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 고도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박은성(Park, Eun seong),최헌철(Choi, Heon Cheol)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2

        대학교육 및 사업에서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뿐 아니라 비교과교육과정의 중요성과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교과교육과정의 운영 절차 및 재학생의 인식 조사를 통해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고 고도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의 운영 절차를 중심으로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역량맵핑과 질 관리 체계를 확인하여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운영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비교과교육 과정의 핵심역량의 중요도는 직무역량과 도전성취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참여도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역량향상과 더불어 전공 학습 능력 고취, 진로 및 취업 도움, 취미나 관심분야의 긍정적 영향 등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일리지 장학제도는 학생들의 동기부여의 외적 강화 요인으로 비교과교육과정의 학생 참여의 지속 및 증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질 개선으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운영 방향성의 유용한 정보를 제시해 줄 것이다. The importance and role of the extra-curriculum is emphasized as well as the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in university education and busi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upgrade efficiency measures through the operational procedures of extra education courses and the survey of students perception. To this e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facing the university was sought by checking the mapping and quality control system of the competency-based extra education courses, focusing on the operation procedures of the D university.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the comparative education process was the highest in job competency and challenging performance, an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as also the highest. Second, the extra education courses operated by universities have been shown to improve students competencies, as well as promote their major learning skills, help with career and employment,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hobbies and interests. Third, the mileage scholarship system has been shown to influence the continuation and increase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extra curriculum as an external strengthening factor of students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future competency-based extra course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 K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분석

        송영선(Young Sun Song)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2 비교과교육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다수의 대학에서 비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관심과 지원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K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제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K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K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보고서를 검토하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비교과 교육과정은 교육부 대학교육(평가)의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요구조사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셋째, 학습지원 비교과 교육과정은 8대 핵심역량별 프로그램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신청시스템 구축과 전문인력 및 예산지원 안정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양 비교과 교육과정은 4대 인재상과 8대 핵심역량을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교과 교육과정 통합관리를 위한 위원회’ 설치를 제언하였다. 위원회의 역할은 (1) 비교과 교육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성과를 환류하고, (2) 비교과 교육과정(프로그램) 성과 측정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문항 고도화, (3) 프로그램 운영질관리 지표 개발 및 학생의 프로그램 참여 성과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uggest the non-subject curriculum of K University in a situation where many universities are trying to interest and support non-subject curriculum. To this end, the non-subject curriculum of K University was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As for the research method, K University's non-curricular curriculum report was review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on-subject curriculum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 education (evalu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the entire process from demand investigation to evaluation must be systematically designed. Third, the learning support extracurricular curriculum should strengthen program management for each of the 8 core competencies. Fourth,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needs to establish an application system and stabilize professional manpower and budget support. Fifth, the liberal arts extracurricular curriculum should be able to confirm how the 4 ideal talents and 8 core competencies are being implem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committe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non-subject curriculum’. The roles of the committee are (1) integrated management of non-subject curricula and feedback of outcomes, (2) advancement of non-subject program satisfaction survey items to measure non-subject curriculum (program) performance, (3) development of program operation quality control indicators and Students will conduct research on program participation outcomes.

      • 비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 연구 : J대학교를 중심으로

        엄진경(Um, Jin-Kyung)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1 비교과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대학의 핵심역량 및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인식과 수요조사를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비교과 교육의 운영 방향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대학교에서 2020학년도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비교과 교육과정 인식 및 수요조사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자신의 대학생활에서 비교과 교육이 적지 않은 비중을 담당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고, 비교과 교육과정 인증 시스템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는 편이었다. 둘째, 학생들은 진로 탐색과 취미 개발에 도움을 받기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만 교과 교육시간과의 중복과 정보의 부족으로 원활한 참여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취업과 관련된 비교과 프로그램이 개설되기를 가장 희망하고 있으며, 문화와 예술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 관련 프로그램은 자격증 및 어학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참여가 가능하고 참여시간이 자유롭다는 점에서 대체로 만족하며 참여하는 편이지만, 비대면인 만큼 집중도가 떨어지고 소통의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단점으로 꼽았다. 본 연구는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비교과 프로그램 개설을 통해 내실 있는 비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핵심역량 및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고취 시키는데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extra- curriculum through student awareness and demand surveys of the university s core competencies and extra-curriculum, and to improve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extra-curriculum education. To this end, J University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demand survey of extra-curriculum conducted on students in 2020. First,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knew about core competencies and extra-curriculum well, while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didn t know well. They recognized that extra-curriculum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ir university life, and they were also well aware of the extra-curriculum certification system. Second, students participate in extra-curriculum programs to help them explore career paths and develop hobbies, but it is difficult to participate smoothly due to overlapping curriculum hours and lack of information. Third, students most want to open a extra-curriculum program related to employment, and there is also a high demand for cultural and art-related extra-curriculum programs. In particular, employment-related programs had many demands for programs related to certificates and languages. Finally, for non-face-to-face programs,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various programs and have free time to participate, but as they are non-face-to-face, they are less focused and difficult to communicate. This study will provide directions to promote students interest in core competencies and extra-curriculum through active promotional activi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extra-curriculum program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who are demand for education.

