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win의 행동방정식과 습관 모델(model)에 대한 고찰

        김태수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3 성경과신학 Vol.106 No.-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make people including counselor and client check not only behavior but also habit and to help them have better behavior and good habit by studying human’s behavior and habit. The theme of this research is Lewin’s behavior equation and researcher’s habit model. The content of this investiga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main issues: First, Lewin’s behavior equation. He considered humans’ behavior 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rson and environment as a socisl psychologist. Additionally, he emphasized life space as a significant concept. Secondly, researcher’s habit model. Researcher includes habit equation and habit cycle as a habit model. Third, prayer habit, thanksgiving habit and Bible reading or writing habit as Christian’s significant items in order to live a life as being in the presence of God and Jesus Christ. The method of this investigation is theoretically to study reference books.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a new concept of habit equation, habit cycle and so forth. 습관은 제 2의 천성이라는 표현처럼, 습관에 따른 어떤 사람의 행동은 개인의 삶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런 관점에서 인간의 행동과 습관은 중요하고 습관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하기 위한 연구는 필요하고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인간의 행동과 습관을 연구함으로써, 내담자와 상담자를 비롯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과 습관을 성찰하고 더욱 성숙한 인격체로 변화될 수 있도록 자극하고 돕는 것이다. 연구의 주제는 인간은 생각하고 행동하며 반복된 행동은 습관으로 연결된다는 관점에서, Lewin의 행동방정식과 연구자의 습관 모델에 관한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레빈의 행동방정식이다. 그는 사회심리학자로서 인간의 행동이 그 사람과 환경의 상호작용이라고 보았으며, 생활공간을 중요한 개념으로 강조하였다. 둘째, 연구자의 습관 모델(습관 방정식, 습관 순환도)에 대한 것이다. 셋째, 기독교인들에게 중요한 습관이라고 할 수 있는 기도 습관, 감사 습관 그리고 성경말씀 읽기(또는 기록) 습관이다. 연구의 방법은 기본적으로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할 것이다. 그리고 이 논문의 독창성은 Lewin의 행동방정식에서 통찰을 얻은 후, 연구자가 습관모델을 고안하고 습관방정식이라는 주제를 연구함으로써, 인간의 습관에 대한 연구를 진전시키는 시도를 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상호작용 공정성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박세현,송지훈 리더십학회 2022 리더십연구 Vol.13 No.4

        일탈행동은 조직과 구성원들에게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위협을 가하는 부정적인 행동이다. 이에 조직은 일탈행동을 완화할 수 있는 개인적, 조직적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관리하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일탈행동은 업무 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양상에 변화하고 있기에, 일탈행동의 구성요인에 따른 영향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본 연구의 목적은 일탈행동을 저해하는 조직적 요인으로서 상호작용 공정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상호작용 공정성이 일탈행동으로 가는 과정에 있어 발생하는 개인적 요인인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직에서 6개월 이상근무한 직장인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을 하기 전, SPSS 21.0을활용해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AMOS 21.0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 공정성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셋째, 직무열의는 일탈행동 중 조작, 근태, 언어적 적대 행동과는 유의한 관련이 없었으나 업무 외 행동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상호작용 공정성이 업무 외 행동으로 가는 관계에 있어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상호작용 공정성이 심리적 주인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혔으며,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열의의 메커니즘을 밝혀, 일탈행동을 완화할 수 있는 각 변인의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추구해야 하는 태도와 조직문화의 구축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통법규 위반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윤병훈,성용은 한국치안행정학회 2016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3 No.2

