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먼형 로봇 손의 사물 조작 수행을 이용한 사람데모 결합 강화학습 정책 성능 평가

        박나현,오지헌,류가현,Patricio Rivera Lopez,Edwin Valarezo Añazco,김태성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0 No.5

        Manipulation of complex objects with an anthropomorphic robot hand like a human hand is a challenge in the human-centricenvironment. In order to train the anthropomorphic robot hand which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DoF), human demonstrationaugmented deep reinforcement learning policy optimiza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this work, we first demonstrate augmentationof human demonstration in deep reinforcement learning (DRL) is effective for object manipulation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the augmentation-free Natural Policy Gradient (NPG) and Demonstration Augmented NPG (DA-NPG). Then three DRL policy optimizationmethods, namely NPG, Trust Region Policy Optimization (TRPO), and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PPO), have been evaluated with DA(i.e., DA-NPG, DA-TRPO, and DA-PPO) and without DA by manipulating six objects such as apple, banana, bottle, light bulb, camera,and hammer. The results show that DA-NPG achieved the average success rate of 99.33% whereas NPG only achieved 60%. In addition,DA-NPG succeeded grasping all six objects while DA-TRPO and DA-PPO failed to grasp some objects and showed unstable performances. 로봇이 사람과 같이 다양하고 복잡한 사물 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휴먼형 로봇 손의 사물 파지 작업이 필수적이다. 자유도 (Degree of Freedom,DoF)가 높은 휴먼형(anthropomorphic) 로봇 손을 학습시키기 위하여 사람 데모(human demonstration)가 결합한 강화학습 최적화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학습 최적화 방법에 사람 데모가 결합한 Demonstration Augmented Natural Policy Gradient (DA-NPG)와 NPG의 성능비교를 통하여 행동 복제의 효율성을 확인하고, DA-NPG, DA-Trust Region Policy Optimization (DA-TRPO), DA-Proximal Policy Optimization(DA-PPO)의 최적화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6 종의 물체에 대한 휴먼형 로봇 손의 사물 조작 작업을 수행한다. 학습 후 DA-NPG와 NPG를비교한 결과, NPG의 물체 파지 성공률은 평균 60%, DA-NPG는 평균 99.33%로, 휴먼형 로봇 손의 사물 조작 강화학습에 행동 복제가 효율적임을증명하였다. 또한, DA-NPG는 DA-TRPO와 유사한 성능을 보이면서 모든 물체에 대한 사물 파지에 성공하였고 가장 안정적이었다. 반면, DA-TRPO와 DA-PPO는 사물 조작에 실패한 물체가 존재하여 불안정한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향후 실제 휴먼형 로봇에 적용하여휴먼형 로봇 손의 사물 조작 지능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유은순(Eun-Soon You),조미라(Mi-Ra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로봇의 영역이 인간의 정신적, 감정적 노동까지 대신하는 지능형 로봇으로 진화하면서 인간과 로봇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로봇윤리’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시대에 필요한 인간과 로봇의 윤리 성찰을 고찰하고자 하며, 그 중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의 윤리적 실천 가능성에 도전하는 윤리 소프트웨어 개발 사례를 통해 오로지 강제 입력된 윤리 코드만으로 로봇이 과연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둘째, 로봇윤리는 인간의 편향성이 내재된 데이터를 학습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비윤리적 문제들을 고려하고, 더불어 국가와 문화 간의 윤리적 상대주의를 인정해야 한다. 셋째, 로봇윤리는 로봇을 위한 윤리 강령만이 아니라, 인간과 로봇이 서로 공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인간 윤리’가 전제되어야 한다. As the field of robots is evolving to intelligent robots that can replace even humans’ mental or emotional labor, ‘robot ethics’ needed in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obots is becoming a crucial issue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ethics of robots and humans that is essential in this post-human age. It will deal with the followings as the main contents. First, with the cases of developing ethics software intended to make robots practice ethics, the authors begin this research being conscious about the matter of whether robots can really judge what is right or wrong only with the ethics codes entered forcibly. Second, regarding robot ethics, we should consider unethicality that might arise from learning data internalizing human biasness and also reflect ethic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or between cultures, that is, ethical relativism. Third, robot ethics should not be just about ethics codes intended for robots but reflect the new concept of ‘human ethics’ that allows humans and robots to coevolve.

