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을목회에 대한 목회자 인식

        정재영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3 현상과 인식 Vol.47 No.3

        최근 개신교계에서는 지역사회를 위한 목회를 ‘마을 목회’라고 칭하며 교계와 목회자들 사이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마을 목회는 여전히 그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 어떻게 하는 것이 마을 목회인지 학문적으로 정립되어 있지도 않고 마을 목회의 목적이나 범위도 여전히 모호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에서는 마을 목회에 대한 목회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 조사는 전국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는데, 유효 표본은 총 507명이고 이들에게 휴대전화를 통해 URL을 발송하여 온라인 및 모바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로 볼 때, 마을 목회라는 용어의 적절성에 대하여 다수가 적절하다고 보았고 19%는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목회자들은 목회자로서의 의식이 강하면 목회자가 주도하려는 경향이 있고, 마을 주민들을 목회의 대상으로 여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그리고 목회자들이 이것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마을공동체 활동을 여전히 구제나 봉사활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둘째는 교회나 목회자들이 실제로 이렇게 협력 활동을 한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셋째는 교인들의 이해 부족 때문이다. 그럼에도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마을 목회 활동은 어느 정도의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을 목회에 참여하고 있는 목회자 중 다수가 ‘마을에서 진정성을 인정받아 목회자는 다르다고 인정하거나 칭찬을 해준 경험’이 있었고, ‘마을 주민이 처음에는 마을 목회에 무관심하거나 비협조적이었으나 나중에는 이해해주고 적극 협력했다’는 적지 않아서 마을 목회가 교회의 이미지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을 목회의 목적이 마을공동체라고 응답한 목회자들과 지역복음화가 목적이라고 응답한 목회자들 사이에 인식 차이도 뚜렷했다. 마을공동체가 목적인 목회자들은 마을 목회 활동의 종류나 범위가 점점 더 확장되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마을 목회에 대한 만족도도 더 높았다. 또한 목표인 목회자들은 마을 목회와 교회 부흥과는 관계가 없다는 의견이 더 많았고, 마을 목회를 하면서 전도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이 더 많아서 인식의 차이가 뚜렷했다. Recently, the Protestant community has called ministry for the community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and interest among church members and pastors is increasing. However, the concept of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is still not clear. It is not academically established how to do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and the purpose and scope of that are still ambiguous. From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pastors about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The statistical survey was conducted on pastors across the country, with a total of 507 valid sampl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n mobile by sending URLs to them through mobile phones. As a result of the survey, many consider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rm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appropriate, and 19% said it was not appropriate. Pastors believe that it is not appropriate because if the consciousness as a pastor is strong, the pastor tends to lead, and the villagers are sometimes considered objects of ministry. And there are three reasons why pastors find this difficult. One is that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is still recognized as relief or volunteer activities. The second is that churches or pastors have never actually engaged in such cooperative activities. The third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urch members. Nevertheless, it is judged that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currently being carried out are showing some results. Many of the pastors participating in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had “the experience of acknowledging or praising pastors in recognition of their sincerity in the village,” and “villagers were initially indifferent or uncooperative to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but later understood and actively cooperated.” In addition,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astors who responded that the purpose of village pastors was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and pastors who responded that the purpose was to evangelize the region. Pastors whose purpose was the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responded that the type and scope of village pastoral activities were gradually expanded,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pastoral ministry of a community. In addition, there were more opinions that the pastors, the goal, had nothing to do with village pastors and church revival, and there were more opinions against evangelizing while doing village pastors, so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perception.

