the school by itself since June 2005. In the specialization aspect, since Hanawon had educational program and facility only for adults, it did not have another option but entrusting the youth education to the social workers and experts when North Korean entrants were enlarged ranging from individual children and youth to family groups. In the participation criteria, the establishment of Hanadul school enabled Hanawon to educate children and youth, and played a role to enhance the reputation of Hanawon as the prim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On the other hand, the school had to obey the schedule and regulations led by Hanawon. Even though the school operated the educational program under the supervision of Hanawon, it could not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the policies of North Korean youth refugee. The forth, in the aspect of network, Hanadul school sometimes resolved problems of limited classrooms with the cooperation of outside institution, tried to obtain budget support from outside and encouraged volunteers to join the schooling system. While it can be said that the school was active toward networking for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e networking itself showed a limitation since it was built by personal connections not by systematic network. Even though Hanawon and the school is totally different organization, there was a hierarchical structure among them in the aspect of decentralization. Hanawon as one of the governmental agencies had an institutional limitation on internal decentralization, but Hanadul school was possible to decentralize itself by endowing the role of teachers' representative to one of teachers.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Hanawon and the school became a hierarchical structure when Hanawon started to change its communication skill from 'discussion' to 'notice'. Lastly, in the aspect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e school actively participated to help Hanawon function as meta-governance system to support North Korean youth refugee in the beginning stage living in South Korea. However, as a result, the school was insufficient to provide the extensive communication route for each different actor and to play a role as a network manager. To conclude, Hanadul school was under the meta-governance system in that the government played major role because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refugee, but at the same time it entrusted the education for youth to the civilian experts. Also, when it comes to the type of the governance, it is closed to decentralization.

      • 그룹홈 탈북청소년의 자립과정 연구 -심리·정서적 자립을 중심으로-

        정현희 북한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3163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ndependence from a Group Home, focusing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en North Korean defectors, aged between 21 and 27, who lived in a Group Home for more than 18 months. This research explores how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 operate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self-reliant in a Group Home, by applying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volving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n a Group Home mainly experienced anxiety about being independent. Regarding how they deal with this anxiety while continuing to interact with a Group Home,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one of three types: one (those who feel confused), second (those who adapt themselves to reality), and third (those who become future-oriented). First, during their stay at a Group Home, those who feel confused showed a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had much difficulty in complying with rules and in resolving conflicts with others. After they left the Group Home, they also had a long and precarious journey toward self-reliance, because of the lack of self-regulation and self-control. Their self-reliance was low, and they tended to be involved in deviant behaviors and to become marginalized. Second, the group that adapted themselves to reality tended to focus on achieving their economic independence not only at a Group Home and but also after they left the Group Home. They accepted the difficulties that they faced in becoming independence, and had the capacity to resolve problems by utilizing the various social networks available. They tended to be content with their circumstances and were grateful for their lives, while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Group Home. Third, those who were future-oriented,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hallenges they faced in a Group Home and in their becoming independent. They also took action to overcome those difficulties. After leaving a Group Home, they were not simply complacent in their new situations but took active steps to build a better future. They had the capacity to benefit from the various social services around the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dependence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n a Group Home is not completely achieved when they leave the Group Home, but is an ongoing process, involving gradual transformation and growth, as they continue to interact with the Group Home.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First, a Group Hom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independence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by meeting their need of ‘a family’ and by providing them with an alternative kind of family. In particular, the support received from a Group Home has a great effect on the defector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dependence. The Group Home’s staff and hands-on workers play an important role by meeting the defectors’ need for ‘parents’ and by creating ‘homey atmosphere’. Second,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who find it difficult to live at a Group Home and to become independent usually had negative mindset, caused by their life experiences in North Korea, their desire to escape North Korea, and their painful journey during the escape from North Korea. However, if a Group Home staff or hands-on workers discover these negative influences at an early stage, and help the youth to realize their potentials and strength, the youth were more likely to achieve self-reliance. In short, the staff or hands-on workers’ continuous sympathy and support are the foundation for those young people’s healthy independence. To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 Group Home means much more than just a space for living. It functions as their alternative family by providing warmth and comfort, which ultimately enhances their sense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ecurity, and helps them to become self-reliant. As a further step, the current settlement support paradigm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needs to be changed from ‘protection and education’ to ‘independence and settle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various research into Group Home and their independence should be carried on, and practical discussions and systematic policies to improve Group Home schemes need to be done. 본 논문은 심리·정서적 요인에 주목하여 그룹홈 출신 탈북청소년의 그룹홈 경험과 자립의 과정을 통합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18개월 이상 그룹홈에서 생활한 만 21세에서 만 27세 미만의 탈북청소년 10명이다. 본 연구의 질문은 ‘그룹홈 탈북청소년의 자립과정에서 심리·정서적 요인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로,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 중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분석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그룹홈 탈북청소년들의 자립과정의 중심현상은 ‘자립에 대한 불안’이었으면, 이를 중심으로 그룹홈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유형은 혼돈형, 현실적응형, 미래지향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혼돈형은 그룹홈 생활 동안 심리·정서적으로 우울과 불안이 높았고, 규칙 준수의 스트레스와 구성원과의 갈등을 원만하게 해결하지 못했다. 자립 생활에서 자기 조절과 통제의 어려움으로 위태로운 홀로서기를 장기간 경험하였다. 일탈행동과 주변화 등의 경험 수준이 높았으며 경제적 자립 수준은 낮았다. 둘째, 현실적응형은 그룹홈 생활과 자립 생활에 원만하게 적응하며 경제적 자립에 집중하였다. 자립의 어려운 현실을 수용하고 다양한 사회적 연결망을 활용하여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해 갔다. 현실에 만족하고 감사하는 삶을 지향하면서 그룹홈과의 유대를 지속적으로 맺고 있었다. 셋째, 미래지향형은 그룹홈 생활과 자립 생활에 있어서 불편함과 어려움들을 긍정적인 사고로 전환하고 적극적인 태도로 행동 모색을 해나갔다. 자립 생활에서도 강한 자립 의지로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해나갔고 다양한 사회적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그룹홈 탈북청소년들의 자립은 퇴소 후 완료되는 문제가 아니라 탈북청소년과 그룹홈의 상호작용속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해나가는 과정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홈은 탈북청소년들에게 ‘가족의 부재’를 채워주는 대안가정이 되어줌으로써 자립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특히 심리·정서적 자립에 있어 그룹홈 가족의 유대와 지지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결핍’을 대신해 주고 ‘가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있어 그룹홈 실무자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둘째, 그룹홈 생활과 자립에 어려움을 겪는 탈북청소년의 경우 북한에서의 생활경험, 탈북 동기, 탈북과정에서의 부정적 경험들이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그룹홈 실무자가 조기에 성장에 영향을 주는 저해 요인들을 발견하고 이들의 잠재력과 강점을 개발하도록 도울 때 이들의 건강한 자립이 이루어 짐을 알 수 있었다. 그룹홈은 탈북청소년에게 단순한 생활 공간이 아니라 따뜻하고 편안한 집이 되어줌으로써 자립에 필요한 다양한 준비를 할 수 있는 심리·정서적 안전기지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탈북청소년에 대한 정착 지원 방향이 ‘보호와 교육’ 중심에서 ‘자립과 정착’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탈북청소년 그룹홈과 자립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그룹홈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논의와 제도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 학력인가 후 학생의 변화 연구 : A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조명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023

