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신 주수별 쌍태아의 출생체중 분포

        박서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 쌍태아의 출생시 체중을 바탕으로 쌍태아의 태아발육곡선을 그려, 단태아의 발육곡선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자궁내 태아 발육 부전 및 과체중아의 기준을 마련하여 쌍태아의 주산기 관리의 자료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산모에서 태어난 쌍태아 819쌍, 1,638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각 임신 주수에 따른 평균 출생체중, 10백분위 체중, 50백분위 체중, 90백분위 체중을 얻었고 또한 이 결과를 단태아의 발육곡선과 비교하였다. 더불어 태아 성별, 출산력, 융모막의 형태, 보조 생식술 사용 여부에 따라서 각 임신주수에서의 출생체중 또는 성장 불일치 정도를 구하였다. 결과 : 임신 21주에서 40주까지 10, 50, 90 백분위 체중을 가지고 쌍태아 태아 발육 곡선을 작성하였다. 쌍태아의 체중은 임신 33주까지는 단태아와 유사한 성장을 보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출생체중의 차이가 더욱 증가하였고 임신 37주 이후부터는 쌍태아의 50백분위 체중이 단태아의 10백분위에 수렴하는 양상을 보였다. 쌍태아에 있어서 경산부가 초산부보다, 이중 융모막이 단일 융모막보다 평균 태아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이나 보조 생식술 사용 여부에 따른 태아 체중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쌍태아의 발육 곡선은 단태아와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쌍태임신시의 임상적 관리는 쌍태임신 고유의 발육곡선에 근거하여야 한다. Objective: To establish intrauterine growth curve for the birth weight of twin on the basis of gestational weeks Material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twin pregnancy delivered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6 were reviewed. Eight hundred and ninteen twin pairs (1,638 infants) were enrolled our study population. The newborn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and the mean, 10th, 50th, and 90th percentile of birth weight for each gestational weeks were calculated. Intrauterine growth curve of twin was compared with that of singletons. Results: The birth weight of twin pregnancy fell below that of singleton pregnancy after 33 weeks of gestation. The mean birth weight in multiparity was heavier than in primiparity. The mean birth weight in dichorionic twin was heavier than in monochorionic twin. Conclusion: Twin specific birthweight curve on the basis of gestational age was presented. The growth pattern of twin infants was different from that of singleton infants and this can be used in the management of twin pregnancy.

      • 항공사의 복리후생제도가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결혼여부 조절효과 중심으로-

        박서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항공사의 복리후생제도가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복리후생제도와 직업만족,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의 일반기업의 복리후생제도를 토대로 항공사 복리후생제도에 적용하여 검증하고, 항공사의 복리후생제도가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결혼여부에 따른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2017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K항공사 남·여 승무원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방법은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301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복리후생제도 실행정도의 측정은 자기기입법을 통한 설문조사로 측정하였으며,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Window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빈도분석 및 기술 통계를 사용하여 표본과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복리후생제도에 대한 요인추출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들의 측정 변수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또한,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복리후생제도와 직업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재실시하였다. 또한 직업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복리후생제도의 하위 요인 중 문화지원, 경제지원, 통근지원 세 개의 요인만이 지속근무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근무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강도는 경제지원이 가장 크고 문화지원 통근지원 여행지원 건강관리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리후생제도와 직업만족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복리후생제도는 직업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직업만족은 지속근무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집단의 건강관리지원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복리후생제도와 직업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직업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지원과 통근지원은 완전매개, 경제지원은 부분매개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기업의 복리후생제도에 집중되어 있던 복리후생제도의 이론을 항공사의 복리후생제도에 적용했다는 점과 항공사의 복리후생제도가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가 조절효과를 주지만, 미혼집단에게 건강관리지원만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타 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를 포함하여 항공사별 복리후생제도의 연구를 확대하여 일반화 시킬 수 있게 노력이 필요하며 숙련된 인력의 손실을 막고 경영성과를 올리기 위해서 좀 더 융통성 있는 휴가 부여와 여행지원제도의 확립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employee benefits packages of airlines on job satisfaction and long-term position, and to prove the moderation effect of marital status in a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job satisfaction or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long-term posi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mployee benefits packages on job satisfaction and long term position based upon previous studies on general companies' employee benefits package,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marital status on job satisfaction and long-term position, 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K airline female and male cabin crew. In addition,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301 pieces of data in the final analysis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how well employee benefits packages are provide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self-report method and SPSS 18.0 Statistics for Window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characterizes samples and variables by descriptive and frequency analyses, and conducts a reliability analysis to verify the reliability on measuring variables by factor as well a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discover factors on employee benefits packages. Furthermore, this paper implements a hierarchical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moderation effect of marital status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long-term position, and conducts the hierarchical analysis again to find the moderation effect of marital status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job satisfaction. On top of that, this thesis carried out a mediating effect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indicates that only three factors; support for cultural activities, financial support, and employer-provided shuttle service as sub-factors of employee benefits packages have beneficial influences on long-term position.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financial support is the biggest influence on long-term position and it is followed by support for cultural activities and employer-provided shuttle service, travel benefits and health care servic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job satisfaction, employee benefits packag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has beneficial impacts on long-term posit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ong-term position.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arital status's moderation eff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long-term position, marital status has the moderation effect and health care service for single crew has the moderation effect. Fifth, the study shows that marital status does not have the moderation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arital status's moderation eff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job satisfaction. Six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s meditating eff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long-term position, support for cultural activities and employer-provided shuttle service are shown as full mediation while financial support is seen as partial media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applying the theory of employee benefits packages to airlines' benefits plan and analyzing the influence of employee benefits packages on job satisfaction and long-term position. In addition, it verifies the fact that marital status has the moderation effect in a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long-term position but only health care service for single crew has the moderation effect. A future study needs to expand research on employee benefits packages by airline including other and low-cost airlines to generalize the employee benefits packages. Moreover, it is considered to establish more flexible leave system and travel benefits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and minimize skilled manpower losses.

