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어촌 지역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헌철 ( Heon Cheol Choi ),김효정 ( Hyo Jeong Kim ),정희태 ( Hee Tae Chung ),이경수 ( Kyung Soo Lee ),이주연 ( Joo Youn Lee ),노민우 ( Min Woo No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서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서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자아개념은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의 대상은 경북에 소재한 4년제 K대학교 재학생 310명으로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자아개념 검사와 성취동기 검사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서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유의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있어 성별에 따른 자아개념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과 전공에는 각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있어 성별은 성취동기의 하위요인 중 모험적 행동과 성취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과업긴장, 인내, 포부수준, 시간지각, 인정을 위한 행동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공에 있어서는 모험적 행동과 성취행동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63.6%로 설명 할 수 있으며 정서자아, 가족자아, 능력자아, 사회자아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elf concept on achievement moti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differences of self concept between vario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major)?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vario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major)? Research problem 3; how does self concept influence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0 students from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buk, and the instruments were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vento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on achievement motiva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differences of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major) were analyzed using ANOV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this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on achievement motivation was 63.6%. Specifically the level of influence resulted in the following order of emotional, family, able, and social self-concept. Secon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majo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concept between genders, while sub-factors of age and maj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egarding adventurous behavior and achievement behavior among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tension, perseverance, a level of aspiration, tim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recognition, while major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rest except adventurous behavior and achievement behavior.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조건부 관심,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최헌철 ( Choi Heon-cheol ),우채영 ( Woo Chae-y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 그리고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시 D중학생 5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485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9.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확인된 조절과 내재적 조절에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조건부관심과 학업성취도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교사의 조건부 관심(관심강화, 관심철회)은 외적 조절과 내사된 조절에 다소 높은 상관이 있으며, 학업성취도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강화 및 관심철회는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내재적 조절, 내사된 조절, 외적 조절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 및 관심철회는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으나, 자기결정성 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 강화 및 철회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남학생의 경우에는 통제적 조절(내사된 조절)과 자율적 조절(내재적 조절)이, 여학생의 경우 통제적 조절(외적 조절, 내사된 조절)이 학업성취도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실수업의 방향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conditional regard, and middle school student's self-deterministic motive to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purpos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510 middle school students and 485 questionnaires were used to final analysis. SPSS 19.0 was used to mak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first, the teacher's autonomy support has a slightly higher correlation with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adjustment but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ditional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teacher's positive and negative conditional regard has a slightly higher correlation with external control and internal investigated control and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eacher's autonomy support, conditional regard didn'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i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ntrinsic adjustment, internal investigated control and external control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teacher's autonomy support according to grade and sex, conditional regard were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But sub-factors of self-deterministic motive were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grade and according to sex, external control, internal investigated control and internal control were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class in classroom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plans.