        교통법규 위반행동은 자칫 사소한 위반행동으로 간주될 수도 있으나 사실 대형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의 전초가 된다는 점에서 학술적·정책적으로 보다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그 동안 교통법규 위반행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교통법규 위반행동 중 특정 유형인 음주운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교통법규 위반행동 중 신호위반이나 중앙선 침범, 과속운전 행위로 그 위반행동을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시민의 교통법규 위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검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기 위한 것이다. 2016년 4월 25일부터 2016년 5월 8일까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고 있는 자가운전자 23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에 대한 태도는 교통법규 준수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서 교통법규 위반행동에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자기통제는 교통법규 준수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서 교통법규 위반행동에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면허정지/취소의 금전적 가치는 교통법규 준수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서 교통법규 위반행동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관적 규범요인과 과태료/범칙금 수준요인은 교통법규 준수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시민의 교통법규 위반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제언과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cademic and political debates are needed regarding violations of the traffic regulation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violations can be easily regarded as a minor offense but they actually could cause human casualties. The precedent study about violation of the traffic regulations has conducted research mostly on drunk driving so far. In this regard, this study enlarges the scope of research focusing on traffic signal violation, violation of central line and overspeed driv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factors on South Korean Citizens’ Violate Behavior of Traffic Regulations and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by test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current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30 owner-drivers who live i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April 25th to May 8th, 2016 and analyzed collected data employing a random sampling. The findings indicated that: 1) attitude on behavior factor (+)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to willingness of abide by the traffic regulations, then it (-) influence to violation behavior of traffic regulations; 2)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actor (+)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to willingness of abide by the traffic regulations, then it (-) influence to violation behavior of traffic regulations; 3) factor of monetary value on suspension and/or cancellation of drive license (+)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to willingness of abide by the traffic regulations, then it (-) influence to violation behavior of traffic regulations. On the other hand, subjective norms and fine/penalty level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to willingness of abides by the traffic regula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to reduce citizens’ violate behavior of traffic regul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were discussed at the last part of this study.

      • KCI등재

        중학교 태권도 선수가 지각한 지도유형과 스포츠 도덕행동의 구조적 관계

        임태희,이창민,배준수,양윤경 국기원 2019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0 No.4

        이 연구는 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지도유형과 선수들의 도덕행동의 구조적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태권도 대회에 참여한 중학생 태권도 선수242명이었다. 설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228명(남자=181, 여자=47)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의 민주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선수의 동료 친사회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지도자의권위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도자의 긍정적보상 행동은 선수의 동료 및 상대 친사회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동료 및 상대 반사회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지도자의 사회적지지 행동과 훈련 및 지시 행동은 스포츠 도덕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지도자의 지도유형은 선수들의 도덕행동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도자는 적절한 지도행동을 제공하여선수들의 친사회행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ach’s coaching styles and sport moral behavior of Taekwondo student-athletes. Participants were 242 middle school Taekwondo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Taekwondo Championship, but the data of 228 athletes (male=181, female=47) were used fo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mocratic coach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and opponent anti-social behavior,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team pro-social behavior. Second, autocratic coaching behavior positively influenced on team and opponent anti-social behavior of athletes. Third, positive feedback behavior positively affected team and opponent pro-social behavior and negatively affected team and opponent anti-social behavior. Fourth, social support and training/instruction behavior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factors of sport moral behavior. In conclusion, because the coaching styles mostly influence on the moral behavior of athletes, coaches need to promote athlete’s pro-social behavior by taking appropriate behavior.

      • KCI등재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의 조절효과

        공혜원(Kong Hyewon),전병준(Jeon Byungjun),김효선(Kim Hyosu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5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9 No.3

        감정조절전략이 조직에 긍정적 결과를 야기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많은 선행 연구들을 통해 밝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선행 연구들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기존선행 연구의 경우, 일부 연구자들은 표면행위는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는 반면, 내면행위는 조직시민행동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한다. 반면 다른 연구자들은 내면행위는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지만, 표면행위는 조직시민행동과 관련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일치하지 않는 기존 연구결과들은 이들 관계에 있어 조절변수가 존재할 수 있음을 암시해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해 조절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변수로 심리적 주인의식을 제안하였고,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 관계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면행위와 조직시민행동, 표면행위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모두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흥미로운 것은 이들 패턴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심리적 주인의식이 높은 집단에서는 내면행위를 할수록 조직시민행동이 증가하고, 표면행위를 할수록 조직시민 행동을 감소시키는 반면, 심리적 주인의식이 낮은 집단에서는 표면행위를 할수록 조직시민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리하자면, 일반적으로 내면행위는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키지만, 표면행위는 조직시민행동과 관련이 없다. 그러나 심리적 주인의식이 높은 집단에 한해서는 내면행위는 조직시민행동을 높이지만, 표면행위는 조직시민행동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의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연구결과에 대해 심리적 주인의식을 적용하여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은 논의에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ownership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we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ownership. To empirically test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470 respondents who were working in service encounter and interact with customers. A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the test of hypothes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deep acting increa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reas surface acting had no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increa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surface acting, deep act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significant in both the cases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he employees with an overall high level of psychological ownership display a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n an employee with a low level of psychological ownership in the cases of both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However,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howed different pattern for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In the case of high level of psychological ownership, deep acting increas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surface acting decreas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case of low level of psychological ownership, however, deep acting had minimal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surface acting actually increas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onclusion,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research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o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not applicable to all emotional laborers, but are limited to those with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ownership. A discussion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well as 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ill b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that follows.

