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과 인식에 관한 연구

        김소영,김두정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tandard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analyze the perceptions about the standards among curriculum specialists, teachers, principal, vice principal, and parent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o do this, we conducted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500 curriculum specialists, education practitioners, and parents. Findings/ Results: Firstly we established 6 standards for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major accountable school curriculum implemente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n, we administered a survey on perceptions about the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we determined four factors (standards) and several sub-indicators respectively. Secondly, the perceptions about the two standards (factors) related to “students” and “school environment” were different among groups while those related to “school focused support or cooperation” and “parental involvement”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Values: We mainly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parents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when we implement school curriculum. Parents' perceptions about school implementation were quite different from other groups. Secon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was different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There should be opportunities to talk each o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close the gap. Third, all groups including curriculum specialists, teachers, principal, vice principal, and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one way or another. They all have different things to say about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ndards.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을 설정한 후 그것에 대하여 총 500명의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교육청 담당자, 교장・교감, 교사,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 결과, 학교, 교사, 교육부, 교육청, 지역사회, 학부모 등 6개의 실행 주체를 중심으로 6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을 도출하였다. 둘째, 설문지 조사 후 응답을 요인 분석하여 “학생”, “학교 집중 협력과 지원”, “학교 여건”, “학부모 참여” 등 4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요인)과 하위 지표를 도출했다. 셋째, 4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요인)의 집단별 인식과 집단 간 차이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주요한 논의와 제언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다른 집단과 크게 다르다. 이처럼 매우 다른 학부모의 요구는 학교 교육과정 기준 설정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 기준의 하위 지표인 “교사 전문성 개발”에 인식은 교사와 학교장 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 기준에 대한 학교장과 교사 간 대화의 장이 자주 만들어져 인식의 차이가 메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교육청 담당자, 교장・교감, 교사, 학부모 등의 모든 집단은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에 대하여 어떤 식으로든 다른 인식을 갖고 있다. 이들 모든 집단이 학교 교육과정 실행 기준의 설정에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실과 기술 영역의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진의남,박수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posing curriculum practice plan to help developing the class for promotion of academic competency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of technology field. This research derives implications and suggests a curriculum practice plan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classroom observation and interview. Outcomes of the study are first, the process of reading me curriculum after analyzing units through core achievement standard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Examining the textbook after confirming core achievement standard of related units with other courses and analyzing whether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performed to promote academic competency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of technology field. During this process, the curriculum is reconstructed through analyzing the same subject or concept, the same capability or ability, the same teaching method or strategy, and the same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Second, the question generation activities, mind maps and games are executed as key learning strategies by selecting ‘learning types of information devices and functions’ as a learning topic for teaching practices. In order to increase core academic competency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of technology field,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for learning contents of the cours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is practical in schools is required. In addi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ata focusing on competency that can be combined with application of learning model, curriculum of subjec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uch as questions generation activities should be used. Third, the 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major core competency in the learning process. The learning group must be formed to design classes that consider academic competency. The change in learning group should be induced from individual questions, couple questions, group questions and entire questions. Communication opportunities must be expanded by using a questions generation card. In this way, the construction is required to achieve academic competency by reflecting academic competency elements in the process of overall lesson. The academic competency evaluation is available in the course of study like teaching practice that assesses the academic competency through questioning activities of learners by using ALU (advantage, limitation, unique qualitiesting) technique. 이 연구는 실과 기술 영역의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수업을 전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실행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 교육과정 선행연구 분석,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관찰 및 수업 면담 등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교육과정 실행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실과 기술 영역에서 교과 역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실과의 핵심 성취 기준을 활용하여 단원을 분석한 후 교육과정을 읽고, 관련 단원의 핵심 성취 기준을 확인한 후 교과서를 살펴보고,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동일한 주제나 개념, 동일한 역량이나 능력, 동일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전략, 동일한 평가 방법이나 도구 등을 분석한다. 둘째, 수업 실행 사례는 ‘정보 기기의 종류와 기능 알아보기’를 학습 주제로 선정하여 주요 학습 전략으로 이해질문, 창의질문, 입증질문, 적용 질문, 평가 질문 등의 질문생성활동, 마인드맵, 게임활동을 실시한다. 실과 기술 영역에서 교과 핵심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질문생성활동과 같이 교과의 학습 내용에 적절한 학습 전략의 개발, 학교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역량 중심 학습 모형의 적용 및 역량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 적용이 요구된다. 셋째, 기술 영역의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교실 수업 설계를 위해서는 학습 과정에서 주요 핵심 역량에 따른 학습 전략을 선정하고, 학습 집단 구성을 고려한다. 짝 질문, 모둠 질문, 전체 질문으로 학습 집단의 변화를 유도하고 질문생성카드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의 기회가 확대하도록 한다. 이처럼 전반적인 수업의 과정에서 교과 역량 요소를 반영하여 기술적 문제해결, 기술 시스템 설계 능력, 기술 활용 능력 등의 교과 역량이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교과 역량 평가는 ALU(advantage, limitation, unique qualities)기법을 활용하여 학습자간의 질문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평가하는 수업 사례처럼 교과 역량을 수업과정에서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과 역량인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기술활용능력, 기술시스템설계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단원별 다양한 교과 역량 수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