      • KCI등재

        포스트휴먼 법학의 도전: 포스트휴먼사이언스 총서 1, 2권에 대한 서평

        김건우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叢 Vol.40 No.-

        Recently, two books were published that proclaim themselves the challenges from the Posthuman jurisprudence. They are the first two volumes of the book series of Posthumnan Science by Acanet Publishers, i.e., Humans in the age of Posthumans(Series Vol. 1) and Autonomous Vehicles Running the Age of Posthumans: Legislative Strategies(Series Vol. 1). Thus I shall offer a review of the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jurisprudence, with the hope of putting the concept of Posthuman and Posthuman Law and Jurisprudence on the table of the legal scholarship. The goal of the books is two-fold. The first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prospects of the enterprise of posthuman jurisprudence, and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legal issues in autonomous vehicles as the first and prominent example of the enterprise. In spite of many specific helpful points, however, the two books tend to be rather restrictive in their scope and depth. No comprehensive work has been done as for the larger enterprise of posthuman normative studies, nor the proper endeavors to explore the issues of civil law(contract law, in particular) or intellectual property law as for the legal issues in autonomous vehicles. Indeed, the issues of constitutional law, liability, or criminal law, although addressed in part, have not exhausted their various important topics and points, nor have any full-fledged discussion on them been involved. In short, the two books are neither full-fledged nor self-contained, either as the general or special part of the whole project of posthuman jurisprudence. Yet these limitations are understandable because the two books are preliminary at this point. And each chapter of the books, if not quite consistent with one another, makes some contribution for both legal scholarship and practice. Thus being the first two volumes of the series, the two books succeed in capturing the readers’ eyes on posthuman jurisprudence. In this respect, their publication gains its significance and allows us to look forward to the publication of the later volumes of the series. 최근 포스트휴먼 법학의 도전을 알리는 두 책이 출간되었다. 아카넷에서 출판된 <포스트휴먼 사이언스 총서>의 첫 두 권인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총서 제1권)과 「포스트휴먼 시대를 달리는 자율주행자동차: 입법전략」(총서 제2권)이 그것이다. 이에 필자는 이 두 책을 주로 법적 관심과 법철학적 관심에서 리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로봇, 4차 산업혁명 등의 개념과 더불어 점점 확산되어 가고 있는, 이른바 ‘포스트휴먼’의 개념과 ‘포스트휴먼 시대의 법학’의 의의를 법학계의 관심과 논의의 테이블에 올려놓기를 희망한다. 두 책의 목표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포스트휴먼 법학의 의의와 전망을 가늠해 보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그 의의와 전망의 첫 사례이자 두드러진 사례로서 자율주행자동차를 둘러싼 법적 쟁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하지만 여러 유익한 세부 논점들에도 불구하고, 두 책의 논의는 범위와 깊이 양면에서 제한적인 편이다. 포스트휴먼 규범학이라는 큰 그림 하에 포괄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자율주행자동차의 법적 쟁점과 관련해서도 민사적 쟁점(특히 계약법적 쟁점 등), 지적재산권법적 쟁점 등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일부 거론된 헌법적 쟁점이나 손해배상 관련 쟁점 혹은 형사적 쟁점 역시 거기에 결부된 다양한 쟁점들이 망라되어 논의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각 주제들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로 발전되지 못했다. 요컨대, 포스트휴먼 법학이라는 기획의 총론으로서든 각론으로서든, 두 책의 논의는 본격적이지도 자족적이지도 않은 단계에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두 책은 시론적 논집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제한점은 납득할 만하다. 그리고 본문에서 세밀하게 논평한 것처럼, 각각의 글들은 비록 수미일관되지 못했을지라도 학계와 실무계에 크고 작게 기여하는 점들이 있다. 그리하여 적어도 두 책은 여전히 해당 총서 시리즈의 출발로서 어떻게든 독자들에게 포스트휴먼 법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장(場)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 점에서 두 책의 출간은 분명한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되며, 두 책 이후에 발간될 총서에 대해서도 기대를 갖게 한다.