        국문요약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 학력인가 후 학생의 변화 연구 - A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교육 공백기가 긴 고연령의 북한이탈 청소년들은 나이가 많고 기초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학교 진학을 포기하고, 학교 밖에 머물거나 미인가 대안교육시설에 입학한다. 본 연구는 2004년 미인가 대안교육시설로 개교하여 2010년 학력인가 취득한 A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 학력인가 후 학생의 변화를 학생들과 교사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심리, 학습, 생활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심리, 학습, 생활 측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학력인가 이후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심리적 변화는 첫째, 검정고시라는 압박감에서 해방되었다는 것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둘째, 국가가 인정하는 정식학교로 인가 되므로 남한 학교 소속감에서 오는 당당함과 자부심이 생겼다고 하였다. 셋째, 정식학교로 인가되므로 자신들도 진짜 학생이 된 자부심과 책임감이 들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와 자신을 동일시하여 남한국가와 남한 사람들에게 인정받은 느낌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인가 이후의 학습 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났다. 첫째, 학습에 자발성을 띄기 시작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무엇이든 물어보고 다양하게 학습할 수 있는 자유로운 학습 분위기가 조성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학생이 교육과정에 참여하였으며 팀워크의 활성화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넷째, 3년 단위의 안정적 교육기간으로 미인가 시기와 비교하여 좀 더 신중하게 진로(대학진학)를 결정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 면에서의 변화는 A학교의 재학 시기 뿐 아니라 졸업 후 대학적응에서 자신감과 실력을 갖게 하여 적응을 수월하게 하였다고 나타났다. 학력인가 이후 생활면에서의 변화는 성인에서 학생으로 정체성을 갖게 되어 학교의 규율을 지키는 것을 당연시하였고, 생활지도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적극적으로 문화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여유 있게 남한식 언어문화를 익히게 되었다. 학교에 대한 애교심과 학교 구성원간의 친밀감이 강화되었으며, 자신 있게 대외 관계도 맺게 되었다. 생활면에서 나타나는 변화 양상들은 대학교에서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데 자산이 되어 대학적응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A학교의 학교의 학력인가이후의 학생들의 심리, 학습, 생활면에서의 변화를 종합한 결과 인가 이후 학교에 대하여 '국가로부터 인정된 신원보증 기관'이며, 북한의 식량난과 탈북과정에서 '잃어버린 학창시절을 회복시켜주는 기관'으로 인식하였고, 북한이탈청소년들에게 적합한 대안교육을 시작하는 '또 하나의 학교'이라고 인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