      • KCI등재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고도화 연구 : D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헌철(Heon-Cheol Choi),김수동(Soo-Dong Kim),김경표(Kyung-Pyo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This study derived improvement measures to upgrade the competency-based system of major courses by exploring problems and limitations through the curriculum system, an analysis of major competences mapped to the curriculum, case studies of other universities, and surveys of the status of major cour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addressed to focus on establish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ystem. First, it is necessary to upgrade quality control of the education system over all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D University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such a system beginnings with the definition of competence during the 2014 school year and leadings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mposition and evaluation. However, the evaluation system (assessment and feedback) does not adequately define or evaluate the complementarity of the curriculum system or identify the vision of education. Therefore, in th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goals core competences and major competences reflecting social needs and major characteristics. Furher, the curriculum system must reflect major competences, and improve the overall quality management system leading to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valuation measures. Second, improvement in the system of competency-based major education curriculum courses is necessary. At D University, core competences were mapped to the major curriculu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major curriculum courses based on the core competences of the University in most department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D University still has difficulty designating the special abilitiesy for majors, al though they has been designated based on job competencies in 2017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s. It was pointed out that the establishment of major competences based on the core competences of D University was not sufficiently related to major subjects. Therefore, D University is looking at various ways to improve such limitations and inappropriate associations with the subjects of major specialty competences. 본 연구는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고도화를 위해 전공교육과정의 체계, 교육과정에 맵핑된 전공역량 분석, 타 대학 사례조사, 교육과정 실태조사 등을 활용하여 문제점과 한계점을 탐색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구축 시 중점을 두어야 할 사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부터 졸업까지 아우를 수 있는 전반적인 교육의 질 관리체계 고도화가 필요하다. D대학은 2014학년도 역량에 대한 정의를 시작으로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구성, 교육과정 평가로 이어지는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해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체계의 상호보완성, 교육의 정체성과 비전을 정의하고 이를 평가 할 수 있는 평가체계(평가·환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교육목표정립, 대학 핵심역량설정, 사회수요 및 전공특성이 반영된 전공특화역량 설정, 전공역량이 반영된 교육과정 체계구축, 교육성과 측정으로 이어지는 전반적인 질 관리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D대학은 대부분 학과에서 대학 핵심역량 기반 전공교육과정 체계 구축을 통하여 핵심역량이 전공 교육과정에 맵핑되었다. 그러나 대학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전공역량 설정이 교과목과의 연관성이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직무역량을 기본으로 학과특성이 반영된 전공특화역량을 2017학년도에 지정하였지만, 여전히 전공특화역량 지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D 대학은 이러한 한계와 전공특화역량의 교과목과의 부적절한 연관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최헌철 ( Choi Heon-cheol ),엄우용 ( Eom Woo-y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그 구조적관계에서 자기결정동기와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A,S,W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515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19와 AMOS.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에 의하면 부모양육태도는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와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분석에 의하면 부모양육태도는 자기결정성동기와 정서지능을 매개로 하여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와 정서지능의 이중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느 한 변인만 강조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attitude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perceived by adolescents Subjects were 550 students who were in 8th and 9th grade at 3 middle schools in D metropolitan city.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ir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515 data were data were analyzed f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SPSS 19 and AMOS 21 programs for structural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have a direct effect 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the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have an in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the mediating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there was no double mediation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by adolesc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adolesc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that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4년제 D대학교의 비교과교육과정 내실화 방안 연구

        최헌철(Heon-Cheol Choi),김수동(Soo-Dong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대학교육의 변화속도는 현대의 기술 발전 속도와 다양성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의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와 실제 대학에서 양성하는 인재 사이에서 불일치가 일부 나타냐고 있다. 이러한 교육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의 일부 대학은 8~9년간 진행된 학부교육선진화사업을 통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학부교육선도대학을 중심으로 비교과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해 많은 재정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교과교육의 구체적인 효과성 및 질 관리 타당성, 교육과정의 내실화는 미흡한 실정이다. 많은 대학이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 체계구축에 집중되어 있고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세부적인 전략 및 평가ㆍ환류체계의 운영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비교과교육과정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효과 및 성과에 대한 타당성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실태 및 만족도조사, 교육과정(프로그램) 별에 맵핑된 역량 타당성, 교육과정(프로그램)별 사전ㆍ사후 효과분석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역량 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내실화 및 타당성 높은 평가ㆍ환류를 제공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질 관리 차원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have not kept pace with the speed and diversity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In addition,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 talent required in modern society(enterprise) and the talent cultivated in universities. To resolve these inconsistencies, some South Korean universities have begun to build competency-based curriculums through8 9years of advancement by means of education projects. However, despite the many financial efforts to promote extracurricular programs centered on the advancement of universities, there are insufficient measures to improve the specific effectiveness, quality management validity, and feasibility of extracurricular programs. Many universities focus on competency-based frameworks to construct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subsequently, specific strategies and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s for the improve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re insufficient. While extracurricular programs have been established and managed, the issue of the validity of the effect and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is continuously rais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specific effectiveness based on the satisfaction and conditions of the participants by mapping the competency validity to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conducting pre- and post-effect analyses according to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is study can enhance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using validated evaluation and feedback and make suggestions for sustained quality management.

      •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 고도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박은성(Park, Eun seong),최헌철(Choi, Heon Cheol)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2