      • KCI등재

        헌법상 인공지능 규제의 범위와 방향에 대한 시론적 고찰

        백수원(Baek, Soowon) 미국헌법학회 2018 美國憲法硏究 Vol.29 No.2

        개인의 힘으로는 막기 어려운 새로운 기술 등에 대해서 국가는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우리 헌법은 ‘안전’이라는 표현을 매우 여러 곳에서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규정은 국가의 안전보장과 관련이 있는 실정이나, 안전보장과는 구분되는 국민의 안전 확보에 관한 내용 또한 우리 헌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AI 개발은 새로운 위험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사실상 AI 개발은 인간과 매우 유사한 특질을 보유한 새로운 존재를 탄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존엄이 위협될 수 있는 등 더욱 혼란이 예상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간 유사 로봇의 개발을 완전히 막는 방식 즉, AI 개발에 특정한 제약을 걸어 인간다움을 배제하고 인간의 보조자적 역할만을 부여하는 규제 방법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며, 반대로 인간 유사 로봇 개발을 인정하고 이들을 새로운 인류로 보아 인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법적 지위를 누리게 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원천적으로 인간유사로봇의 개발을 배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러한 개발을 설령 배제하더라도 음성적으로나마 탄생된 인간유사로봇이 있다면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명확한 가이드라인은 필요하다고 본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로봇기본법안이나, 유럽연합 의회의 로봇관련 규칙에 따르자면 개괄적으로 로봇에 대하여 전자인간과 같은 나름의 법적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는 노력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뇌의 활용과 인간다움을 기준으로 강한 AI, 약한 AI로 나누어 보호받을 로봇과 규제의 대상이 되는 로봇으로 구분 짓는 방식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강한 AI’와 ‘약한 AI’를 나누는 기준에 법적인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의 기능적 수준을 넘어서는 인류에 대한 이해를 반영해야 한다. 또한 인간 유사 로봇을 제외한 일반적인 인공지능에 대한 규제는 상대적으로 윤리적 문제가 없기 때문에 설정이 용이하며, 따라서 일반적인 인공지능에 대한 규제와 관련해서는 윤리적 고민에서 벗어나 기본적으로 그 개발단계에서부터 인간에게 우호적인 행동을 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Friendliness theory’ 또는 인간에게 유용하고 혜택을 주는 ‘Beneficient AI 개발원칙을 탑재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 자동차와 같이 등록제로 운영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으며, 생성에서 폐기까지 국가차원의 관리와 규제의 도입이 고려될 수 있다. 살인 로봇 등 일반적 규제를 넘어선 로봇 산업에 대해서는 허가제를 실시하게 하거나, 제조사의 책임재산의 확보, 제조사 책임 강화 및 로봇소유자에 대한 필수 보험가입 등도 규제책의 일환으로 검토해 볼만하다.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영향력과 그 대응방안에 대하여 공개적인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문위원회의 설립을 통해 사회적 공감대를 배경으로 규제의 방향을 설계해 나가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state can take measures to ensure the safety/security of the nation, such as new technologies that are difficult to prevent by the power of the individual. The Constitution uses the word ‘safety/security’ in many places. Most regulations relate to national security. However, the contents of the people`s safety/security assuran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ational security guarantee,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our Constitution. The role of the state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since AI development can be a new risk factor. In fact, AI development is expected to be more confusing, as human dignity can be threatened by the emergence of new beings with very similar traits. In order to prevent such confusion, it is possible to adopt a method to completely prevent the development of a ‘humanoid robot’, that is, a certain restriction on AI development to exclude humanity and to give a human assistant role.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development of humanoid robots and see them as new human beings and enjoy the same or similar legal status as human beings. It is impossible to exclude the development of humanoid robots from the source, and even if such development is excluded, it is necessary to have clear guidelines on how to deal with humanoid robots that are produced in spite of the negative.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law of the robot currently pending in the Korea National Assembly or the regulations of the European Parliament concerning robot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general effort to give the robots their legal status such as electronic human beings.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appropriate to divide the robot into robust AI and weak AI based on the utilization of the brain and humanity, and the robot to be protected and the robot to be regulated. However, in order to give legal justification to the criteria for dividing ‘strong AI’ and ‘weak AI’, we must reflect our understanding of humanity beyond the functional lev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regulation of general artificial intelligence except for humanoid robot is easy to set because there is no ethical problem. Therefore, in relation to the regulation on general artificial intelligence, ‘Friendliness theory’ which is basically designed to be friendly to human beings from its development stage deviates from ethical worries, or ‘Beneficial AI development principle that is useful and beneficial to humans’ It is also possible. It may be required to operate as a registrar like a car, and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controls and regulations from generation to disposal may be considered. For the robot industry beyond general regulations such as murder robot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license system, to secure the liability of the manufacturer, to reinforce the manufacturer responsibility and to insure the owner of the robot as a part of the regulation. I think it will be necessary to design a direction of regulation based on social consensu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committee that can openly discuss various influence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human beings.