      • “통일 목회”의 당위성, 그리고 이를 위한 “조선족”의 가치와 역할에 관한 연구

        신동욱(Shen, Dongxu),양현표(Yang, Peter Hyunphyo)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2

        한민족이 70여 년 동안 분단 된 것은 아픈 역사이다. 그렇기에 분단된 한반도의 통일은 한민족 모두의 소원이다. 그렇기에 지금은 통일을 열망하는 시대라 할 수 있으며, 이 시대의 교회의 중요한 목회가 “통일 목회”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한국 교회가 지향해야만 하는 통일 목회에 대한 정의와 통일 목회의 당위성, 그리고 통일 목회에 있어서 “조선족”의 가치와 역할이 무엇인지를 연구했다. “통일 목회”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통일 목회에 대한 전문가들의 정의가 하나로 수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몇몇 전문가들의 통일 목회에 대한 개별적 정의를 살펴보고 그것들의 약점을 분석했다. 그리고 개혁주의 신학에 기초한 통일 목회의 정의를 시도하였다. 필자는 “왜 한국 교회는 통일 목회 사역을 수행해야 하는가? 하나님께서는 통일을 어떻게 보시는가? 성경은 통일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하고 있는가? 통일 목회 사역이 어떻게 교회의 필수적인 사명과 관련이 있는가?” 등의 질문에 답함으로 통일 목회 사역의 당위성을 찾았다. 또한, 필자는 통일 목회를 위해 조선족의 가치와 역할은 무엇인지를 연구했다. 통일 목회의 대상에는 남북한 주민 8천만과 재외동포 700만이 포함된다. 이 재외동포에는 조선족이 포함되어 있다. 조선족이 특별한 통일 목회 대상이자 한반도 통일과 북한 선교를 위한 도구가 되는 이유는 조선족의 정체성과 그들의 역사 그리고 그들만의 독특한 선교자원 때문이다. 많은 한국 교회들이 통일 목회 사역을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깨닫고, 그것을 시대의 사명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또한, 입양 아동과도 같은 “조선족”이야말로 한반도 통일을 위해 준비된 자원임을 인식하여 이들을 위해 사역하고 이들과 협력한다면 북한 선교와 한반도 통일 선교에 크게 유익할 것이다.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the hope of all Koreans. It has been a heartbreaking history for over 70 years since the division of the nation and the nation. If there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history of division, it is probably “unification”. Therefore, it is not wrong to say that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s walked to this day with a wish for unification, lives in the era of unification. And the Korean church pastoring in this era of unification is doing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Today, the Korean church should pay attention to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As a “Joseonjog,” I hope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will be unified. At the same time, as a pastor, I hope to minister to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o I began to study the definition of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the justification of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and what the value and role of “Joseonjog” in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is. Unfortunately, there is no unified definition of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This seems to be because experts’ definition of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has not converged into on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ous definitions of several experts on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I found that there are some weaknesses in the areas of ministry and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Therefore, based on Reformed theology, I intend to unify and define aspects such as God’s sovereignty,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orientation to world mission with NK mission. And, why should the Korean church conduct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This can be obtained in part from the definition of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but it is not enou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biblical basis for discussing the justification of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How does God view unification?” and “What does the Bible say about unification?” proves how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is related to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Furthermore, it will show what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and how North Korea is making change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church will accept the unification pastoral mission. In addition, through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I would like to share what the value and role of the “Joseonjog” is, thinking about “what important role will the ”Joseonjog“ play in North and South Korea.” In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80 million Koreans living in South and North must be the main target for the ministry. And we must not forget that all 7 million overseas compatriots wish for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However, if you look at the reason why the “Joseonjog” is the object of a special unification ministry here, it is because the identity and history of “Joseonjog,” and their own mission resource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no other oversea Koreans have. Through this paper, I hope that more Korean churches can realize the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as God’s calling and accept it as the mission of the times. In addition, I hope that the “Joseonjog,” such as an adopted child, will be recognized as a resource for unification pastoral ministry and North Korean mission that God has prepared for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 believe that if we mission to these people, minister to them, and cooperate with them, we will glorify God through North Korean mission an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목회적 지혜를 함양하기 위한 사역 지지집단의 이론과 실제