      • 대화 중심 감상법을 적용한 미술 비평 수업 지도 연구 : 시대에 따른 예술의 인정성의 범위

        박서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ltimate cause of the difficulty of modern art can be found in the beginning of cognitive emotions that accept art difficult and complexly. Hence, through the process of indiscriminately accepting works that are difficult to interpret perceptually, the perception to regard modern art as a difficult field is increasing due to the wrong appreciation. There are various perspectives on appreciating the art piece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cultural background and values. For the reas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rends of modern art with a changed paradigm through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and to guide appreciation so that it can be a variety of aesthetic experiences in life.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Arenas conversation appreciation-centered method to modern art appreciation classes for value judgment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changed perspective. In this process, the changed perspective on reproduction and expression in art was considered based on the existing history. Also, the concept of Arthur Danto's art theory and what Danto argued were emphasized, and such contextual flow was also explained. In other words, the overall flow was examined based on the historical flow until it was changed to the concept of today's art and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Particularly, the method focused on the Arenas conversation appreciation was systematically analyzed and presented, and a class plan centered on the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high school career options was presented so that the guidance plans could be applied appropriately to the current curriculum. Based on this, questions according to various perspectives of modern art were presented to present customized guidance plans depending on each class, and the difficulty of the work was adjusted to the level of depth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and interest, and the activity sheet was presented for each phase.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map was produced in an interactive way that allows people to approach the difficulties of appreciating modern art in a friendly and easy way to relax boundaries. However, this study was not conducted as a practical class, so it also has limitations as being left as only a research. Hence, this study hopes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modern art in a friendly and close manner not in a uniform and gradual criticism class, and also, based on the contextual flow of contemporary art works, this study also hopes that students can reflect their value judgment and standards for perspectives on appreciation. Additionally, through criticism classes, students are expected to develop a posture setting standards for analysis and judgment at the same time as they appreciate art pieces, and to develop sensitivity to look back on themselves and the world through those who do not only as objects of appreciation.

      • 건강신념 모델을 적용한 고혈압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박서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건강신념 모델을 적용하여 고혈압 관리 및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그 교육 효과를 분석하는 한편, 고혈압 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앞으로 고혈압 예방 및 관리 교육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1은 건강신념 모델을 적용한 고혈압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로 보건소에 내원하는 고혈압 환자 및 고혈압 전단계 환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실시 한 후 이를 토대로 고혈압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FGI를 통해 교육 요구도 및 대상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건강신념 모델 요인(인지된 위협, 인지된 이득과 장애, 행동의 계기)을 조사 하였는데 고혈압의 인지된 위협요인은 ‘가족력’, ‘건강관리 소홀’, ‘국물을 선호하는 습관’, ‘혈압약 복용’과 ‘의료비 부담’이 주로 언급되었고, 고혈압 관리 시 얻을 수 있는 이득으로 ‘건강한 식습관 유지’, ‘건강 회복’, ‘가족들도 함께 건강을 회복’, ‘의료비 절감’ 그리고 ‘체중감소’를 언급하였다. 혈압관리를 실시하는데 장애가 되는 점들은 ‘저염 식사가 맛이 없음’, ‘국물을 선호하는 식습관을 바꾸기 어려움’, ‘편의위주의 식습관’, ‘외식 시 저염 메뉴 선택 제한’ 이 언급되었다. 혈압관리를 실행하는 계기로는 ‘의사의 권유’, ‘높은 혈압’, ‘TV 매체’ 등이 언급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혈압 관리 및 예방을 위한 16주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저염식생활 관리 및 생활습관 교정을 위한 조리실습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교육 대상자가 적극적으로 교육을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8주 심화영양 프로그램은 고혈압의 이해, 위험요소 관리, 저염식의 이해와 조리, 보다 더 건강한 식사(1, 2) 그리고 총정리로 구성하였으며, 각 주차별로 건강신념 모델 요인들을 넣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고혈압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는 교육 대상자와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거쳐 교육의 이해도를 높이고 교육 내용의 표준화를 위한 방향으로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 2에서는 개발된 보건소 고혈압 관리를 위한 영양교육 효과 평가를 목적으로 서울 3개 지역 보건소에 내원하는 경계성 고혈압 및 발생위험이 있는 중년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 대상자는 156명이었고, 이 중 설문지 조사와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검사를 완료한 115명의 연구 결과를 고혈압군(44명)과 정상군(71명)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신체계측과 혈액성상 지표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이완기혈압은 교육기간동안 두 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축기혈압은 고혈압군과 정상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허리둘레의 경우 8주 교육 기간 후 고혈압군은–4.6%(p<0.001), 정상군은 –2.8%(p<0.001)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HDL-cholesterol의 경우 고혈압군(9.3%)과 정상군(8.9%) 두 군 모두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p<0.001), 중성지방의 경우 고혈압군 -15.7% (p<0.01), 정상군 –14.9%(p<0.01)의 큰 감소를 보였다. 또한 고혈압군은 HDL-cholesterol과 중성지방 외에 LDL-cholesterol 지표가, 정상군은 총콜레스테롤 지표가 16주 교육 기간 동안 유의한 감소를 보여 두 그룹 모두 교육 고혈압 관리를 위한 영양교육이 건강지표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식습관과 영양지식, 자아효능감과 DFQ 결과에서도 고혈압군과 정상군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여 16주 교육 프로그램이 식생활 개선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3에서는 고혈압 관리를 위한 식생활 영양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건강신념 모델 요인 분석으로 연구 2에서 얻은 효과평가를 위한 설문지를 건강신념 모델의 각 요인별로 분류하여 요인을 보았다. 건강신념 요인으로는 인구통계학적 요인, 인지된 고혈압의 위협요인, 인식된 저나트륨 식생활의 이득과 장애요인, 자아효능감이 있으며, 요인 분석을 위한 설문지가 완료된 10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교육기간동안의 인식된 위협, 인식된 이득과 장애 및 자아효능감의 점수변화는 수축기혈압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수축기 혈압과 건강신념 모델 요인들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교육 시점에서의 수축기 혈압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요인은 교육 시작 전의 경우 인식된 위협(-0.2165, p<0.05)으로 나타났다. 