        김소영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1

        연구목적: 현대 사회는 획일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개인의 적성이나 진로에 맞는 개별화되고 다양화된 교육의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교육과정 자율화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일반 학교와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운영형태를 지닌 새로운 방식의 학교인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하여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교육과정 자율화의 의미와 공교육체제인 학력 인정 대안학교의 유형, 유형별 관련 법령 및 규정을 탐색하였다. 각종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입학 대상별로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과 운영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대안학교 교육과정 편성 측면으로는 첫째, 학교의 특성이 반영된 교과가 편성되어 있다. 둘째,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비중은 학생의 흥미와 적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셋째, 학생의 진로 탐색에서 상급 학교의 진학도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대안학교 교육과정 운영 측면으로는 첫째, 교과 활동과 비교과 활동의 연계를 활용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교과를 개설하여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있다. 셋째, 다양한 기관과의 협약 등을 통해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구축하여,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논의 및 결론: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교육과정 실행 주체들의 협력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입시에서 전문교과나 비교과 활동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 요구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형태로 교과의 추가․신설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autonomy as a way to realize diversified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aptitudes and career paths in modern society. Therefore, we want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urriculum autonomy through an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schools. Method: The meaning of curriculum autonomy and the types of alternative schools that are recognized as a public education system,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each type were explored. In order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miscellaneous schools, we classified the types according to the enrollment target and looked at the aspects of organizing and managing the school curriculum for each type. Results: In terms of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composition, first of all, subjec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are arranged. Second, the ratio between regular subjects and specialized subjects is managed autonomously according to students' interests and aptitudes. Third, the curriculum is structured so that students can choose to go to college in their career exploration. In terms of opera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first, the linkage between the curriculum and comparative activities is utilized. Second, we opened a variety of subjects to broaden our students' choices. Third, through agreements with various organizations, we are building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building a foundation for cooperation. Conclusion: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course autonomy, it is first necessary to build a foundation for the cooperation of curriculum implement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specialized subjects and comparative activiti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trance examin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add and establish new subjects in a way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이론과 실행의 소통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박선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3

