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훈련 요구분석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사례연구

        백지연 한국산업교육학회 2007 산업교육연구 Vol.14 No.-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요구분석은 효과적인 프로그램 수행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며, 교육훈련 요구분석의 정확한 개념에 대한 이해, 수행방법상의 장·단점, 선행 연구자들의 교육훈련 요구분석 사례 분석을 통해 이론과 연계된 실무상의 요구분석을 이해하는 것은 산업교육 전문가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분석에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고 제조업체A의 사례연구를 통해 요구분석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작위추출을 통해 제조업체A의 생산직 종사자 71인을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하고, 중요사건기법을 사용하여 총 123개의 중요사건 스토리를 수집하였다. 팀웤에 대한 교육요구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본인 책무 외의 업무라도 자원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요구, 매뉴얼이나 회사의 규정, 근무시간 준수에 대한 교육요구, 품질관리 및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극적인 해결책 수행을 위한 교육요구가 도출되었다. Training needs assessment is a very vital process to conduct effective training programs.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fessionals must have clear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training needs assessment and training needs assessment methodologies with their pros and c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literature review on training needs assessment and the data gathering methods and to conduct a case study. Seventy one line workers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through a random sampling, and 123 stories were collected through critical incident technique. The results show four training needs areas: (1) the training needs on teamwork, (2) the training needs on volunteering behavior besides given tasks, (3) the training needs on observing work manuals and regulations, and (4) the training needs on quality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요구분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춘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1

        모든 국가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실시하는 것이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요구분석이다. 요구분석이란 현재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의 격차를 결정하고 그것의 본질과 원인을 점검하여 미래 행동을 위한 우선순위를 찾는 일이다. 이 글에서는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시 실시한 요구조사와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위하여 실시한 기초조사를 분석하여 요구분석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요구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요구분석의 모형을 검토하여 공통적으로 추출해낼 수 있는 요구분석의 요소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요구분석의 절차를 정립하여 활용하고, 요구분석의 내용적 측면에서 사회 변화의 모습과 방향 그리고 미래 사회의 요구에 대한 폭넓은 조망이 필요하다. 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외교 등 각 분야의 석학, 각 분야의 실천가, 정부, 지역사회 전문가, 교육학자, 교과교육 전문가, 학부모 등 다양한 요구분석 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며, 요구분석 내용과 대상 집단에 따른 요구분석 방법을 다양화하고 주기적·장기적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끝으로 요구분석 결과는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요구분석 결과가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우선순위 결정 준거인 중요도와 실현 가능성을 토대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Every nation carries out needs analysis for curriculum revision before developing a national curriculum. Once needs for curriculum revision are analyzed, the results are reflected in the revision. In conducting needs analysis, they define the gap between what it is and what should be is defined, the nature and causes are identified, and priorities for future actions are decided.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needs survey taken when developing the Seventh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preliminary research conducted for another revis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also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needs analysis,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it,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a. Needs analysis should be improved as follows in terms of procedure, content, subject, and group method so that needs for social studies can be widely accepted in the revision process and reflected in a revised curriculum: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odels of needs analysis in the procedure of needs analysis, set up a common procedure for needs analysis based on the common elements of needs analysis, and make use of it when revising the old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a broad perspective should be taken of the aspects and directions of social changes and the demands for future society in respect to the content of needs analysis for social studies. Third, a wide variety of individuals should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a social studies curriculum including distinguished scholars and practitioners of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diplomacy, the government, community experts, pedagogists, curriculum experts, and parents. Fourth, the methods of needs analysis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subject groups and furthermore be regular and long-term to constantly examine social needs. Finally, the results of needs analysis should be presented according to priorities. Those who conduct needs analysis need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importance and feasibility, which are the reference to determine priorities, so that the results can serve as useful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In a country like Korea where a national curriculum is regarded as holy scripture, partial revisions are preferred to all-out revisions when deciding directions for future education. In addition, it's important to have research institutes conduct constant research, required personnel, enough applications in the field, and works of revision before making the final decisions.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분석 방법 연구