        김정선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미국의 목회신학자 존 패튼(John Patton)은 목회적 지혜(pastoral wisdom)와 목회 신학 방법론에서 사역 지지집단(the ministry group)을 핵심적 요소로 강조한다. 본고 는 목회적 지혜를 목회 돌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인지적, 통합적, 관계적 요 인의 종합적 탁월성이라고 정의하고, 목회적 지혜를 함양하기 위한 사역 지지모임의 이론과 실제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패튼의 목회적 지혜와 목회신학 방법론을 정리하고(II),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지혜심리학과 실천적 지혜 개 념에 비추어 목회적 지혜와 사역 지지집단의 이론적 틀을 확립하고(III), 필자의 경험 에 비추어 목회적 지혜를 함양하는 사역 지지집단의 실제를 검토하고, 목회자 사역 지지집단에 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IV). 본고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는 목회적 지혜와 사역 지지집단을 지혜심 리학과 실천적 지혜에 비추어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목회적 지혜가 지닌 고유한 특성 도 함께 강조했다. 둘째, 본고는 필자의 경험을 통해 사역 지지집단에서 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 원가족을 충분히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회적 지혜를 함양하는 좋은 방법이 되며, 한국에서의 사역 지지집단은 자신의 이야기를 솔직하게 나눌 수 있는 안전한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미국보다 더 긴 기간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목회적 지혜 함양을 위한 목회자 사역 지지집단의 현실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이 집단은 목회자의 현실적 여건을 감안하여 사역 지지집단을 실제적으로 경험하게 하고, 후속 프로그램으로 이어지도록 고안되었다. 본고가 목회적 지혜와 사역 지지집단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여 한국 의 교회와 신학을 새롭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John Patton, pastoral theologian in the U.S.A., emphasized the ministry group as a core element in his discussion of pastoral wisdom and pastoral theological methodology. This study, defining pastoral wisdom as comprehensive expertise in cognitive, integrative, and relational factors for offering pastoral care in effective ways, endeavors to investigate theory and practices of the ministry group for fostering pastoral wisdom. For this purpose, it first elucidates pastoral wisdom and pastoral theological method proposed by Patton (II), then explores theoretical framework of pastoral theology and the ministry group in light of wisdom psychology and the concept of practical wisdom(III), and finally examines practices of the ministry group for fostering pastoral wisdom, drawing on my own pastoral experiences, and suggests practical ways of implementing the ministry group for pastor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seeks to elucidat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astoral wisdom and the ministry group by means of wisdom theory and practical wisdom, and to stres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astoral wisdom. Secondly, it reveals, on the basis of pastoral experiences, that it is an effective way for developing pastoral wisdom to spare sufficient time for shar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participants as well as their experiences in their families of origin, and that it takes far more time in Korea than in America to establish a safe community for genuinely sharing one’s stories. Finally, it suggests practical ways of implementing the ministry group for pastors to enhance pastoral wisdom. This group, which is to set up in deep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Korean pastors, is designed to offer an opportunity for experiencing the ministry group and to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subsequent programs. My deepest hope is that this study will evoke concerns and discussions concerning pastoral wisdom and the ministry group in the field of pastoral theology, contributing to renewal of Korean church and theology.

      • 특집 : 목사와 상담목회

        장원철 ( Won Chul Jang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9 성경과 상담 Vol.9 No.-

        이 논문은 한국교회의 새로운 목회유형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상담목회에 대해서, 먼저는 그 시대적 배경과 상담목회의 개념적 의의를 말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상담목회의 구조와 그 틀을 통하여 상담목회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상담목회와 목회상담을 구별 짓기를, 목회상담이 상담을 목회적으로 하자는 것인데 반하여, 상담목회는 목회를 상담적으로 하는 것이라 하였다. 필자는 상담목회는 목회의 어떤 기술을 말하는 개념이 아니라 목회의 본질적 가치의 개념으로 이해함으로부터 상담목회가 이해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필자는 이 글에서 상담목회의 적용을 설교, 예배, 심방을 중심으로 설명했다. 결국 상담목회는 목회의 본질과 교회의 존재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한 응답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counseling ministry, which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type of the ministry. This paper`s purpose is to seek for directions of counseling ministry by checking its construction and frame. I clearly discriminates between counseling ministry and pastoral counseling. According to my opinion, counseling ministry suggests ministry through counsel, while pastoral counseling suggests counsel through ministry. I highlights that counseling ministry has to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essential value, not as a concept of pastoral technique. I explains the application of counseling ministry through preach, worship, and visit. Overall, counseling ministry is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are the essence of ministry and the purpose of church.`