        In this study, I review the current discuss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focusing on the six signs of crisis in curriculum field articulated by Joseph Schwab 30 years ago. I suggest that four issue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courage vital interplay between curriculum theory and curriculum practice in Social Studies. Schwab's first sign of crisis in the curriculum field involves a translocation of actors who solve problems in the curriculum field from the nominal practitioners of the field to other men. The second sign involves a flight from use of principles and methods to talk about them. The third sign of crisis involves an attempt by practitioners to return to the subject matter in a state of innocence. The fourth sign of crisis involves retreat of the curriculum professor to the role of observer of contributions of others to the field. The fifth sign of crisis involves a repetition of old and familar knowledge in new languages. Finally, Schwab's sixth sign of crisis involves a marked increase in contentious debate. Sufficient evidence exists to support the claim tha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remains in a state of crisis that Schwab sought to mitigate. In order to escape from the state of curriculum confusion, w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Social Studies curriculum needs to mark the boundaries of the domain. Secon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needs to come to terms with curriculum history. Third, curriculum maker have to take care that the material presented and the treatment given should be fair to all sides. Finally, the potential for fostering a vital interplay between curriculum theory and curriculum practice is the key to develop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본 연구는 1969년 슈왑이 빈사상태를 선언한 교육과정 위기의 6가지 신호에 비추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 이론과 실행 간에 존재하는 간극을 좁히는 방향에서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슈왑이 말한 교육과정의 6가지 신호 중 첫 번째는 교육과정 개발이 명목적 실행가로부터 다른 사람들에게 상당 부분 이양되었다는 점이고, 두 번째 신호는 교육과정 연구자가 교육과정 원리와 방법을 이용하기보다는 그것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에 관심을 둔다는 것이며, 세 번째는 현재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뿐만 아니라 모든 원리에 대한 연구를 무시한 채 순수시대로 회귀하려는 시도이다. 그리고 네 번째 신호는 교육과정의 이론가가 이 분야에 대한 다른 사람의 공헌을 비평하는 사람의 역할로 후퇴한다는 것이고, 다섯 번째는 오래된 지식이 의미 추가나 변환 없이 새로운 언어로 반복되고 있으며, 여섯 번째 신호는 교육과정 영역에서 논쟁과 편견에 호소하는 논의가 증가한다는 점이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과 교육과정 논의 과정에서도 슈왑의 6가지 신호를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에 대한 위기 신호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은 그 경계를 분명하게 설정하고, 과거 성취를 토대로 틀을 짜고 기존의 조직과 실행 원리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종합하며, 객관적 자료에 근거하여 자유롭게 의사소통하는 분위기에서 이론과 실행의 상호 교류를 통하여 구체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Curriculum Reform for the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Sangeun Lee(이상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이 글의 목적은 국내 중학교에서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혁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의도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 수준에서 설계된 국내 중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실행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이와 같은 교육과정 개혁으로 인해 교실 수준에서 교사들이 겪는 변화와 도전과제는 무엇인가? 셋째, ‘경험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새로운 교육과정 변화와 자신들의 핵심역량 발달 정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문서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세 번째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최근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중학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혁은 먼저의도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간학문적 접근의 확대, 학습량 감축,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 확 대 등의 특징을 보였다. 다음으로, 실행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수업은 학생 참여형 활동이 강조되고, 평가는 학생들의 성장 과정에 초점을 둔 과정 평가와 수행 평가의 형태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사들 간의 학습 공동체를 활성화하며, 나아가 교사들에게 학교 밖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요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실행 과정에서 업무량 증가, 관련 자료 부족 등과 관련하여 어려움과 불만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경험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를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자신의 핵심역량 발달 정도에 관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학생 및 학부모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도 공존하고 있었다. 결론 부분에서는 이러한 국내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가 ‘21세기 진보주의 교육의 부활’이라는 특징을 나타낸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topic of “key competencie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worldwide within the discourse on curriculum reform. Recently, in South Korea, a new form of curriculum for students’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throug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 new educational policy, “Free Semester Program” has been ado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ent trends of curriculum reform for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To analyze them, the present study us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urriculum expression, which distinguishes between the intended curriculum, the implemented curriculum, and the experienced curriculum.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nded curriculum” designed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2) What are the changes and challenges faced by teachers in aspect of “implemented curriculum” intended to pursue key competencies? (3)What ar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new curriculum and their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in terms of “experienced curriculum?” To deal with this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document analysis and reanalyzed data from a survey questionnaire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에 대한 정당화 논리 검토