수축기 혈압의 변화 값과 건강신념 모델 요인들 변화 값 간의 상관관계의 경우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DFQ 총점과 인식된 위협, DFQ 총점과 인식된 이득과 장애 그리고 자아효능감을 교육 기간 동안 점수를 비교한 결과 수축기 혈압과 마찬가지로 DFQ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DFQ 총점에 영향을 준 건강신념 모델 요인 결정을 위한 상관분석의 경우 교육 시점에서 DFQ와 수축기 혈압, 인식된 위협, 행동의 계기, 인식된 이득과 장애, 자아효능감와의 관계를 본 결과 DFQ 총점수와 관련이 있는 요인은 인식된 장애(0.3630, p<0.001)와 자아효능감(-0.2190, p<0.05)이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교육 전후 변화에 DFQ 총점에 뚜렷한 영향을 준 요인은 없었으나 교육 시점에서의 점수에 영향을 준 요인은 인식된 장애이며, 그 외에 인식된 장애와 자아효능감이 서로 유의한 관련을 보여 장애가 낮을수록 자아효능감이 커지는 것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건강신념 모델을 기반으로 고혈압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 효과평가를 실시한 논문으로 고혈압 영양교육을 이론에 적용하여 고혈압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에 의미가 있다. 기존 연구와 다르게 고혈압 관리를 위한 저나트륨 식습관을 건강일기 모니터링과 영양상담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하였으며, 다양한 활동지를 통해 대상자가 적극적으로 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건강신념 모델요인 간 상관관계에서 인식된 장애와 자아효능감이 유의한 관련을 보였으므로, 장애를 낮추고 자아효능감을 높여 고혈압 예방 및 관리를 유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고혈압 식생활 관리를 위한 행동 유발로 자리매김이 되길 기대한다. Key word: 건강신념 모델, 고혈압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중년여성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hypertension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and evalu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Also, factors affecting hypertension management were assess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for hypertension. In study 1,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on 23 hypertensive or prehypertensive participants aged over 45 years to investigate main factors of Health belief model with regard to hypertension management. ‘Perceived susceptibility' to hypertension was family history, neglect of health care, preference for salty foods, broth of soup and stew. Lifelong medication, complications, and medical costs were reported as ‘perceived severity’ of hypertension. ‘Perceived benefits'of hypertension management were decrease of medicinal dose, reduction of medical costs, and healthy eating habits of the family, while ‘perceived barriers’ were lack of palatability of low salt diet, convenience-oriented dietary habits, and limited choice of foods when eating out. participants mentioned TV health programs, public health center programs, and advice from doctors and family as 'cues to action' of hypertension management. These qualitative information provided basis for develop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which could be implemented in the public health center. Eight week program was developed which consisted of understanding hypertension, risk factor management such as eating habits, bldy weight, Principles and practice of cooking low salt diet, advanced management for healthy diet in 2 sessions, and summary. Each session was designed to alert the susceptibility and severity, to emphasize the benefits, and to reduce the barriers by providing dietary monitoring, practical advice, and action tips. In study 2,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management was performed and the effect was evaluated at three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Among the participants aged over 45 years with high risk of hypertension, and 115 women completed questionnaire, anthropometic and biochemical measurement during the 16 week study period (8 week education and 8 week follow up) were used in the analysis. Systolic blood pressure was decreased in hypertensive group and normal group after 8 weeks of education, and the decrease was effective in normal group even additional 8 weeks follow up period. After 8 weeks of education waist circumference decrease in hypertensive group (-4.6%) and normal group (-2.8%)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HDL cholesterol levels (hypertensive group 9.3%; normal group 8.9%, p<0.001) and decrease in serum triglyceride levels (hypertensive group –15.7%; normal group –14.9%, p<0.01). In addition, LDL cholesterol level and total-cholesterol level were decrease in hypertensive group and normal group, respectively,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Further, eating habits, nutrition knowledge, self efficacy associated wit reducing sodium intake,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DFQ) on high sodium food were improve in both groups. Therefore, the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health indices and diet behavior in middle-aged women with high risk of hypertension. In study 3,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Health belief model and outcomes of the education to delineate the meaningful factors to induce the effect of education.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y was utilized to extract the factors of Health belief model and 104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nd outcome measurem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threat at baseline was only factor to associate with systolic blood pressure(r=0.2165, p<0.05). However, none of the changes in factors of Health belief model was not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systolic blood pressure during the education periods. Considering the significant decrease of systolic blood pressure with the decrease in DFQ, change in DFQ was assessed as another outcome of the study. Although any factors of Health belief model was not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DFQ,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barrier and self-efficacy were interrelated at all the time points(r=-0.393, p<0.001 at baseline, r=-0.317, p<0.001 at 8 weeks and r=-0.454, p<0.001 at 16 weeks) and perceived barrier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DFQ score (r=0.363, p<0.001 at baseline, r=0.359, p<0.001, 0.254, p<0.01). Therefore, strategies lowering perceived barrier is necessary to enhance self-efficacy to practice low sodium intake. In Conclusion, the develop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management was effective to improve health indices and dietary behavior when implemented at public health center, and lowering perceived barrier was a critical factor to enhance self-efficacy to reduce sodium intake.