      • The Role of the Pastor`s Wife in Ministry

        ( Josiah B Andor ) 삼육대학교 선교와사회문제연구소 2013 Asia-Africa Journal of Mission and Ministry(AAMM) Vol.8 No.-

        This article sought to find out the roles that pastor`s wives play in their husbands` ministry that have made them seem indispensable in the ministry. The pastor`s wife is viewed as a woman and as a helper. Three types of pastors` wives are identified; the detached, the supportive, and the incorporated. Each of these has ways in which it affects the pastor`s ministry. The paper postulates that roles of pastor`s wives can be divided into domestic roles (roles at home), spiritual roles (roles at church), social roles (roles in the community), and occupational roles (roles at work). Finally, the paper compares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among pastors` wives in Ghana and the roles they perform in their husbands` ministries. The paper concludes that pastors` wives are great helpers in the ministry of their husbands.ABSTRACT-This article sought to find out the roles that pastor`s wives play in their husbands` ministry that have made them seem indispensable in the ministry. The pastor`s wife is viewed as a woman and as a helper. Three types of pastors` wives are identified; the detached, the supportive, and the incorporated. Each of these has ways in which it affects the pastor`s ministry. The paper postulates that roles of pastor`s wives can be divided into domestic roles (roles at home), spiritual roles (roles at church), social roles (roles in the community), and occupational roles (roles at work). Finally, the paper compares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among pastors` wives in Ghana and the roles they perform in their husbands` ministries. The paper concludes that pastors` wives are great helpers in the ministry of their husbands.

      • KCI등재

        동반자 사목을 위한 청소년 사목의 실천적 요소: 『한국 천주교 청소년 사목 지침서』를 중심으로

        윤만근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철학 Vol.- No.45

        본 연구는『한국 천주교 청소년 사목 지침서』를 중심으로 동반자 사목으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청소년 사목의 실천적 요소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는 한국 천주교회보다 앞서 국가차원에서 시행한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동반의 방식과 적용 결과를 제시하고 동반자 사목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 천주교회의 청소년 사목의 현실적 문제를 진단하고 현 교회에서 제시하는 ‘시노달리타스’ 정신을 강조하며 동반자 사목으로 나아갈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동반자 사목을 실천하기 위한 동반자의 의미를 살펴보고, 동반자가 갖추어야 할 요소로서 ‘현대 청소년에 대한 통합적 이해’, ‘다가감’, ‘경청’, ‘친절한 사랑’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동반자의 역할과 목적에 대해 교육적 동반과 영적 동반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동반자 사목을 지향하기 위해 요구되는 환경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환경적 요소는 사목자와 교육자의 교육적 현존을 통한 ‘개별적 동반 환경’, ‘교육  사목 공동체를 통한 공동체적 동반 환경’, 그리고 ‘대중 청소년 사목으로 나아갈 수 있는 환경’으로 구분하였다. 그러므로, 동반자 사목으로 전환하기 위한 청소년 사목에 요구되는 실천적 요소들은 시대적 요구의 응답이며, 청소년과 함께, 청소년을 향한, 청소년에 의한, 청소년을 위한 사목으로 나아갈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navigated the practical elements of youth ministry, which help transition to the Ministry of Accompaniment based on the “Pastoral Framework of Youth Ministry of the Korea Catholic Church.” The study addressed the needs of the Ministry of Accompaniment b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Youth Companion’ program operated by Korean government. Moreover,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inodalitas” spirit after identifying the issues in Korea Youth Ministry. In doing so, the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accompaniment and highlighted the essential elements that animate the Ministry of Accompaniment. These elements inclu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young people,’ ‘approach,’ ‘listening,’ ‘loving-kindness.’ Then, it elucidated the role and purpose of educational and spiritual accompaniment. Consequently, the study proposed environmental elements to put the Ministry of Accompaniment into practice. There elements include ‘personal accompaniment’ through educational presence, ‘community accompaniment’ fostered by an educative-pastoral community, and a popular youth ministr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is approach could be a response to the challenges of the modern age, providing a new strategy that allows the Youth Ministry to be with the young, for the young, of the young, and by the young.