      • KCI우수등재

        초등학생의 또래 공동체 의식과 외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과 방어행동의 매개효과

        권지웅(Kwon, ji woong),박종효(Park, jong hyo)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의 ‘또래 공동체 의식’과 ‘외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작용하는 ‘친사회적행동’과 ‘방어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위하여 클래스넷 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국 소재의 초등학생 1,374명(여학생 50.0%)을 분석하였다. 또래 공동체 의식과 친사회적 행동은 자기보고 방식으로 측정하였고, 외현적공격성과방어행동은 또래지명 방식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공동체 의식은 친사회적 행동에 정적 효과를 보였고, 친사회적인 행동은 방어행동에 정적 효과를 보였다. 둘째, 또래 공동체 의식은 방어행동에 정적 효과를 보였고, 방어행동은 외현적 공격성에 부적 효과를 보였으며, 또래 공동체 의식은 외현적 공격성에 부적 효과를 보였다. 셋째, 또래 공동체 의식은 외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방어행동이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으며, 친사회적 행동도 외현적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방어행동이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또래공동체 의식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친사회적행동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또래 공동체 의식은 친사회적 행동과 방어행동을 거쳐 외현적공격성에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외현적 공격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방어행동 역량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며, 방어행동은 학교폭력 중 외현적 공격성이 중심이 되는 또래괴롭힘 예방을 위해서도 중요한 변인이라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behavior and defend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peer community and overt aggression in a sample of students of Grade 4, 5, and 6. The fourth wave of Class-Net data was used to target a total of 1,374(girl 5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se of peer community and pro-social behavior were measured by self-reports whereas overt aggression and defending behavior were measured by peer nomination. The major findings through using a SEM were as follows. First, sense of peer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nd pro-social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Second, sense of peer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and defending behavior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overt aggression. In addition, sense of peer community had a negative effect on overt aggression. Third, defending behavior mediated partially in the relationship sense of peer community and overt aggression, defending behavior mediated partially in the relationship pro-social behavior and overt aggression too, Also, pro-social behavior mediated part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peer community and defending behavior. Finally, sense of peer community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overt aggression through pro-social behavior and defending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indicated that acquiring defending capacity was necessary to reduce overt aggression, and defending behavior is an important variable to prevent school bullying, which appears in the form of overt aggression in the school violence context.