      • 천연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서연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basic care and makeup became universal in the world, cosmetic products are considered essential. However, there is further growing attention to safe cosmetic products due to safety. Interest in natural cosmetic products with deep concerns over safe materials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growth of relevant industries became a global trend. On March 14, 2019,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efined what natural cosmetic products and introduced the cosmetic product certification, exerting efforts for safe u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female adults, identify recognition, current use and satisfaction with natural cosmetic produc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further provide basic data to efficiently develop natural cosmetic product industry in South Korea. First, as seen from the analysis of participants' interest in their skin, many women regarded their skin type as complex. As they grow older, most of them are concerned about weak skin barriers, dry skin, increased wrinkles and in-elasticity deriving from hormone shift, declined regeneration and sebum secretion. Second, most participants knew about natural cosmetic products on their recognition of the products. However, a vast majority of them did not notice the difference between natural cosmetic products and organic ones. Most judged natural products based on catch phrases on the product. Many obtained information related to such cosmetic products through mobile phones and on the Internet. Third, the analysis of current use of natural cosmetic products showed that many have not used natural products and most of them had little knowledge about the products, so that the products should be more promoted to the general public. For those who used them, they were recommended by their friends or acquaintances. Most bought them on the Internet or through mobile phones. In other words, they actively use e-commerce such as smartphone, PC and laptop. Fourth, satisfaction with natural cosmetic products showed that they were less content with use effects. However, as many agreed to continue to use them, natural cosmetic products are expected to regularly used by them if its effects and effectiveness are improved due to its widespread characteristics: less sensitive to skin and environment-friendly. On the basis of this study, people generally believe that natural cosmetic products are less sensitive with skin and more safe. Contrary to such belief, its effects and effectiveness need to further improve. With more efforts to discover good ingredients used for producing natural cosmetic products and develop better technologies, such products are recognized as safe to skin and environment-friendly by consumers. The natural cosmetic product industry is expected further grow. 화장품은 기초케어와 메이크업이 일상화가 되면서 소비자에게 필수재로 인식되어있다. 그러나 화장품 내 유해물질 검출 등 안전성에 문제가 생겨 보다 안전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원료 안전에 대한 인식과 함께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지구를 보호하고자하는 움직임으로 천연 화장품 산업의 성장이 전세계적 트렌드로 이어졌다. 하지만 과거 국내 천연 화장품의 정의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무엇이 천연화장품인지 판단하기 어려웠고 유기농화장품과의 혼동으로 인해 천연화장품의 신뢰성은 떨어져 있는 상태였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유기농 화장품과 별도로 천연 화장품에 대한 정의를 신설하고 천연·유기농 화장품 인증 제도를 도입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피부관심도를 분석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천연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이를 통해 국내 천연 화장품 산업을 효율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20대 이상의 성인여성들에게 모바일 설문지(구글 설문지 폼)양식을 이용한 설문지 310건과 지면 설문지 132매를 포함하여 442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한 설문지 29부를 제외한 41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피부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자신의 피부타입이 복합성에 속한다고 인식하는 여성이 가장 많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호르몬의 변화와 재생력과 피지 분비가 감소하면서 피부 장벽이 약해지고 피부가 건조해져 주름, 탄력으로 고민하는 여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피부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천연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여성은 천연 화장품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하였으나 과반수 이상의 여성이 천연 화장품과 유기농 화장품의 차이점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 화장품을 판단하는 근거로 제품의 표기 문구를 보고 판단하는 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천연 화장품과 관련된 정보는 주로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얻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천연 화장품 홍보 시 온라인 마케팅을 적극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연 화장품을 신뢰하는 여성은 그 이유로 화학성분이 들어가지 않아서 해가 없을 것이라는 믿음이 가장 컸고, 반대로 신뢰하지 않는 여성은 일반 화장품과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나타나 천연 화장품이 피부에 자극이 적다고 인지하고 있지만 일반 화장품에 비해 그다지 효과를 느끼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천연화장품의 사용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 천연화장품 사용경험이 없는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천연 화장품에 대한 지식 및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천연 화장품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을 알 수 있다. 사용경험이 있는 여성은 친구나 지인의 권유로 사용하게 된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사용해본 제품은 주로 비누나, 토너, 스킨류 였고, 원산지로 한국 제품을 사용한 여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공방의 천연화장품이나 DIY 천연 화장품을 사용해 본 여성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연 화장품을 구매한 장소로 온라인, 모바일이 가장 높게 나타나 스마트폰, PC/노트북 등 전자상거래 이용 소비자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천연화장품의 만족도에 대한 분석 결과, 천연 화장품 사용 효과에 대해 그다지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향후 지속적으로 사용할 여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사용해본 천연 화장품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천연화장품은 피부에 자극이 없고 친환경적이라는 인식이 있어 효능·효과가 개선된다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 화장품이 최우선으로 개선해야할 점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가 높게 나타났고 이는 현재 천연·유기농 화장품의 인증제도가 도입됨으로써 엄격한 기준을 통과한 제품에만 인증마크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천연 화장품에 대한 신뢰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 천연화장품은 피부에 자극이 적고 안전하나 기능적 측면의 발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물 유래 화장품 소재의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연구 중이며 이러한 노력은 천연 화장품이 피부를 건강하게 가꾸는 동시에 환경을 생각하는 화장품으로 소비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며, 천연 화장품 산업은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가 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리모델링 사업 아파트의 가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박서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주택 공급량은 2023년 현재 포화상태에 도달하였고, 1980년대에는 주로 공급 목적으로 단순히 건설된 공동주택들은 현재에 이르러 사회적 요구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며,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소득 및 생활수준의 상승으로 인해 주택의 품질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 증가하고 있어,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재정비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2014년 말 기준으로 서울시에는 15년 이상 된 공동주택이 82만호에 이르며, 2025년에는 서울시 전체 아파트의 91.9%가 리모델링 대상으로 지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구조와 주택시장의 변화로 주택수요 감소시대에 도래하였으며, 철거중심의 정비사업으로는 도시재생을 도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2025 서울특별시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 재정비」에서 발표한 2020년 기준 서울시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준공완료단지인 16개의 리모델링 공동주택 단지이다. 