      • KCI등재

        동일화, ‘동질성 원리’ 관점에서 분석한 ‘선교사의 현지인 목회’에 대한 비평적 고찰

        김종성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6 No.-

        타문화권에서 선교사가 현지인 교회를 개척해서 목회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특별히 한국 선교사들의 주요 사역 현황을 분석해 보면 ‘교회 개척’ 사역이 주요 사역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선교사들이 복음을 전해서 회심자를 얻게되면, 그들을 대상으로 제자 훈련을 시키고, 제자 훈련을 마친 현지 그리스도인들을 중심으로 교회를 세우는 것이 교회 개척 사역의 가장 기본적인 틀이다. 한국 선교사들의 50% 이상이 이 사역과관련하여 선교 사역을 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본 논문의 논지 “선교사의 현지인 목회” 가능한지에 대한 부분을 비평적 관점에서 연구를 하되, 세계 선교의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의 결과를 기대하면서, 이 주제를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을 기반으로 한, 선동일화, ‘동질성 원리’ 관점에서 분석한‘선교사의 현지인 목회’에 대한비평적 고찰* 김종성(주안대학원대학교, 선교학) 160 l 복음과 선교 제46집교신학의 학문 영역 가운데 ‘타문화 선교’, ‘교회성장학’에 나타나는 ‘동일화’, ‘동질성의 원리’를 차용하여 문화적인 측면, 교회성장학적인 측면, 그리고 목회적인 측면에서 ‘한국 선교사의 현지인 목회’를 연구하고자 한다. 논지 전개를 위한 키워드는 현지인 목회, 선교, 동일화, 동질성이다. 이 키워드들과 함께 연구 논문에서 염두 해 두어야 할 대상범위는 선교사, 현지인, 현지 그리스도인이며, 그리고 연구 context 에 해당하는 요소는 문화적 관점인데, 현상학적, 존재론적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한국 선교사들이 개척 교회를 통해서 현지인들을 목회한다고하지만 그렇게 효율적이지 않다. 한국 선교사가 선교 현지 교회를목회하는 것은 분명 그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연구자는 그 한계성을 두 가지로 구분해서 살펴보는데, 첫 번째 한계성은 ‘장벽’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제자화’이다. 한국 선교사의 현지인 목회라는 것을 맥가브란이 구분한 제자화 단계로 분석해 본다면 1, 2단계까지는 가능할 것이고, D3에 해당하는 부분은 실제적으로 많은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랄프 윈터가 말한 전도의 장벽을 모두 넘어, 맥가브란이주장하는 것처럼 회심성장과 제자화, 완전화의 과정을 거쳐 교회가 형성되었다고 하면 선교사가 건강한 교회를 목회하고 있다고말할 수 있다. 목회적 차원에서 선교사가 현지인 목회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은 아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목회’라는 의미에 초점을 두고 이해해 보면 어렵다고 본다. 목회를 한다는 것은 자기희생, 섬김, 고난의 삶을 의미한다. 연구자는 본문에서 선교와 목회 사이의 긴장을 긍정의 방향에김종성, 동일화, ‘동질성 원리’ 관점에서 분석한 ‘선교사의 현지인 목회’에 대한 비평적 고찰 l 161 서 어떻게 하면 한국 선교사가 타문화권에서 목회와 선교를 온전히 감당할 수 있을까를 세 가지로 분석해 보았다. 첫째는 현지 그리스도인의 리더십 아래에서의 선교이다. 둘째는 타자를 위한 선교에서 타자와 함께 하는 선교로 전환이 되어야 한다. 셋째로 성육신적 동일화, ‘동질성 원리’에 기초하는 선교이다. 한국 선교사가 현지인 목회를 해야 한다면 목회적 측면의 강점에 최대한 충실하면서 문화적인 측면과 교회 성장학적인 측면에서의 한계성을 극복해갈 때, 그리고 VII에서 언급한 ‘긴장 속에서 긍정을 향하여’ 나아... It is not so easy for Korean missionaries to plant and do pastoral ministry for native churches in other cultural areas. In spite of that, when we look a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man in ministry of Korean missionaries, we can see that ‘church planting’ ministry to establish the church is settling down as central ministry. I am going to study the theme from critical perspective, expecting to bring a positive result in the efficiency of the world missions. I will study this theme based on holistic mission. I will study ‘the pastoral ministry of missionaries for the natives’ from cultural persp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churchgrowththeory, and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ministry, borrowing ‘identification’, ‘the principle ofhomogeneity’ that the churchgrowththeorywhichis one realm of theology of mission presents. McGavran said, “All churches including mother church or younger church, need growth through either bridging growth or cross-cultural evangelism. We must make disciples of all the nations, even though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churches composed of homogeneous groups to evangelize the people who belong to their homogeneous groups.” There is much difference in nuance between doing pastoral ministry for native responsible members, disciples members of a church and planting a church. In spite of that, Koran missionaries simply want to plant a church in the mission field and do pastoral ministry for it, rather than to take pains to deeply consider the difference in their mission work.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mission work they do according to their vision is aligned with the will of God, even though it is what missionaries want to do. In that aspect, I ask a question. Do missionaries exist for ‘the mission of God’, or ‘the mission of God’ exists for missionaries? The people who are devotes to do mission work know well 4 development st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native churches’-the first stage: Pioneer, the second stage: Parent, the third stage: Partner, and the fourth stage: Participant. In this relationship also, we can not see the legitimacy of the missionary’s doing pastoral ministry continually in the mission field. In spite of that, Koran missionaries have to do pastoral ministry for the natives, they will be able to see positive fruit in their mission work for God when they do the following things-when they overcome the limitations which come from cultural aspect and church growth aspect, devoting themselves as much as possible to the strength the pastoral ministry provides.