      • KCI등재

        DBQ를 이용한 운전자의 과속의도와 행동에 관한 연구

        이창희,금기정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지 Vol.33 No.2

        Speeding has been the most common traffic violation which increases the risk of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rivers’ behaviors on the speeding intention and speeding a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causes and effects. Effects of behaviors and human characters of drivers on speeding are analyzed through a Driver Behavior Questionnaire and the cause and effect among behavior characters, speeding intention and speeding behavior are valida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order to validate the hypothesis of the study, a path analysis is conduc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the result, Driver Behavior Questionnaire property that influences the speeding is revealed to be the violation while Driver Behavior Questionnaire properties that influences the speeding behavior are lapse, mistake, and violation. And the speeding intention influences the speeding behavior. The study results a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o reveal that Driver Behavior Questionnaire properties influencing the speeding behavior are in the order of violation, mistake and lapse. Three properties of Driver Behavior Questionnaire, lapse, mistake and violation, are behavior scales in agreem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a Driver Behavior Questionnaire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way to predict and validate driving behaviors. 과속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치사율이 높고 그에 따른 많은 사회적비용의 지출이 따른다. 본 연구는 운전자의 행동특성이 과속의도와 과속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행동설문지로 활용되는 DBQ(Driver Behavior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과속운전 의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의 행태와 인적특성을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행동특성과 과속의도, 과속행동들간의 인과관계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DBQ의 속성은 Violation으로 나타났고, 과속의도는 과속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논의하면, DBQ의 속성은 Violation, Mistake, Lapse 순으로 과속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행동 척도인 DBQ의 세가지 속성 Lapse, Mistake, Violation이 과속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여 DBQ를 활용한 운전행동분석 및 위험운전행동의 예측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다층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초등학생의 학급 공동체 의식 및 또래지위와 방어행동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권지웅(Kwon, Ji-Woo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4, 5, 6학년 1,374명의 학생들(남 50.0%)을 대상으로 ‘학급 공동체 의식’ 및 ‘또래지위’와 ‘방어행동’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친사회적행동’의 매개효과를 학생 및 학급 수준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클래스넷 데이터(4차년 1차)를 사용하였다. 학급 공동체 의식과 친사회적 행동은 자기보고 방식으로 측정하였고, 또래지위와 방어행동은 또래지명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다층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과 학생 수준 모두 학급 공동체 의식은 친사회적 행동에 정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고, 또래지위도 방어행동에 정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다. 둘째, 학생 수준에서 또래지위는 친사회적 행동과 방어행동에 정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다. 셋째, 학생 수준에서 학급 공동체 의식은 방어행동에 부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고 친사회적 행동은 정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다. 넷째, 학생 수준에서 친사회적 행동은 학급 공동체 의식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간접 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수준에서 친사회적 행동은 또래지위와 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간접 효과를 보였다. 이런 결과로 볼 때 학급 수준에서 평균적으로 방어행동 비율이 높은 학급은 평균적으로 또래지위가 높은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학생 수준에서 학급 공동체 의식과 또래지위가 높은 학생들의 방어행동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친사회적 행동을 거쳐야 한다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behavior in the relationships among sense of class community, peer status, and defending behavior in 1,374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luding 50% boys) of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The Class-Net (4th wave) data were used to empirically test the research model. Sense of class community and pro-social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a self-report method, whereas defending behavior was assessed using a peer nomination method. The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SEM)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sense of class community, at both student and class level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nd peer statu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Second, peer status at the student level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pro-social and defending behaviors. Third, sense of class community at the student level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whereas pro-social behavior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Fourth, sense of class community had an indirect partial mediation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via pro-social behavior at the student level. Finally, pro-social behavior at the student level had an indirect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tatus and defending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a class with a high ratio of defending behavior consists of students with high peer status at the class level.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udents who have high levels of both “sense of class community” and “peer status” are encouraged to display pro-social behaviors in the classroom in order to play an active role as defenders against peer victimization.

      • 고객의 공격적 행동은 조직에 항상 해로운가? : 심리적 주인의식의 역할

        공혜원,김효선,이상묵 한국인사관리학회 2015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고객의 공격적 행동과 심리적 주인의식이 건설적 일탈행동 및 파괴적 일탈행동에 미치는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금융업 종사자 약 4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Ping의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조절효과 검증방법에 따라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먼저 고객의 공격적 행동은 건설적, 파괴적 일탈행동을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심리적 주인의식은 건설적, 파괴적 일탈행동 모두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흥미로운 것은 고객의 공격적 행동과 건설적 일탈행동의 관계가 심리적 주인의식 수준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가령, 심리적 주인의식 수준이 낮은 사람은 고객의 공격행동의 많고 적고에 따른 건설적 일탈행동 변화가 적었으나, 심리적 주인의식 수준이 높은 사람은 고객의 공격행동이 증가할수록 건설적 일탈행동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은 논의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안전에 대한 한·미 대학생 소비자의 태도-행동모형 개발 :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유현정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6

        식품안전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적 마련과 지속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한 동시에 소비자들도 식품안전제도를 잘 이해하고 스스로 안전한 식생활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점차 글로벌화 되고 있는 시장환경을 고려할 때 식량자급률이 낮아 수입식품에 많은 의존을 해야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특히나 식품안전에 대한 국제적 표준을 이해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각국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식품안전태도 및 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실제 식품안전인식, 태도, 행동을 측정한 뒤 이를 구조화하여 구조방정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소비자들은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식품안전을 위해 실천해야 하는 행동 측면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미국의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식품안전인식과 태도에 비해 행동점수가 높아 스스로 식품안전을 위해 실천하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의 소비자들은 위해물질에 대한 우려보다는 위해식품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하고, 표시에 대한 신뢰도도 낮았던 반면, 미국의 소비자들은 식품의 생산과 제조, 가공, 유통 등의 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해식품에 대한 불안보다는 식중독균, 발암물질 등과 같은 위해물질들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표시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전반적으로 식품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신뢰가 한국보다 미국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의 식품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모형화 했을 때, 식품안전인식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다시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인식이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