        백경선,홍후조 안암교육학회 2006 한국교육학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ay of analyzing the social needs assessment systematically when we construct or revise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This study examined several problems from analyzing actual needs assessment on the previou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evelopment. Also it suggested the improved ways of social needs assessment on the base of several problems and theory of needs assess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establishment of generalized needs assessment procedure; Second, abstraction of social needs from world level, national level, and local level; Third, implication of predicting future as needs assessment contents; Fourth, inclusion of outsider's needs assessment of educational circles; Fifth, variation of needs assessment methods, and periodical and long term needs assessment; Sixth, priority decision-making based on its importance, feasibility and urgency of the problem.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we should check educational propriety of social needs, reflection system of selected nee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needs and social needs.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이루는 3대 원천인 교과, 사회, 학습자 중 사회와 교육과정과의 관계, 더 나아가 사회의 교육과정적 요구를 어떻게 분석하여야 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은 미래지향적이고 사회적으로 유용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요구분석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문제점과 요구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분석의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일반화된 요구분석 절차 확립, 2) 세계 수준, 국가 수준, 지역 수준에서 사회적 요구 추출, 3) 요구분석 내용의 미래지향성, 4) 사회적 요구의 총체적 조망을 위한 교육계 외부 인사에 대한 요구분석 확대, 5) 요구분석 기법의 다양화와 주기적, 장기적인 요구분석의 필요성, 6) 중요도, 실현 가능성, 긴급성에 의한 요구의 우선순위 결정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추출된 사회적 요구의 교육적 타당성 검토, 사회적 요구의 반영 체제 연구, 학습자의 요구와 사회적 요구와의 관계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요구분석 연구 동향 : 2006~2016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신은경 ( Shin Eun-kyung ),현영섭 ( Hyun Young Sup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요구분석에 대한 한국의 학술지 게재논문을 분석하여 요구분석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HRD와 평생교육분야의 전문학술지로 판단되는 12개의 학술지에 최근 10년(2006~2016년 6월까지) 간 게재된 논문 118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118편의 논문에 대하여 연구물 특성, 연구내용, 연구방법으로 구성된 분석요소에 의하여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요구분석 연구는 2006년부터 꾸준히 수행되고 있으며, 주로 HRD분야의 학술지에서 연구물이 축적되었다. 둘째, 연구내용 측면에서 요구의 관점은 결핍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요구조사의 내용은 직무역량, 프로그램요구, 조직·제도요구, 구직·취업역량, 리더십, 경력개발, 연구방법 순으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양적연구가 다수였고, 요구분석 대상자는 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분석방법은 t검증, Borich 요구도, LFF 모델을 통합적으로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needs analysis. For the purpose, we collected 118 articles published in 12 korean journals which were related with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lifelong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s, we made a frameworks for analyzing the articles. According the frameworks contained characteristics of articles and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 and so on, w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SPSS 21.0 and EXCEL 2010 version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wore in the following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needs analysis has been increased from 2006. Many articles were in the area of HRD. Second, in the aspect of a perspectives for needs there were a great number of articles which were based on a deficient perspective for needs. And needs for job competency, T & D, organizations & institutions, recruiting, leadership, career development, and research methodology were the main theme of the articles. Third, in the aspect of methodology,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more than qualitative. And the main substitutes were workers at companies. And t-test, Borich`s needs and Locus for Focus(LFF) were used frequently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비서직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 DACUM 직무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

        백지연,최애경 한국상업교육학회 2007 상업교육연구 Vol.15 No.-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비서직 전문성 개발에 관한 요구는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교육요구 변화를 밝혀내기 위한 시스템적인 분석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서직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방법을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실제 분석을 통해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영역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DACUM법을 사용하여 비서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상태와 기대 상태에 대한 직무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내용 분석 및 요구되는 지식과 능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요구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 커뮤니케이션, 외국어 활용 능력, 기획 및 관리, 인사/교육 업무, 정보수집, 회계 업무, 의사결정능력과 행사관리 영역이 비서직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가 있는 분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연구분석 대상자들이 모두 기업비서들로 구성되어 그 이외의 다양한 조직유형과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이며, 비서의 학력 및 경력과 전문성간에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이 간과된 점, DACUM법 자체의 연구방법상 한계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office environment is getting automated, and as work styles constantly changes, it requires organizations to increase competencies and productivity of their office workers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need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oward secretary (or administrative assistant) is not an exception. However, few studies are there on systematic analysis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ecret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how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ecretary, and to suggest the areas of its educational and training needs. First, it conducted job analysis using DACUM to identify the current job level and the expected job level. For the current job level, current secretaries participated at DACUM, and for the expected job level, current executive secretaries participated at DACUM. Second, it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job level and the expected job level, and third, it suggested the areas of its educational needs based on the gap. As a result, eight areas are identified: communication skills,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planning and managerial skills, HR(human resource) and training, data collecting and analytical skills, accounting, decision making, and convention management. Keywords :