      • KCI등재후보

        목회적 과제로서의 통전적 예배에 관한 구상 - 예배와 목회상담의 접점

        강용원 ( Yong Wonkang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12 복음과 상담 Vol.18 No.-

        이 연구는 예배와 목회상담의 연결점을 찾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예배가 목회상담에 기여하고 목회상담이 목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길들을 탐구해 보려는 것이다. 목회상담은 지나치게 좁은 주제와 일대일의 관계에만 한정됨으로 인해 큰 안목을 잃을 가능성이 있고, 예배는 성도 개개인의 신앙적 돌봄의 차원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연구자는 목회의 다른 차원인 목회사역, 목회돌봄, 목회상담의 개념을 논의하고 목양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치유, 지탱, 인도, 화해의 사역을 매개로 통전적 예배를 구상하였다. 이를 통하여 목회상담의 원리는 예배에 적용될 수 있고 예배는 그 자체가 거시적인 의미에서 목회상담의 현장이 되며 목회상담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도록 기여한다. 실제로 목회상담이 추구하는 하나님과의 관계 수립, 치유를 향한 회개의 촉구, 목회상담의 중요한 기둥이며 자원인 영성, 목회상담이 추구하는 진정한 종말론적인 소망의 원천은 바로 예배이다. 그러므로 예배는 효과적인 목회상담을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소중한 자원이 공급되는 곳이다. This research is to find a point of contact between worship and pastoral counseling. It is to explore ways in which worship can contribute to pastoral counseling, pastoral counseling to ministry. Pastoral counseling may face possibilities of losing bigger perspectives on the ministry due to the limited scope on overly narrow theme and on the one??on??one relationship; worship may face possibilities of weakened attention to the spiritual care of each Christian. This researcher will discuss pastoral ministry, which is an another dimension of ministry, pastoral care, the concept of pastoral counseling, and furthermore, conceives a holistic worship through the medium of healing, sustaining, guiding and reconciling, which are what significantly constitute a shepherding. Through this application, the principles of pastoral counseling can be applied in worship; by the virtue of macroscopic meaning, worship provides a field for pastoral counseling and contributes to the effectiveness of pastoral counseling. In reality what pastoral counseling seeks, which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God, urging for repentance toward healing, spirituality which is an important pillar of pastoral counseling and resource, the source of true eschatological hope, is worship itself. Therefore, worship is a realm that indispensible and precious resources are offered for the effectiveness of pastoral counseling.