      •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모형 연구 :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소민(Lee, Somin),김용수(Kim, Yongsu),김남기(Kim, Namgi)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의 질 개선을 목적으로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여 역량기반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뿐 아니라 대학 수준의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개편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자 한다. K 대학의 사례를 활용하여, 대내․외 환경분석을 통해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요인을 분석을 토대로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성을 제고 하였다. 더 나아가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의 이론적 개념을 분석하여 환경과 수요자 요구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모형을 구축하였다.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는 마음․뇌․교육(mind, brain, and education)의 이론과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시스템(ecological systems) 이론을 반영하여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심동적 영역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학습자 개인과 주변 환경을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체계 모형은 모든 대학에서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설계 시 유용한 틀을 구성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o improve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quality,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well 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reform at the university level by presenting a concrete co-curriculum framework model by utilizing the case of K Univers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not been sufficiently carried out, and still adds ambiguity to the theoretical discourse. In physical education. it is clear that there is difficulty in maintaining uniform competency-based program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level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as well as different perceptions of competency concepts at the implementation level. By us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SWOT analysis, a co-curriculum framework model is contemplat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facing the K university. Furthermore, a co-curriculum framework model is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program demand survey and the university stockholders’ focus group. The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model applies the theory of Mind, Brain and Education as well as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in order to encompass the learner’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spects as a whole and to connect learners with their surroundings.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readily used in practice. Also, the system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useful framework for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work in all universities.

      • KCI등재

        교과-비교과 연계 교육과정(Co-Curriculum)이 학생의 전공역량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일반수학2’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In recent colleg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informal curricular activities in addition to formal curricular has been emphasized. Differences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are gradually disappearing as extra-curriculum are activated. Accordingly, the concept of informal curricular activities is expanding from the concept of extra-curriculum that means a curriculum other than a formal curriculum, to the concept of co-curriculum, which is a curriculum that cooperates with formal curriculum.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students’ competency for future society,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college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design and operate the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so that they can be interconne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showing the effect of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through specific practices. I analyzed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at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pursue the effective cooperation between the formal and informal curriculum, some active linkage methods were introduced, such as close dialogu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master lecturers, compulsory participation in the informal curriculum, and reflection of the results of participation in the informal curriculum in student’s credit. This is different from the findings reported in most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r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ajor competency growth. The knowledge utilization competency, logical thinking competen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curriculum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curriculum was very high. 역량중심 교육의 강조에 따라 대학 교육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교과 프로그램이대학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따라 점차적으로 정규 교육과정과 비정규교육과정 간 차이가 축소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념이 교과활동 이외의 과정이란 의미의Extra-Curriculum 개념에서 정규 교과교육과 함께 하는 교육과정 즉 Co-Curriculum의 개념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학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미래형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정규 교육과정과 비교과 교육과정이 상호 연계성을가질 수 있도록 설계하고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공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의 연계 사례를 분석하여제시함으로써, 연계 교육의 중요성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소재 D대학교에서 최근에 실시한 교과-비교과연계 형태의 수업 성과를 분석하였다. 교과 담당자와 비교과 담당자 간의 긴밀한 대화와 협력, 전공 교과 수강생의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강제, 비교과 참여 결과의 전공 학점 반영 등 적극적 연계 방식을 도입하였다는 점에서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사례들과는 차별성이 있다. 분석 결과 교과-비교과 연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전공역량성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지식활용역량, 논리적사고역량, 창의적문제해결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비교과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온라인 동료튜터링 운영사례를 통한 대학교양으로서의 비교과 교육과정 탐색연구