시간적 범위로는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통해 수집할 수 있는 2006년부터 2022년까지의 16개의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매매가격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는 리모델링사업 아파트의 실거래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였으며, 그 중 리모델링특성으로 수직증축 여부, 종전 아파트와의 용적률 차이, 종전 아파트 준공년도와의 차이 여부가 리모델링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인 서울시 준공완료된 16개의 리모델링사업 아파트 단지의 실거래가격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해당 실거래 가격에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하였다. 독립변수 구축은 선행연구에 따라 단지특성, 세대특성, 지역특성, 시기특성, 입지특성, 리모델링 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독립변수 수집을 위해서 건축물대장과 호갱노노(hogangnono.com), 네이버 지도(map.naver.com),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공개시스템(rt.molit.go.kr)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수치화를 통해 객관하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통계 프로그램 중 부동산가격 통계연구에 주로 사용되는 IBM SPSS Statistic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다른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다음과 같은 두가지의 의미가 있다. 첫 번째는 2020년 기준 서울특별시에서 준공된 리모델링 사업 아파트의 모든 매매사례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두 번째는 리모델링 주택 특성인 종전 아파트와의 용적률차이, 수직증축여부, 종전아파트와의 준공기간차이를 독립변수로 넣어서 가격결정요인을 연구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20년 기준 준공된 리모델링 단지가 16개에 불과해 리모델링 준공이 단지 표본이 적다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연구 대상으로 선택된 단지 중에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리모델링이 이루어져 거래 건수가 충분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므로, 향후 거래량이 충분히 안정화된 기간을 거쳐서 적절한 표본 수를 반영하여 분석을 진행한다면 해당 연구가 더욱 깊이 있는 내용으로 수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자료가 2006년 이후부터 매매사례를 수집할 수 있었어서 2006년 이전의 매매사례를 분석에 포함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2006년 이전의 매매사례를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더욱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수직증축 뿐만 아니라 세대 증가형 리모델링 사업 아파트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housing supply rate in Korea has reached saturation, and apartment houses built for simple supply purposes in the 1980s have not met the social requirements and have been aging a lot. As income and living standards increase, social demand for the quality of housing also increases, increasing the need for reorganization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s of the end of 2014, there are 820,000 apartment houses in Seoul that are more than 15 years old, and as of 2025, 91.9% of all apartment houses in Seoul will be subject to remodeling. Due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and the housing market, it has arrived at an era of reduced housing demand, and it is difficult to promote urban regeneration with demolition-oriented maintenance project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16 remodeling apartment complexes, which are comple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remodeling project as of 2020, announced in the 202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modeling Basic Plan Reorganization. In terms of time, the sale price of 16 remodeling apartments from 2006 to 2022 was collected through throug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open system. As for the content of this study, the factors such as the effect of vertical expansion, the difference in floor area ratio from the previous apartment, and the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apartment completion year on the remodeling apartment sales price which affected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of remodeling business apartments were analyzed.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of the 16 remodeling project apartment complexes completed in Seoul,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collected through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system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consumer price index was reflected i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nstruc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was divided into complex characteristics, household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timing characteristics,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remodeling characteristics. To collect independent variables, the building ledger, Hogangono (hogangnono.com), Naver map (map.naver.com),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actual transaction price system (rt.molit.go.kr) were used. This study used IBM SPSS Statistics, which is mainly used for real estate price statistical research, among various statistical programs to improv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through digitization. This study has two meaning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previous studies. The first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all sales cases of remodeling business apartments completed in Seoul as of 2020.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e price determinants were studied by adding the difference in floor area ratio from the previous apartment, vertical expansion, and the difference in completion period from the previous apartment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re are only 16 remodeling complexes completed as of 2020, so there are only a few samples of remodeling completion. In addition, some of the complexes included in the study have been remodeled relatively recently and transactions are not sufficient, so the study is expected to be conducted in more depth if the number of samples is fully reflected through a stabilization period when transactions are sufficient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actual transaction price data has been able to collect sales cases since 2006, so there is a limit that sales cases before 2006 were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More accurate information will be obtained if research is conducted including sales cases before 2006.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not only vertical expansion but also household-increasing remodeling business apartments will be studied through this study.

      • 쇼팽의 발라드에 대한 연구

        박서연 동덕여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19세기 전반기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음악가 쇼팽(Frédéric François Chopin, 1810-1849)은 폴란드 출신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이다. 그는 생애 전반에 걸쳐 큰 열정을 가지고 피아노의 표현 가능성을 정점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오늘날 피아노 음악사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이다. 쇼팽이 음악 활동을 했던 시기에는 피아노를 위한 ‘성격 소품’(character piece)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등장하여 유행하기 시작하였는데, 그는 이 성격 소품에 새로운 내용을 담아 예술적 수준을 한껏 높임으로써 이 장르가 낭만주의의 대표적인 장르로 발전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다양한 성격소품을 작곡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그의 발라드는 최초의 피아노를 위한 발라드로 창작되어 이후 기악발라드의 효시가 되었다. 본 논문은 쇼팽의 발라드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쇼팽이 작곡한 네 곡의 발라드에 포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우선 낭만주의와 성격소품의 관계, 그리고 성격소품의 발전과정을 정리하고, 이어 발라드의 어원과 성격, 특징, 그리고 쇼팽에 의해 낭만주의 성격소품으로 자리매김하기까지의 과정과 그 이후의 영향까지 살펴보았다. 쇼팽 발라드의 분석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는 쇼팽이 어떻게 이 악곡을 음악적으로 구성하였는지, 또 어떻게, 어떤 성격을 부여하였는지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발라드는 쇼팽이 피아노 성격소품으로 작곡하기 전까지 오랜 기간 동안 문학과 성악장르로 성행하였던 장르이다. 중세에 춤-노래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15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의 시인-음악가들에 의해 정형시 형식을 갖는 서사적이고 극적인 성격의 노래로 발전하였다. 이후 정체기를 거친 발라드는 18세기 말부터 다시 부활하기 시작하여 19세기 낭만주의의 리트와 함께 도약하였고, 쇼팽에 의해 피아노 발라드로 거듭나게 되었다. 쇼팽은 네 곡의 발라드를 작곡했는데, 네 곡 모두 전통적인 구성방식과 형식에 기초하고 있다. 발라드 Op. 23과 Op. 52는 느슨한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을 취하고, Op. 38과 Op. 47은 각각 A-B-A'-B'와 A-B-C-B'-A'라는 균형 잡힌 구조로 되어있다. 