      • Emotional Damage in Pastoral Ministry: Contributing Factors and Effect on Pastors’ Performance

        ( Jeremy Mwenda Marambi ) 삼육대학교 선교와사회문제연구소 2022 Asia-Africa Journal of Mission and Ministry(AAMM) Vol.25 No.-

        Pastors have an infinite capacity to hurt as they console and encourage the disheartened, discouraged, low-spirited, depressed members. They have deep gnawing abrasions, injuries that remain festering. Sometimes, pastors put up a brave face as emotional beings for the congregation’s sake. Pastors often face situations that leave them emotionally wounded, thereby affecting their effectiveness in ministry. If not addressed, such emotional wounds impede their pastoral ministry. The unhealed memories in their ministry practice contribute to emotional damage that may impair the pastors’ ability to perform their ministerial du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auses of emotional damage from a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and other relevant sources recommending ways pastors can experience emotional healing that aims at improving their pastoral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회중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교회의 가정사역

        김준 ( Jun Kim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12 복음과 상담 Vol.19 No.-

        본 논문은 교회에서 실시되는 가정사역의 효과적인 정착과 교회안의 조화로운 사역을 이루기 위해 회중학적인 관점이 도움이 됨을 제시한다. 적지 않은 교회들이 교회안의 가정들의 문제들을 인지하고 그들을 돕기 위해서 가정사역에 대한관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가정사역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 논문은 교회의 가정사역의 실행과 정착에 관한 관심의 결여와 예상되는 문제들을 지적한 뒤 가정사역의 준비를 위해 교회의 가정사역의 범위와 형태를 지정할 수 있는 가정사역의 이해와 조화로운 가정사역을 위한 준비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더 구체적으로, 회중학의 특성을 소개한 뒤 회중학적 연구를 통해 교회의 목회철학과 리더십, 교회의 기존의 가정사역적 요소, 그리고 교회안의 가정사역을 위한 자원과 가정들의 필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교회의 가정사역은 교회의 형편과 상황에 맞는 “맞춤 가정사역(tailored family ministry)"이 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가정을 위하는 목회 철학과 배려가 "깊게 내재된 (embedded)" 교회가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propose that congregational studies could provide a perspective for congregation`s family ministry`s application in and harmonious ministries for the congregation. Many church leaders and congregations have realized the problem in and needs of families in congregation and got more interested in family ministry for the congreg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have realized the uneasiness to launch family ministry. This essay points out the lack of concerns on the actual practice of family ministry in congregation and potenti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family ministry, and then, suggests that congregation need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family ministry that set the boundary and scope of family ministry. More concretely, it introduces congregational studies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ministry philosophy and leadership, existing elements of family ministry, and resources for family minist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congregational studies. In conclusion, the essay states that family ministry should be "tailored family ministry" fitting to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congregation and transform into the congregation "embedded" with nurture and support for families in congre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