        추성경(Chu, SungKyung),윤혜경(Yoon HaeGyung),변소연(Byeon, So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온라인 강의가 일반화됨에 따라 대학 교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온라인 동료튜터링과 비교과 교육과정을 연계함으로써 동료튜터링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행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부산 소재 4년제 사립대학인 D대학교에서 2020학년도 2학기에 개설된 <포스트휴먼의이해>와 <융복합적사고와실천> 교과목 수강생 116명을 대상으로 16차시 온라인 동료튜터링을 진행하였다. 비대면 화상학습지원시스템(Microsoft Teams)을 활용한 녹화된 영상물을 비롯하여 튜터와 튜티의 활동보고서와 동료튜터링 운영과정에서의 산출물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온라인 동료튜터링 운영사례를 통한 비교과 교육과정 실행방안 탐색으로 첫째,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둘째,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공동체 구축 셋째, 비교과 교육과정 온라인 피드백 시스템 구축 넷째, 비교과 교육과정 마일리지 제도 구축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온라인 동료튜터링 과정을 통해 교양과목과 비교과 교육과정을 연계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교양교육의 학습효과 향상과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As online lectures become more comm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ction plan that can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peer tutoring by linking online peer tutoring with a extra curriculum to revitalize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was subjected for 116 students in the courses of <Posthuman Understanding> and <Convergence thinking and practice>, which open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D University, a four-year private university in Busan, the 16th session of online peer tutoring was conducted. Using non-face-to-face learning support system(Microsoft Teams), the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he recorded video, activity reports of tutors and tutees, and the output from the peer tutoring operation proces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by exploring the implementation plan of the extra curriculum through online peer tutoring operation case, It is confirmed as followed; first, providing guidelines for the extra curriculum, second, establishing a learning community for the extra curriculum, third, establishing an online feedback system for the extra curriculum, and lastly, establishing a mileage system for the extra curriculum.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and diversify the learning effect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adopting a method of linking liberal arts and extra curriculum through an online peer tutoring course.

      • KCI등재

        대학생의 비교과교육과정 및 비교과졸업인증 인식에 대한 혼합연구

        김정민(Kim J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3

        본 연구는 대학생과 교직원의 비교과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제고방안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7년 11월말부터 12월 중순까지 대학생과 교직원 대상으로 FGI(그룹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수집·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및 비교과졸업인증에 대한 대체로 비교과라는 용어에 대한 생소함과 비교과의 인식이 부재하였으며, 인식제고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비교과 초점 대상을 1,2학년에서 모든 학년으로 확대할 것과 진로·취업에 대한 비교과를 확대해 줄 것으로 제안하였다. 둘째, 비교과 및 비교과졸 업인증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홍보에 대한 의견이 많았으며 연수, SNS, 브로셔 등과 비교과 알리미, 멘토를 활용한 홍보를 제안하였다. 셋째, 비교과에 대한 요구도는 재학생의 경우 체험부스, 행사를 통한 홍보, 학교포털 비교과 메뉴 보완 등의 요 구도 우선순위에 있었으며, 교직원의 경우 비교과 활동실 이용대상자의 범위를 전 학 년으로 확대 및 재학생과 마찬가지로 비교과 메뉴 보완, 행사를 통한 홍보, 비교과 알리미 선발 등이 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비교과 졸업인증에 대한 요구도는 재학생과 교직원 모두 신입생 O.T를 활용하여 교육하는 것과, 온라인 홍보 등을 제안하였다. 특히 교직원의 경우 융통적인 비교과 졸업 인증제, RC 멘토 대상 인증제 교육이 우선순위에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tra-curricular aspects of college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For this purpose, FGI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during November through December in 2017 an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collected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rm extra-curricular is unfamiliar and that there is no recognition of the need for extra-curricular. In order to raise perception, it is important to extend the extra-curricular focus from 1.2 grade to all grades as well as extending the extra-curricular focusing career development. Second, it needed to use public relation such as SNS, traditional publicity (banner, brochure, university newspaper etc.) And other promoters using supporters and mentors. Third, the need for extra-curricular was also a priority in the case of students, such as experience booths, promotion through events, and supplementing the extra-curricular menu of school portal. The all interviewee wanted the scope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room was extended to all the grades and the extra-curricular menu was supplemented in the case of the current students, and publicity through the event and selection of reminders were prioritized. Finally, all interviewee demanded that the certificate of extra-curricular be taught using the freshman O.T, and suggested online promotion. In particular, a flexible certificate of extra-curricular operation and RC mentor certification education were prioritized.

