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비교과 연계 교육과정(Co-Curriculum)이 학생의 전공역량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일반수학2’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In recent colleg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informal curricular activities in addition to formal curricular has been emphasized. Differences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are gradually disappearing as extra-curriculum are activated. Accordingly, the concept of informal curricular activities is expanding from the concept of extra-curriculum that means a curriculum other than a formal curriculum, to the concept of co-curriculum, which is a curriculum that cooperates with formal curriculum.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students’ competency for future society,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college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design and operate the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so that they can be interconne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showing the effect of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through specific practices. I analyzed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at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pursue the effective cooperation between the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some active linkage methods were introduced, such as close dialogu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master lecturers, compulsory participation in the informal curriculum, and reflection of the results of participation in the informal curriculum in student’s credit. This is different from the findings reported in most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r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ajor competency growth. The knowledge utilization competency, logical thinking competen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curriculum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curriculum was very high. 역량중심 교육의 강조에 따라 대학 교육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교과 프로그램이대학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따라 점차적으로 정규 교육과정과 비정규교육과정 간 차이가 축소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념이 교과활동 이외의 과정이란 의미의Extra-Curriculum 개념에서 정규 교과교육과 함께 하는 교육과정 즉 Co-Curriculum의 개념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학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미래형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정규 교육과정과 비교과 교육과정이 상호 연계성을가질 수 있도록 설계하고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공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의 연계 사례를 분석하여제시함으로써, 연계 교육의 중요성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소재 D대학교에서 최근에 실시한 교과-비교과연계 형태의 수업 성과를 분석하였다. 교과 담당자와 비교과 담당자 간의 긴밀한 대화와 협력, 전공 교과 수강생의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강제, 비교과 참여 결과의 전공 학점 반영 등 적극적 연계 방식을 도입하였다는 점에서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사례들과는 차별성이 있다. 분석 결과 교과-비교과 연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전공역량성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지식활용역량, 논리적사고역량, 창의적문제해결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비교과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과 사서교사 역할에 관한 연구

        함명식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No.3

        This thesis presents the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and the roles of teacher- librarians. Related to ‘The School Library Promotion Law’, this thesis presents the effects teacher-librarians instruct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to the school libraries, and the challenges related to this curriculum. This thesis contains the role and work of three kinds of staff in the school library, implement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ies, the effects by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and challenges of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Conclusively, teacher-librarians should accomplish their own instructional activities with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in the school curricula as differentiated work from librarians. 본고는 초·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과 사서교사의 역할을 논의하고 그 영향 및 과제를 다룬다. 학교도서관진흥법과 연계하여, 사서교사가 학교도서관에서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또한 어떠한 기본 체제를 갖추고 실천해야 하는지 등 향후 과제와 방안을 제시한다. 주요 내용은 사서교사의 업무 범위와 교육과정,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영향,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향후 과제를 다룬다. 사서교사가 사서직원과 차별화되는 업무로서 학교도서관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사서교사의 고유한 시간(수)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인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 활동을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우수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관한 연구

        이병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3 No.2

        The curriculum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s at the heart of the education. In education, a curriculum is broadly defined as the comprehensive plan consisting of educational goal and objectives, instructional content, materia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Many countries has national level curricula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uch as the Korea. Korean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revised 10 times. Currently, ‘2015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developed called a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2007. However, this curriculum is based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o it differs from the system and contents structure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ince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pply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revising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2015 revised curriculum’ and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초․중등학교에 있어서 교육과정은 교육의 핵심이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교육자료 및 교수-학습 방법을 규정한 종합적인 교육계획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는 초․중등학교 교육을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10차례에 걸쳐 개정한 바 있으며, 현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한국도서관협회에서는 2007년에 초․중등학교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해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 교육과정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고 있어서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체계와는 차이가 있다.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체계에 맞추어 개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후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잭슨의 잠재적 교육과정과 그 이후