        권혜정,홍후조 대한교육법학회 2017 敎育 法學 硏究 Vol.29 No.4

        Article 23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s not detailed the principals, procedures and processes of the curriculum, and the current curriculum can be amended whenever the Education Minister approves the Minister's approval. While the National Curriculum outlines and regulates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nationwide, the frequent revisions to the curriculum cause problems such as duplication and omission of learning content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at can be change frequently. A proposal for a national level committee that will be continued to lead the national educational process beyond the interests of certain subjects in the long run, which will be inevitably lead to the needs to revise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is intended to logically review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First, it is the legal ‘proprie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Under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of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the Act on Governing the National Curriculum shall be established and based on the rule of law, not governed by the rule of law. Second, it is ‘systematic’ of legislation related to the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are insufficient and require systematic maintenance in relation to national education courses,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rd, it’s the 'effectiven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Temporary president, there are limits to independent entities with advisory body or control of the Education Ministry Committee. Educational amendments should be substantially beneficial to the relevant parties and involved persons. Fourth, it’s the 'Flexible'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The Act should be flexible enough to act flexibly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age and reflected the education and social curriculum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national curricula, reflecting the educational and social nee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ifthly, it’s the 'stability' of the curriculum policy.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given sufficient time for education to be adapted by the education parties, and national importan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ittee, such as the minimum curriculum and revision cycle. 초ㆍ중등교육법 제23조에는 교육과정 개정의 주체, 절차 및 과정들이 자세히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현행 국가교육과정은 수시 개정 체제로 교육부장관의 재가만 있으면 언제든지 개정을 할 수 있다. 국가교육과정은 전국의 초ㆍ중등학교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규율하지만, 불명확한 수시개정으로 인해 수요자들은 자주 바뀌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학습 내용의 중복 및 누락 등의 문제를 겪는다. 미래지향적이고 장기적으로 특정 교과나 세력의 이해관계를 넘어서 국가교육과정 개정을 지속적으로 책임감있게 주도할 국가 수준의 위원회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제안이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의 정당성에 대해 논리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의 법적인 ‘타당성’이다. 헌법 제31조 제6항의 교육제도 법정주의 등에 따라 정치권력에 지배받지 않고 법의 지배를 바탕으로 국가교육과정위원회를 설치하자는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관련 법령의 ‘체계성’이다. 현행 교육과정 관련 교육법규가 미비하며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제ㆍ개정 주기 등 국가교육과정 관련하여 법적으로 체계적인 정비를 필요로 한다. 셋째,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의 법적인 ‘실효성’이다. 한시적인 대통령 자문기구나 교육부 산하 위원회로는 독립적인 주체로 한계가 있다. 교육과정 개정은 관련 당사자와 수요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적인 관점에서의 ‘융통성’이다. 법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작용할 수 있어야 하며 국가교육과정위원회에서 교육 및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과정 정책 및 국가교육과정기준 설정 등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과정 정책의 ‘안정성’이다. 교육 정책은 교육 당사자들이 적응할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야 하며 최소한의 교육과정 제ㆍ개정 주기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항은 위원회 설치에 관한 법률 속에 반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Competency-oriented Social Multimedia Computer Network Curriculum

        Huh, Jun-Ho,Seo, Kyungryong Korea Multimedia Society 2014 The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Vol.1 No.2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it is emphasized that fostering of the students as the capable 'creativity-convergent' individuals can be achieved by offering them the opportunities to cultivate the basic knowledge in liberal arts, society and scientific technologies through schooling. While retaining the basic principle of 'fostering creative people', this fundamentally-reformed curriculum involves improvement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s in response to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s in which active responses to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amelioration of the problems posed in the field applications are required. Accordingly, a novel future-oriented curriculum is necessary for the classroom teaching, and to realize the goal, the 'Competence-oriented Social Multimedia Computer Network Curriculum' adopting the virtualization and the 'Bottom-up' methods has been proposed in this paper as a feasible and practical curriculum. Our curriculum will be compared with the recent Cisco high school curriculum and analyzed contemplating recent curriculums in US, UK, Japan and India. Two 1-year practice courses are examine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urriculum for a period of two years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ject.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will show that our proposed curriculum is superior to the Cisco high school curriculum in the aspects of economic feasi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 KCI등재