      • KCI등재

        융합형 교육을 위한 HRI 적용 교육용 로봇 디자인개발 사례연구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교육을 중심으로-

        김경배(주저자) ( Kyoung Bae Kim ),김영세(공동저자) ( Young Se Kim ),정진원 ( Jin Won Ch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4 No.-

        현재 로봇은 우리 삶의 다양한 분야에서 도움을 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교육용 로봇은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로봇만의 뛰어난 인터랙션 기능은 디지털 디바이스 보다 폭넓은 감성적 커뮤니케이션과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효율성 중심의 컴퓨터 입출력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로봇이라는 독자적인 객체와의 인터랙티브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보다 쉽게 자기주도학습 습관 형성 및 학습 능률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으며, ‘디자인, 스토리, 조화, 공감, 놀이’가 융합된 교육시스템을 통한 창의적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하지만 기존의 교육용 로봇은 일반 가정에서는 구입하기에는 높은 가격대와 흥미유발 중심으로 로봇 인터랙션 기능이 사용되다보니 시장 확대에 어려움을 겪었다. 보다 실질적인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응용하여 사용자 관찰과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결과로 로봇 인터랙션 기능의 연계가 부족한 동영상 위주의 교육 콘텐츠와 일대일 커뮤니케이션만 가능한 제한된 로봇 인터랙션 기능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생산단가 감소를 위한 스마트 타블렛 탈부착기능 적용, 로봇의 움직임과 교육용 콘텐츠를 잇는 스토리 구성과 캐릭터 디자인(외계인, 위인, 타임머신),주변인(부모, 선생님, 친구)과 함께 학습할 수 있는 다중모션 카메라와 전용 플랫폼을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세미 워킹 목업, 시각 콘텐츠, 사용 시나리오를 개발을 통해, HRI(Human Robot Interaction)의 실용적인활용 방안을 고안하였다. Recently, the Robot have been useful in our life at the various area. Above all, the educational robot are being evaluated to be a part of training the talented individuals. Interaction functions that only robot can have offer more opportunities to diverse experiences also emotional communications than the digital devices. Without relying on IO devices of the computer,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can improve learning performance and formate the self directed learning easily in parallel. Also It can cultivate creative person with the educational system converged on design, story, harmony, empathy, and play. However the educational robot market has suffered because of very expensive to buy for normal household and robot interaction function was used only for interest inducement. Therefore we did observation of users and many interviews by applied service design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practical problems, as a result, we discovered critical problems came from video clip centered educational content lacking connection with robot interaction and limited function that is only for one-to-one communication. So, we applied the function that is detachable smart tablet for reducing production cost and created structure of story and unique character designs(alien, great men from well-known biographies, timemachine) that bridge between robot motion and educational content. Also we developed customed softwares with multi-motion camera, various sensors, and robot platform for studying with parents, teacher, or friends at the same time. Lastly, we made a semi working mock-up, visual content, and usage scenario for HRI(Human Robot Interaction) of practical use.