      • 지식창조 과정으로서의 대안적 요구분석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선경(Lee, Sun-Kyung),유영만(Yoo,Young-Ma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학습요구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른 요구분석의 속성을 규명하여 지식 창조를 위한 대안적 요구분석의 필요성을 규명함에 있다. 또한 지식창조 요구를 가진 창의적 인재, 융합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과제’중심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안적 요구분석 모형을 개발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요구를 유형화하여 지식 습득 요구와 지식 창조 요구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요구분석의 특징을 비교하여 지식창조 요구에 대한 요구분석 방법이 기존의 요구분석과는 다르게 이루어 져야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지식창조 과정으로서 대안적 요구분석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삶, 업무와 밀접하게 연관된 학습자의 지식창조 요구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needs analysis according to learners’ needs and to develop an alternative needs analysis model as a knowledgecreating process. The alternative needs assessment model proposed by the study is believed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established a foundation to search for a new way to discover the needs of the learners when the problem-based learning, task-based education programs are designed. In addition, by offering the different roles of each of the six communication components for the alternative needs assessment, the study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it could be used as a practical guidance in the more detailed, field-oriented needs analysis.

      • KCI등재

        평생교육프로그램 사회적 요구분석 모형

        윤규원,김문섭,김진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odel of needs analysi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verify social needs as well as personal needs. The overall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 questionaire based on six mode class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invented in order to apply to program development. Secondly, a questionaire was designed to evaluate personal needs and social needs simultaneously. Thirdly, t-test, needs analysis of Borich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conducted with a view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al needs and social needs. As a result, there showed the categories of education which are high in both personal and social needs, whereas a category like certification program is higher in social needs rather than in personal needs. The results represent the necessities of promoting programs which are high in social needs even if there is no personal needs. Therefore the needs survey and the needs analysis need to be conducted to find out not only personal needs but also social needs. 본 연구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 중 요구분석 단계에서 개인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는 평생교육프로그램 사회적 요구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의 주요 과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평생교육 6진 분류체계에 근거한 질문항목으로 설문지를 만들어 요구도 조사의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개인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셋째, 재구성하여 개발한 요구분석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생교육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t-검정, Borich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개인적 요구도와 사회적 요구도를 모두 고려한 요구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개인적 요구도와 사회적 요구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자격인증과 같은 개인적 요구도는 낮지만 사회적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개인의 요구는 없지만 사회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대변해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요구 조사 설문방법과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개별 평생교육기관들이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한다면 사회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개설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조대연(Cho, Dae-Ye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요구분석은 HRD 프로세스의 첫 단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올바른 요구분석을 실천한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며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노력은 더욱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고찰하고 이들의 단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합리적인 과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과정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한 요구분석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과정으로 t 검정,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중복성을 활용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t 검정을 통해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고, Borich의 요구도 값을 산출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한 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HH분면 항목과 개수를 확인하여 그 개수 만큼 최종적으로 Borich 요구도 순위와 중복된 항목을 최우선 순위군으로 결정한다. 또한 한쪽에만 나타난 항목들은 차순위군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우선순위결정을 위해 3가지 기법을 통해 5가지 과정을 활용한다면 요구분석 결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있어 이해관계자와 의사결정자에게 보다 설득력 있는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Need analysis is the first step in the HRD process. Nevertheless, few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rue gaps between 'what is' and 'what should be.' Rather, there has been limited to use some appropriate methods of prioritizing needs. This study proposed a more systematic procedure to set priority of needs based upon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at are popularly used when data are collected with a survey. In particular, the proposed procedure is a way to minimize the weaknesses, at the same time, to maximize the strengths of these methods. The procedure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1) screening the tendency of needs(=gaps) through t-test, (2) prioritizing needs by using Borich's educational need equation, (3) identifying needs and its numbers fell into the HH sector of a scatter diagram, (4) double checking the rank orders of Borich's eq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needs fell into the HH sector, and (5) identifying the highest priority among needs if needs are appeared as highly ranked on both methods and the second priority with needs that are shown as highly ranked on only one method. Finally the simulations supported this systematic procedure. some implications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discussed.