        Teachers' Roles in Curriculum Design

        김재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eacher’s major roles when they design curriculum plan in the church. Definition of curriculum and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and curriculum plan are explained first. When churches plan to change their curriculum or design curriculum plan, objective, scope, content, learners, an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and teachers have important roles in these five areas. First, a teacher should know both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nd clear purposes and objectives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e church, so that they can evaluate the objectives of the church can be fulfilled effectively through the curriculum. Also, the personal philosophies of the teacher should agree with them. Second, teachers should define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Scope means what learners will be taught through the curriculum. It can be wide enough to study all the Bible or can be narrow so that only one subject will be studied in the class. Third, teachers should know learners and learning methods.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learner’s thought, concept, circumstances, and learning style so that teachers will design an effective curriculum. Choosing a curriculum should be started with knowing learners. Last,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y are the most important curriculum resource and try to develop themselves continually. A teach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hristian education. It is explained what teachers should do in choosing a curriculum in the church and reminded teachers themselv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urriculum design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교육과정 지역화의 문제와 개선 방향

        한진호 ( Jinho Han ),임유나 ( Yoona Lim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2

        6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교육과정의 의사결정 권한은 중앙에서 지역과 학교로 분권화되고, 이러한 추세는 교육감 직선제 이후 지속·강화되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적인 편성·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과정 지역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교육과정 지역화의 근거와 특징을 살펴보고, 지역화 과정에서 생긴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이후 관련 전문가 8인의 심층면담을 거쳐 교육현장의 실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추후 방향 제시를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이끌어 낸 교육과정 지역화의 문제점으로는 교육과정적 기회비용의 발생, 고비용·저효율·행정력의 낭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저해, 시·도교육청 업무의 비효율성과 비효과성 초래, 교육과정 지역화 수혜 대상자의 전도(顚倒)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문제에 대응하는 개선 방향으로 지역성과 지역의 실정에 대한 재개념화, 국가와 시·도교육청 간의 적절한 의사결정 권한 분배와 지역 교육과정 문서의 실사구시형 개발, 지역 교육과정의 대강화,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지원청의 역할 및 기능 재구조화, 학교와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따른 지역사회와의 쌍방식 협업 등으로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지역화는 결국 단위학교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 환경 조성으로 건강한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는 과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단위학교를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w and problems of curriculum localization in Korea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curriculum localization to promote autonomous organizations and operations of school curricula. The problems of curriculum localization discove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include causing curricular opportunity cost, high-cost and low-efficiency waste of administrative power, hindering autonomous organization and operations of school curriculum, causing inefficiency and ineffectiveness in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reversed beneficiaries of curriculum localization.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s in response to each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e reconceptualization of locality and the actual state of regions; proper distribution of decision-making authority between state,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mpirical development of local curriculum documents; simplification of local curricula; restructuralization of roles and functions of local,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bottom-up collaboration with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needs of schools and students. Curriculum localization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healthy educational ecosystem by building up the environment for autonomous and creative organization operations of curricula in unit school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support to unit schools.

      • KCI등재

        교육과정 일치도 구현을 위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탐구

        이지은,박진령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Recently, the policy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Instruction- Evaluation-Recording emerged with the focus of the city education office, as a result, in schools, the attention is growing on the alignment of curriculum However, teachers tend to recognize the components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n a segmental way. Thus, this is a challenge in implementing the alignment of curriculum. Therefore, in this study, each component is explored in terms of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alignment of curriculum. And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curriculum framework. The researcher analyzed and explored the components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 as records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based on standards, student-participated classes,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student growth processes. Based on this, a five-step curriculum framework was proposed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to implement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is alignment will be strengthened if the curriculum is developed using the proposed development framework in addition that the classes and evaluation are implemented and student records are recorded at the same time. 교육과정의 일치도는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최근 각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라는 정책이 등장하였고 이를 계기로 학교에서는 교육과정 일치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육과정 일치도의 구성 요소를 분절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교육과정 일치도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일치도 구현을 위해 각 구성 요소를 교육과정적 측면에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교육과정 일치도의 구성 요소를 성취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 참여 중심 수업, 과정 중심 평가, 학생의 성장 과정 기록으로 분석하고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일치도를 구현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5단계의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교사들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업과 평가를 실행, 학생부 기록을 한다면 엄격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이 가능해져 교육과정 일치도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