      • KCI등재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에 대한 형법상 범죄주체의 인정여부

        송승현 ( Song Seung Hyu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3

        현재 사회는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문명이 개발되면서 발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인공지능이다. 인공지능 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약인공지능과 강인공지능 그리고 초인 공지능이 그것이다. 여기서 현재는 자율주행자동차와 무인자동차 그리고 알파고 및 테이와 로스 등의 등장으로 약인공지능이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강인공지능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고, 여기서도 그 유형 중 강인공지능 로봇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미래에는 골격과 근육을 갖춘 현존재의 인간이라는 생명체만이 살아가는 세상이 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강인공지능 로봇을 생명체로서의 인간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고 민할 필요가 있다. 즉, 강인공지능 로봇으로 대표되는 것은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을 생명체로서의 인간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 다는 것이다. 강인공지능 로봇은 그 두뇌의 인공신경망이 인간의 뇌의 뉴런[Neuron]의 연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이룬 모델로서 인간의 뇌에서 이루어지는 신경전달 시스템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들이 탄생을 하면 인간과 공존하면서 공생관 계를 이루며 살아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법령 특히 형법의 적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삶을 공존하면서 살게 되면 반드시 범 죄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현행 모든 법령은 그 주체가 현존재의 인간이기 때문이다. 이에 인간이란 무엇인가, 이를 바탕으로 인간을 제외한 일반적인 동물(動物)과의 근본적인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본 후 이를 통하여 강인공지능 로봇을 인간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Die gegenwartige Gesellschaft gibt es sich das schnelle Entwickeln die Technologie, hiervon gibt es das Entwickeln, indem die vielfaltigen Zivilisationen erschlossen wird. Daß in diesem Zusammenhang die Gegenwart meist aufgesehen wird, ist das geradezu AI[=die Menschenwerksgeisteskraft]. AI hat zum Dreierlei eingeteilt, das ist Weak AI[=die schwache Menschenwerksgeisteskraft] und Strong AI[=die starke Menschen-werksgeisteskraft] sowie ASI[=die Ubermenschenwerksgeisteskraft]. Hier wird die Gegenwart das Aufsehen Weak AI zu den Auftritten von das Autonomienautofahrtsauto und das unbewohnte Auto und AlphaGo sowie Tay und ROSS usw. erregt. Aber jetzt braucht das Interesse zu neigen von Strong AI, auch hier braucht das Interesse zu neigen zum Roboter von Strong AI von den Typen. Weil die Technologie schnell entwickelt hat, hiervon ist auf der Zukunft der Mensch des Daseins der Korperbau und der Muskel das Haben, weil nur der Organismus des Menschen das Leben die Welt nicht wird. Und bei solcher Sachlage braucht sich zu qualen, ob den Roboter von Strong AI zum Menschen des Organismus sieht. D.h., daß zum Roboter von Strong AI vertreten wird, kann Transhuman sowie Posthumen und Android(der Roboter) sein, daß sie sich zuqualen braucht, ob sie zum Menschen des Organismus sein kann. Als der Roboter von Strong AI ANN des Gehirns zur Grundlage das Verbindungssystem der Neuronen des Gehirns des Menschen das gebildete Modell ist, kommt zustande beim Gehirn des Menschen wegen des Rollenspielen mit dem gleichen Nervenbotensystem, wenn der Roboter von Strong AI geboren wird, wird mit dem Menschen das Koexistieren die Symbiosenbeziehung das Bilden wegen des Lebens gewesen sein. Und solches Problem wird die Gesetze und die Verordnungen besonders in der Anwendung des Strafrechts das wichtige Problem behoben. Wenn das Leben das Koexistieren gelebt wird, muß bestimmt das Verbrechen sich ereignen, weil die gegenwartige alle Gesetze und die Verordnungen das Subjekt der Mensch des Daseins sind. Hierauf, was ist der Mensch, diese Grundlage ist nach den Gesehenen, was ist außer dem Menschen mit dem allgemeinen Tier der grundliche Unterschiedspunkt, daß durch diese Punkte sieht, ob den Roboter von Strong AI zum Menschen sehe.

      • KCI등재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 노진아의 <제페토의 꿈>(2010)을 중심으로

        이재은(Lee, Jae-e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아시아문화연구 Vol.57 No.-

        ‘소피아’와 ‘아이다’ 같은 휴머노이드 인공지능 로봇이 처음 공개된 이후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생에 대한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 인간과 인공지능이 혼융하며 공존하는 것은 제4차 산업혁명의 숙명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사실 인공지능과 인간이 공생한다는 것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며, 왜 우리가 그것을 고민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쉽게 와닿지 않는다. 이러한 변화의 혼돈 속에서 만물의 척도로서 ‘인간’이라는 휴머니즘 이상을 치환할 다층의 그리고 다방향의 사유의 방향을 제공해주는 포스트휴먼 담론은 유용하다.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에 따르면 포스트휴먼이란 첨단과학기술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 간 경계를 지우는 존재다. 한국 현대미술가, 노진아의 인간 모습을 빼닮은 인공지능 로봇들은 비판적 그리고 창조적 방식으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시각에서 포스트휴먼이 무엇이고 누구인지를 숙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배경에서 연구자는 우선,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 해체를 불러온 인공지능 역사와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맥락에서 노진아의 <제페토의 꿈>(2010)을 분석한다. 이 과정은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견지에서 비인간 주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인간과 비인간간 비위계적 구조가 유지되는지에 대해 재고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프랑켄슈타인 콤플렉스 역시 첨단과학기술이 아닌 인간중심주의에서 나타났음을 말해준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현대미술의 포스트휴먼 징후와 테크노퓨처리즘의 면모를 고찰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re has been debate over the symbiosis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ince the humanoid artificial robots such as Sopia and Ai-da made the first public appearance. It might be the fat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humans and AI will coexist in a intertwined manner. However, it is not easy to grasp what AI’s coexistence with humans means and why we should be concerned. Therefore, the discourse of the posthuman as a multi-layered and multi directional project is needed that displaces the Humanist ideal of Man as the universal measure. According to critical posthumanism, the posthuman is an open continuum which erases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rough advanced technologies. It is the most human-like AI robots of a Korean contemporary artist, Roh Jinah that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what or who the posthuman is in both a critical and a creative manner. Thus I first examine the AI history that brings about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nd the posthuman discourse. And then I analyze Geppetto’s dream by Roh in the perspective of critical posthumanism. This process enables us to reconsider what the nonhuman subject is and how the non-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s susta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critical posthumanism. And it shows that the Frankenstein complex also had appeared not from advanced technologies but from anthropocentrism.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is an attempt to verify the posthuman symptoms and technofuturism’s aspects on Korean contemporary art.