        박채형(Chae-Hyeong Park) 한국도덕교육학회 2019 道德敎育硏究 Vol.31 No.2

        학생들이 교육과정의 운영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획득하는 것은 거기에 들어있는 가치있는 요소와 더불어 그것과 무관한 우연적인 요소로 양분된다. 잭슨은 이들 양자 중에서 후자를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규정한다. 그렇기는 해도 잭슨이 사용했던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가 그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된 것은 아니다. 특히, 애플을 비롯하여 일리치와 라이머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를 지배집단이 교육과정에 숨겨놓은 사회적 이데올로기로 바꾸어 놓았다. 그러나 교육과정 개발과 무관한 교사나 학생의 입장에서 볼 때, 잠재적 교육과정은 잭슨이 상정하는 그것으로 수렴될 수 있다. 그래서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의 핵심은 자연스럽게 잠재적 교육과정과 표면적 교육과정의 긴장관계를 해소하는 데에로 귀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 대한 기존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교과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그것에 대한 대안적 입장을 모색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outcomes on hidden curriculum critically, and then to grope for the problems and solutions to it. Jackson defined hidden curriculum as something that is acquired by students in the process of education regardless of formal intentions of manifest curriculum. With Illich and Reimer, Apple transformed the meaning of hidden curriculum into social ideology which is hidden behind manifest curriculum by ruling class. But,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 and student who are free from developing curriculum, the meaning of hidden curriculum defined by Jackson is not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it transformed by Apple. Nonetheless, the concept of hidden curriculum introduced by them has a fundamental problem: education is an activity which seek after value, but hidden curriculum contains not only something of value but also something the exclusion of value. In this respect, it is claimed that the meaning of hidden curriculum is limited to something to value to rebirth as educational concept. Recent studies show us the way to reconceptualize it like that. Following the studies, hidden curriculum is a fundamental source of manifest curriculum, and manifest curriculum is a overt representation of hidden curriculum. Figuratively speaking, hidden curriculum as source combines with manifest curriculum as representation like heads and tails of coins. Maintaining these relations, hidden curriculum can play role as the driving force which ushers in students to realize the formal intentions of manifest curriculum, and manifest curriculum becomes the pathway to reach the ideal state of hidden curriculum.

      • KCI등재

        잠재적 교육과정의 재개념화를 위한 잠재적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평가

        배지현 ( Ji Hyun Ba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1

        이 연구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화 과정에서 나타난 정통 교육과정적 관점과 교육(과정) 사회학적 관점의 대립적 논의가 갖는 의의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실천적 맥락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을 재 개념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 대립적 논의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통 교육과정학자들과 교육(과정) 사회학자들이 잠재적 교육과정을 규정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자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화 방식과 이것이 지칭하는 교육적 실체가 상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들이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해 서로 다른 의미를 전제하는 가운데 각자의 개념적 정당성을 주장함으로써 소모적 논란에 그치게 되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이 대립적 논의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상이한 개념화가 이루어진 사실로부터 잠재적 교육과정의 재 개념화 가능성 을 재차 확증하고, 잠재적 교육과 정에 대한 연구가 개념적 정당화 방식으로부터 교육(과정) 실천 에 대한 다양한 이해 지평을 발굴/실험 하는 연구로 전향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이 논란 의의 의를 바탕으로 잠재적 교육과정을 수업 실천적 맥락에서 새롭게 재개 념화 하였다. 수업 실천적 맥락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은 ‘암묵적, 비형식적 유형의 교육내용’으로, 공식적 교육과정은 ‘공식 적, 형식 적 유형의 교육내용’으로 새롭게 제안 되었다. The concept of hidden curricul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since it appeared 40 years ago. One issue about the concept of hidden curriculum is a controversy upon whether it is ``subordinate`` to the manifest curriculum or not.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limit of this controversy about the hidden curriculum and reconceptualize it from an angle of class activities. According to this study, oppositive theorists interpreted the concept of hidden curriculum in their separate ways. That is to say, though theorists use the same term "hidden curriculum", they have very different meanings. The controversy upon whether hidden curriculum is subsidiary or not is unproductive dispute, because theorist argue this problem while using different assumptions about meaning of hidden curriculum. This study makes a new suggestion for reconceptualization of the hidden and manifest curriculum from an angle of class activities as follows; The hidden curriculum is educational contents of ``tacit and personal mode``, compared with the manifest curriculum is educational contents of ``formal and public mode``. Based on the this alternate conception of curriculum, it can be said that the hidden curriculum and manifest curriculum has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s. First, the former is ``educational contents as substance``, and the latter is ``educational contents as formal descriptor of the hidden curriculum``. Second, the former is ``superfluous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latter is ``formalized part of the hidden curriculum``. Third, the former makes the manifest curriculum exist and modifies it, and the latter sparks and advances the hidden curriculum.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금융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김인엽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up some problems in the current Financial curriculum of business information high school and to reflect the improvements in the financial reference and textbook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after examining the current curriculum by introducing NCS. This study reviews vocational competence in NCS and then compares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also researches whether the factors for NCS ar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by comparing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study. ways to improve education financial curriculum of business information high school are as follows. First. the financial textbook and reference book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department of insuran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Third. the developing work of NCS learning module should be reorganized on new curriculum. Fourth. the revision of the contents in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nnounced publicly by the Education Ministry. In conclusion. the factors of NCS in financial field are not reflected in the financial education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herefore prompt public announcement should be made on the revision of the financial curriculum by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n the new financial textbook and insurance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최근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금융 교육과정을 검토함으로써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현장 직무 능력 적합성을 제고하도록 교육과정을 개정 및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분류 체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금융 분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새 교육과정의 국가직무능력표준 반영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금융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기반한 금융분야의 직무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금융관련 교과목을 편제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상 기준학과에 보험관련 학과를 제시하고 ‘보험일반’과 ‘보험실무’ 등 관련 교과도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의 개발은 반드시 교육과정과 연계성을 고려해야 하고 교육현장의 요구사항이나 학교 여건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과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경우 통합공시 및 연계공시를 통해 산업체요구와 교육현장의 통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상업정보계열의 금융 교육과정의 경우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시한 직무능력이 반영 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어 교육과정의 수정 공시가 필요하며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한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교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학습주제 중심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송기호,김태수 한국정보관리학회 2008 정보관리학회지 Vol.25 No.3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n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that would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curricula through the standard themes abstracted from theme network structures, scan and cluster analyse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a.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developed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This study utilized the them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at hav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as analysis criteria in analyzing the commonality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the subject curricula.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from the analyzing the areas of commonality. Foremost, the first themes(the fields of basic learning skills and nature) which belongs to the fields of information society, library, information technology, collaborative skills were found to have many relationships with the subject curricula. Next, the second themes(the field of information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which is the core field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howed a weak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curricula. 본 연구에서는 학습주제의 연결망 구조와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서 추출한 정보활용교육의 표준 학습주제를 가지고, 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갖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의 실제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활용교육과 교과 교육과정의 공통성 분석을 위해서 간학문적 성격을 갖는 정보활용교육의 학습주제를 분석기준으로 활용하였다. 공통성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제1학습주제(기초 학습기술과 인성 영역)가 속한 정보사회, 도서관, 정보기술, 협력기술 영역은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활용교육의 핵심 영역인 제2학습주제(정보문제 해결능력 영역)는 교과 연계성이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제(第)7차(次) 한문과(漢文科) 개정(改定) 교육과정(敎育課程) 평가(評價) 연구(硏究) 시론(試論)