네 곡 모두에서 2개의 주제가 사용되고, 주제를 구성하고 있는 음악적 모티브는 반복, 변형, 대비의 원리에 따르면서 전체를 유기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쇼팽은 이렇게 명확하고 일관성을 보여주는 구조 안에서도 자신만의 음악어법과 독창적인 피아노 양식을 통해 발라드가 갖고 있는 서사적이며 극적이고 서정적인 성격을 잘 융합하여 음악적으로 표현해내고 있다. 쇼팽의 발라드는 음악사적인 맥락에서 볼 때 문학과 성악의 장르였던 발라드를 피아노 음악으로 작곡하여 후대의 기악 발라드 발전에 초석을 놓았다는 점에서 큰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동시에 짜임새 있고 안정된 형식적 틀 안에서 발라드의 다양한 성격을 훌륭하게 표현해냄으로써 매우 독창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Frédéric François Chopin(1810-1849), a representative musician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s the Polish distinctive pianist and composer. He is a man who has an unique position in today's piano music literature by pulling the possibility of the expression of piano toward the peak with a great passion all through his life. At the time when Chopin acted as a musician, a new genre called ‘character piece’ for piano turned up and came into vogue. He largely contributed by including a new concept and content into this character piece to develop it as a representative genre of romanticism by greatly raising its artistic level. He composed various character pieces. Among them, his ballad was created as the first ballad for piano, which later on became the first instrumental ballad. This thesis intended to study on Chopin's ballads. Therefore, at first arranged the relation between romanticism and character piece,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aracter piece, subsequently, investigated the term, the ballad, to its origin, as well as its nature, character. In the part where the study of Chopin's ballad was done, It is analyzed by focusing on how Chopin composed this melody musically, also, how and which character he gav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Ballad was a genre which had been prevalent for a long time in literary genre and vocal music genre until Chopin composed it as a piano character piece. It began to be used originaly as dance-song in the Middle Ages and was developed as narrative poet and dramatic song which had a fixed poetry form by French poets-musicians until the 15th century. Later, the ballad, which passed stagnant period, began to took-off together with Lied of romanticism in the 19th century, and was reformed as a genre for piano by Chopin. Chopin's Four ballads stand on the compositional style with traditional organization. The First and Fourth Ballades are based on modified sonata form, and the Second and Third Ballads are based on the balanced structure, i.e. respectively A-B-A′-B′ and A-B-C-B′-A′. All of Chopin's Ballads, two contrasty themes were used thematic process using, repetition, transformation and highlights the whole work organically. Chopin's ballads for piano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context of music history in view of the fact that he put a foundation in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s instrumental ballad. At the same time, in viewpoint of music aesthetics, he shows a very originative feature by excellently expressing various character of ballad in organized but extended formal design.

      • 셀프트레이닝용 콘텐츠 연동형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디자인 및 개발방향 탐색

        박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ssociated with plans for smart fitness wear. Because practicality for fit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smart clothing, research is important regarding acceptance attitudes, the potential demand for smart fitness wear, and interlocking contents based on the lifestyle of modern people. The specific planning direction for smart fitness wear with contents for self-training is explored. First, smart fitness wear development trends and limitations were examined. Second, consumers’ acceptance attitudes and the potential demand for smart fitness wear were explored. Third, consumers’ acceptance attitudes and the potential demand for contents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smart fitness wear were studied. Finally, usage of smart fitness wear in which content is interlocked under the IOT environment were identified and the design direction was proposed. In this study,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undertaken to explore acceptance attitudes and the potential demand for smart fitness wear design and aesthetics, functionality, usability, interlocking contents, and smart fitness applications. A survey of 130 general consumers was conducted to examine design and aesthetics, functionality, usability, and sustainabili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experienced smart fitness wearers or experienced users of smart fitness applications. The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consumers' acceptance attitudes toward smart fitness wear were higher than “normal” in terms of design and aesthetics, functionality, and interlocking contents; the exception was the acceptance attitude toward usability. Specifically, the acceptance attitude regarding the interlocking contents of smart fitness wear was the highest, and the role of contents in the development of smart fitness wear will be important in the futur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eral consumers' acceptance attitudes toward design and aesthetics, functionality, and interlocking contents of smart fitness wear tended to be higher among men in their 20s, and acceptance attitudes toward usability tended to be higher for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40s. The potential demand for functional aspects of smart fitness wear for general consumers was highest in terms of “the function of informing the situation of movement in real time,” and “the function of self-figure measurement“ and “the function of posture correction” wear also ranked at a high level.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otential demand for functionality in smart fitness wear was linked to the function of self-figure measurement by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the function of measuring motion” was important to those in their 40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individuals in their 20s emphasize the results of exercise, whereas those in their 40s emphasize the exercise process. Acceptance attitudes regarding design and aesthetics, functionality, us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smart fitness applications were all higher than normal, with the attitude toward functionality being the highest. General acceptance by consumers in terms of smart fitness applications—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was highest for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the acceptance attitude toward sustainabili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their 20s. The potential demand by people in their 20s for smart fitness applications focused on interactive features, such as enhancing fitness effects, that reflect voice coaching or real-time feedback and sharing other people's athletic records, whereas respondents in their 30s and 40s preferred simple designs with easy usage.