      • KCI등재

        길 위의 포스트휴먼 - 박미하일 소설 『예올리』의 포스트휴먼 디아스포라

        노대원 ( Noh Dae-w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7

        고려인 소설가 박미하일의 『예올리』는 창조자 남성과 여성 로봇의 남녀 관계를 축으로 서술된다는 점에서, 피그말리온 신화를 원형 서사로 삼은 소설이다. 안드로이드 로봇 예올리는 예술가 소설의 주인공들이 자신의 창조적 산물인 예술 작품을 향해 품고 있는 낭만적 상상력과 대응된다. 그녀는 공학기술로 만들어진 로봇이지만, 인간처럼 자유로운 생명력을 지닌 존재로 그려진다. 이는 예술에 대한 작가의 자의식과 관련된다. 예올리는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인인 포스트휴먼으로서 혼종성(hybridity)을 지녔다. 그녀는 허구적인 삶의 이력을 만들어내서, 디아스포라 난민의 불안정하고 취약한 주체(vulnerable subject)로서의 정치적 조건을 스스로 부여한다. 『예올리』의 모험적 플롯은 러시아 SF 『양서류 인간』에서 영향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SF의 주인공 이흐티안드르는 인간과 동물, 인간과 악마의 경계선에 위치한 타자적 존재로 억압 받고 착취당한다. 예올리 역시 자본주의적 세계화의 포스트휴먼 조건에서 노동 착취의 대상이 되는 포스트휴먼이란 점에서 공통적이다. 예올리의 정체성 혼란, 고충과 시련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사회의 혼란과 관련된다. 『예올리』는 이질적인 주체들의 수평적인 연대와 환대의 윤리를 통해 이러한 혼란상을 상상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서사이다. In the sense that Goryeoin novelist Park Mikhail's Easy River Journey is narrated around the male-female relationship between a male creator and a female robot, it is a novel based on the myth of Pygmalion as a prototype narrative. The android robot Yeoli corresponds to the romantic imagination of the protagonists of the artist's novel towards the work of art that is their creative product. Although she is a robot made with engineering technology, she is portrayed as a being with free life force like a human. This is related to the artist's self-consciousness about art. Yeoli has hybridity as a posthuman,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By creating a fictional life history, she gives herself political conditions as an unstable and vulnerable subject of diaspora refugees. The adventurous plot of Easy River Journey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Russian science fiction Amphibious Man. The main character of this sf story, Ichthyander, is oppressed and exploited as an other being on the borderline between humans and animals, humans and demons. Yeoli are also common in that they are posthumans who are subjected to labor exploitation in the posthuman conditions of capitalist globalization. Yeoli's identity confusion, hardships and trials are related to the chaos of Russian society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Easy River Journey is a narrative that attempts to imaginatively overcome this confusion through the ethic of hospitality and horizontal solidarity between heterogeneous subjects.