        원용석 ( Yong Seok Won )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2 No.-

        이미 改定 第7次 敎育課程이 發表되었다. 한문과 개정 교육과정은 總論에 立脚하여 改定이 이루어졌므로 敎育課程 評價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漢文科 敎育의 位相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포함되지 못하여 中學校는 敎科 裁量 活動으로, 高等學校는 敎養 科目群에 編成되어 있다. 개정의 과정은 學生/學父母 討論會와 敎科 專門家의 協議會와 討論會를 거쳤으며 교사들에게는 設問調査와 協議會 및 討論會를 가져 이 결과를 연구 개발진에서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특히 중·고등학교 교사들은 `漢字, 漢字語, 漢文을 익혀 日常生活에 活用하는 側面을 强化하는 側面으로`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개정 제7차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의 `한자·한자어·한문`이었던 內容 體系 大領域을 `漢文·漢文知識`으로 교체하였다. 이러한 제7차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學者들의 論議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안은 한문과를 `言語에 관한 敎科`로 認識하였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둘째, 內容 體系의 大領域은 `言語 習得`과 `言語 習得에 관한 知識`으로 나눈 것이므로 긍정적이다. 셋째, 한문과 교육과정을 `한문`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漢字語`는 새로운 視覺에서 接近해야 한다. 넷째, `한문`영역의 `읽기·이해`는 國語科의 `읽기`에 대한 差異를 糾明해야 한다. 다섯째, `漢文 知識`의 語彙가 `漢字`와 `文章`의 中間子的인 役割을 擔當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여섯째, 漢文을 익히는 과정에 대한 硏究를 追加하여 그 硏究 結果를 考慮하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 제7차 교육과정 改正案이 施行된 敎室 수업은 무엇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되어야 한다. 漢文科 敎育課程 開發은 국가·사회 혹은 학부모·학생의 要求 事情에 대한 수렴과 言語學과 認知心理學의 硏究에 의한 교과 內容의 選定과 方法의 改善 그리고 한문과 교육이 시행되는 學齡에 관한 問題를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한문 교과 교육과정의 평가는 開發 評價뿐만 아니라 運營 評價와 成果 評價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그것들은 다시 피드백하여 새로운 敎育課程에 適用되어야 한다. 종합하면 한문과 교육과정은 理論과 實行의 모든 한문 교과 교육학 關聯의 硏究에 의한 結果物이어야 한다. The revised seventh national curriculum has already been introduced. Since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Sino Korean subject has been revised based on the general summary, the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has been properly conducted. Currently, the status of Sino Korean education is that it is conducted as discretionary activity subject in middle school and formed in the cultural subject group in high school, as it is not included i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The process of revision is said to have undergone student/parent debates and the council and debates of subject experts and teacher survey research, council and debates to incorporate the results by the developers. Especially,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with `the aspect of strengthening the aspect of everyday life purpose by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words and Chinese writings`. However, the revised seventh curriculum substituted the major area of content 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words and Chinese writings` of the seventh curriculum with `Chinese writing, Chinese writing information`. To summarize the arguments of the scholars for such revised seventh Sino Korean subject are as follow. First, the revision is desirable in the aspect of recognizing Sino Korean subjects as a `language related subject`. Second, the major area of content organization is positive in the sense that it divided into `language learning` and `language learning information.` Third, `Chinese words` should be approached from a new perspective as the focus of the Sino Korean subject is on `Chinese writing.` Fourth, `reading & comprehension` for `Chinese writing` area should look into the difference with the `reading` of Korean language subject. Fifth, can the vocabularies of `Chinese writing information` play the intermediating role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writing?` Sixth, the study result should be considered by adding the study for Chinese writing learning process. Seventh, how will the class lessons that implement the revision of the seventh curriculum become different? The development of Sino Korean curriculum must consider the refle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nation, society or parents/students, selec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study of linguistics and cognitive psychology and method improvement and the issue of the school age for which Chinese writing and education ar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Sino Korean curriculum must include not only development evaluation but also administ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s which should be applied to new curriculum through feedbacks. To summarize, Sino Korean curriculum must be the result of the study related to Sino Korean pedagogy for every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해외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문화소양 관련 내용 요소 분석