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potential demand for smart fitness content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ime. At the ”before exercise” stage, the categories of ”accessibility,” “inducement of interest,”' and “diverse story line” were derived as required elements of smart fitness contents. At the ”during exercise” stage, “real-time voice coaching,” “exercise posture monitoring,”' and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s” were derived. At the ”after exercise” stage, “substantial reward system,” "grading system,” “body change monitoring,” and “everyday life monitoring” were derived. At the stage of “connection to the next exercise,”, “triggering exercise motivation” and “high sustainability” were derived. Thus, consumers prefer a mobile fitness app game that offers real-time interactive feedback, personalization, and user-centered handling.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potential demand for interlocked contents in smart fitness wear for self-training is as follows. Before exercise, “reflection of consumer taste” and “reflection of fashion trends” were identified as motives for wearing smart fitness wear. Triggering exercise motivation, “body protection,” and “exercise effect promotion” were linked to overall workout monitoring during exercise. After exercise, ‘self- body measurement and “various utilizations of collected data” were regarded as confirmations of exercise effects. At the stage of “connection to the next exercise,” “getting rid of prejudice” and “increasing wearing comfort” were derived for elevating sustainability.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ontents of smart fitness wear for self-training are interlocked with the "perfect singer" of the audiovisual fusion complex mobile fitness app game in which the user's posture during the squat movement is reflected in real-time during exercise. Further, it is possible to measure self-body size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short persistence of smart fitness contents, "Perfect Singer"—interlinked with contents planned in this study—includes various visual and auditory stimuli, such as an interactive gamification system. Collection of data for the game's progress can be obtained through strain gauge sensors and pressure sensors attached to smart fitness wear. The pressure sensor for real-time posture correction is attached to the soles of the leggings to measure posture during exercise; it was designed to induce accurate exercise posture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exercise period and exercise intensity acquired in real time. The strain gauge sensor for self-measurement is positioned at the midpoint of the waist and center of the thigh, and body dimension is measu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ccordingly, this analysis leads to the next exercise until a user’s goals are achieved.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ntent-linked smart fitness wear for self-training should be based on the preference of target consumers for feminine colors, such as pastels. Moreover, the functional trend and leading fashion leading characteristic has been identified as clothing that can be worn easily in everyday life according to the "glam leisure" fashion trend. Thus, the ideal design features a sleeveless top with footed legg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fitness wear linked with contents serviced under the IOT environment.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의류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헬스케어 중 피트니스와 관련하여 실용성을 갖춘 소비자 맞춤형 스마트 피트니스웨어 제품 기획 연구의 일환으로, 조사연구를 통하여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와 연동 콘텐츠의 수용태도와 잠재적 수요를 알아봄으로써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기반으로 하여 셀프트레이닝용 콘텐츠 연동형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구체적인 구현방향을 탐색하였다. 구체적 연구 목표로는, 첫째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개발 동향과 그 한계점을 고찰하고, 둘째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태도와 잠재적 수요를 고찰하며, 셋째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와 연동 가능한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태도와 잠재적 수요를 고찰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하여 IOT 환경 하에서의 콘텐츠 서비스와 연동되는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사용 콘텐츠 및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등 두 가지의 조사연구를 통하여 지금까지 개발된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에 대한 디자인 및 심미성, 기능성, 사용성, 연동 콘텐츠와 스마트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디자인 및 심미성, 기능성, 사용성, 지속성에 기반한 수용태도와 잠재적 수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편의 표본 추출한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양자의 잠재적 수요에 관해서는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착용 경험자 또는 스마트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사용 경험자 6명을 모집하여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의 결과,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에 대한 수용태도는 사용성에 대한 수용태도를 제외한 디자인 및 심미성, 기능성, 연동 콘텐츠에 대한 수용태도는 모두 ‘보통’ 이상의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연동 콘텐츠에 대한 수용태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추후 스마트 피트니스웨어 개발에 콘텐츠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에 대한 디자인 및 심미성, 기능성, 연동 콘텐츠 측면의 수용태도는 대체적으로 20대 남성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사용성 측면에서만 30대와 40대가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에 대한 기능성 측면의 잠재적 수요는 ‘운동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자가 체형측정의 기능’ 및 ‘자세교정의 기능’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에 대한 기능성 측면의 잠재적 수요 조사의 결과, 20대의 주요 잠재적 수요는 ‘자가 체형 측정의 기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0대의 주요 잠재적 수요는 ‘동작측정의 기능’을 선호하였다. 이 결과를 고려할 때, 20대는 운동의 결과를 중요시하고, 40대는 운동 과정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스마트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 및 심미성, 기능성, 사용성, 지속성에 대한 수용태도는 모두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기능성에 대한 수용태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성에 대한 높은 인식수준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수용태도는 20대의 남성과 여성 모두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지속성에 대한 동기부여 측면의 수용태도만 40대가 20대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스마트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잠재적 수요는 20대는 음성적 코칭 또는 실시간 피드백이 반영되는 피트니스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능과 타인과 운동기록을 공유하는 등의 상호작용적인 기능에 집중한 반면 30대와 40대는 간결한 디자인과 단순한 사용법을 지닌 어플리케이션을 선호하였다. 질적 연구의 결과, 스마트 피트니스 콘텐츠에 대한 잠재적 수요는 시간 경과 순서에 따라 ‘운동시작 전’의 단계에서 스마트 피트니스 콘텐츠에 요구되는 요소로는 ‘사용 접근성’, ‘흥미유도’, ‘다각적 스토리라인’의 범주어가 도출되었고, ‘운동수행 중’의 단계에서는 ‘실시간 음성코칭’, ‘정확한 운동자세 모니터링’, ‘개인 맞춤형 운동처방’이 도출되었다. ‘운동 직후’의 단계에서는 ‘실질적 보상제도’, ‘등급제도’, ‘체형변화 모니터링’, ‘일상생활 모니터링’이 도출되었고, ‘다음 운동으로 유도’의 단계에서는 ‘동기유발’, ‘높은 지속성’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유형의 스마트 피트니스 콘텐츠는 운동의 지속성을 높여줄 수 있는 시간 경과의 순서에 따른 사용기능이 세분화된 실시간 쌍방향 피드백, 개인 맞춤, 사용자 중심의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 피트니스 앱 게임’의 형태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잠재적 수요는 시간 경과 순서에 따라 ‘운동시작 전’의 단계에서는 착용동기 부여를 위한 ‘소비자 취향 반영’, ‘패션 트렌드 반영’, ‘기능 외부돌출 최소화’의 주제어가 도출되었고, ‘운동수행 중’의 단계에서는 능동적 운동 지원을 위한 ‘운동 방해 최소화’, ‘콘텐츠 연동’, ‘운동 중 정확한 센싱 및 액츄에이팅’이 도출되었다. ‘운동 직후’의 단계에서는 측정 데이터 활용을 위한 ‘측정 데이터 신뢰성 확인 및 사후 활용’, ‘체형변화 효과 피드백’, ‘커뮤니티와 정보공유’가 도출되었고, ‘다음 운동으로 유도’의 단계에서는 사용 지속성 지원을 위한 ‘착용 및 사용 쾌적성, 편의성 증대’, ‘일상적 디자인’, ‘안전 보장 정보’가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디자인으로는 일상생활에서 착용이 가능한 캐주얼웨어를 선호하였으며, 요구되는 기능수요에는 운동효과 증진 및 부상예방 목적의 운동자세를 측정해주는 기능과 직접 기입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체형측정이 되는 기능, 그리고 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높은 수요를 보였다. 또한 내구성이 강하고, 기기 또는 장비의 단순화에 대한 기대가 컸으며, 연동 콘텐츠의 사용으로 착용 지속성을 높이는 니즈도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기획한 셀프트레이닝용 콘텐츠 연동형 스마트 피트니스웨어는 ‘운동수행 중’에는 사용자의 하체 운동 자세(예,스쿼트)가 실시간으로 게임진행에 맞춤형으로 반영되는 시청각 융복합 모바일 피트니스 앱 게임인 “퍼펙트 싱어”가 연동되고, ‘운동 직후’에는 자가 체형측정이 가능한 기능성 스포츠웨어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기획한 연동 콘텐츠인 “퍼펙트 싱어”는 기존의 피트니스 콘텐츠의 짧은 지속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상호작용적인 게이미피케이션 시스템 등의 다양한 시청각적 흥미동인이 포함되었으며, 개인 맞춤형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운동 모니터링 및 게임의 진행을 위해 필요한 운동 상황 데이터의 수집은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 센서와 압력센서를 통해서 획득이 가능하다. 압력센서는 레깅스의 발바닥 부위에 열고정 방식으로 부착하여 운동 중의 자세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운동주기와 운동강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정확한 운동 자세를 유도하도록 설계하였다. 자가 체형측정을 위한 스트레인게이지 센서는 허리 옆점과 넙다리 중간점에 위치시키고, 일정 기간 간격으로 신체 치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운동효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다음 운동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기획한 셀프트레이닝용 콘텐츠 연동형 스마트 피트니스웨어의 외형은 여성적 컬러를 선호하는 타겟 소비자의 취향과 ‘글램레져’ 패션 트렌드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부담없이 착용이 가능한 유행선도적인 특성을 지닌 기능성 민소매 상의와 발고리형 레깅스의 유형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IOT환경 하에서의 콘텐츠 서비스와 연동되는 스마트 피트니스웨어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폐경 여성에서 골다공증 질환 인지 관련요인