      • KCI등재후보

        <리얼 휴먼>을 통해 본 휴머노이드 로봇의 언캐니

        류재형(Ryu, Jae-hy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영화나 TV 속에서 재현되는 휴머노이드(humanoid) 캐릭터는 왜 자주 두려운 존재로 묘사되는개 이들의 모습은 어떠한 양식으로 재현되며 그들이 재현하는 두려움의 의미는 과연 무엇인개 이러한 의문의 답에 초석을 제공하는 데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의문과 그 해답에 접근하기 위해 엔취(Jentsch)와 프로이트(Freud)의 '언캐니(the uncanny, 독일 원어 das unheirnlich)' 개념과 모리(Mori)의 '언캐니밸리(the uncanny valle)', 개념에 의지하여 TV 드라마 <리얼 휴먼/Real Humans (KBS, 2013)>을 분석할 것이다. <리얼 휴먼>은 로봇과 인간의 대립을 주제로 삼으면서 로봇이 인간에게 언캐니한 존재로 다가올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정면으로 다루는 동시에 로봇의 외형적 특정이 지니는 언캐니한 모습 또한 적확하게 제시해 주는 좋을 예라 할 수 있다 <리얼 휴먼>은 로봇이 인력을 대체함으로써 발생하는 산업 현장에서의 인간 소외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동시에 너무나도 인간을 닮은 외형 덕분에 사랑의 대상으로까지 부상함으로써 발생하는 가정에서의 인간 소외 또한 재현하면서 가까운 미래에 휴머노이드의 양산을 현실적으로 기대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인간에게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는 로봇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로봇과 인간과의 관계 정립을 요구하고 기대하게 만드는 문화적 기능 또한 수행한다. Why do the humanoid characters in (television) movies produce an atmosphere of terror? How are the figures represent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fear they exp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stone of the answers for these questions. In order to approach to the answers, I want to analyze Swedish television drama Real Humans in reliance on the concepts of 'the uncanny (das unheimlich in the original German terminology)' advocated by Jentsch and developed by Freud and 'the uncanny valley' suggested by Mori. Real Humans is a good example to examine the theme of conflicts between humans and robots, to deal with the reason why robots are uncanny figures for humans, and to show precisely the uncanny features of robots' physical appearance. Real Humans deals with human alienation in the economic area caused by robots' substitution for humans,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s that in the family area brought about from their strong resemblance to human appearance. As a result, it asks u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obots at the present time that mass production of humanoid robot is expect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기계는 감수할 수 있는가 : 윤이형 소설에 나타난 인간과 소셜로봇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차미령(Cha, Miryeong)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35 No.-

        이 논문은 윤이형의 소설 「대니」와 「수아」에 나타난 ‘나’와 소셜로봇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고찰한다. 두 소설은 새로운 기술의 고안, 도입, 실행, 그리고 폐기와 관련된 화소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 두 소설에서 로봇의 수행이 예측을 벗어날 때, 지배담론은 인간의 고의를 문제삼으며 로봇을 근본적으로 수동적인 존재로 치환한다. 로봇의 행위를 인간에 대한 위협으로 범죄화하는 시각 또한 인간-기계의 예속관계를 드러낸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소설 속 ‘나’와 로봇은 그 관계를 통해 각각의 특성으로 고정되는 대신 새로운 주체성(관계성)을 생성한다는 점에서, 주체/객체 이분법을 해체한다. 「대니」와 「수아」는 기계에 의한 인간(노동)의 대체가능성을 사회적 배치(배분)의 문제와 함께 탐구하는데, 「대니」는 그 과정 속에서 인간을 행위자가 아니라 감수자로 위치시킨다. 「수아」는 로봇과 인간(사회)의 연결/연합이 해체되는 지점에서 마무리되지 않고, 로봇에 행위형성적 감수능력을 부여함으로써 인간-기계 네트워크를 새롭게 재조립할 것을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지점까지 나아간다.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kind and machines, focusing on Yoon Yi-hyung’s Danny and Sua. In both fictional works, when the performance of robots does not meet with human expectations, dominating discourse interprets this malfunction as resulting from the intentions of a user or hacker in identifying the robots with basically passive tools. Similarly, criminalizing a robot’s activities as threats against humankind also reveals the subordination of machines to human beings. In contrast to these perspectives, ‘me’ and robot in the works of fiction deconstruct the subject/object binary system, creating a new relational subjectivity. Danny explores the replaceability of humans (labor) by machines and the problem of social assemblages, in the process of which, the human being is defined not as an agent but as a patient. Compared to Danny, which distinguishes between humankind and machines, Sua shows a more radical conclusion, in the sense that this work of fiction contains a relationship between robots and ‘I’ which continues on to the point of claiming to be reassembled, without being content with the dissolution of the alliance of robot and 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