        양혜지,김자미,이원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1

        Korea shifted the focus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15, and emphasized train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hrough informatics education. The informatics education curriculum included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as a core competence so that the learners can gain knowledge of information technology-based information ethics and make ethical judgment and practice ethics. This study analyzed the elements related to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in the informatics curriculums of the US, the UK, India, Japan, Australia and Germany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elements that can foster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term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was included only in the informatics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Second, the elements common to all countries ar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formation security and copyright. Third, Korea’s information society and career, India’s avoidance of injuries, Germany’s protection of health and environment were found only in the curriculums of respective countr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the orientation of improving the elements for fostering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overseas informatics curriculums. 한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정보교육을 통한 창의적 융합 인재 양성을 강조하였다. 정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정보기술 기반의 정보윤리 지식을 축적하여 윤리적으로 판단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정보문화소양을 핵심역량으로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문화소양을 육성할 수 있는 내용 요소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 영국, 인도, 일본, 호주, 독일의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문화소양 관련 내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보문화소양이라는 용어는 한국의 정보과 교육과정에만 포함되었다. 둘째, 각국이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내용 요소는 (개인)정보보호, 정보보안, 저작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한국의 정보사회와 진로, 인도의 부상 피하기, 독일의 건강 보호, 환경 보호는 해당 국가의 교육과정에만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 정보 교육과정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정보문화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내용 요소 구성 개선에 방향성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정보영역 교육과정 구성 방향

        신수범,한규정,고병오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2

        이 연구는 국내의 교과중심 교육과정체제에서 정보영역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과중심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2개의 유형에서 정보영역이 어떻게 편제되어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국내 교육과정은 역량을 강조하지만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제시, 교과학습모형, 교과서 등을 강조하고 있어서 교과중심 교육과정에 치우친 형태로 판단하였다. 정보영역 교과중심 교육과정 사 례로 초등 실과과의 정보영역, 중학교 정보교과를 제시하였으며 SW융합교육과정은 진보적인 교육과정 사례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여건에서 SW AI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영역을 통해 학습자가 미래 지능형사회에서 주도 적인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과학을 모학문으로 하여 교과중심 관점으로 명시적으로 기술되어야 함을 강조 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direction of how to compose the information domain curriculum in the domestic subject matter centered curriculum system. To this end, subject-centered and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how the information domain was organized in two types was suggested. In spite of emphasizing competency, the domestic curriculum was judged to be inclined to the subject-centered curriculum because it emphasized the presentation of national-level educational goals, a subject learning model, and textbooks. As examples of the information domain subject-centered curriculum, the information domain of the elementary practical subject and the middle school information curriculum were presented, and the SW convergence curriculum was presented as an example of a progressive curriculum. Under such circumstances, it was emphasized that in order for the learner to lead a life in an intelligent society in the future through the information domain including SWAI content, it must be explicitly described in a subject-centered perspective with computer science as the parent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