        대학교육 및 사업에서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뿐 아니라 비교과교육과정의 중요성과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교과교육과정의 운영 절차 및 재학생의 인식 조사를 통해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고 고도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의 운영 절차를 중심으로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역량맵핑과 질 관리 체계를 확인하여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운영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비교과교육 과정의 핵심역량의 중요도는 직무역량과 도전성취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참여도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역량향상과 더불어 전공 학습 능력 고취, 진로 및 취업 도움, 취미나 관심분야의 긍정적 영향 등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일리지 장학제도는 학생들의 동기부여의 외적 강화 요인으로 비교과교육과정의 학생 참여의 지속 및 증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질 개선으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운영 방향성의 유용한 정보를 제시해 줄 것이다. The importance and role of the extra-curriculum is emphasized as well as the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in university education and busi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upgrade efficiency measures through the operational procedures of extra education courses and the survey of students perception. To this e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facing the university was sought by checking the mapping and quality control system of the competency-based extra education courses, focusing on the operation procedures of the D university.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the comparative education process was the highest in job competency and challenging performance, an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as also the highest. Second, the extra education courses operated by universities have been shown to improve students competencies, as well as promote their major learning skills, help with career and employment,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hobbies and interests. Third, the mileage scholarship system has been shown to influence the continuation and increase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extra curriculum as an external strengthening factor of students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future competency-based extra course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 KCI등재

        핵심역량 설정의 타당성 강화 및 핵심역량 개선(안) 도출에 관한 연구 : D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동(Kim Soo-dong),최헌철(Choi Heon-cheol)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본 연구는 D대학에서 역량설정의 구체적인 타당성 강화 및 교육목적-인재상-발전계획-핵심역량-교육과정 간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역량 개선(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재상과 핵심역량 간 연계성, 교육과정과 핵심역랑 간 체계성, 교육 관련자 의견수렴, 4차 디지털혁명 및 사회적 변화에 따른 요구역량 분석, 타 대학핵심역량 재정립 사례를 바탕으로 한다. 연구결과 첫째, ‘참사람’ 인재상을 존중하되 기존의 인재상의 개념을 구체화하여 달성해야 할 인재상을 명확히 하였다. 둘째, 인재상과 교육목표가 혼재된 체계에서 인재상과 교육목표가 연계된 체계로 개선하여 인재상과 중장기 발전목표 간 연계성 제고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셋째, 교양 전공 교육과정과 핵심역량 간 연계성에서 기존 핵심역량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역량설정으로 역량설정의 타당성을 강화하였다. 넷째, 핵심역량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specific validity of competencies setting and elicit core competencies improvements (draft) that can increase the links among educational purpose, talent image, development plan, and core competencies-curriculum at D university. To this end, it is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lent image and core competencies, the systemic 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core competencies, the collection of opinions from educationrelated personnel, the analysis of the required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4th digital revolution and social change, and the reestablishment of core competencies at other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while respecting the “true person” talent image, the concept of the existing talent image was specified to clarify the talent image to be achieved. Second, from a system in which talent image and educational goals were mixed, the system was improved to one in which talent image and educational goals were linked,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enhancing the connection between talent image and mid- to long-term development goals. Third,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ies setting was strengthened by setting the competencies to reduc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ore competencies in connection with the liberal arts and major curriculum and the core competencies. Fourth, improving (draft) core competencies was elicited.

      • KCI등재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도진 ( Do Jin Kim ),송성순 ( Seong Sun Song ),최헌철 ( Heon Cheol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4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의사결정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척도, 진로성숙도척도를 사용하여 진로비전스쿨프로그램이 시행되기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약4개월 뒤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첫째,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은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 진학 및 장래의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학생 혼자독립적으로 하는 것보다 진로탐색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상황에 대한 정보탐색 뿐만 아니라 실제적이고 논리적인 의사결정과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진로성숙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성숙은 어느 한 시점에서 발달하기보다는 이전의 발달단계에서부터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발달을 통해 진로성숙이 이루어진다고 볼수 있으며, 짧은 기간 동안 진행되는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으로 높은 진로성숙도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비전스쿨 프로그램이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진로성숙은 성별 특성 이외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리.사회적 변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This research purports to investigate how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has an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argeting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the preliminary 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measures of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efore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was conducted. After around 4 months, the post test was performed as well.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that first, it has appeared that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outcome has shown that if students join Career Exploration Program in the process of deciding to go to high school or selecting a future career rather than doing it independently, they can make decisions more logically and think more rationally through self-introspection and information on multiple situations.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Career Vision School Program has not influenced career maturity, different from the results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this result, it can be translated that it is hard to expect career maturity with a one-off program by considering that career maturity cannot emerge at one moment all of a sudden but is created continuously from the previous development stage. Second, when it comes to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t has appeared that female students have shown greater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that in male students, but there has bee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refore, the program has an effect both on male and female students. Moreover, it can be considered that career maturity is influenced not only by characteristics of genders but also by psychosocial variables each individual h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