        박서연 圓光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인구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현재, 주요 노인질환인 골다공증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골다공증은 골절의 위험성이 있고, 골절 후에는, 사망률과도 이어지므로 예방적 차원의 검진과 관리가 중요하다. 자각증상이 거의 없는 골다공증 관리를 위해서는 먼저, 질환에 대한 조기 인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폐경 골다공증 여성의 질환 인지 관련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 3차년도 자료와 제5기 1,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45세 이상 폐경 여성 중 골다공증으로 분류된 127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질환 인지여부에 따라 인지군과 비인지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자료는 인구 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와 관련 질환, 건강행태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폐경 여성에서 골다공증 질환 인지 관련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불량(OR, 1.64; 95% CI, 1.16 - 2.31), 2년 내 건강검진 수검(OR, 1.62; 95% CI, 1.15 - 2.27), 고지혈증(OR, 1.74; 95% CI, 1.13 - 2.69), 류마티스 관절염 (OR, 2.35; 95% CI, 1.28 - 4.31), 골다공증 가족력(OR, 1.47; 95% CI, 1.01 - 2.13), 자신의 골절 과거력(OR, 3.14; 95% CI, 1.99 - 4.95)과, 호르몬사용(OR, 2.06; 95% CI, 1.19 - 3.56), 4회 이상 임신( OR,1.68; 95% CI, 1.08 - 2.62)등에서 골다공증 인지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골다공증 폐경여성에서 질환에 대한 인지는, 주로 골다공증과 관련된 다른 질환과 합병증,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인지되고 있었다. 골다공증은 생활습관 교정으로 예방 가능하고, 골절은 골다공증에 대한 질환 인지와 치료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다. 따라서 폐경 여성에서 골다공증 관리는 조기검진과정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질환 인지교육을 체계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 근감소증 노인을 위한 범이론적 모델 적용 복합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박서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sarcopenia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TT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consisted of 43 older adults with sarcopenia in precontemplation stage, contemplation stage and preparation stage(experimental group : 22, control group : 21).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sarcopenia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 in this study consisted of 70 minutes(combined exercise: 60minutes, TTM based program for enhancing exercise behavior: 10minutes) per one session, three times per one week, 12 weeks, 36 sessions program in total. TTM based program for enhancing exercise behavior consisted of strategies promoting of proces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self-efficacy which are the main concepts of TTM. Also, combined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resistant exercise, aerobic exercise(10minutes), flexibility exercise(20minutes for warm-up and cool-down). Data were collected at two times : before applying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sarcopenia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TTM), and 12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from 31 July 2017 to 27 October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t-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ypothesis 1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cess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 1-1) Sub-hypothesis 1-1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cess of experiential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t=9.16, p<.000). 1-2) Sub-hypothesis 1-2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cess of behavioral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t=9.54, p<.000). 1-3) Sub-hypothesis 1-3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process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t=11.31, p<.001). 2) Hypothesis 2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sional balance for exercise behavio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 Sub-hypothesis 2-1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s of decisional balance for exercise behavio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t=20.64, p<.001). Sub-hypothesis 2-2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 of decisional balance for exercise behavio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t=11.07, p<.001). 3) Hypothesis 3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self-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t=10.07, p<.001) 4) Hypothesis 4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ameter of muscl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 4-1) Sud-hypothesis 4-1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ss of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AS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z=-4.12, p<.001). 4-2) Sub-hypothesis 4-2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keletal muscle index (SMI)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z=-4.58, p<.001). 4-3) Sub-hypothesis 4-3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z=-3.12, p=.002). 5) Hypothesis 5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ameter of bloo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5-1) Sub-hypothesis 5-1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growth hormone(GH)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z=-0.88, p=.382). 5-2) Sub-hypothesis 5-2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reactive protein(CRP)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z=-1.77, p=.077). 6) Hypothesis 6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hysical perform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 6-1) Sub-hypothesis 6-1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peated chair stands for five tim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z=-3.97, p<.001). 6-2) Sub-hypothesis 6-2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gait spe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z=-3.20, p=.001). 6-3) Sub-hypothesis 6-3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tanding bal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z=-2.31, p=.001). 6-4) Sub-hypothesis 6-4 :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level of physical perform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upported(z=-4.98, p<.001). In conclusion,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sarcopenia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TTM) is effective in promoting proces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decisional balance for exercise behavior, exercise self-efficacy, parameter of muscle, and physical performance. Thus,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older adults with sarcop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