      • KCI등재

        비교과과정 활용한 ERP-Master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례연구

        김소형 한국상업교육학회 2020 상업교육연구 Vol.34 No.5

        본 논문은 2011년 이후 10년간의 ERP를 통한 대학교육을 연구주제로 한 17편의 논문을 전체 정 리·분석하여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에서 ERP 교육을 통한 자격증 취득, 취업에 대한 기대감, 수업 운영의 만족도, 학습몰입, 등이 학습만족도 또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대학의 ERP 교육의 만족도와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ERP-Master(회계, 인사, 생산, 물 류)과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ERP교육의 교육도입의 필요성 중 한 학과에서 ERP-Master 과정의 통합교육을 실시 할 수 있는 모델로 비정규교육과정(청년취업 아카테미)를 이용한 교육시스템 구축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S대학의 회계학과 정규 교과과정은 계열기초를 포함하여 87학점 95시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정규 교육과정에는 재무회계, 원가회계, 세무회계 이론을 근간으로 ERP재무회계모듈과 인사 모듈에 대한 교육 및 자격증 취득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학점 등의 제한으로 ERP 생산과 물류 모듈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진행 할 수 없었다. 이 를 극복하기 위해 S대 회계학과에서는 비정규교육과정 도입하여 ERP-Master 교육시스템 구축을 하였다. 이를 통해 ERP-Mater 교육시스템을 구축하였고 관련 자격증 및 학습동기 부여 증대 등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The research results were summarized by arranging and analyzing 17 papers on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ERP for 10 years since 2011. In universities, ERP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or learning outcomes by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expectations for employment, satisfaction with class management, learning commitment. In addition, education in the ERP-Master (accounting, personnel, production, logistics) course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ERP education in universities. This paper presents a case of establishing an education system using non-regular curriculum as a model that can conduct integrated education of the ERP-Master course in a department. The regular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Accounting at S University is operated with 87 credits and 95 hours, including the foundation of the college. In the regular curriculum, education and qualifications for ERP financial accounting module and personnel management module are conducted based on the theory of financial accounting, cost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ERP production module and logistics module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To compensate for this, the Department of Accounting at S University introduced an irregular curriculum to establish an ERP-Master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ERP-Mater education system, the effects of related qualifications and learning motivation are increasing.

      • KCI등재

        4년제 D대학교의 비교과교육과정 내실화 방안 연구

        최헌철(Heon-Cheol Choi),김수동(Soo-Dong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대학교육의 변화속도는 현대의 기술 발전 속도와 다양성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의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와 실제 대학에서 양성하는 인재 사이에서 불일치가 일부 나타냐고 있다. 이러한 교육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의 일부 대학은 8~9년간 진행된 학부교육선진화사업을 통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학부교육선도대학을 중심으로 비교과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해 많은 재정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교과교육의 구체적인 효과성 및 질 관리 타당성, 교육과정의 내실화는 미흡한 실정이다. 많은 대학이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 체계구축에 집중되어 있고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세부적인 전략 및 평가ㆍ환류체계의 운영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비교과교육과정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효과 및 성과에 대한 타당성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실태 및 만족도조사, 교육과정(프로그램) 별에 맵핑된 역량 타당성, 교육과정(프로그램)별 사전ㆍ사후 효과분석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역량 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내실화 및 타당성 높은 평가ㆍ환류를 제공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질 관리 차원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have not kept pace with the speed and diversity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In addition,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 talent required in modern society(enterprise) and the talent cultivated in universities. To resolve these inconsistencies, some South Korean universities have begun to build competency-based curriculums through8 9years of advancement by means of education projects. However, despite the many financial efforts to promote extracurricular programs centered on the advancement of universities, there are insufficient measures to improve the specific effectiveness, quality management validity, and feasibility of extracurricular programs. Many universities focus on competency-based frameworks to construct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subsequently, specific strategies and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s for the improve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re insufficient. While extracurricular programs have been established and managed, the issue of the validity of the effect and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is continuously rais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specific effectiveness based on the satisfaction and conditions of the participants by mapping the competency validity to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conducting pre- and post-effect analyses according to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is study can enhance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using validated evaluation and feedback and make suggestions for sustained quality management.

      • KCI우수등재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대학 학사구조에 대한 학생만족도 영향 연구

        전희주(Heuiju Chun),서혜선(Hyesun Suh)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1 No.5

        대학 지원 학생수의 급감으로 대학마다 학사구조개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서울 모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재학생의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고려되는 학사지원, 행정서비스, 교육환경, 학교시스템, 교수의 열의 등 5개의 잠재변수와 학생의 전반적인 만족도, 그리고 교양교과과정, 전공교과과정, 비교과과정과 잠재변수들 간의 개념적 구조를 도식화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연구하고자 한다. 대학의 학사구조개편을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방향성의 근간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하겠다. 본 연구 결과 교육환경과 학사제도가 교양교과과정, 비교과과정, 전공교과과정 등 모든 교육과정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전공교과과정의 경우 교수의 열정이 무엇보다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학생지원, 교육환경, 학사제도는 전공교과과정, 교양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의 매개변수들을 통한 만족도에 간접효과가 있고 비교과과정은 학생의 교육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pplying to universities, the restructuring of universities is accelerat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i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college educa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intends to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research model between five potential variables that are considered to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liberal arts curriculum, major curriculum, comparative curriculum, and potential variables. We intend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at affect satisfaction by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practical and effective directionality for university restructur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student suppor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undergraduate system have an in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through the parameters of major curriculum, liberal arts curriculum, and comparative curriculum. In addition, the comparative curriculum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as well as directly affecting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