      • KCI등재

        UML을 활용한 GLORY의 기능적 요구사항 분석 및 검증

        궁상환(Sang Hwan Kung),이재기(Jae-Ki Lee),남궁한(Han Namgoong)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5

        서술 지향적인 방법에 의한 요구사항의 도출은 명확한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 불충한 것으로 지적되곤 한다. 이것은 요구사항을 기술하는 작업자들이 시스템을 이해하는 관점에서 차이가 있기도 하지만, 내용의 표현방법이나 다루는 내용의 깊이,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문서화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갖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서술적인 방법으로 도출된 GLORY(GLObal Resource management sYstem)의 요구사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UML 기반의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요구사항 분석기법을 적용한 사례이다. 특히 다이어그래밍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명확하게 도식화 하고, 이를 통해 요구사항의 일관성 유지와 아울러, 중요한 요구사항의 누락 방지 등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In is often claimed that the descriptive way of documentation is insufficient to define software requirements as being unambiguous. This is caused by not only the difference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stakeholder as to system but also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documentation like method of representation as well as depth of description. The study explains the process and results of applying a diagraming tool like UML to improve the requirements of GLORY(GLObal Resource management sYstem) initially defined in descriptive way. Especially, the result shows that the requirements are more accurately improved with the good hierarchies and well-leveled functionalities, with the help of diagraming tool, expecting easy maintenance of requirements and prevention of omission of requirements.

      • KCI등재

        내담자의 ‘정보요구’와 상담자의 ‘정보제공’에 대한 빈도 및 내용분석: 청소년 상담사례를 중심으로

        강혜영,김계현,이재규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client’s information request’ and ‘counselor’s information provision’ in the counseling practice. The analysis subjects were 25 verbatim records presented in the counseling case study archives of the youth counseling agency. ‘Client’s information request’ and ‘counselor’s information provision’ responses were defined by reviewing domestic research and materials, Hill(1986), Hill(2013), and NCDA(2015). And 71 ‘client’s information request’ and 237 ‘counselor’s information provision’ responses were selected. Frequency and content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f the total 25 cases, 19 cases (76%) of ‘client’s information request’ and 24 cases (96%) of ‘counselor’s information provision’ were reported. Based on the number of responses per case, ‘client’s information request’ was 71 (2.19%) out of 3,238 total responses from clients, with 0%~12.73% depending on the case. The ‘counselor’s information provision’ was 237 (7.27%) out of 3,258 total responses from counselors, with 0%~28.33% depending on the case. Second,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There were six categories of ‘client’s information request’ and seven categories of ‘counselor’s information provision’ as the result of deriving categories of the responses. The top three in the ‘client’s information request’ category were ‘request for additional information and verification’ (40.85%), ‘request for information on understanding client’s issues and problem behavior’(18.31%) and ‘information request for suggesting coping(alternative) actions’(18.31%). The top three categories of the ‘counselor’s information provision’ were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counseling’(30.38%), ‘information on the coping(alternative) actions’(24.05%), and ‘information on the influence of client’s issues and problem behavior’(14.77%).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further studies for research and counselor training of inform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실제에 나타나는 ‘내담자 정보요구’와 ‘상담자 정보제공’의 현황(빈도 및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대상은 청소년 상담기관 상담사례연구집에 제시된 축어록 25개이다. 국내 연구 및 교재, Hill(1986), Hill(2013), NCDA(2015) 등을 검토하여 ‘내담자 정보요구’와 ‘상담자 정보제공’ 반응을 정의하고, 이에 근거하여 ‘내담자 정보요구’ 71개, ‘상담자 정보제공’ 237개 반응을 도출하였다. 빈도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 결과이다. 전체 25개 사례 중, ‘내담자 정보요구’는 19개 사례(76%), ‘상담자 정보제공’은 24개 사례(96%)에서 나타났다. 이를 사례별 반응 수 기준으로 보았을 때 ‘내담자 정보요구’는 내담자 전체 반응 수 3,238개 중, 71개(2.19%)였고, 사례에 따라 최소 0%~최대 12.73%로 나타났다. ‘상담자 정보제공’은 상담자 전체 반응 수 3,258개 중, 237개(7.27%)였고, 사례에 따라 최소 0%~최대 28.33%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이다. ‘내담자 정보요구’와 ‘상담자 정보제공’ 반응에 대한 범주 도출 결과, ‘내담자 정보요구’는 6개 범주, ‘상담자 정보제공’ 범주는 7개 범주로 나타났다. 범주별 반응 수를 살펴보았을 때, ‘내담자 정보요구’ 범주의 상위 3개는 ‘추가 정보 및 확인에 대한 요구’(40.85%), ‘호소문제 및 문제행동 이해에 대한 정보요구’(18.31%), ‘대처(대안적)행동 제시에 대한 정보요구’(18.31%)였다. ‘상담자 정보제공’ 범주의 상위 3개는 ‘상담진행에 대한 정보제공’(30.38%), ‘내담자의 대처(대안적)행동에 대한 정보제공’(24.05%), ‘내담자 호소문제 및 문제행동의 영향에 대한 정보제공’(14.77%)’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분야에서의 정보제공 연구와 상담자 교육에 주는 시사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